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646Y1 -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 Google Patents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646Y1
KR200270646Y1 KR2020010038328U KR20010038328U KR200270646Y1 KR 200270646 Y1 KR200270646 Y1 KR 200270646Y1 KR 2020010038328 U KR2020010038328 U KR 2020010038328U KR 20010038328 U KR20010038328 U KR 20010038328U KR 200270646 Y1 KR200270646 Y1 KR 200270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plate
plate
protrusion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민
Original Assignee
임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민 filed Critical 임종민
Priority to KR2020010038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6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646Y1/ko

Links

Landscapes

  • Stackable Container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디몸체부 양단을 커버하는 상하판으로 커버판에 의해 각각 시밍공정을 거쳐 결합되는 캔용기에 있어서, 상판 및 하판으로 되는 어느 하나의 커버판 표면으로 요홈을 갖는 돌출부를 다수 형성하고, 타 커버판에 상기 요홈과 대향되는 위치상에 돌부를 형성하여 보디몸체부 양단에 각각 결합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포장용 캔의 적재 및 적층성을 향상하여,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충진하여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 캔용기를 다층 적재하더라도 쓰러지거나 무너지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고 생산공장, 판매점등에 캔용기의 적재시 안정성을 유지하며 다층적재가 가능하여 협소한 장소에서도 다량의 캔용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다층 적재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The can-receptacle possibility carrying plural stratum structure}
본 고안은 포장용 캔의 적재 및 적층성을 향상하여,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충진하여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 캔용기를 다층 적재하더라도 쓰러지거나 무너지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고 생산공장, 판매점등에 캔용기의 적재시 안정성을 유지하며 다층적재가 가능하여 협소한 장소에서도 다량의 캔용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다층 적재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캔용기는 1679년 프랑스의 고안가 중 한사람이었던 토니빠삥이 "증기냄비"를 개발한 것이 시초가 되었으며, 영국의 피터 듀란드가 철제(鐵製)의 캔용기가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1810년 캔통조림을 고안하고, 1860년대에는 더욱얇은 강판(鋼板)을 이용하여 만들게 되었으며, 1819~1901년에는 주석캔(Tinned Can)을 사용하게 되면서 몇차례의 개발 및 고안에 의한 특허등에 의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캔용기는 전기주석도금판재로 되는 금속판재를 말아 몸통체를 형성하고, 상기 몸통체 양단을 밀폐하기 위한 각각의 상하판을 형성한 후, 상하판과 몸통체간의 밴딩작업에 의해 밀봉성을 갖는 캔용기를 제조하고 있다.
즉, 주석도금강판에 원하는 디자인으로 금속 인쇄하는 인쇄공정과, 인쇄된 주석도금강판을 적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공정과, 적정크기의 상하판을 제조하기 위한 상하판 제조공정과, 절단된 블랭크에 형상을 주어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판넬링공정과, 판넬링이 완성된 블랭크를 용접하기 위해 사각형상으로 각접기하는 보디각접기 공정과, 각접기공정이 완료된 캔을 동선에 의한 전기용접에 의해 융착시키는 용접공정과, 동체를 시밍하기 위해 상하단을 2~3mm벌려주는 후렌지공정과, 동체의 상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상판 및 하판 부분의 실링을 위해 콤파운드등으로 도포하는 라이닝공정과, 동체와 상하판을 이중 권체로 결합시키는 시밍공정과, 시밍 완료된 완제품의 누유 등의 방지를 위해 에어(air)를 충진하여 새는지(Leak) 여부를 확인하는 테스트공정과, 적정개수로 묶어 포장하기 위한 포장공정 및 포장된 캔용기를 적재하는 적재공정등을 통하여 완성된 캔을 제조 하고 있음은 통상적이다.
이와같이 제조되는 캔용기는 도 9에서 보는바와 같이 주석도금강판을 절곡, 각접기하여 평활한 상태의 강판을 육면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디몸체부(3)를이루고, 커버판으로 되는 상판(10)과 하판(20)을 각각 결합, 시밍하여 기밀성, 밀봉성 및 밀폐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그 상판(10)으로 캔용기(100)의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하여 사용하기 위한 토출구(15) 및 중앙으로 캔용기(100)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14)를 형성하는 것이 통상적 캔용기(100)의 구조이다.
