KR200271094Y1 - Structure interior out-corner finish material - Google Patents

Structure interior out-corner finish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094Y1
KR200271094Y1 KR2020010040806U KR20010040806U KR200271094Y1 KR 200271094 Y1 KR200271094 Y1 KR 200271094Y1 KR 2020010040806 U KR2020010040806 U KR 2020010040806U KR 20010040806 U KR20010040806 U KR 20010040806U KR 200271094 Y1 KR200271094 Y1 KR 2002710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boards
attached
finishing material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80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인철
Original Assignee
박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철 filed Critical 박인철
Priority to KR2020010040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09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0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094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아웃코너 마감재는 실내의 아웃코너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설치가 용이하도록 설계된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interior outer corner finishing material, the out corner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outer corner of the interior can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interior, and also relates to a building interior out corner finishing material designed for easy installation. .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물의 내부 아웃코너에 부착되는 아웃코너 마감재에 있어서,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고 길이 측면이 접해 위치한 상태에서 상호 마주하는 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두 개의 제1 보드(11, 11')와, 두 개의 제1 보드(11, 11')의 연장된 일면에 부착된 시트(50)를 구비한 중간마감재(20, 20')와, 제1 보드(11, 11')의 폭과 동일한 상면을 갖는 사다리꼴 기둥형태의 두 개의 제4 보드(14, 14')와, 두 개의 제4 보드(14, 14')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사다리꼴 기둥형태의 두 개의 제5 보드(15, 15') 및, 제4 보드(14, 14')의 밑면과 제5 보드(15, 15')의 밑면의 연장된 일면에 부착되는 시트(50)를 구비한 단부마감재(40, 40')를 포함하며, 중간마감재(20, 20')의 제1 보드(11, 11')가 아웃코너의 두 측벽에 부착되고, 2개의 단부마감재(40, 40')의 안쪽면이 중간마감재(20, 20')의 상하단을 각각 감싸 건축물의 천장과 바닥에 부착되는 아웃코너 마감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uter corner finish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ner outer corner of the building, two first boards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relative to the width and the sides facing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side fac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11, 11 '), intermediate finishes (20, 20') having a sheet (50) attached to one extended surface of two first boards (11, 11 '), and first board (11, 11). Two fourth boards 14 and 14 'in the form of a trapezoidal column having an upper surface equal to the width of'), and two fifths in the form of a trapezoidal column and located outside the two fourth boards 14 and 14 '. End finish 40 with boards 15, 15 ′ and sheet 50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fourth board 14, 14 ′ and the extended one surface of bottom surface of fifth board 15, 15 ′. , 40 '), wherein the first boards 11, 11' of the intermediate finishes 20, 20 'are attached to two sidewalls of the outer corner,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two end finishes 40, 40'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20, 20 Outer finishes are attached to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building by wrapp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each.

Description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Structure interior out-corner finish material}Structure interior out-corner finish material

본 고안은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시공이 간편하여 단시간에 다수의 마감재를 빠르게 설치할 수 있으며, 실내공간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interior outer corner finishing material,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is easy to install a plurality of finishing materials quickly in a short time, and relates to a building interior out corner finishing material that can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interior space.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토목공사와 골조공사 등의 기본 건축공사 후에 건축물의 외관처리를 위한 외장공사와 건축물의 내부시설 공사를 위한 내장공사가 수행된다. 특히, 내장공사 중에서 건축물의 벽면은 통상적인 페이트, 벽지 또는 보다 고급화된 다양한 문양의 시트 등으로 내장공사가 이루어진다.In general, after the basic construction work such as civil engineering and framing work, the exterior work for exterior treatment of the building and the interior work for the internal facility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are performed. In particular, the interior wall of the building of the interior construction is made of a conventional paint, wallpaper or a sheet of a variety of more advanced patterns.

