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311Y1 - The guide device of the play structure for dropping a high sky - Google Patents

The guide device of the play structure for dropping a high sk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311Y1
KR200270311Y1 KR2020010025082U KR20010025082U KR200270311Y1 KR 200270311 Y1 KR200270311 Y1 KR 200270311Y1 KR 2020010025082 U KR2020010025082 U KR 2020010025082U KR 20010025082 U KR20010025082 U KR 20010025082U KR 200270311 Y1 KR200270311 Y1 KR 200270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passenger
support
vehic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08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충렬
이성진
이석
홍일
박원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손시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손시, 이성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손시
Priority to KR2020010025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31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311Y1/en

Link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실린더의 구동력에 의한 로프전동으로 승용물을 트러스 상의 고공으로 리프팅 한 후, 급격히 낙하시켜 탑승자로 하여금을 스릴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한 고공낙하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승용물의 상.하 주행시 트러스의 변형에 의해서 발생되는 승용물의 좌.우 유동범위를 제한하여 그 유동에 의한 승용물의 주행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승용물 주행의 원활성 및 안전성을 기할 수 있는 고공낙하 놀이기구의 승용물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트러스(1)의 지주(13)를 따라 승용물 프레임(2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롤러(24)가 구름접촉하면서 승용물(2)의 상.하 주행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1)의 지주(13) 외측 모서리 부분에 상응하게 절곡 형성되어 수평부(142A)와 수직부(142B)를 갖는 걸림고정편(142)이 상기 트러스(1)의 지주(13)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고정편(142)은 지지프레임(141)에 의해서 승용물 프레임(21)에 지지 및 고정되며, 걸림고정편(142)의 수평부(142A) 및 수직부(142B) 전면에는 패드(143)(143A)가 각각 부착된 다수의 스페이서(14)를 구비함으로써 승용물의 상.하 주행시 트러스의 변형에 의해서 발생되는 승용물의 좌.우 유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유동에 의한 승용물의 주행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이로인해 승용물 주행의 원활성 및 안전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dropping ride that allows the passengers to fully enjoy the thrill by lifting the vehicle to high altitude on the truss by rope transmissio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vating cylinder. High-floor rides that can ensure smooth and safe driving of vehicles by limiting the left / right flow range of vehicles caused by the truss deformation during the up and down running of water. It relates to a passenger guide device, which is a guide roller 24 protruding inwardly of the passenger frame 21 along the support (13) of the truss (1) while rolling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assenger (2). In the configuration to guide the running, it is bent to correspond to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strut 13 of the truss 1 to be horizontal portion 142A and vertical portion 14 A locking piece 142 having a 2B)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trut 13 of the truss 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locking piece 142 is a passenger frame 21 by the support frame 141. And a plurality of spacers 14 to which the pads 143 and 143A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142 and the horizontal portion 142A and the vertical portion 142B. In addition to limiting the left and right flow range of the vehicle caused by the deformation of the truss when driving dow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riving interference of the vehicle due to the flow, and also to improve the smoothness and safety of the driving of the vehic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Description

고공낙하 놀이기구의 승용물 가이드장치{The guide device of the play structure for dropping a high sky}The guide device of high play rides {The guide device of the play structure for dropping a high sky}

본 고안은 승강실린더의 구동력에 의한 로프전동으로 승용물을 트러스 상의 고공으로 리프팅 한 후, 급격히 낙하시켜 탑승자로 하여금을 스릴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한 고공낙하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승용물의 상.하 주행시 트러스의 변형에 의해서 발생되는 승용물의 좌.우 유동범위를 제한하여 그 유동에 의한 승용물의 주행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승용물 주행의 원활성 및 안전성을 기할 수 있는 고공낙하 놀이기구의 승용물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dropping ride that allows the passengers to fully enjoy the thrill by lifting the vehicle to high altitude on the truss by rope transmissio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vating cylinder. High-floor rides that can ensure smooth and safe driving of vehicles by limiting the left / right flow range of vehicles caused by the truss deformation during the up and down running of water. It relates to a vehicle guide device.

일반적으로 고공낙하 놀이기구는 트러스를 고공으로 설치하고, 그 트러스에 승용물을 로프로 매달아 끌어 올리고 내리는 식으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되, 하강속도를 급격히 하여 승용물의 탑승자로 하여금 스릴을 만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the high-flying rides are constructed so that the height of the ride can be elevated by installing the truss at high altitude and hanging the rope on the truss by pulling up and down the rope, so that the occupants of the vehicle can enjoy the thrill. It is.