이와같은 캔용기를 제조시 또는 제조완성 후 내용물을 충진하여 밀봉처리한 상태에서 다층으로 적재를 하여 출고되거나, 대형판매점등의 마켓에 적재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캔용기를 적재하고자 할 때, 캔용기의 상판의 테두리부와 하판의 테두리부간의 단순 내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층의 적재시 외부로부터의 작은 충격력등에 의해 적층적재된 캔용기가 쓰러지는 경우가 발생되어 작업자가 상해를 입게 되는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거나, 캔용기의 파손으로 인한 내용물의 유출사고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캔용기의 파손시 내용물의 유출시 그 내용물이 독극물 종류일 경우에는 그 피해가 상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종래의 캔용기에 내용물을 충진한 후 적층할 경우에는 높게 적재하는 것을 가급적 피하고, 저층으로 적재하게 되는 경향이 발생되어, 보관 용적을 크게 차지하게 되므로 많은 양의 캔용기의 보관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내용물을 적재하지 않고 출고시 적층보관 및 운반시 캔용기를 다층 적재한 후 테이프등으로 각 적재층마다 그 외주면을 에워싸는 작업을 별도 수행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인건비의 상승 및 작업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식용유나 페인트등의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충진 보관, 유통 판매하기 위한 캔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캔용기 양단의 커버판 즉 상하판 중 어느 하나의 커버판에 요홈을 갖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타 커버판으로 상기 요홈에 삽입 또는 결합되기 위한 돌부를 상호 대향되며 형성하여 적층된 캔용기가 견고하며 안정되게 적층 적재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부터의 가벼운 충격등에 의해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및 제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협소한 장소에서도 높게 그 캔용기의 적층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고, 일정정도의 적재가 이루어진 후 타장소로의 이송트레이에 의한 작업주기 시간을 대폭 단축하여 제품의 생산성 향상을 이루고자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내용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일반 대형마켓등에 다층으로 적층, 적재하여 진열시에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 용이하고, 협지장소의 활용도를 극대화 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캔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보디몸체부를 적정 크기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프레싱 작업에 의해 얻게 되는 상판 또는 하판의 어느 일측 커버판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제1,2,3,4,5실시예 각각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3a,4a,5a,6a,7a는 상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4b,5b,6b,7b는 하판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3c,4c,5c,6c,7c는 상기 상판, 하판을 이용하여 캔용기를 제작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d,4d,5d,6d,7d는 도3c,4c,5c,6c,7c 각각의 캔용기를 이용하여 적재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상판 및 하판 각각의 커버판으로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 및 돌부 표면층에 엠보싱, 요철부 또는 너어링가공을 한 상태를 도시한 일예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캔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포장용 문구 또는 디자인 2; 주석도금강판 3; 보디몸체부
10; 상판 11; 돌출부 12; 시밍커버부
12a; 공간부 13; 요홈 14; 손잡이부
15; 토출구 20; 하판 21; 돌부
22; 시밍커버부 22a; 공간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보디몸체부 양단을 커버하는 상하판으로 커버판에 의해 각각 시밍공정을 거쳐 결합되는 캔용기에 있어서,
상판 및 하판으로 되는 어느 하나의 커버판 표면으로 요홈을 갖는 돌출부를 다수 형성하고, 타 커버판에 상기 요홈과 대향되는 위치상에 돌부를 형성하여 보디몸체부 양단에 각각 결합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는바, 먼저 캔용기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커버판 즉 상판 및 하판과 보디몸체부의 제작공정을 별도로 하여 제작한 후 시밍공정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제조된다.
- 상,하판으로 되는 커버판 제조공정 -
본 공정은 보디몸체부(3)가 후술하는 각접기등의 공정에 의해 육면체로 형성되었을 때, 상기 보디몸체부(3) 상하단에 각각 취부 결합되며 요홈(13)을 갖는 돌출부(11) 및 그 요홈(13)에 삽입 결합되는 돌부(21)를 갖는 각각의 커버판 즉 상판(10) 및 하판(2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이다.
