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503Y1 - 손톱깍기 - Google Patents

손톱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503Y1
KR200192503Y1 KR2020000004374U KR20000004374U KR200192503Y1 KR 200192503 Y1 KR200192503 Y1 KR 200192503Y1 KR 2020000004374 U KR2020000004374 U KR 2020000004374U KR 20000004374 U KR20000004374 U KR 20000004374U KR 200192503 Y1 KR200192503 Y1 KR 200192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late
nail
paper
support
nail cl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희
Original Assignee
이석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희 filed Critical 이석희
Priority to KR2020000004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5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5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 절단날이 형성된 지지간과, 압지간에 의해 눌러지며 선단부의 축봉으로 중심으로 상하 이동하는 상부 절단날이 갖추어진 동작간이 갖추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압지간의 중앙부위에 원형의 오목 누름판을 구비하고, 상기 동작간에 오목 누름판에 대응하는 볼록형상의 지지판을 구비하여 압지간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며, 상기 지지간에 손톱을 깍을 때 손가락이 위치하는 하부 볼록 누름판이 일체로 구비된 것으로 달성되는데, 이는 압지간의 동작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절단날을 보호하며, 상,하 누름판을 이용하여 쉽게 손톱을 깍을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손톱깍기{.}
본 고안은 미용기구의 하나인 손톱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호 역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오목 누름판을 구비하여 압지간의 이동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절단날의 마모 및 변형을 방지하고, 사용이 편리한 손톱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톱깍기는 손톱을 절단, 연마할 수 있는 미용기구 중의 하나로, 통상 절단날이 구비된 지지간과, 동작간 그리고, 동작간을 눌러 손톱이 절단되도록 하는 압지간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선단부에 관통설치된 축봉을 중심으로 상하동작한다.
또한 대다수의 손톱깍기에는 별도의 연마줄이 구비되어 손톱을 다듬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손톱깍기는 압지간을 눌러 손톱을 깍는 도중 손가락이 압지간으로 부터 미끄러지는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다.
다시 말해 일반의 손톱깍기는 그 제작 크기에 한계를 가질수 밖에 없고, 따라서 압지간의 폭 또한 제한됨으로써, 사용 중 손가락이 쉽게 미끄러져 자칫 날부에 상처를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손톱깍기는 절단부가 쉽게 마모되거나, 휨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상,하절단날의 동작거리에 비해 압지간의 동작거리가 대단히 커 사용자는 손톱을 깍기 위한 필요 이상의 힘으로 압지간을 가하게 되고, 따라서 절단날이 쉽게 마모,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압지간에 오목형상의 누름판을 구비하고, 동작간에는 이에 대응하는 볼록형상의 지지판을 구비하여 압지간의 동작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절단날을 보호할 수 있는 손톱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절단날을 보호하여 손톱깍기의 장기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오목형상의 누름판에 연마줄을 형성하여 쉽게 손톱을 다듬을 수 있도록 하는 손톱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압지간의 후방측에 만곡의 손잡이를 구비하여 압지간의 절첩이 편리하도록한 손톱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압지간에 구비된 누름판과, 지지간에 구비된 누름판이 상호 역방향으로 구비되어 손톱을 깍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호 오목부위에 위치하도록함으로써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손톱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부 절단날이 형성된 지지간과, 압지간에 의해 눌러지며 선단부의 축봉으로 중심으로 상하 이동하는 상부 절단날이 갖추어진 동작간이 갖추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압지간의 중앙부위에 원형의 오목 누름판을 구비하고, 상기 동작간에 오목 누름판에 대응하는 볼록형상의 지지판을 구비하여 압지간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며, 상기 지지간에 손톱을 깍을 때 손가락이 위치하는 하부 볼록 누름판이 일체로 구비된 것으로 달성된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손톱깍기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이 적용된 손톱깍기의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 손톱깍기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톱깍기 20 : 지지간
30 : 동작간 21, 31 : 날부
22 : 지지판 23 : 하부 누름판
40 : 압지간 41 : 상부 누름판
42 : 연마줄 43 : 손잡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손톱깍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상기 손톱깍기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면에 표시된 손톱깍기의 형태는 종래 손톱깍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다른 형태의 일반 손톱깍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먼저 본 고안의 손톱깍기(10)는 하부측 절단날(21)이 구비된 지지간(20)과, 상부측 절단날(31)이 구비된 동작간(30) 그리고, 동작간(30)을 눌러 상,하 절단날(31)(21)을 치합 손톱이 절단되도록 하는 압지간(40)이 갖추어진 구성이다.
상기 지지간(20)과, 동작간(30) 각각에는 볼록형상의 판재가 구비되는데, 동작간(30)에 구비된 판재는 압지간(40) 누름판(41)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지지판(32)으로 구성되고, 지지간(20)에 구비된 판재는 손톱을 깍을 때 손가락이 위치하여 눌러지도록 하는 하부 누름판(22)으로, 이 하부 누름판(22)에는 도 5와 같이 연마줄(23)이 갖추어져 있다.
상기 지지간(20)과 동작간(30) 각각의 후방측에는 일체로 연장부(24)(34)가 구비되어 리벳팅에 의한 연결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압지간(40)은 지지판(32)의 직상부측에 위치하는 오목형상의 누름판(41)이 구비되며, 이 상부 누름판(41)의 후방측으로 손잡이(43)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누름판(41)의 상면에는 손톱을 다듬는 연마줄(42)이 형성되어 손톱과 유사 형태의 오목 누름판(41)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손톱을 다듬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압지간(40)은 축봉(50)을 중심으로 상하 동작하는데, 상기 축봉(50)은 지지간(20)의 하부로 부터 동작간(30)의 상부측으로 관통 돌출설치되고, 압지간(40)은 이 돌출부(51)에 선단에 형성된 절개부(44)가 끼워진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압지간(40)과, 축봉(50)을 관통하는 중심축(60)에 의해 조립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2a, 41a는 각 누름판의 오목부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도 3 과 같이 압지간(40)을 눌러 동작간(3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며 손,발톱이 절단되도록 하는데, 이때 압지간(40)과, 지지간 각각에 구비된 누름판(41),(22)의 오목부(41a)(22a)가 상호 역방향으로 위치하여 손가락이 각각의 오목부(22a)(41a)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쉽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압지간(40)에 구비된 상부 누름판(41)이 상하 이동과정에서 그 직하부에 위치한 지지판(32) 상면과 맞닿아 이동거리가 제한됨으로써, 절단날(21)(31)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 는 사용 후 압지간(40)이 접어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곡률 반경을 가지고 절곡된 손잡이(43)가 상방으로 돌출 구성되어 압지간(40)을 들어올리기 편리하고, 또한 압지간(40)이 접어진 상태에서도 하부 누름판(22)에 형성된 연마줄(23)을 이용하여 손톱을 다듬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압지간과 지지간 각각에 상호 역방향으로 대응하는 누름판을 구비하여 사용시 그 오목부에 손가락이 위치함으로써, 미끄럼을 방지하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 볼록의 지지판에 의해 상부 누름판의 이동거리를 제한하여 필요이상의 가압력이 절단날에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고, 절단날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장기간의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3)