그런데, 종래에는 거의 대부분의 내장공사에서 내부벽면 중에 돌출된 모서리 부분(아웃코너)이 별도의 내장공사 없이 그 절곡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모서리부분은 그 자체가 건축물 내장의 미감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특히 모서리 부분은 건축물 거주자가 이동 중에 충돌하여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고, 이런 모서리 부분은 실내공간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서 쉽게 눈에 띠며, 이런 모서리부분은 평면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쉽게 더렵혀진다. 이 때문에 실내공간에서 모서리의 지저분한 부분이 눈에 쉽게 띰으로써, 실내공간의 미감을 손상시킨다.By the way, in the prior art, the edge portion (out corner)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surface in almost most interior construction is to maintain the bent state as it is without additional interior construction. Not only do these corners deteriorate the aesthetics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tself, but the corners are particularly likely to cause injury due to the collision of building occupants while moving, and these corners are easily protruded into the interior space. These edges are more easily soiled than the flat ones. For this reason, the messy parts of the corners of the indoor space are easily visible, thereby damaging the aesthetics of the indoor space.

따라서 이런 모서리부분을 보다 나은 외관으로 내장처리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굴곡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건축물 벽면 시공시 함께 시공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것은 건축물의 시공비용의 상승과 시공일정을 지연시키게 된다.Therefore, it is desirable to form such corners as bent as possible in order to have a better appearance. However, for this purpose, construction must be done together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which delays the construction cost and delays the construction schedule.

그리고 이미 건축된 건물에 대해서는 내장공사를 위해 별도의 시공이 필요하고, 이 또한 많은 시공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거의 모든 건축물 내장의 모서리 부분은 그 수직 절곡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In addition, for the already built building, a separate construction is required for the interior work, and this also requires a lot of construction cost and time, so almost all corners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maintain its vertical bending state. have.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건축물 내부의 모서리부분을 고급화된 시트가 감싸도록 하여 건축물의 내부의 미감을 향상시키며 또한, 시공이 간편한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enhance the aesthetics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by enveloping the edge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o the advanced sheet, and also easy to build the interior interior corner finisher The purpose is to provid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stalled state of the building interior outer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의 분해사시도이고,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ilding interior outer finish shown in Figure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부마감재가 중간마감재를 감싼 상태의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d finisher shown in Figure 1 wrapped the intermediate finish,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중간마감재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고,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panded state of the intermediate finish shown in Figure 3,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단부마감재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고,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panded state of the end finisher shown in FIG.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ed state of the building interior outer corner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의 분해사시도이고,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ilding interior outer finish shown in Figure 6,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단부마감재가 중간마감재를 감싼 상태의 단면도이고,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end finisher shown in Figure 6 wrapped the intermediate finish,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중간마감재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며,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panded state of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shown in FIG.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단부마감재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panded state of the end finisher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1, 11' : 제1 엠디에프 12 : 제2 엠디에프11, 11 ': 1st MDF 12: 2nd MDF

13 : 제3 엠디에프 14, 14' : 제4 엠디에프13: 3rd MDF 14, 14 ': 4th MDF

15, 15' : 제5 엠디에프 20, 20' : 중간마감재15, 15 ': Fifth MD 20, 20': intermediate finish

40, 40' : 단부마감재 42 : 가공부40, 40 ': end finishing material 42: processing part

50 : 시트 100, 100' : 아웃코너 마감재50: sheet 100, 100 ': out corner finishing material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물의 내부 아웃코너에 부착되는 아웃코너 마감재에 있어서,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고, 평행하게 위치하여 상호 접한 측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두 개의 제1 보드와, 상기 두 개의 제1 보드의 연장된 밑면에 부착된 시트를 구비한 중간마감재와, 상기 제1 보드의 폭과 동일한 상면을 갖는 사다리꼴 기둥형태의 두 개의 제4 보드와, 상기 두 개의 제4 보드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사다리꼴 기둥형태의 두 개의제5 보드 및, 상기 제4 보드와 상기 제5 보드의 연장된 밑면에 부착되는 시트를 구비한 단부마감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마감재의 제1 보드가 아웃코너의 두 측벽에 부착되고, 2개의 상기 단부마감재의 안쪽면이 상기 중간마감재의 상하단을 각각 감싸 상기 건축물의 천장과 바닥에 부착되는 아웃코너 마감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outer corner finish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ner outer corner of the building, the length is relatively long compared to the width, parallel to the mutually adjacent side surface at a predetermined angle A middle finisher having two first boards, a sheet attached to an extended bottom surface of the two first boards, two fourth boards having a trapezoidal column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board, and And an end finishing material having two fifth boards positioned outside the two fourth boards and having a trapezoidal pillar shape, and having a sheet attached to an extended bottom surface of the fourth board and the fifth board. The first board of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is attached to the two side walls of the outer corner, the inner surface of the two end finishes surround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ceiling of the building The out corner finish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floor is provided.