보디몸체부(3)의 양단부는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 개방된 상태에서 판넬링가공이 이루어진 후 보디각접기 공정을 거친 다음 커버판(10,20)을 각각 덮은 상태에서 시밍작업등에 의해 밀봉처리 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같은 가공공정을 거쳐 완성된 제품을 만들기 위한 필수공정으로 상하판으로 되는 커버판 제조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본 공정에 의해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바, 본 공정에서는 상판(10)에 요홈(13)을 갖는 돌출부(11)를 다수 형성하고 상기 요홈(13) 위치상으로 대응되는 돌부(21)를 갖는 하판(20)제조에 대하여 설명하며, 이와 달리 상판(10)에 돌부(21)를 형성하고 하판(20)으로 요홈(13)을 갖는 돌출부(11)를 형성하여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동일함은 물론이다.
먼저 보디몸체부(3) 양단을 커버 결합하기 위한 커버판 즉, 상판(10) 및 하판(20)의 규격으로 되는 주석도금강판(2)을 보디몸체부 (3)의 상하단에 각각 취부할 수 있을 규격으로 절단 가공하게 되는데, 이와같이 적정 규격으로 절단가공된 동일한 판넬을 상판(10)을 성형하기 위한 상판프레스금형틀(미도시)과 하판(20)을 성형하기 위한 하판프레스금형틀(미도시)로 되는 각각의 프레스금형틀에서 별도의 프레싱 가공공정을 거쳐 상판(10)과 하판(20)을 제조하게 된다.
상판(10) 및 하판(20)을 구성하기 위한 주석도금강판(2)을 원하는 소정 크기로 먼저 절단가공하게 되면, 상기 각각의 주석도금강판(2)을 각각의 프레스금형틀 로 도시하지 않은 공급레일을 따라 공급되어지게 되는데, 상판(10)으로 제조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소정크기로 절단된 주석도금강판(2)이 상판프레스금형틀로 진입되어지면,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지그등이 상기 진입된 주석도금강판(2)을 각각 취부, 고정한 상태에서 상판프레스금형틀의 프레싱 작용에 의해 원하는 상판(10)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판(10)은 도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상부측으로 다각형상을 갖는돌출부(11)가 복수개 돌출 성형되도록 프레싱하여서 되는 것으로, 상판(10)의 테두리부로부터 상방측으로 형성되는 시밍커버부(seaming of cover)(12)의 높이보다 약 3.2mm 정도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상판(10)의 상면으로부터 시밍커버부(12) 상단까지의 높이(h1)는 약 3mm~5mm 정도이고, 상판프레스금형틀(20)에 의해 프레싱되어 상판(10) 상면으로부터 돌출부(11)측의 전체 돌출높이(H)를 높이(h1)보다 더 돌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돌출부(11)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내측방으로 요홈(13)이 형성되도록 프레싱하여 후술하는 하판(20)의 돌부(21)가 내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성형되는 상판(10)의 중앙에는 미리 제조되는 손잡이부(14)를 시임용접등에 의해 융착 고정하고, 상판(10)의 어느 일측의 모서리부에 캔용기(100)에 충진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5)를 통상의 방법에 의해 가공처리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는 달리 하판(20)을 프레싱하기 위해 동일 크기로 미리 절단된 상태의 주석도금강판(2)의 판넬이 도시하지 않은 하판프레스금형틀로 이동 된 후 사면으로부터 작동되는 지그에 의해 고정 지지되면, 상하부금형의 작동에 의해 프레싱 가공하여 원하는 하판(20)을 얻게 된다.
이와같은 하판(20)은 각각의 실시예에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한 상판(10)의 돌출부(11) 내측으로 형성되는 요홈(13)과 대응되는 위치상에 돌부(21)가 형성되도록 프레싱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즉, 하나의 캔용기(100) 상판(10)으로 돌출부(11)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돌출부(11) 내측의 요홈(13)으로 내합될 수 있는 돌부(21)를 갖는 하판(20)을 각각 구비하여, 캔용기(100)의 다층 적재시, 타 캔용기(100')간의 상판 (10)및 하판(20) 각각의 돌출부(11) 및 요홈(13)과 돌부(21)가 각각 결합되어 다층 적재가 안정적이며 용이하게 적재, 적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판(10)과 하판(20)의 제조공정을 마치게 되면, 상판(10) 및 하판(20) 내측의 내주면으로 콤파운드등을 이용하여 기밀성 및 밀봉성을 제공하기 위한 라이닝 공정을 거치게 된다.
