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577Y1 - 먼지 덮개 장치 - Google Patents

먼지 덮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577Y1
KR200270577Y1 KR2020010039923U KR20010039923U KR200270577Y1 KR 200270577 Y1 KR200270577 Y1 KR 200270577Y1 KR 2020010039923 U KR2020010039923 U KR 2020010039923U KR 20010039923 U KR20010039923 U KR 20010039923U KR 200270577 Y1 KR200270577 Y1 KR 200270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product
dust
main body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연래
Original Assignee
임연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연래 filed Critical 임연래
Priority to KR2020010039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5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577Y1/ko

Link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 높이를 갖는 제품의 상면부 상에 쌓이는 먼지를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착탈가능 먼지 덮개 수단을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제품의 상면부가 제품이 배치되는 바닥면 또는 상기 하면부로부터 일정 이상의 높이를 갖는 전기 제품 또는 가구 제품에 있어서, 상면부 상에 착탈가능 먼지 덮개 수단을 포함하도록 하여 제품의 상면부 상으로의 먼지 유입을 차단하면서 먼지 덮개 수단을 탈착하여 먼지 덮개 수단 상의 먼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먼지 덮개 장치{DUST COVER}
본 고안은 전기 제품 또는 가구류 등의 먼지 덮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 에어컨, 자동 판매기, 장롱, 책장, 캐비넷, 부엌의 싱크대 상에 배치된 수납장 등의 상부에 쌓인 먼지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착탈가능 먼지 덮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제품, 또는 가구 제품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일회용의 용도가 아닌 시간을 두고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여러 제품의 경우에 있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러워지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먼지를 제거하는 등의 청소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청소 작업을 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전기 제품 또는 가구 제품의 전체 외관을 청소하는 것이 기본적이다. 소형 규모의 전기 제품 또는 가구 제품의 경우에서는 이러한 제품에 쌓인 먼지를 전체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만, 규모가 크거나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품의 경우에 있어서는 제품의 전체 외관을 청소하기 보다는 시각적으로 보이는 제품의 외관에 대해서만 먼지를 제거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보이지 않는 외관의 부분, 특히 제품의 상면부의 경우에 있어서는 먼지가 계속적으로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쌓인 먼지에 대해서 청소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가정에서의 냉장고 또는 가구의 경우 이러한 제품을 운반해야 하는 이사하는 경우에만 청소하거나, 때때로 청소 작업을 하는 경우에서도, 제품의 상부면 범위가 크다든지 건물의 천정과 제품의 상부면 사이의 공간이 좁은 경우에는 의자 또는 사다리와 같은 보조 도구를 사용하여 불편한 자세에서 청소해야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전체 상부면을 제대로 청소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부엌에서의 싱크대 상의 수납장의 상면부는 거의 천정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있기 때문에, 상면부 상을 전혀 청소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가정, 건물 및 공공 장소 등에서 사람의 손이 쉽게 닿지 않거나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높이의 상부면을 갖는 전기 제품 또는 가구 제품의 예로서, 장롱, 책장, 캐비넷, 수납장, 냉장고, 에어컨, 자동 판매기 등과 같이 비교적 큰 규모의 공간이 필요한 제품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제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품의 상부면 상에 공기중에 부유하는 먼지들이 수북히 쌓이게 된다. 이들 제품들은 또한 그 규모가 점차적으로 대형화되는 추세에 따라, 제품의 상면부부의 높이 및 넓이 또한 점차적으로 높아지거나 넓어지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장롱(100) 및 냉장고(200)의 일례의 구조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a의 장롱(100)은 기본적으로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부(110), 하면부(120) 및 상면부(130)의 구조를 갖는다. 도 1b의 냉장고(200) 또한 냉장 공간과 냉동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부(210), 하면부(220) 및 상면부(230)의 구조를 갖는다. 이들 제품들에 있어서, 본체부는 당해 제품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을 포함하고, 상면부와 하면부는 기본적으로 본체부를 지지 및 고정하도록 일체로 체결된 구조를 가지며, 특히 상면부는 본체부를 커버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다. 상면부에 먼지가 쌓이게 됨에 따라, 냉장고와 장롱이 배치된 공간 상의 환경의 오염을 초래하여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먼지들이 인체의 호흡기를 통해 인체 내로 유입되어 질병을 유발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특히, 위생이 철저히 지켜져야 하는 가정 또는 부엌, 음식점 등에서의 냉장고 또는 싱크대 상의 수납장의 경우 상부가 오염됨에 따라 음식물의 요리시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각종 벌레가 용이하게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되므로, 이러한 먼지의 제거는필수적이다.