또한, 본 고안의 두 개의 상기 제1 보드와 두 개의 상기 제4 보드에서 상호 마주하는 경사면이 상호 접하면 두 개의 상기 제1 보드와 두 개의 상기 제4 보드는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5 보드의 경사면과 상기 제4 보드의 경사면이 접하면 상기 제5 보드는 상기 제4 보드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된다.In addition, when the inclined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the two first and second board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wo first and two fourth boards are respectively bent at a right angle, and the fifth Whe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oard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ourth board, the fifth board is bent perpendicularly to the fourth board.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중간마감재의 제1 보드의 사이에는 삼각형 기둥의 제2 보드가 위치하며, 상기 제1 보드는 상기 제2 보드를 중심으로 선회하여 상기 제2 보드의 양 경사면에 두 개의 상기 제1 보드의 경사면이 각각 접해 위치한다.In addition, a second board of the triangular pillar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board of the intermediate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ard is pivoted about the second board to the two said on both inclined surfaces of the second board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first boar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단부마감재의 제4 보드의 사이에는 삼각형 기둥의 제3 보드가 위치하며, 상기 제4 보드는 상기 제3 보드를 중심으로 선회하여 상기 2개의 제4보드의 경사면이 상기 제3 보드의 양 경사면에 각각 접해 위치한다.In addition, a third board of the triangular pillar is located between the fourth board of the end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board is pivoted about the third board so that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two fourth board 3 Position the board on both inclined surfaces.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단부마감재의 바깥면에는 다수의 반경으로 연장되어 라운드 가공된 가공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to a plurality of radii to form a round processing.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1 보드의 바깥면에는 상기 제1 보드의 길이를 따라 음각 또는 양각으로 무늬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patter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ntaglio or embossed along the length of the first board.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building interior corner fin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부마감재가 중간마감재를 감싼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중간마감재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단부마감재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In the drawings,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ed state of the building interior outcorner fini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ilding interior outcorner finish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Figure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panded state of the end finisher shown in Figure 3,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panded state of the intermediate finish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panded state of the end finisher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100)는 크게 실내 아웃코너의 수직길이(약 2.4m)를 따라 부착되는 중간마감재(20)와, 중간마감재(20)의 상하단을 감싸며 천장과 바닥에 접하여 부착되는 2개의 단부마감재(40; 40H, 40L)로 구분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building interior outer corner finisher 100 is largely attached along the vertical length (about 2.4m) of the indoor out corner,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20) Wrapping is divided into two end finishing materials (40; 40H, 40L) attached to contact the ceiling and the floor.

중간마감재(20)는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길이(약 2.4m)를 갖는 3개의 파이버 보드(MDF; Middle DegreeFiber board 이하에서는 '엠디에프'라 함.)가 시트(50)에 부착되어 형성되고, 단부마감재(40; 40H, 40L)는 5개의 엠디에프(13, 14, 15)가 시트(50)에 부착되어 형성된다.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20 is formed by attaching three fiber boards (MDF; hereinafter referred to as' MD's) in the middle degree fiber board)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about 2.4 m) to the sheet 50. The end closure materials 40 (40H, 40L) are formed by attaching five MDs 13, 14, and 15 to the sheet 50.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마감재(20)는 양측부에 각각 제1 엠디에프(11)가 위치하고, 이런 두 개의 제1 엠디에프(11)의 사이에 제2 엠디에프(12)가 위치한다. 한편 제1 엠디에프(11)에서 상기 제2 엠디에프(12)와 마주하는 면은 약 30°의 경사를 갖는 경사면이고, 제2 엠디에프(12)는 두 내각이 75°를 갖는 이등변 삼각기둥의 형상을 갖는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20 has a first MD 11 positioned at both sides thereof, and a second MD 12 between the two first MDs 11. ) Is located. Meanwhile, a surface of the first MD 11 facing the second MD 12 i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n inclination of about 30 °, and the second MD 12 is an isosceles triangular prism having two interior angles of 75 °. Has the shape of.

