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347Y1 - 손톱깍기 - Google Patents

손톱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347Y1
KR200270347Y1 KR2020010031222U KR20010031222U KR200270347Y1 KR 200270347 Y1 KR200270347 Y1 KR 200270347Y1 KR 2020010031222 U KR2020010031222 U KR 2020010031222U KR 20010031222 U KR20010031222 U KR 20010031222U KR 200270347 Y1 KR200270347 Y1 KR 200270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inner space
nail clipper
pressing cover
fo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평
Original Assignee
벨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벨금속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벨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1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3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347Y1/ko

Link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적인 효과를 살려서 상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손톱깍기에 관한 것으로, 선단부가 트여지고 그 가운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부공간에 바닥에 안치되고, 그 선단부에 형성된 상하 절단날(21)이 상기 몸체부(10)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상하부판(20)과; 상기 몸체부(10)의 내부공간 상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면의 후방부에 누름돌기(31)를 형성하며, 몸체부(10)의 선단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위로 젖혀지는 누름 덮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손톱깍기{A Nail Clipper}
본 고안은 손톱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식적인 효과를 살려서 상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손톱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손톱깍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2겹의 상하부판(1)(2)의 선단부에 각각 절단날(1a)(2a)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판의 전방부에는 지지축(3)이 수직으로 끼워져 고정되며, 이 지지축(3)의 상부에는 선단의 하부에 돌기(4a)가 형성되고 지렛대 역할을 하는 누름판(4)이 결합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손톱깍기는 누름판(4)을 누를 경우 2겹의 상하부판(1)(2)의 선단부에 형성된 상,하 절단날(1a)(2a)에 의해 손톱을 잘라내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손톱깍기의 구성은 오래 전부터 내려온 극히 일반적인 형태로서 손가락의 미끄러짐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안전성이 결여되어 노약자들이 사용하기에 큰 불편이 따랐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손톱깍기의 형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를 도입하므로써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면서 다루기 용이하고 안전을 충분히 고려함은 물론, 상품의 가치를 보다 증대할 수 있는 손톱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손톱깍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깍기로서 누름 덮개부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깍기로서 누름 덮개부가 분해된 사시도,
도 3b은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깍기로서 누름 덮개부가 젖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4a는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누름 덮개부가 닫혀진 상태의 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깍기로서 누름 덮개부가 일측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의 단면도,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깍기로서 누름 덮개부가 젖혀진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깍기로서 각종 부가용구들의 펼쳐진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몸체부, 20:상,하부판,
30:누름 덮개부, 40:지지축.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손톱깍기는 선단부가 트여지고 그 가운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바닥에 안치되고, 그 선단부에 형성된 상하 절단날이 상기 몸체부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상,하부판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 상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면의 후방부에 누름돌기를 형성하며, 몸체부의 선단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위로 젖혀지는 누름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깍기로서 누름 덮개부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깍기로서 누름 덮개부가 분해된 사시도이며, 도 3b은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깍기로서 누름 덮개부가 젖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손톱깍기는 크게 몸체부(10), 상하부판(20) 및 누름 덮개부(30)로 구성된다.
몸체부(10)는 선단부가 트여지고 그 가운데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내부공간은 하부 후방족에 상하부판(20)을 고정하기 위한 하향돌기(11)가 형성되는 상하부판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그 상부의 후방에는 누름 덮개부(30)를 결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상하부판(20)으로만 구성되는 종래의 손톱깍기에 비하여 볼륨감이 있어 노약자들도 취급이 용이하다.
상하부판(20)은 탄성을 가지며 그 선단부에 상하 절단날(21)이 형성되고, 그 후단부에는 결합공(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하부판(20)은 선단부가 몸체부의 선단부보다 약간 돌출되게 결합하게 되며, 그 후단부는 결합공(22)에 의해 몸체부의하향돌기(11)에 강제끼움으로 결합된다. 이 때, 하향돌기 대신 상향돌기를 형성시켜 상하부판을 결합할 수도 있다.
누름 덮개부(30)는 몸체부(10)의 내부공간 상부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게 끼워지며, 그 상면의 후방부에 누름돌기(31)를 형성하고 있으며, 누름 덮개부(30)가 몸체부의 선단부로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 위로 젖혀지게 되어 있다. 이러한 누름 덮개부(30)는 손톱깍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절단날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엄지 손가락으로 누를 때 적은 압력을 사용하여도 손톱을 깍기가 용이하다.
몸체부(10)와 누름 덮개부(30)의 결합구조는 몸체부(10)의 내부공간 전방부의 양측면 결합돌기(12)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12)에 결합되도록 상기 누름 덮개부(30)의 양측면에 가이드 홈(3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결합돌기(12)와 가이드 홈(32)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몸체부(10)의 내부공간 양측면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누름 덮개부(30)의 양측면 전방부에 결합돌기를 형성하여도 좋다.
본 고안으로 손톱을 깍고자할 경우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덮개부(30)를 몸체부(10)의 선단부로 슬라이딩시킨 후 위로 젖힌다. 이 때 누름 덮개부(30)는 결합돌기(12)를 축으로 하여 뒤집혀지면서 그 상면 후방부에 형성된 누름돌기(31)가 상부판(20)의 전방 상면에 닿게되어 지렛대의 작용점 역할을 하게 되며, 누름 덮개부(30)는 지렛대(종래의 누름판)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손톱을 깍을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후단부에 스토퍼(41) 및 지지축(40)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40)에 부가용구, 즉, 나이프(42), 오프너(43), 손톱 소제용 줄(44), 가위(45) 등을 부가시켜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부가용구들을 사용할 경우에는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을 하지않을 때는 접어서 몸체부(10)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46)에 접어 넣도록 되어 있다(도2참조).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손톱깍기는 몸체부의 내부공간 바닥에 절단날이 있는 상하부판을 안치하고, 몸체부의 내부공간 상부에 누름 덮개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몸체부의 선단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위로 젖혀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손가락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면서 안전성이 보강되며, 특히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줌은 물론, 상품의 가치를 보다 증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선단부가 트여지고 그 가운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부공간에 바닥에 안치되고, 그 선단부에 형성된 상하 절단날(21)이 상기 몸체부(10)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상하부판(20)과;
    상기 몸체부(10)의 내부공간 상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면의 후방부에 누름돌기(31)를 형성하며, 몸체부(10)의 선단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위로 젖혀지는 누름 덮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와 상하부판(20)의 결합구조는 내부공간 후방부 상면에 하향돌기(11)를 형성하고, 상기 하향돌기(11)에 강제끼움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상하부판(20)의 후단부에 형성된 결합공(2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와 상하부판(20)의 결합구조는 내부공간 후방부 하면에 상향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상향돌기에 상기 상하부판(20)의 후단부에 형성된 결합공(22)을 강제끼움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와 누름 덮개부(30)의 결합구조는 몸체부(10)의 내부공간 전방부의 양측면 결합돌기(12)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12)에 결합되도록 상기 누름 덮개부(30)의 양측면에 가이드 홈(3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와 누름 덮개부(30)의 결합구조는 몸체부(10)의 내부공간 양측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누름 덮개부(30)의 양측면 전방부에 결합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기.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후단부에 스토퍼(41) 및 지지축(40)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40)에 나이프(42), 오프너(43), 손톱 소제용 줄(44), 가위(45)를 선택적으로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기.
KR2020010031222U 2001-10-12 2001-10-12 손톱깍기 KR2002703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222U KR200270347Y1 (ko) 2001-10-12 2001-10-12 손톱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222U KR200270347Y1 (ko) 2001-10-12 2001-10-12 손톱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347Y1 true KR200270347Y1 (ko) 2002-04-03