즉, 상기한 상판(10) 및 하판(20)은 제조 공정시 각각 소망하는 상판(10)의 돌출부(11) 및 요홈(13)과 하판(20)의 돌부(21)가 프레싱에 의해 제조된 후, 테두리부 즉 보디몸체부(3)의 양단부측에 끼워지며 가압 결합시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판(10)의 저면측 테두리부 및 하판(20)의 상면측 테두리부의 시밍커버부 (seaming of cover)(12,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vacant space)(12a,22a)에 컴파운드를 주입 시킨 후 미도시한 오븐등의 건조장치를 통과, 경화시켜 얻게 된다..
- 인쇄공정 -
본 공정은 각종 포장용 문구나 디자인(1)등을 주석도금강판(2)면에 인쇄하기 위한 공정으로, 주석도금강판(2)을 이용하여 그 표면층에 각종 광고용 디자인, 문구(2)등을 인쇄하는 공정이다.
- 인쇄된 주석도금강판을 적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공정 -
본 공정은 인쇄된 소정크기를 갖는 주석도금강판을 개개의 캔용기(100)로 제작하기 위한 소요면적을 갖는 적정크기로 블랭킹화하여 절단하기 위한 공정으로 도 1 에서 보는바와 같이 사각면체로 형성되기 전의 상하판이 없는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로 직사각형상을 갖도록 절단되어진다.
- 판넬링공정 -
한편 본 공정은 커버판으로 되는 상하판(10,20) 제조 공정과는 별도로 상기한 절단공정에 의해 캔용기(100)의 보디몸체부(3)가 전개된 주석도금강판(2)을 얻은 상태에서 보디몸체부(3) 각접기 공정 후 휘어짐 현상이나 굴곡 현상 및 응력의 불균일 분포에 따른 비틀림 현상등을 방지하기 위해 보디몸체부(3)에 일정 형상을 제공하기 위한 공정이다.
- 보디각접기 공정 및 용접가공 -
본 공정은 상기한 판넬링공정을 거친 보디몸체부(3)로 되는 판넬을 용접하기 위해 사각면체로 형성하기 위한 공정으로, 통상의 장치를 이용하여 직사각형상의 보디몸체부(3)를 순차적으로 직각을 이루며 접는 방식으로 롤링하여 원하는 사각면체를 얻는다.
이와같이 보디각접기 공정에 의해 원하는 사각면체를 얻은 상태의 보디몸체부(3)의 이음매 부위를 통상의 동선을 이용한 전기용접등의 방법에 의해 용접하여캔용기(100)의 형상을 이루는 사각면체를 얻는다.
- 후렌지공정 -
본 공정은, 보디몸체부(3)의 양단부를 각각 상기한 상판(10)과 하판(20)을 고정하기 위한 시밍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략 3.2mm 벌려주기 위한 공정이다.
- 시밍공정 -
본 공정은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공정을 거쳐 얻게 되는 보디몸체부(3)의 양단부측을 커버링하여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상판(10) 및 하판(20)을 각각 융착, 고정하기 위한 공정으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보디몸체부(3)의 양단부측이 절곡되고 그 절곡된 부위가 상판(10) 또는 하판(20)의 시밍커버부(12,22) 내측으로 위치되며 이중권체로 결합 되어지는 과정을 거쳐 보디몸체부(3)와 상판(10) 및 하판 (20)간의 기밀성 및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 테스트공정 -
본 공정은 완성된 캔용기(100)의 토출구(15)를 에어컴프레샤 주입구(미도시)등으로 강제 밀폐시킨 상태에서 캔용기(100) 내부로 공기를 일정압력(P)으로 불어넣은 후 일정시간(T초) 유지하여 이음매 부위나 상하판(10,20) 결합 부위등 취약지점으로부터 공기가 새어나가는 현상을 체크하여 불량제품을 걸러내기 위한 공정이다.
- 포장 및 적재공정 -
본 공정은 상기한 테스트공정을 거쳐 통과되어 합격된 완제품을 적정개수로 묶어 포장하기 위한 공정이고, 이와같이 포장된 단위를 다수층 다수열 적재, 적층하여 출고시까지 보관하기 위한 트레이 적재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하 캔용기의 제조시,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되는 커버판 즉, 상판(10) 및 하판(20)을 이용하여 캔용기를 제조하는 각각의 실시예를 나누어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소정크기의 커버판을 상판프레스금형틀에 진입시켜 통상의 다수 지그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싱하면 캔용기의 상판(10)을 얻을 수 있는데, 상판(10) 모서리부 일측과, 이와 대향되는 타측의 모서리부에 각각 요홈(13)을 갖는 돌출부(11)가 형성되어진다.
