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506Y1 - 포장용 고무·비닐·종이봉투 출입구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용 고무·비닐·종이봉투 출입구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506Y1
KR200270506Y1 KR2020020001931U KR20020001931U KR200270506Y1 KR 200270506 Y1 KR200270506 Y1 KR 200270506Y1 KR 2020020001931 U KR2020020001931 U KR 2020020001931U KR 20020001931 U KR20020001931 U KR 20020001931U KR 200270506 Y1 KR200270506 Y1 KR 200270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ubber
nut cap
handl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하령
Original Assignee
박하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하령 filed Critical 박하령
Priority to KR2020020001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5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5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mean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무·비닐봉투의 출입구 마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고무·비닐봉투에 물건을 넣고 냄새의 방출을 차단하고,
또한, 물이 들어가지 않게 밀봉할 수 있게 할 수단으로 관통된 통공 볼트관과 통공 볼트관을 수용하는 너트캡을 형성하고,
볼트관과 너트캡의 일측부에 손잡이줄걸이공을 형성하고,
손잡이줄걸이공에 손잡이가 착설되어 볼트관과 너트캡을 나사 결합하는 기능의 고안으로 사용시 들거나 또한 걸어 놓을 수 있는 기능의 고무·비닐봉투의 출입구를 밀봉할 수 있는 마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선행기술로써 본 출원인이 출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211489호가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선행기술는 고무·비닐봉지의 출입구 일측부를 합취(合聚)하여 관통될 수 있는 플렌지가 있는 연통형 통공 볼트관과,
통공 볼트관의 통공의 플렌지 쪽에서 끝단 쪽으로 봉지 출입구의 일측부를 합취(合聚)하여 관통시킨 다음 합취(合聚)된 출입구를 통공 볼트관의 원호상태로 확장하여 봉투 출입구 외측면이 통공 볼트관과 접촉되게 통공 볼트관의 외향 원주면을 감싸 덮는 다음 압축고무가 내설되고 플렌지가 형성되고, 통공 볼트관과 나사결합할 수 있는 형태의 너트캡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손잡이를착설할 수 있는 구성이 형성되지 않음으로 하여 사용시 그 불편함의 해결책이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통공 볼트관과, 나사결합할 수 있는 형태의 너트캡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 볼트관과 너트캡의 일측부에 손잡이줄걸이공을 형성하여 손잡이줄걸이공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사용시 용이하게 들거나, 걸어놓을수 있는 고무·비닐봉투의 출입구 마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장용 고무·비닐·종이봉투 출입구 밀봉장치{omitted}
본 고안은 고무·비닐봉투의 출입구 마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고무·비닐봉투에 물건을 넣고 냄새의 방출을 차단하고, 또한, 물이 들어가지 않게 밀봉할 수 있게 할 수단으로 관통된 통공 볼트관과 통공 볼트관을 수용하는 너트캡을 형성하고,
통공 볼트관과 너트캡의 일측부에 손잡이줄걸이공을 형성하고,
손잡이줄걸이공에 손잡이가 착설되어 통공 볼트관과 너트캡을 나사 결합하는 기능의 고안으로 사용시 들거나, 걸어 놓을 수 있는 기능의 고무·비닐봉투의 출입구 마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선행기술로써 본 출원인이 출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211489호가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선행기술는 고무·비닐봉지의 출입구 일측부를 합취(合聚)하여 관통될 수 있는 플렌지가 있는 연통형 통공 볼트관과,
통공 볼트관 통공의 플렌지쪽에서 끝단 쪽으로 봉지 출입구의 일측부를 합취(合聚)하여 관통시킨 다음 합취(合聚)된 출입구를 통공 볼트관의 원호상태로 확장하여 봉투 출입구 외측면이 통공 볼트관과 접촉되게 통공 볼트관의 외향 원주면을 감싸 덮는 다음 압축고무가 내설되고 플렌지가 형성되고, 통공 볼트관과 나사결합할 수 있는 형태의 너트캡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손잡이를 착설할 수 있는 구성이 형성되지 않음으로 하여 사용시 그 불편함의 해결책이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통공 볼트관과 나사결합할 수 있는 형태의 너트캡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 볼트관과 너트캡의 일측부에 손잡이줄걸이공을 형성하여 손잡이줄걸이공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사용시 용이하게 들거나, 걸어놓을수 있는 고무·비닐봉투의 출입구 마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봉지 출입구의 일측부를 합취(合聚)하여 관통될 수 있는 연통형 통공 볼트관과, 통공 볼트관 통공의 플렌지쪽에서 끝단 쪽으로 봉지 출입구의 일측부를 합취(合聚)하여 관통시킨 다음 합취(合聚)된 출입구를 통공 볼트관의 원호상태로 확장하여 봉투 출입구 외측면이 통공 볼트관과 접촉되게 통공 볼트관의 외향 원주면을 감싸 덮는 다음 압축고무가 내설되고 플렌지가 형성된 통공 볼트관과 나사 결합할 수 있는 형태의 너트캡을 형성하고,
통공 볼트관의 일측부와 너트캡의 일측부에 관통된 손잡이줄걸이공을 형성하고,
손잡이줄걸이공에 손잡이줄이 착설되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너트캡.