도 1 내지 3b는 본원인이 동일자로 출원한 고공낙하 놀이기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고공낙하 놀이기구의 전체 구성도이다.Figures 1 to 3b is a high-dropping play equipment filed by the applicant as the same, Figure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high-dropping ride.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공낙하 놀이기구는 지상에서 일정 높이의 고공으로 설치되는 트러스(1)와 다수의 사람이 탑승하고 상기 트러스(1)를 따라 승강구동되는 승용물(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승용물(2)을 승강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트러스(1)의 최상부에 한 쌍의 제1고정도르래A,B(4)(4A)가 설치되고, 트러스(1)의 내부 중앙 하부측에는 상부측으로 실린더 로드(3A)가 위치되게 승강실린더(3)가 입설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3)의 실린더 로드(3A)에는 다수의 무게추(51)로 구성되고 상부측에 다수의 움직도르래A,B,C,D(53)(53A)(53B)(53C)를 갖는 웨이트(5)가 연결되며, 상기 웨이트(5)와 제1고정도르래A,B(4)(4A) 사이의 트러스(1) 내부에는 한 쌍의 제2고정도르래A,B(6)(6A)가 횡방향으로 축설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high-fall drop ride is provided with a truss 1 installed at a high altitude on the ground and a passenger 2 that is boarded and driven up and down along the truss 1. In addition, as a means for elevating and driving the passenger vehicle 2, a pair of first precision pulleys A, B (4) and 4A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truss 1, and the inner center of the truss 1 is provided. The lifting cylinder 3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so that the cylinder rod 3A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The cylinder rod 3A of the elevating cylinder 3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weights 51 and a plurality of pulleys A, B, C, D 53, 53A, 53B, 53C on the upper side. A weight 5 having a connection is connected, and inside the truss 1 between the weight 5 and the first precision pulley A, B (4) and 4A, a pair of second precision pulleys A and B (6) 6A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승용물(2)의 일측부와 제1고정도르래A(4), 움직도르래A(53) 및 제2고정도르래A(6)와 움직도르래B(53A)는 일단이 승용물(2)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트러스(1)의 상부측 제1고정점(71)에 고정된 제1구동로프(7)에 의해서 상호 연동되게 걸어 연결된다. 또, 상기 승용물(2)의 타측부와 제1고정도르래B(4A), 움직도르래D(53C) 및 제2고정도르래B(6A)와 움직도르래C(53B)는 일단이 승용물(2)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트러스(1)의 상부측 제2고정점(72)에 고정된 제2구동로프(7A)에 의해서 상호 연동되게 걸어 연결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passenger vehicle 2 and the first high pulley A (4), the pulley A (53) and the second high pulley A (6) and the pulley B (53A), one end of the passenger (2)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first driving rope 7 is fixed to the upper first fixing point 71 of the truss (1)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terlocked. In addition, one end of the other part of the passenger vehicle 2 and the first fixed pulley B 4A, the pulley D 53C, and the second fixed pulley B 6A and the pulley C 53B may have one end of the vehicle (2). ) And the other e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driving rope 7A fixed to the upper second fixing point 72 of the truss (1).

이와같이 구성된 고공낙하 놀이기구는 먼저, 승강실린더(3)의 실린더로드(3A)에 연결된 웨이트(5)는 W1에 위치하고, 승용물(2)은 C1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3)가 실린더 로드(3A)를 하방으로 후진시키게 되면, 상기 실린더 로드(3A)에 연결된 웨이트(5)가 하강하면서 움직도르래A,B,C,D(53)(53A)(53B)(53C)에 걸어진 제1구동로프(7) 및 제2구동로프(7A)에 하방의 당김력이 작용하게 된다.In the high-dropping play equipment configured in this manner, first, the weight 5 connected to the cylinder rod 3A of the lifting cylinder 3 is located at W1, and the passenger vehicle 2 is located at C1. In this state, when the lifting cylinder 3 reverses the cylinder rod 3A downward, the weight 5 connected to the cylinder rod 3A moves downward while the pulleys A, B, C, D 53 and 53A move. The lower pulling force acts on the first driving rope 7 and the second driving rope 7A hooked on the 53B and 53C.