이와 같은 제1 엠디에프(11)와 제2 엠디에프(12)는 시트(50)의 상면에 안착되어 접착재에 의해 부착되는데, 이때, 제1 엠디에프(11)와 제2 엠디에프(12)는 그 밑면이 옆으로 상호 밀착되어 연장된 일면을 형성하며, 이런 상태에서 제1 엠디에프(11)와 제2 엠디에프(12)의 사이의 내각은 45°의 각도를 이룬다. 따라서, 제1 엠디에프(11)를 제2 엠디에프(12)를 중심점으로 선회하면 45°선회하면서 두 제1 엠디에프(11)는 상호 직각을 이루는 중간마감재(20)가 된다. 따라서, 제2 엠디에프(12)는 두 제1 엠디에프(11)의 절곡점에 위치하며 제2 엠디에프(12)의 밑면은 중간마감재(20)의 외면을 향하고 있다.The first MD 11 and the second MD 12 are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heet 50 and are attached by an adhesive material. In this case, the first MD 11 and the second MD 12 are attached. The bottom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n extended surface, in this state, the internal angle between the first MD 11 and the second MD 12 forms an angle of 45 °. Therefore, when the first MD 11 is rotated around the second MD 12 as a center point, the first MD 11 is the intermediate finishing material 20 which forms a right angle with each other while turning 45 °. Accordingly, the second MD 12 is located at the bending points of the two first MDs 1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MD 12 faces the out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finish 20.

그리고, 이런 중간마감재(20)의 안쪽면이 실내 아웃코너의 측벽에 밀착되며, 접착재에 의해 중간마감재(20)의 안쪽면과 아웃코너의 측벽이 부착 고정된다. 따라서, 중간마감재(20)의 길이는 대략적으로 아웃코너의 수직길이와 일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indoor outer corner,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20 and the side wall of the out corner by the adhesive material is fixed. Therefore, the length of the intermediate finish 20 is most preferably approximately equal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out corner.

한편, 단부마감재(40)는 총 5개의 엠디에프(13, 14, 15)를 포함하며, 제3 엠디에프(13)는 중간에 위치한 엠디에프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횡단면이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는 기둥이다. 여기에서 제3 엠디에프(13)의 양 경사면의 각도는 22°이다. 제3 엠디에프(13)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제4 엠디에프(14) 또한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고 있으나, 두 경사면 중에서 일면의 경사각은 23°이고, 다른 한 경사면은 45°이다. 여기에서 23°의 경사면이 제3 엠디에프(13)를 향하도록 위치한다.On the other hand, the end finishing material 40 includes a total of five MDF (13, 14, 15), the third MDF (13)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M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rapezoidal shape. It is a pillar having. Here, the angles of both inclined surfaces of the third MD 13 are 22 degrees. The fourth MD 14 locat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third MD 13 also has a trapezoidal shape, but the inclination angle of one of the two inclined surfaces is 23 ° and the other is 45 °. Here, the inclined surface of 23 ° is located to face the third MDF 13.

그리고, 제4 엠디에프(14)의 45°경사면과 마주하는 2개의 제5 엠디에프(15) 또한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런 제4 엠디에프(14)와 마주하는 제5 엠디에프(15)의 경사면은 45°의 경사면이고, 다른 한 쪽의 경사면은 직각을 이룬다. 이런 제3, 제4, 제5 엠디에프(13, 14, 15)는 시트(50)의 상면에 안착되어 엠디에프(13, 14, 15) 각각의 밑면이 옆으로 상호 밀착되어 연장된 일면을 형성한다. 이런 상태 즉, 연장된 일면에 시트(50)가 부착 고정된다.In addition, the two fifth MDFs 15 that face the 45 ° inclined plane of the fourth MDF 14 also have a trapezoidal shap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fth MD 15 facing the fourth MD 14 is an inclined surface of 45 °,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other i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third, fourth, and fifth MDFs 13, 14, and 15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eet 50, and the bottom surfaces of each of the MDFs 13, 14, and 15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extend one surface. Form. In this state, the sheet 50 is attached and fixed to one extended surface.