이러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종래의 경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의자 또는 사다리와 같은 보조 수단을 이용하지만 의자위에 선 채로 청소해야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제품의 상면부에 신문지와 같은 종이류를 덮기도 하지만 외관상의 문제 또는 먼지가 쌓인 신문지를 주기적으로 교체 및 배치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또한, 냉장고의 경우 덮개 천을 이용하여 그 상면부를 덮지만 그 또한 좋은 대안은 되지 못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먼지가 쌓이는 제품의 상면부를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착탈가능 먼지 덮개 수단을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제품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고정 체결된 하면부, 및 상기 본체부를 덮는 상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품의 상면부는 상기 제품이 배치되는 바닥면 또는 상기 하면부로부터 1m 50cm 이상의 높이를 갖는 전기 제품 또는 가구 제품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본체부와 고정 체결되어 상기 본체부를 덮는 제1 상면부, 및 상기 제1 상면부와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제1 상면부 상에 형성되어 제1 상면부 상으로의 먼지 유입을 차단하는 제2 상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품에 있어서, 제2 상면부의 두께는 상기 제1 상면부의 두께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면부상에 코팅층이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면부와 상기 제2 상면부는 착탈 보조 수단을 통해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면부는 먼지 집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장롱(100) 및 냉장고(200)의 일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본 고안의 착탈가능 먼지 덮개 수단(130b)이 구비된 장롱 상면부(13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 및 2c는 상면부와 먼지 덮개 수단의 착탈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본체부
120 : 하면부
130, 130a : 상면부
130b : 먼지 덮개 수단
본 고안에서 제안되는 상면부를 포함하는 제품에 있어서, 배치되는 상면부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상면부의 청소가 용이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적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제안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상면부를 포함하는 전기 제품 또는 가구 제품의 경우 상면부의 높이 또는 넓이가 사람이 직접적으로 청소하기에 용이한가의 기준이 먼저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전기 제품 또는 가구 제품의 상면부의 높이의 기준을, 제품의 상면부가 제품이 배치될 바닥면 또는 제품의 하면부를 기준으로 1m 50cm 이상의 높이를 갖는 제품을 기준으로 한다. 이는 청소하는데 있어서 적어도 문제가 없이 청소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초등학생 6학년 정도의 평균 신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2001년도 경기도 내 초등학교 6학년 평균 신장의 조사 결과 약 150cm 가량이라는 조사 보고서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도 배치될 제품 상면부의 높이 기준을 1m 50cm 이상인 전기 제품 및 가구 제품에 대해 적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착탈가능 먼지 덮개 수단(130b)이 구비된 장롱 상면부(13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의 장롱 상면부(130)는 장롱 본체부(110)와 일체로 고정된 제1 상면부(130a) 및 제1 상면부(130a) 상에 형성되고 제1 상면부(130a)와 착탈가능한 제2 상면부, 즉 먼지 덮개 수단을 포함한다. 도 2a에서는 제1 상면부(130a) 상에 다수의 착탈공(130a')이 형성되고 제2 상면부(130b)는 제1 상면부(130a)의 착탈공(130a')에 대응하는 형상의 착탈 수단(13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면부(130a)의 네 모서리 부분의 소정 영역에 착탈공을 형성하고, 착탈공과 동일한 형상의 돌출된 착탈 수단을 포함하는 제2 상면부(130b)를 제1 상면부의 착탈공에 끼워 착탈하거나, 제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면부와 제2 상면부가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제1 상면부를 삽입할 수 있는 착탈 보조 수단(140)을 포함하는 구조가 제안된다.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면부(130a)와 제2 상면부(130b)의 착탈 구조를 갖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착탈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면부와 제2 상면부는 외관상 일체감을 주기 위해 동일 재질 및 동일 디자인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상면부 상의 먼지의 용이한 청소를 위해서는, 제2 상면부의 무게가 가벼운 재질을 쓰거나 제1 상면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하여 착탈하기가 수월하도록 한다. 또한, 먼지의 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2 상면부는 가구의 표면 또는 냉장고의 표면을 다양한 안료를 사용하여 코팅하여 매끄럽게 한 것과 같이 제2 상면부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거나, 예를 들어 표면이 매끄러운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상면부 상의 소정 영역에 먼지 집진판을 형성하거나, 제2 상면부를 먼지 집진판의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실내에서의 먼지가 보다 많이 집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먼지 집진 장치는 집진판과 방전판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전압 공급 장치의 전압을 이용한 코로나(Corona) 방전을 통해 전계를 형성하여 먼지를 포함하는 중성입자를 (+) 및 (-)로 대전시켜 정전력(Electrostatic Force)에 의해 집진판 및 방전판으로 이동 포집하는 장치이다. 본 고안의 착탈가능 제2 상면부 또한 먼지 집진 장치의 원리를 이용한 집진판 및 방전판의 구조로 형성하고 전압 공급 장치를 통해, 실내의 부유하는 먼지가 많은 경우에, 선택적으로 집진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착탈가능 먼지 덮개 수단을 포함하는 제품에 따르면, 먼지가 쌓이는 제품의 상면부를 착탈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보다 보다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이 배치된 공간의 위생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게는 본 고안을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설명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제한되고 청구범위 내에 해당하는 모든 수정 및 등가물들이 본 고안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Claims (3)