이에 따라 상기 제1구동로프(7)는 움직도리래B(53A)와, 제2고정도르래A(6), 움직도르래A(53)를 따라 승용물(2)의 일측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구동로프(7A)도 움직도르래C(53B)와 제2고정도르래A(6), 움직도르래D(53C)를 따라 승용물(2)의 타측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승용물(2)을 C1에서 C2의 위치까지 고공으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웨이트(5)는 W1에서 W2의 위치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rst drive rope 7 moves one side of the vehicle 2 upward along the pulley B 53A, the second fixed pulley A 6 and the pulley A 53. At the same time, the second driving rope 7A is also moved upward along the pulley C 53B, the second fixed pulley A 6 and the pulley D 53C by moving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2 upward. It is possible to raise the passenger vehicle 2 to the position of C1 to C2 at high altitude, and the weight 5 is to descend to the position of W1 to W2.

이때, 상기 승용물(2)의 이동거리는 기중기에 적용되는 도르래 원리에 따라 제1구동로프(7) 및 제2구동로프(7A)가 움직도르래A,B,C,D(53)(53A)(53B)(53C) 및 제2고정도르래A,B(6)(6A)를 각각 거치는 동안 승강실린더(3)의 스트로크에 대해서 4배로 확대된 거리로 나타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실린더(3)에 의한 승용물(2)의 승강구동력도 4배로 줄어든 힘으로 작동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moving distance of the vehicle 2 is the pulley A, B, C, D (53) (53A) of the first driving rope 7 and the second driving rope (7A) according to the pulley principle applied to the crane (53B) 53C and the second high precision pulley A, B (6) (6A), respectively, as well as appear to be four times the distance to the stroke of the lifting cylinder (3) as well as to the lifting cylinder (3) The lifting driving force of the passenger vehicle 2 by 4 times is also operated by the force reduced.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실린더(3)의 작동에 의한 당김력을 해제하게 되면, 승강실린더(3)의 실린더 로드(3A)가 상부측으로 다시 순간 전진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W2에서 W1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제1구동로프(7) 및 제2구동로프(7A)에 의해서 트러스(1)의 C2 위치에 매달려진 승용물(2)은 자유낙하 식으로 순간 급격히고공낙하가 이루어지면서 C1의 위치에 도달하게 됨으로써 승용물(2)의 탑승자로 하여금 스릴을 만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pulling force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cylinder 3 is released, the cylinder rod 3A of the lifting cylinder 3 is moved upward from the position W2 to W1 while the momentary forward operation is made again to the upper side. The passengers 2 suspended by the first driving rope 7 and the second driving rope 7A at the position C2 of the truss 1 are suddenly free-falling in the free-falling manner and at the position of C1. By reaching it, the passenger of the vehicle 2 can enjoy the thrill.

도 2a,도 2b,도 2c는 도 1의 도르래 설치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도르래A,B(4)(4A)는 사각을 이루는 트러스(1)의 4개 지주(13) 사이를 상호 연결 및 지지하는 트러스 프레임(12) 상에 서로 평행하게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2고정도르래A,B(6)(6A)는 지주(13)와 이들 사이를 상호 연결 및 지지하는 트러스 프레임(12)으로 구성된 트러스(1) 중앙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된 축에 상호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웨이트(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주(13)와 트러스 프레임(12)으로 구성된 트러스(1) 내부에 제2고정도르래A,B(6)(6A)와 대칭되게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된 축에 움직도르래A,B,C,D(53)(53A)(53B)(53C)가 설치되고, 상기 움직도르래A,B,C,D(53)(53A)(53B)(53C)의 하부측에는 무게추(51)가 구비된다.2A, 2B, and 2C show the pulley installation state of FIG. 1, and as shown therein, the first high precision cranes A, B (4), and 4A are four pillars of the truss 1 forming a square. On the truss frame 12 for mutually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13) is provided in a form inclined to one side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second high precision pulleys A and B (6) and 6A have mutually spaced on an axis installed diagonally in the center of the truss (1) composed of the support (13) and the truss frame (12) interconnecting and supporting them. Placed and installed in parallel. In addition, the weight 5 is an axis installed diagonally symmetrically with the second high precision clans A, B (6) and 6A inside the truss 1 composed of the strut 13 and the truss frame 12 as described above. The pulleys A, B, C, D 53, 53A, 53B, 53C ar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pulleys A, B, C, D 53, 53A, 53B, 53C. The weight 51 is provided on the side.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승용물 구조를 보인 것이다.3A and 3B show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승용물(2)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1)의 각 면을 따라 외측에 사각 형태의 승용물 프레임(21)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용물 프레임(21)에는 다수의 좌석(22)이 형성되어 있다.The vehicle 2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frame 21 on the outside along each side of the truss 1, as shown in Figure 3b, the vehicle frame 21 has a plurality of seats ( 22) is formed.