이와 같이 시트(50)에 부착 고정된 제3, 제4, 제5 엠디에프(13, 14, 15)에서 제3 엠디에프(13)를 중심으로 두 제4 엠디에프(14)를 선회시키면, 각각의 제4 엠디에프(14)는 45°씩 선회하여 상호 직각을 이루게 되며, 각각의 제5 엠디에프(15)는 제4 엠디에프(14)에 대하여 90°선회하여 제4 엠디에프(14)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단부마감재(40)의 바깥면은 소정의 라운드로 연장 가공된 가공부(42)가 형성된다.In this way, when the third, fourth, and fifth MDFs 13, 14, and 15 attached to the sheet 50 are pivoted around the third MDFs 13, Each fourth MD 14 rotates by 45 ° to form a right angle to each other, and each fifth MD 15 rotates 90 ° with respect to the fourth MD 14. Perpendicular to).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closure member 40 is formed with a machining portion 42 extended in a predetermined round.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중간마감재(20)의 제1, 제2 엠디에프(11, 12)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단부마감재(40)의 제3, 제4, 제5 엠디에프(13, 14, 15) 또한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여기에서 제5 엠디에프(15) 상면의 폭은 제1, 제2 엠디에프(11, 12)의 두께와 동일한다. 따라서, 절곡된 단부마감재(40)의 안쪽면에 중간마감재(20)를 위치시키면, 중간마감재(20)의 두께면이 제5 엠디에프(15)의 상면과 일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4 엠디에프(14)의 상면 폭은 제1 엠디에프(11)의 폭과 동일하여 제1 엠디에프(11)의 바깥면에 제4 엠디에프(14)의 안쪽면이 접하게 되고, 접착재에 의해 부착 고정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first and second MDs 11 and 12 of the intermediate finish 20 described above have the same thickness, and the third, fourth and fifth MDs of the end finish 40. F 13, 14 and 15 also have the same thickness.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fth MD 15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MDs 11 and 12. Therefore, when the intermediate finish 20 is placed on the inner side of the bent end finish 40,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finish 20 is coinciden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fth MD 15. And, the upper surface width of the fourth MD 14 is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first MD 11, 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MD 14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MD 11, It is attached and fixed by an adhesive material.

한편, 중간마감재(20)의 바깥면에는 다양한 무늬가 새겨져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100)의 미감을 향상시킨다.On the other hand, various patterns are engrav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finishing material 20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building interior corner finish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의 설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installation relationship of the building interior corner finish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우선, 중간마감재(20)의 제2 엠디에프(12)를 중심으로 두 제1 엠디에프(11)를 선회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중간마감재(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직각으로 절곡된 중간마감재(20)의 안쪽면에 접착재를 도포하고, 수직을 이루는 아웃코너의 두 측면에 각각의 제1 엠디에프(11)의 안쪽면을 부착 고정한다.First, by turning the two first MD 11 around the second MD 12 of the intermediate finishing material 20 to form a middle finishing material 20 bent at a right angle. Then,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finishing material 20, which is bent at right angles,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first MDs 11 are attached and fixed to two side surfaces of the vertical outer corner.

그리고, 2개의 단부마감재(40H, 40L)를 중간마감재(20)의 상하단에 위치시키고, 단부마감재(40H, 40L)가 상기 중간마감재(20)를 감싸도록 제3 엠디에프(13)를 중심으로 제4 엠디에프(14)와 제5 엠디에프(15)를 선회하여 각 경사면이 접하도록 절곡한다. 이와 같이 절곡된 단부마감재(40H, 40L)의 안쪽면에 접착재를 도포하고, 중간마감재(20)의 상하단에 부착한다. 이때, 상부에 위치한 단부마감재(40H)는 천장과 중간마감재(20)의 바깥면과 접하여 고정된다.Then, two end finishes 40H and 40L are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termediate finish 20, and the end finishes 40H and 40L are wrapped around the intermediate finish 20 so that the third finishes 13 are centered. The 4th MDF 14 and the 5th MDF 15 are turned and bent so that each inclined surface may contact.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bent end finishing materials 40H and 40L, and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termediate finishing material 20. At this time, the end finisher (40H) located in the upper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eiling and the intermediate finish (20).