Family

ID=7311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222U KR200270347Y1 (ko) 2001-10-12 2001-10-12 손톱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3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8622B2 (en) Utility knife
US7040022B2 (en) Utility knife
US20050138816A1 (en) Utility knife
US20100299935A1 (en) Folding utility knife
US7540092B2 (en) Utility knife
US20070214652A1 (en) Folding utility knife
US20120055029A1 (en) Multi-blade utility knife
US8046923B2 (en) Folding knife
CA2504469A1 (en) Foldable knife
WO2003090984A3 (en) Razor assembly
WO2003015994A3 (en) Multi-tasking utility tool
US20070294897A1 (en) Scissors that can shred paper easily and quickly
CA2466621C (en) Utility knife
US20070056422A1 (en) Pin-hole puncher
KR200270347Y1 (ko) 손톱깍기
KR100780371B1 (ko) 손톱깍기
EP1358048B1 (en) Multiple function tool
KR200388723Y1 (ko) 손톱깍기
US7181848B1 (en) Multiple use rotary cutting device
KR200268248Y1 (ko) 가위
KR200391305Y1 (ko) 2개의 누름레버가 구비된 손톱깍기
KR20020065161A (ko) 손톱깍이
KR200195215Y1 (ko) 지렛대원리의 받침대가 장착된 전정가위
KR100475464B1 (ko) 손톱깎기
KR200320908Y1 (ko) 슬라이드식 누름부재를 구비하는 식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