그리고 승용물 프레임(21)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트러스 프레임(12)으로 지지되는 트러스(1)의 지주(13)와 구름접촉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24)가 구비되어 트러스(1)에 대한 승용물(2)의 승강구동을 안내해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Each corner portion of the passenger vehicle frame 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24 which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upport 13 of the truss 1 supported by the truss frame 12 to ride the truss 1. It is configured to guide the lifting and driving of water (2).

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용물(2)의 좌석(22) 상부측에는 탑승자의안전을 위해 안전바(23)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안전바(23)는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로 작동하면서 좌석(22)의 탑승자를 잡아주거나 이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용물(2)의 상부측은 제1구동로프(7) 및 제2구동로프(7A)로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a, the seat 22 of the vehicle 2, the upper side of the seat is provided with a safety bar 23 for the safety of the occupant, the safety bar 23 is centered on the hinge. While working down is configured to hold or release the occupant of the seat 22. The upper side of the passenger vehicle 2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rope 7 and the second driving rope 7A.

한편, 상기 트러스(1)는 사용중 가이드롤러(24)와의 빈번한 접촉 및 외부 온도 등에 의한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서 변형이 발생되고, 이러한 트러스(1)의 변형은 승용물(2) 주행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이는 주행중 심한 유동으로 탑승자로 하여금 불안감을 조성함은 물론 주행의 간섭을 일으켜 승용물(2)의 주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놀이기구의 안전성 및 신뢰성 저하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truss 1 is deformed by various conditions due to frequent contact with the guide roller 24 and external temperature during use, and the deformation of the truss 1 has a fatal effect on the running of the passenger vehicle 2. As a result, this causes not only anxiety to the passengers due to heavy flow while driving, but also an interference of driving, which causes the driving of the vehicle 2 to not run smoothly, and also causes a decrease in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ride. .

또한, 이와 함께 종래의 가이드롤러(24)는 탄성을 갖지 않고 정해진 길이로 고정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한 트러스(1)의 변형시 상기 트러스(1)의 지주(13)와 가이드롤러(24) 간의 유격이 생겨 승용물(2)의 좌.우 유동을 더욱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guide roller 24 has a fixed shape with a fixed length without elasticity so that the support 13 and the guide roller 24 of the truss 1 when the truss 1 is deform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eight between the left and right to further increase the flow of the left and right of the passenger (2).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트러스를 따라 상.하로 주행하는 승용물이 상기 트러스의 변형 등에 의해서 좌.우로 유동되는 범위를 제한하여 승용물의 주행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승용물 주행의 원활성 및 정확성, 안전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which is to limit the range in which the vehicle traveling up and down along the truss flows left and right by deformation of the truss, etc. By minimizing the interference of running of water,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moothness, accuracy and safety of the riding of vehicle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승용물의 상.하 주행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가 상시 트러스 지주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면서 트러스 변형에 의한 승용물의 좌.우 유동에 유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flexibility to the left and right flow of the vehicle by the truss deformation while allowing the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vehicle up and down to be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the truss support.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트러스 지주에 대한 스페이서의 충돌시 상기 스페이서의 내구력을 보다 향상시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spacer upon collision of the spacer against the truss strut.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트러스의 지주를 따라 승용물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롤러가 구름접촉하면서 승용물의 상.하 주행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의 지주 외측 모서리 부분에 상응하게 절곡 형성되어 수평부와 수직부를 갖는 걸림고정편이 상기 트러스의 지주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고정편은 지지프레임에 의해서 승용물 프레임에 지지 및 고정되며, 걸림고정편의 수평부 및 수직부 전면에는 패드가 각각 부착된 다수의 스페이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고공낙하 놀이기구의 승용물 가이드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oller formed to protrude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vehicle frame along the strut of the truss is configured to guide the up and down driving of the vehicle while rolling contact, the outer edge of the strut of the truss The locking fixing piece having a horizontal portion and a vertical portion is formed to be bent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strut of the trus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locking fixing piece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passenger vehicle frame by a support frame, Provided is a vehicle guide device for a high-dropping r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rs each attached to the pad.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서로 직교되는 승용물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각각 지지프레임A,B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A,B의 선단부에 패드를 각각 부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acers are formed by protruding the supporting frames A and B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passenger vehicle fram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attaching pads to the front ends of the supporting frames A and B, respectively.