한편, 하단 단부마감재(40L) 또한 상단 단부마감재(40H)와 동일하게 중간마감재(20)의 하단과 바닥에 접한 상태로 접착재에 의해 고정한다. 이때, 단부마감재(40H, 40L)의 바깥면에 형성된 라운드 가공된 가공부(42)가 상호 마주하도록 즉 중간마감재(20)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상하부의 단부 마감재(40H, 40L)를 고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end finisher 40L is also fixed by the adhesive in the state in contact with the bottom and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finisher 20 in the same manner as the top end finisher 40H.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end finishing members (40H, 40L) is fixed so that the round-machined parts 42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end finishing materials (40H, 40L) face each other, that is, toward the center of the intermediate finishing material (20).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2의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를 실시예 1과 비교하였을 때에, 중간마감재의 제2 엠디에프와 단부마감재의 제3 엠디에프가 없다는 것 및, 각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다르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Compared with Example 1, the interior interior corner finisher of Example 2 is the same except that there is no second MDF of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and the third MDF of the end finisher, and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each inclined surface is different. Or similar. Therefore,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면에서,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단부마감재가 중간마감재를 감싼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중간마감재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단부마감재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In the drawings,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ed state of the building interior outcorner finis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ilding interior outcorner finish shown in Figure 6, Figure 8 is Figure 6 An end finish material shown in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wrapped state,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folded state of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shown in Figure 8,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folded state of the end finish material shown in FIG.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100')은 아웃코너의 길이를 따라 위치하는 중간마감재(20')와, 중간마감재(20')의 상단과 천정 그리고 중간마감재의 하단과 바닥에 접하여 고정되는 2개의 단부마감재(40'; 40H', 40L')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6 to 10, the building interior outer finishing material (100 ') is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20' and along the length of the outer corner, the top and ceiling of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20 'and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It includes two end finishes (40 '; 40H', 40L ') fix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and bottom of the.

중간마감재(20')는 두 개의 제1 엠디에프(11')과 시트(50)를 포함하며, 단부마감재(40'; 40H', 40L')는 두 개의 제4 엠디에프(14')와 두 개의 제5 엠디에프(15') 및 시트(50)를 포함한다.The intermediate finish 20 'includes two first MDs 11' and a sheet 50, and the end finishes 40 '; 40H' and 40L 'have two fourth MDFs 14' and Two fifth MFCs 15 'and a sheet 50.

중간마감재(20')의 제1 엠디에프(11')는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약 45.25°로서, 두 개의 제1 엠디에프(11')의 밑면이 옆으로 상호 밀착되어 연장된 일면을 형성한 후에 연장된 일면에 시트(50)를 부착 고정한다. 그러면, 두 제1 엠디에프(11') 사이의 경사면의 각도는 약 90.5°가 된다. 따라서, 이런 두 제1 엠디에프(11')의 경사면이 접하도록 상호 선회하면 약 90°로 절곡된 중간마감재(20')가 형성된다.The first MD 11 'of the intermediate finish 20' has an inclination angle of about 45.25 °, and the bottom surfaces of the two first MDs 11 'closely adhere to each other to form an extended surface. After that, the sheet 50 is attached and fixed to one extended surface. Then, 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between the two first MDs 11 'is about 90.5 degrees. Accordingly, when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two first MDs 11 'are pivoted with each other, the intermediate finish 20' bent at about 90 ° is formed.