도면상, 돌출부(11)의 형상은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삼각형상의 돌출부(11) 내측으로 다시 삼각형상의 요홈(13)이 형성되어지는 구성을 갖는다.(도 3a 참조)
그런다음, 하판(20)으로 성형되기 위한 커버판이 하판프레스금형틀로 진입된 후 프레싱되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한 상판 (10)의 돌출부(11) 요홈(13)에 내합되기 위한 돌부(21)가 성형되어진다.(도 3b 참조)
이와같이 되는 상판(10)과 하판(20)을 시밍공정에 의해 캔용기(100)의 보디몸체부(3)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져 완성된 제품을 얻을 수 있으며, 이와같이 하여 얻은 캔용기(100)가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의 캔용기(100)에 의해 다수층으로 캔용기(100,100')를 적재, 적층하는 것을 도시한 도 3d 에서 보듯이, 아래에 위치되는 캔용기(100) 상판(10)의 요홈(13) 내부로 상방에 위치되는 타 캔용기(100') 하판(20)의 돌부(21)가 내합되어지고, 이와같은 결합이 상판(10) 양측의 각 모서리부에서 이루어지므로 안정된 상태로 상하단 각각의 캔용기(100,100')가 교호되는 상하판(10,20)의 결합에 의해 적재, 적층될 수 있는 것이다.
(제2실시예)
한편 제1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판(10)과 하판(20)을 각각 프레싱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는 각각의 상판(10) 및 하판(20)의 성형프레싱 공정에 따른 설명은 생략하며 그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4a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판(10)의 돌출부(11a)는 사각형상의 상판(10) 각각의 변에 위치되는 삼각형상으로 각각 성형되도록 프레싱하고, 그 돌출부(11a) 내측으로 원형상의 원형홈(13a)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이와 대응되는 하판(20)으로는 도 4b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1a)의 원형홈(13a)으로 내합되기 위한 원형돌부(21a)를 갖는 하판(20)을 성형하여 하나의 완전한 캔용기(10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같이 제조된 캔용기는 도 4c에서 보는바와 같으며, 이를 이용하여 다층으로 적재, 적층한 단면도가 도 4d이다.
(제3실시예)
한편 본 실시예는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캔용기(100) 상판(10)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b)의 형상을 사각형상의 상판(10) 변위치에 각각 원형돌출부(11b)가 형성됨과 동시에 원형돌출부(11b) 내측으로 원형상의 원형홈(13b)이 형성되도록 상판프레스금형틀에 의해 성형 제조하고, 이와 대응되는 하판(20) 각각의 변의 위치에 상기 원형홈(13b)에 내합될 수 있는 원형돌부(21b)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판프레스금형틀에 의해 성형하여 캔용기(100)의 보디몸체부(3) 양단 각각에 취부하여 시밍공정 처리한다.
이와 같이하여 도 5c에서 보는바와 같은 캔용기(100)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적재 적층한 상태의 단면도가 도 5d에서 보는바와 같다.
(제4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 보는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되는 상판(10)의 각 변 위치에 일측이 개방된 상태의 삼각형 모양을 갖는 갈매기형상 또는 부메랑 형상의 돌출부(11c)를 각각 대향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내측에 일측방으로 개방되는 결합홈(13c)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판(20)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1c)와 대응되는 위치상으로 상기 결합홈(13c)에 내합되기 위한 삼각형 형상의 삼각돌부(21c)가 돌출되도록 성형 한다.
이와같이 성형된 상판(10) 및 하판(20)으로 캔용기(100) 보디몸체부(3)의 양단부 각각으로 결합 취부되면 도 6c에서와 같은 캔용기(100)를 얻을 수 있으며, 이와같이 제조된 캔용기(100)를 다층으로 적재, 적층하게 되면 도 6d에서와 같이 위쪽에 위치되는 캔용기(100')의 하판(20)으로 돌출된 삼각돌부(21c)가 그 아래에 위치되는 타 캔용기(100)의 상판(10)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c) 내측으로 형성된 결합홈(13c)에 내합되어 견고하며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적재 적층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제5실시예)
한편 본 실시예는 도 7에서 보는바와 같이 캔용기(100)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상판(10)의 각 변위치에 직사각형 형상의 돌출부(11d)가 평행한 상태의 1조의 돌출부(11d)로 형성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이격홈(13d)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는바, 이와 동일한 돌출부(11d)가 상판(10) 각변의 위치상에 각변마다 대향되도록 상판프레스금형틀에 의해 성형한다.