상기 가이드롤러는 중공의 지지구를 갖는 고정브라켓트이 후방측에 구비되고, 전방측에는 구동바퀴를 양측에서 핀 결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편에 삽입관이 후향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트의 지지구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관은 지지구 내부에서 스프링으로 탄력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한다.The guide roller is provided with a fixing bracket having a hollow support on the rear side, the front side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tube is protruded backwards on a pair of support pieces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driving wheels by pin coupling on both sides.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of the fixing bracket, the insertion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support is supported by a spring inside the support.

도 1 내지 도 3b는 본원인이 동일자로 출원한 고공낙하 놀이기구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서,1 to 3b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high-dropping ride applied by the applicant as the same,

도 1은 고공낙하 놀이기구의 전체 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high altitude ride.

도 2a,도 2b,도 2c는 도 1의 도르래 설치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2A, 2B, and 2C show the pulley installation state of FIG. 1,

도 2a는 제1고정도르래의 평면도.Figure 2a is a plan view of the first high precision pulley.

도 2b는 제2고정도르래의 평면도.2b is a plan view of a second high precision pulley;

도 2c는 움직도르래의 평면도.2C is a plan view of the pulley;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승용물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3A and 3B show the passenger vehicle structure of FIG. 1,

도 3a는 정면도.3A is a front view.

도 3b는 평면도.3B is a plan view.

도 4a,도 4b는 본 고안이 적용된 승용물의 부분확대도로서,Figure 4a, Figure 4b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a는 평면도.4A is a plan view.

도 4b는 정면도.4B is a front view.

도 5a,도 5b는 본 고안의 가이드롤러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Figure 5a, Figure 5b as showing the guide roll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정면도.5A is a front view.

도 5b는 횡단면도.5B is a cross-sectional view.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트러스1: truss

11:기대 12:트러스 프레임11: Expected 12: truss frame

13:지주13: Holding

14:스페이서14: Spacer

141:지지프레임 142:걸림고정편141: support frame 142: jamming

142A:수평부 142B:수직부142A: Horizontal Section 142B: Vertical Section

143,143A,145,145A:패드 144,144A:지지프레임A,B143,143A, 145,145A: Pads 144,144A: Support Frames A, B

2:승용물2: passenger

21:승용물 프레임 22:좌석21: Passenger frame 22: Seat

23:안전바23: Safety bar

24:가이드롤러24: guide roller

241:고정브라켓트 241A:체결공241: fixing bracket 241A: fastener

242:지지편 242A:핀242: support piece 242A: pin

243:삽입관 244:지지구243: insertion tube 244: support

245:스프링 246:고정관245: Spring 246: Fixed tube

247:구동바퀴247: drive wheels

3:승강실린더 3A:로드3: lifting cylinder 3A: rod

4,4A:제1고정도르래A,B4,4A: 1st precision belt A, B

5:웨이트5: weight

51:무게추51: weight

53,53A,53B,53C:움직도르래53,53A, 53B, 53C: Movement Pulley

6,6A:제2고정도르래A,B6,6A: 2nd high precision roller A, B

7,7A:제1,2구동로프7,7A: 1st, 2nd driving rope

71:제1고정점 72:제2고정점71: first fixed point 72: second fixed poi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이 적용된 승용물의 구조를 보인 부분확대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트러스(1)가 구비되고, 상기 트러스(1)의 외측으로 승용물(2)이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트러스(1)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지주(13)가 입설되며, 상기 지주(13)는 서로 직교되게 연결된 다수의 트러스 프레임(12)에 의해서 고정 및 지지된다. 또한 승용물(2)은 트러스(1)와 마찬가지로 각 모서리 부분에 승용물 지주(25)가 입설되고, 상기 승용물 지주(25)는 서로 직교되게 연결된 다수의 승용물 프레임(21)에 의해서 고정 및 지지된다.4a and 4b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russ (1), the vehicle (2) to the outside of the truss (1) It is provided at intervals. In addition, pillars 13 are placed at each corner of the truss 1, and the pillars 13 are fixed and supported by a plurality of truss frames 12 connect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In addition to the truss 1, the passenger body 2 is provided with a passenger post 25 at each corner portion, and the passenger post 25 is fixed by a plurality of passenger frames 21 connect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And supported.