그리고, 단부마감재(40H', 40L')는 두 개의 제4 엠디에프(14')가 중심에 위치하고, 그 양 바깥쪽에 두 개의 제5 엠디에프(15')가 위치한다. 이들 제4, 제5 엠디에프(14', 15')의 밑면은 옆으로 상호 밀착된 상태로 그 밑면에 시트(50)를 부착 고정한다.In the end finishing materials 40H 'and 40L', two fourth MDFs 14 'are positioned at the center, and two fifth MDFs 15' are positioned at both outer sides thereof. The bottom surfaces of these fourth and fifth MDFs 14 'and 15' are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s thereof in a state where the bottom surfac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제4, 제5 엠디에프(14', 15')의 경사면 또한, 제1 엠디에프(11')의 경사면과 같이, 약 45.25°의 경사면을 갖고 있으며, 제5 엠디에프(15')의 상면 폭은 제1 엠디에프(11')의 두께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제4 엠디에프(14')의 경사면이 상호 접하도록 두 제4 엠디에프(14')를 선회하면 두 개의 제4 엠디에프(14')는 직각을 이루도록 위치한다. 이런 제4 엠디에프(14')의 안쪽면은 중간마감재(20')의 제1 엠디에프(11')의 바깥면과 접하여 위치하며, 이런 상태에서 제5 엠디에프(15')를 선회하면 제5 엠디에프(15')의 상면은 제1 엠디에프(11')의 두께면과 접하여 위치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fourth and fifth MDFs 14 'and 15' also have an inclined surface of about 45.25 °, like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first MDFs 11 ', and the fifth MDFs 15'. The top surface width of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MD 11 '. When the four fourth MDFs 14 'are rotated such that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fourth MDFs 1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wo fourth MDFs 14 'are positioned at right angles. 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MD 14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MD 11' of the intermediate finish 20 ', and in this state, when the fifth MD 15 is rotated, The upper surface of the fifth MD 15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thickness surface of the first MD 11'.

한편, 제2 실시예의 단부마감재(40'; 40H', 40L')의 바깥면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소정의 반경으로 연장 라운드 처리된 가공부(42)가 있고, 중간마감재(20')의 상하단에 각각 위치한 단부마감재(40H', 40L')는 각각 천장과 바닥에 접하여 위치하며 라운드 처리된 가공부(42)가 중간마감재(20')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위치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finishing materials 40 '(40H', 40L ')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processing section 42 extending round a predetermined radius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intermediate finish 20' End finishing materials (40H ', 40L') respectively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re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ceiling and the floor, respectively, and the rounded processing part 42 is positioned to face the center of the intermediate finishing material 20 '.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는 중간마감재와 단부마감재가 이미 제작된 상태로 현장에서 접착재로 부착만하면 시공이 완료됨으로써, 시공이 빠르며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built-in building interior corner fini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is fast and simple simply by attaching the adhesive in the field in the state that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and the end finish material has already been produced.