한편 상기 상판(10)의 이격홈(13d)과 대응되는 하판(20)의 위치상에 각각 직사각형상의 돌부(21d)가 돌출되도록 하판프레스금형틀에 의해 성형되도록 하고, 상기의 공정에 의해 얻은 상판(10)과 하판(20)을 각각 캔용기(100) 보디몸체부(3)의양단부에 취부 결합하여 시밍작업을 완료하게 되면, 도 7c에서와 같은 완성된 캔용기(100)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은 캔용기를 다층, 적재 적층하게 되면 도 7d에서와 같이 상방으로 위치되는 캔용기(100')의 하판(20)으로 돌출된 돌부(21d)가 그 아래에 위치되는 타 캔용기(100) 상판(10)으로 평행하게 돌출된 돌출부(11)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이격홈(13d)에 끼워지는 형상을 갖으며 결합 적층 적재되는 것이다.
(제 6 실시예)
본 실시예는 상기한 각각의 실시예에 의해 실시되는 상판(10) 및 하판(20)의 프레싱 성형시 첨부한 도면 도 8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판(10) 및 하판(20)으로 각각 돌출되는 돌출부(11)와 돌부(21)의 표면층에 엠보싱처리(a)하거나 또는 요철부(b)를 형성하거나, 거친표면층을 갖도록 너어링부(c)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되는 상판(10) 및 하판(20)을 이용한 캔용기(100,100')의 적재, 적층시 상방측에 위치되는 캔용기(100')의 하판(20) 하단으로 돌출되는 돌부(21)의 표면층과 그 캔용기(100')의 아래에 위치되는 타 캔용기(100)의 상판(10)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1) 표면층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즉 각 표면층에 형성되어 있는 엠보싱(a), 요철부(b) 및 거친표면층을 갖도록 하는 너어링부(c)의 마찰력에 의해 더욱 공고하며 안정적인 캔용기의 적재 현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방측 캔용기(100')의 돌부(21)의 표면층은 하방측 캔용기(100)의 돌출부(11) 내측에 형성된 요홈(13)으로 삽입되어 상판(10)의 표면과 당접, 마찰되는 현상을 유지하고, 하방측 캔용기(100)의 상판(10)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의 표면층은 그 상방의 캔용기(100') 하판(20)의 저면부 표면과 당접, 마찰되는 현상을 갖게 되어 상호 마찰력에 의해 적재, 적층된 다수의 캔용기가 더욱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상판(10)에 요홈(13)을 갖는 돌출부 (11)를 다수 형성하고 하판(20)에 상기 요홈(13)과 대응되는 돌부(21)를 다수 형성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판(10)에 돌부(21)를 다수 형성함과 동시에 하판(20)에 요홈(13)을 갖는 돌출부(11)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충진,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 캔용기 복수층으로 적재, 적층할 때 각각의 커버판 즉 상판 및 하판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요홈 및 돌부간의 결합에 의해 안정적 적층 적재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안정적 적재 적층이 가능함에 따라 가벼운 충격력등에 의해 종래와 같이 무너지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어 안정적 적재성이 용이하여 종래와 같이 다층 적재후 별도로 캔용기의 각 층마다 테이프등으로 그 외주면을 에워싸는 작업이 필요없으므로 인건비의 대폭적인 절감 및 그로인한 전체적 생산공정및 생산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비교적 협소한 장소에서도 그 캔용기를 안정성있게 고층으로 적재,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장소의 효율적 사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캔용기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 포장되어 할인매장이나 백화점 등의 대량 소비구매가 가능한 장소에 다층 적재되더라도 캔용기 상판 및 타 캔용기의 하판 상호간의 교호적 결합에 의해 적층 적재된 상태의 상당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적층된 캔용기등이 넘어지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이에 따른 사고발생시 캔용기내 내용물의 유출에 따른 제품의 훼손등을 방지할 수 있는 상당히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7)

  1. 보디몸체부 양단을 커버하는 상하판으로 커버판에 의해 각각 시밍공정을 거쳐 결합되는 캔용기에 있어서,
    상판 및 하판으로 되는 어느 하나의 커버판 표면으로 요홈을 갖는 돌출부를 다수 형성하고, 타 커버판에 상기 요홈과 대향되는 위치상에 돌부를 형성하여 보디몸체부 양단에 각각 결합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측 커버판의 돌출부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삼각형상의 요홈이 형성되는 것과, 요홈내에 삽입될 수 있는 삼각형상의 돌부가 타측 커버판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어느 일측 커버판으로 내측에 원형홈을 갖는 삼각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홈내에 삽입되는 원형돌부가 타측 커버판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어느 일측 커버판으로 내측에 원형홈을 갖는 원형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홈내에 삽입되는 원형돌부가 타측 