이와함께 상기 승용물 프레임(21)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24)가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트러스(1)의 지주(13)에 구름 접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트러스(1)에 대한 승용물(2)의 상.하 이동을 안내해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long with the truss 1, the guide frame 24 is formed to protrude inwardly in the passenger vehicle frame 21 so as to make a rolling contact with the strut 13 of the truss 1. As shown in FIG. It is configured to guide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water (2).

이러한 고공낙하 놀이기구에 있어, 본 고안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용물(2)의 좌.우 유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 트러스(1)와 승용물(2) 사이에 스페이서(14)가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14)는 트러스(1)의 좌.우 유동을 직접적으로 저지시키는 걸림고정편(142)과, 상기 걸림고정편(142)을 승용물(2)에 고정 및 지지되게 하는 지지프레임(141)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걸림고정편(142)은 트러스(1)의 지주(13) 외측 형상에 상응하게 절곡되어 수평부(142A)와 수직부(142B)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부(142A)와 수직부(142B)의 전면부에는 각각 충격흡수율이 우수한 고무재질의 패드(143)(143A)이 부착된다.In this high drop rid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cer (14) between the truss (1) and the vehicle (2) as a means for limiting the left and right flow range of the vehicle (2) as shown in Figure 4a. ) Is provided. The spacer 14 has a locking piece 142 for directly preventing the left and right flow of the truss 1, and a support frame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locking piece 142 to the passenger (2) ( 141, the locking piece 142 is bent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strut 13 of the truss (1) is composed of a horizontal portion (142A) and a vertical portion (142B), the horizontal portion (142A) ) And pads 143 and 143A of rubber material having excellent shock absorption rates are attached to the front portions of the vertical portion 142B.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41)은 승용물 지주(25)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일단이 고정되어 사선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의 선단에 전술한 걸림고정편(142)이 고정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141 has one end fixed to the inner edge portion of the passenger post 25 is formed to protrude in an oblique direction, it is composed of a form in which the above-described locking piece 142 is fixed to the front end thereof.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승용물(2)이 트러스(1)의 지주(13)를 따라 구름접촉하는 가이드롤러(24)의 안내를 받고 트러스(1)의 상.하로 이동할 때, 트러스(1)의 변형으로 상기 승용물(2)이 좌.우로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그 유동범위는 스페이서(14)에 의해서 이격된 범위 내에서 허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truss (1) when the passenger (2) is guided by the guide roller 24 in the cloud contact along the support (13) of the truss (1), moving up and down the truss (1) The passenger 2 flows to the left and right in a variation of, wherein the flow range is allowed within the range spaced by the spacer 14.