  1. 제품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고정 체결된 하면부, 및 상기 본체부를 덮는 상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품의 상면부는 상기 제품이 배치되는 바닥면 또는 상기 하면부로부터 1m 50cm 이상의 높이를 갖는 전기 제품 또는 가구 제품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본체부와 고정 체결되어 상기 본체부를 덮는 제1 상면부, 및
    상기 제1 상면부와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제1 상면부 상에 형성되어 제1 상면부 상으로의 먼지 유입을 차단하는 제2 상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면부와 상기 제2 상면부는 착탈 보조 수단을 통해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면부는 먼지 집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KR2020010039923U 2001-12-24 2001-12-24 먼지 덮개 장치 KR200270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923U KR200270577Y1 (ko) 2001-12-24 2001-12-24 먼지 덮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923U KR200270577Y1 (ko) 2001-12-24 2001-12-24 먼지 덮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577Y1 true KR200270577Y1 (ko) 2002-04-12

Family

ID=7311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923U KR200270577Y1 (ko) 2001-12-24 2001-12-24 먼지 덮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5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58546A1 (en) Cloth rail
US20230116591A1 (en) Improved floor mat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6253395B1 (en) Splash guard
EP1681005A1 (en) Cleaning device and method
KR200270577Y1 (ko) 먼지 덮개 장치
US7247794B1 (en) Drip-proof switch cover
JP2003313913A (ja) 排水口用の目隠し皿
JP6850409B2 (ja) 空気清浄機
JPH073464U (ja) 浴 室
KR101543650B1 (ko) 가정용 매트
KR200321248Y1 (ko) 싱크대의 설치구조
KR200341096Y1 (ko) 청소용구함
CN209899214U (zh) 一种脸盆及拖鞋收纳架
CN213931038U (zh) 一种灶台柜
JP5473488B2 (ja) ゴミ捕集用の網かご
CN208088430U (zh) 一种电解盆结构
KR100536137B1 (ko) 교체 사용이 용이한 청소기
KR200283458Y1 (ko) 물받이가 설치된 청소 도구함
JP2019135419A (ja) レンジフード
JP3062243B2 (ja) 厨房設備
JP3063591U (ja) 髪の毛、塩、小麦粉他粒子のゴミを簡単に掃除する。スポンジ
JPS6319000Y2 (ko)
JPH0138082Y2 (ko)
KR200283638Y1 (ko) 청소도구 함
JPS6026690Y2 (ja) カ−ペッ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