커버판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어느 일측 커버판으로 내측에 일측방 개방되는 결합홈을 형성하며 갈매기 또는 부메랑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기 위한 삼각돌부가 타측 커버판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어느 일측 커버판 내측으로 이격홈을 갖으며 평행한 직사각형상으로 돌출되는 한조의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격홈에 삽입되기 위한 직사각형상의 돌부가 타측 커버판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또는 돌부의 표면층에 엠보싱, 요철부, 너어링부 중 어느 하나의 가공에 의해 거친 표면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KR2020010038328U 2001-12-12 2001-12-12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KR200270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328U KR200270646Y1 (ko) 2001-12-12 2001-12-12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328U KR200270646Y1 (ko) 2001-12-12 2001-12-12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368A Division KR100429705B1 (ko) 2001-08-29 2001-08-29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646Y1 true KR200270646Y1 (ko) 2002-04-03

Family

ID=7307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328U KR200270646Y1 (ko) 2001-12-12 2001-12-12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64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91743A1 (en) * 2006-02-07 2007-08-16 Sun Bong Mun The can-receptacle possibility carrying plural stratum structure
KR101657009B1 (ko) 2015-08-28 2016-09-13 이주만 원형 또는 타원 용기의 자동화 적재 시스템장치 및 그 적재 방법
KR20200072348A (ko) * 2018-12-12 2020-06-22 (주)에니펄인터내셔널 직렬 또는 병렬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음료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91743A1 (en) * 2006-02-07 2007-08-16 Sun Bong Mun The can-receptacle possibility carrying plural stratum structure
KR101657009B1 (ko) 2015-08-28 2016-09-13 이주만 원형 또는 타원 용기의 자동화 적재 시스템장치 및 그 적재 방법
KR20200072348A (ko) * 2018-12-12 2020-06-22 (주)에니펄인터내셔널 직렬 또는 병렬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음료 용기
KR102220212B1 (ko) * 2018-12-12 2021-02-25 (주)에니펄인터내셔널 직렬 또는 병렬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음료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739B1 (ko) 각형 넥킹 캔용기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04239442A (ja) 薄板材からなるケース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EP0781240B1 (en) Minimal shipping contain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EP2810896B1 (en) Funne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packaging container using funnel component
KR200270646Y1 (ko)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JP2015030246A (ja) 包装用箱の製造方法
CN1329252C (zh) 瓦楞纸板货盘及其制造方法
US10974886B2 (en) Air-sealed bag with enhanced side and corner protection
CN105636872A (zh) 用于制造外包装单元的坯料、方法和包装系统
KR100429705B1 (ko)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JP6238753B2 (ja) 段ボール箱
US6094884A (en) Forming apparatus for an elevated bottom carton
JP5990873B2 (ja) 紙容器用ブランクと紙容器の製造方法
JP3648951B2 (ja) 紙製トレー状容器の組立方法及び紙製トレー状容器の製造装置
JP4954618B2 (ja) コーナー補強用底パットと該パットを使用した梱包ケース
JP2012229061A (ja) 飲料の包装箱
JP2011189973A (ja) 包装箱
CN215044604U (zh) 一种单元化的重型托盘包装箱
JP3048955U (ja) 包装箱
KR101008657B1 (ko) 엔드부가 프레스 시이밍되는 금속 캔 및 이의 성형방법
CN211168132U (zh) 复合包装材料、包装片材组和密封包装组
EP1064146B1 (en) A forming apparatus for an elevated bottom carton
JP2013082479A (ja) ラップラウンドケース
CN210028290U (zh) 一种支架式白板一体式包装结构
JP2008207495A (ja) 包装箱組み立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