이를 도 4a를 참조로 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용물(2)이 좌측 방향으로 유동되면, 스페이서(14)의 걸림고정편(142) 중에서 수직부(142B)가 트러스(1)의 모서리 부분 좌측변에 걸려 더 이상 유동되지 못하게 되고, 승용물(2)이 전방측으로 유동되면, 스페이서(14)의 걸림고정편(142) 중에서 수평부(142A)가 트러스(1)의 모서리 부분 배면에 걸려 더 이상 유동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승용물(2)은 좌.우 유동에 의한 주행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인해 보다 원활한 상.하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Referring to this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4a, when the passenger (2) flows in the left direction, the vertical portion 142B of the locking piece 142 of the spacer 14 is the corner portion of the truss (1) When the vehicle 2 flows to the front side and the passenger body 2 flows forward, the horizontal portion 142A is caught on the rear side of the edge of the truss 1 among the locking pieces 142 of the spacer 14. It will no longer flow. Accordingly, the vehicle 2 may minimize driving interference due to left and right flows, thereby allowing smoother up and down travel.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가이드롤러 구성을 보인 것이다.5a and 5b shows a guide roll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이드롤러(24)는 통상에서와 같이 전방측에 구동바퀴(247)가 상호 간격을 갖는 한 쌍의 지지편(242) 사이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핀(242A) 결합되어 있고, 이의 후방측에는 상기 지지편(242)을 승용물 프레임(2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트(24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트(241)의 일측면 상에는 전.후방으로 관통 형성된 지지구(244)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지지편(242)의 후방측에는 상기 지지구(244)에 삽입되는 삽입관(243)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As shown therein, the guide roller 2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reely rotat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pieces 242 at which the driving wheels 247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ront side as usual, and the pins 242A are coupled freely. The rear side thereof is provided with a fixing bracket 241 for fixing the support piece 242 to the passenger vehicle frame 21. In addition, on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241 is provided with a support 244 form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integrally, the insertion tube 243 inserted into the support 244 on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piece 242. ) Is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그리고 지지구(244) 내부의 후방측은 일측이 막혀진 고정관(246)에 의해서 폐쇄되며, 그 고정관(246)에 스프링(245)이 탄력 설치됨으로써 상기 지지구(244) 내에 삽입된 삽입관(243)을 탄력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41A는,체결공이다.And the rear side of the inside of the support 244 is closed by a fixed tube 246, one side is blocked, the insertion tube 243 inserted into the support 244 by the spring 245 is elastically installed in the fixed tube 246. ) Is configured to support elasticity. Reference numeral 241A described herein is a fastening hole.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가이드롤러(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바퀴(247)를 갖는 지지편(242)의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된 삽입관(243)이 후방측 고정브라켓트(241)의 지지구(244) 내에서 상시 돌출 방향으로 탄력 지지됨으로써 트러스(1)의 지주(13)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러스(1)의 변형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guide roller 2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sertion pipe 243 protruding to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piece 242 having the driving wheel 247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racket 244 of the rear fixing bracket 241. By being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always protruding direction within), not only can the adhesion of the truss 1 to the support 13 be improved, but also the flexural response to the deformation of the truss 1 can be achieved.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페이서(14)는 트러스 지주(13)에 대해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별도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승용물 프레임(21) 중에서 한 쌍의 지지프레임A(144) 및 지지프레임B(144A)를 서로 직각을 이루는 승용물 프레임(21)에 각각 내향 돌출되게 후단부를 고정하고, 이의 선단에는 각각 패드(145)(145A)가 부착된 것이다.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spacer 1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separately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uss support (13). That is, the rear end portions are fixed to the pair of support frames A 144 and the support frames B 144A of the vehicle frame 21 so as to protrude inward inwards, respectively, and at the front end thereof. Pads 145 and 145A are attached.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일 실시예와 같이 승용물(2)이 좌측 방향으로 유동되면, 스페이서(14) 중에서 일측 지지프레임B(144A)에 부착된 패드(145A) 부분이 트러스(1)의 모서리 부분 좌측변에 걸려 더 이상 유동되지 못하게 되고, 승용물(2)이 전방측으로 유동되면, 스페이서(14) 중에서 타측 지지프레임A(144)에 부착된 패드(145) 부분이 트러스(1)의 모서리 부분 배면에 걸려 더 이상 유동되지 못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하나의 걸림고정편(142)으로 승용물(2)의 좌.우 유동을 저지시키는 것에 비해서 각각 별도로 구비된 지지프레임A(144) 및 지지프레임B(144A)에 의해 보다 큰 저지력으로 승용물(2)의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assenger vehicle 2 flows in the left direction as in one embodiment, a portion of the pad 145A attached to one support frame B 144A of the spacer 14 is a corner portion of the truss 1. When the vehicle 2 flows forward, the pad 145 portion of the spacer 14 attached to the other support frame A 144 is a corner portion of the truss 1. It is caught on the back and can no longer flow, which is a support frame A (144) and support frame B, which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flow of the vehicle 2 with one locking piece 142. By 144A,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flow of the passenger vehicle 2 with greater stopping for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페이서에 의해서, 승용물이 트러스를 따라 상.하로 주행하면서 좌.우로 유동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트러스의 변형에 의한 승용물의 좌.우 유동으로 인한 주행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상기 승용물의 상.하 주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놀이기구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limit the range in which the vehicle flows left and right while the vehicle travels up and down along the truss by the spacer, so that the vehicle travels due to the left and right flow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truss. Not only can the interference be minimized, but the up and down travel of the vehicle is made more smoothly, and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ride can be further increased.

그리고 상기 승용물의 주행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가 상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탄력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트러스 지주에 대한 상기 가이드롤러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러스 변형에 대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어 놀이기구의 안전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by configuring the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t all times can not only improve the adhesion of the guide roller to the truss support but also secure flexibility to the truss deform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nsure the safety of the ride.