  1. 하부 절단날이 형성된 지지간과, 압지간에 의해 눌러지며 선단부의 축봉으로 중심으로 상하 이동하는 상부 절단날이 갖추어진 동작간이 갖추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압지간의 중앙부위에 원형의 오목 누름판을 구비하고, 상기 동작간에 오목 누름판에 대응하는 볼록형상의 지지판을 구비하여 압지간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며, 상기 지지간에 손톱을 깍을 때 손가락이 위치하는 하부 볼록 누름판이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지간에 구비된 상부 누름판과, 지지간에 구비된 상부 누름판 각각의 오목부에 연마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지간의 하방측에 곡률반경을 가지고 휘어진 손잡이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기.
KR2020000004374U 2000-02-17 2000-02-17 손톱깍기 KR200192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374U KR200192503Y1 (ko) 2000-02-17 2000-02-17 손톱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374U KR200192503Y1 (ko) 2000-02-17 2000-02-17 손톱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503Y1 true KR200192503Y1 (ko) 2000-08-16

Family

ID=1964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374U KR200192503Y1 (ko) 2000-02-17 2000-02-17 손톱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5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8622B2 (en) Utility knife
JP2009507616A (ja) レザー・カートリッジ用のブレード取付け部材
US5463813A (en) Reciprocatory dry shaver
US11737542B2 (en) Nail clipper
KR200192503Y1 (ko) 손톱깍기
US5806186A (en) Combination finger and toe nail clippers
KR101978257B1 (ko)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 커터
ES2260341T3 (es) Herramienta de funcion multiple.
KR101915762B1 (ko) 면도날 교체식 면도기
KR200388723Y1 (ko) 손톱깍기
KR100475464B1 (ko) 손톱깎기
KR102569557B1 (ko) 기능성 안전 손톱깎이
KR200172875Y1 (ko) 미용 기구
KR200170804Y1 (ko) 손톱깎이
CN213859373U (zh) 一种定刀在外、动刀在内的剃须刀头
KR200293380Y1 (ko) 손, 발톱깍기
KR200312902Y1 (ko) 손톱깎기
JP3180923U (ja) 爪切り用操作てこ
KR200177039Y1 (ko) 양면 면도기
KR20170056392A (ko) 손톱 길이 조절구가 구비된 손톱깎이
KR960005498Y1 (ko) 손톱의 표피제거용 클립퍼
KR200347998Y1 (ko) 손톱깍기
KR200260741Y1 (ko) 손톱깎이
KR200270347Y1 (ko) 손톱깍기
KR900010528Y1 (ko) 손톱깎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