3, 통공볼트관.
4, 봉지출입구 내측면.
5, 봉지출입구 외측면.
6, 통공.
7, 압축고무.
8, 8', 플렌지.
9, 끝단.
10, 봉투본체.
100, 손잡이줄 걸이공.
101, 손잡이줄.
이하,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고무·비닐봉투의 출입구 마개장치는 압축고무(7)가 내설되고 플렌지(8')가 형성된 통공 볼트관(3)과 나사 결합할 수 있는 형태의 너트캡(2)을 형성하고,
통공 볼트관(3)의 일측부와 너트캡(2)의 일측부에 관통된 손잡이줄걸이공(100)을 형성하고,
손잡이줄걸이공(100)에 손잡이줄(101)이 착설되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부에 손잡이줄걸이공(100)이 형성된 연통형 통공 볼트관(3)을 형성하고,
일측부에 손잡이줄걸이공(100)이 형성된 너트캡(2)을 형성하여,
너트캡(2)의 내측부에 소정의 압축고무(7)가 내설되어,
봉지 출입구의 일측부를 합취(合聚)하여 통공 볼트관(3) 통공(6)의 플렌지(8') 쪽에서 끝단(9) 쪽으로 봉지 출입구의 일측부를 합취(合聚)하여 관통시킨 다음 통공 볼트관(3)를 통과한 합취(合聚)된 봉투 출입구 일측부를 통공볼트관(3)의 원호상태로 확장하여 봉투 출입구 외측면(5)이 통공 볼트관(3)과 접촉되게 통공 볼트관(3)의 외향 원주면을 감싸 덮는 다음 너트캡(2)을 봉투출입구 외측면(5)이 외향 원주면을 덮어진 상태의 통공 볼트관(3)과 나사 결합할 수 있게 형성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캡(2)의 통공 볼트관(3)이 수용되는 내부에 압축고무(7)를 내설하여 봉투 출입구와 너트캡(2)과 통공 볼트관(3)이 최대한 압착될 수 있게 형성한다.
한편, 본 고안 너트캡(2)과 통공 볼트관(3)을 나사 결합 하였을때 소정의 유격 상태가 유지되게 형성함이 바람직 하다.
즉' 사용 예측되는 봉투의 두께를 고려하여 너트캡(2)과 통공 볼트관(3)과의 소정 나사 결합 유격 상태를 유지되게 형성하므로서 방수 효과와 냄새의 방출을 차단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너트캡(2)과 통공 볼트관(3)을 나사 결합 하였을때 소정의 유격 상태가 유지되게 형성 하므로서 너트캡(2)과 통공볼트관(3)을 나사 결합 하였을때 접촉되는 통공 볼트관(3)의 외측면에 덮어져 있는 봉투 출입구의 접촉면이 파손 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와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지 출입구의 일측부를 합취(合聚)하여 플렌지(8')가 있는 통공 볼트관(3) 통공(6)의 플렌지(8') 쪽에서 끝단(9) 쪽으로봉지 출입구의 일측부를 합취(合聚)하여 관통시키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공 볼트관(3)를 통과한 합취(合聚)된 봉투 출입구 일측부를 통공 볼트관(3)의 원호상태로 확장하여 봉투 출입구 외측면(5)이 통공 볼트관(3)과 접촉되게 통공 볼트관(3)의 외향 원주면을 감싸 덮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캡(2)을 봉투 출입구 외측면(5)이 외향 원주면을 덮어진 상태의 통공 볼트관(3)과 나사 결합한다.