또한, 본 고안의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는 중간마감재의 길이가 아웃코너의 길이와 동일하지 않고 약간 작더라도 단부마감재가 중간마감재의 단부를 덮으면서 천장 및 바닥에 부착 고정됨으로써, 중간마감재가 아웃코너의 길이보다 약간 작더라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uilding interior corner decoration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length of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is not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out corner, but slightly smaller, the end finish material is fixed to the ceiling and floor while covering the end of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is the out corner Even if it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leng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이상에서 본 고안의 건축물 내장 아웃코너 마감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building interior corner fini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건축물의 내부 아웃코너에 부착되는 아웃코너 마감재에 있어서,In the outer corner finish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terior outer corner of the building,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고, 평행하게 위치하여 상호 접한 측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두 개의 제1 보드와, 상기 두 개의 제1 보드의 연장된 밑면에 부착된 시트를 구비한 중간마감재와,An intermediate finish having a length relatively relative to the width and having two first boards in parallel and inclined at mutually inclined sides, and a sheet attached to an extended bottom surface of the two first boards; , 상기 제1 보드의 폭과 동일한 상면을 갖는 사다리꼴 기둥형태의 두 개의 제4 보드와, 상기 두 개의 제4 보드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사다리꼴 기둥형태의 두 개의 제5 보드 및, 상기 제4 보드와 상기 제5 보드의 연장된 밑면에 부착되는 시트를 구비한 단부마감재를 포함하며,Two fourth boards having a trapezoidal pillar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board, two fifth boards located outside the two fourth boards and having a trapezoidal pillar shape, and the fourth board and the An end finishing material having a sheet attached to an extended bottom surface of the fifth board, 상기 중간마감재의 제1 보드가 아웃코너의 두 측벽에 부착되고, 2개의 상기 단부마감재의 안쪽면이 상기 중간마감재의 상하단을 각각 감싸 상기 건축물의 천장과 바닥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코너 마감재.The first board of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is attached to the two sidewalls of the outer corner, the inner surface of the two end finisher is wrapped arou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is attached to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두 개의 상기 제1 보드와 두 개의 상기 제4 보드에서 상호 마주하는 경사면이 상호 접하면 두 개의 상기 제1 보드와 두 개의 상기 제4 보드는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5 보드의 경사면과 상기 제4 보드의 경사면이 접하면 상기 제5 보드는 상기 제4 보드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코너 마감재.When the inclined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the two first and second board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wo first and two fourth boards are bent at right angles, respectively, and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fifth board and the Whe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ourth board is in contact with the fifth board is bent outwardly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erpendicular to the fourth boar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간마감재의 제1 보드의 사이에는 삼각형 기둥의 제2 보드가 위치하며, 상기 제1 보드는 상기 제2 보드를 중심으로 선회하여 상기 제2 보드의 양 경사면에 두 개의 상기 제1 보드의 경사면이 각각 접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코너 마감재.A second board of a triangular pillar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ard of the intermediate finish material, and the first board is pivoted about the second board so that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two first boards on both inclined surfaces of the second board. Outer finish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with each other.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단부마감재의 제4 보드의 사이에는 삼각형 기둥의 제3 보드가 위치하며, 상기 제4 보드는 상기 제3 보드를 중심으로 선회하여 상기 2개의 제4보드의 경사면이 상기 제3 보드의 양 경사면에 각각 접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코너 마감재.A third board of a triangular pillar is positioned between the fourth boards of the end finishing material, and the fourth board pivots about the third board so that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two fourth boards are both inclined surfaces of the third board. Outer finish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contact with each.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단부마감재의 바깥면에는 다수의 반경으로 연장되어 라운드 가공된 가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코너 마감재.Outer finish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finishing material is formed in the processing portion is extended to a plurality of radii round processing.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1 보드의 바깥면에는 상기 제1 보드의 길이를 따라 음각 또는 양각으로 무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코너 마감재.An outer corner fini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ard is patterned in an intaglio or embossed along the length of the first board.
KR2020010040806U 2001-12-29 2001-12-29 Structure interior out-corner finish material KR20027109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806U KR200271094Y1 (en) 2001-12-29 2001-12-29 Structure interior out-corner finish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806U KR200271094Y1 (en) 2001-12-29 2001-12-29 Structure interior out-corner finish materia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187A Division KR20030056874A (en) 2001-12-28 2001-12-28 Structure interior out-corner finish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094Y1 true KR200271094Y1 (en) 2002-04-09

Family

ID=7308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806U KR200271094Y1 (en) 2001-12-29 2001-12-29 Structure interior out-corner finish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09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5032A (en) Three way drywall corner trim
CN100412276C (en) Interior panel structure
KR20030056874A (en) Structure interior out-corner finish material
KR200271094Y1 (en) Structure interior out-corner finish material
US5326615A (en) Honeycomb core panel structure
KR200271093Y1 (en) Corner finishing materials
US7353617B1 (en) Surface template
KR200228921Y1 (en) The Structure Of A Sectional Junction Of A Finishing Material For Decorating A Furniture
JP4663932B2 (en) Paint wall base material and paint wall base structure
JP3918346B2 (en) Out corner pillar
KR100388076B1 (en) A conner finishing materials for the interior of architecture
KR200216461Y1 (en) A conner finishing materials for the interior of architecture
CN211229383U (en) Building wall hides seam and uses ornamental strip
KR200385299Y1 (en) 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for building
KR200196164Y1 (en) Molding for decoration
JP3370867B2 (en) Tile panel sticking method
JPS6015846Y2 (en) actual employment
JPH04140357A (en) Joiner
JPH0218179Y2 (en)
JPH082247Y2 (en) Booth panel connection
JP3350891B2 (en) Roofing material for corner building
JPH0481017B2 (en)
JP263703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exterior plate
JP2006183409A (en) Corner material
JP2988738B2 (en) Joint structure between wall panels of unit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