이때 통공 볼트관(3)의 나사산·나사홈과, 너트캡(2)의 암나사와, 통공 볼트관(3)의 나사산·나사홈과 너트캡(2)의 암나사와의 사이에 있는 봉투 출입구의 일측부가 밀착되고, 너트캡(2)의 내부 공간에 장착된 압축고무(7)가 압축되고,
통공 볼트관(3)의 일측부와 너트캡(2)의 일측부에 형성된 손잡이줄걸이공(100)에서 용도에 알맞은 곳을 선택하여 손잡이(101)가 착설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일상에서 흔하게 사용 하는 고무봉투나 비닐봉투의 출입구를 밀봉하는데 안전하고 용이 하게 사용 할수 있으며, 수중 상태에 보관해야 되는 용도의 봉투 출입구의 밀봉장치 기구로,
또한 냄새의 방출을 차단해야 하는 용도의 봉투 출입구의 밀봉장치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사용할수 있으며,
손잡이줄걸이공에 손잡이가 착설되어 들거나 걸어 놓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연통형 통공 볼트관(3)과 너트캡(2)을 형성하여 봉지 출입구의 일측부를 합취(合聚)하여 통공 볼트관(3)를 통과한 합취(合聚)된 봉투 출입구 일측부를 통공 볼트관(3)의 원호상태로 확장하여 봉투 출입구 외측면(5)이 통공 볼트관(3)과 접촉되게 통공 볼트관(3)의 외향 원주면을 감싸 덮는 다음 너트캡(2)을 봉투 출입구 외측면(5)이 외향 원주면을 덮어진 상태의 통공 볼트관(3)과 나사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비닐봉투 출입구마개 장치에 있어서,
    통공 볼트관(3)과 너트캡(2)의 일측부에 손잡이줄걸이공(100)가 형성되고, 손잡이줄걸이공(100)에 손잡이(101)가 착설되어 들거나 걸어 놓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고무·비닐·종이봉투 출입구 밀봉장치
KR2020020001931U 2002-01-17 2002-01-17 포장용 고무·비닐·종이봉투 출입구 밀봉장치 KR200270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931U KR200270506Y1 (ko) 2002-01-17 2002-01-17 포장용 고무·비닐·종이봉투 출입구 밀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931U KR200270506Y1 (ko) 2002-01-17 2002-01-17 포장용 고무·비닐·종이봉투 출입구 밀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506Y1 true KR200270506Y1 (ko) 2002-04-03

Family

ID=73072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931U KR200270506Y1 (ko) 2002-01-17 2002-01-17 포장용 고무·비닐·종이봉투 출입구 밀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5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95226A1 (en) Thermally-insulated flask
ES2143904B1 (es) "dispensador"
KR200270506Y1 (ko) 포장용 고무·비닐·종이봉투 출입구 밀봉장치
TWM447366U (zh) 水壺蓋
WO2004071883A3 (en) Composite closure with enhanced sealing
KR200408522Y1 (ko) 고무*비닐봉투 출입구 마개장치
CN201330012Y (zh) 压力瓶
CN210175578U (zh) 一种茶叶包装密封装置
KR200211489Y1 (ko) 고무·비닐봉투 출입구 마개 장치.
CO4650258A1 (es) Un recipiente y un cierre de extremo adaptado para evacuar y nivelar los gases durante el cerrado
CN211845597U (zh) 一种可辅助取用的盖组件
CN214058474U (zh) 一种容器密封盖
CN212698001U (zh) 一种消毒保温饭盒
CN211686385U (zh) 一种包装盒的翻盖装置
KR200380800Y1 (ko) 포장용 고무·비닐·종이봉투 출입구 밀봉장치.
CN214987382U (zh) 带口罩和消毒巾的饮用水瓶
KR200313957Y1 (ko) 뚜껑을 외부에 체결 할수 있는 내용물 위조방지용 속마개
CN2361196Y (zh) 压力锅止开阀杆的部分结构
CN206503691U (zh) 一种带自动泄压阀的打气筒
KR200173353Y1 (ko) 고무·비닐봉지 출입구 마개 장치
KR960004332Y1 (ko) 액체누설 방지용 용기 캡(cap)
CN110949860A (zh) 一种包装盒的翻盖装置
BR8101279U (pt) Tampa lacre para garrafão de água
JPS6254967U (ko)
KR200273207Y1 (ko) 포장용 고무·비닐·종이봉투 출입구 밀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