또한, 상기 스페이서를 트러스 지주의 각 외측변을 따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승용물 좌.우 유동에 대한 저지력 및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spacer separately along each outer side of the truss suppo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stopping force and durability against the left and right flow of the vehicle.

Claims (3)

트러스(1)의 지주(13)를 따라 승용물 프레임(2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롤러(24)가 구름접촉하면서 승용물(2)의 상.하 주행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있어서,The guide roller 24 protruding inwardly of the passenger vehicle frame 21 along the support 13 of the truss 1 is configured to guide the up and down travel of the passenger vehicle 2 while being in rolling contact. , 상기 트러스(1)의 지주(13) 외측 모서리 부분에 상응하게 절곡 형성되어 수평부(142A)와 수직부(142B)를 갖는 걸림고정편(142)이 상기 트러스(1)의 지주(13)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고정편(142)은 지지프레임(141)에 의해서 승용물 프레임(21)에 지지 및 고정되며, 걸림고정편(142)의 수평부(142A) 및 수직부(142B) 전면에는 패드(143)(143A)가 각각 부착된 다수의 스페이서(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고공낙하 놀이기구의 승용물 가이드장치.The locking piece 142 having a horizontal portion 142A and a vertical portion 142B is formed to be bent to correspond to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strut 1 of the truss 1 and the strut 13 of the truss 1. I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locking piece 142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passenger frame 21 by the support frame 141, the horizontal portion 142A and the vertical portion of the locking piece 142 (142B) The front surface of the ride guide device of the high-dropping r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d (143) (143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rs (14),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14)는, 서로 직교되는 승용물 프레임(21)의 내측 방향으로 각각 지지프레임A,B(144)(144A)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A,B(144)(144A)의 선단부에 패드(144)(144A)를 각각 부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고공낙하 놀이기구의 승용물 가이드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acers 14, the support frame A, B (144, 144A) are formed to protrud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passenger vehicle frame 21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 support frame A, B A passenger guide apparatus for a high-dropping r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ds (144, 144A) are attached to the distal ends of the (144) and (144A) part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24)는 중공의 지지구(244)를 갖는 고정브라켓트(241)이 후방측에 구비되고, 전방측에는 구동바퀴(247)를 양측에서 핀(242A) 결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편(242)에 삽입관(243)이 후향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트(241)의 지지구(244)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관(243)은 지지구(244) 내부에서 스프링(245)으로 탄력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고공낙하 놀이기구의 승용물 가이드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roller 24 is provided with a fixing bracket 241 having a hollow support 244 on the rear side, the front wheel drive wheel 247 is coupled to the pin 242A from both sides An insertion tube 243 is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backwards in a pair of support pieces 242 that rotatably support and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244 of the fixing bracket 241, and the insertion tube 243 is A passenger guide device of a high-dropping r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244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245).
KR2020010025082U 2001-08-18 2001-08-18 The guide device of the play structure for dropping a high sky KR20027031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082U KR200270311Y1 (en) 2001-08-18 2001-08-18 The guide device of the play structure for dropping a high sk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082U KR200270311Y1 (en) 2001-08-18 2001-08-18 The guide device of the play structure for dropping a high sk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311Y1 true KR200270311Y1 (en) 2002-04-03

Family

ID=73107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082U KR200270311Y1 (en) 2001-08-18 2001-08-18 The guide device of the play structure for dropping a high sk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31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22716A1 (en) Multi-stage vertical open/close-type screen door operated by moving pulley
JPS62501627A (en) Crossing elevator
WO2010000912A1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in elevator maintenance
EP2138430A1 (en) Transport conveyor
RU2007126984A (en) LIFT INSTALLATION (OPTIONS)
JP6013559B1 (en) Elevator door equipment
JP4262796B2 (en) Elevator car suspension structure
KR101518136B1 (en) Safety Bridge System for Railway Platform
CN115477234A (en) Cable crane sports car
KR200270311Y1 (en) The guide device of the play structure for dropping a high sky
US7685944B2 (en) Cable tow whip ride with inside curves
JP4606858B2 (en) Elevator rope steady rest
JP2004262602A (en) Car for elevator
KR101583706B1 (en) Elevator system for multisection transportation
JP4574803B2 (en) Elevator door device
JP5398578B2 (en) Mobile steps on cableway platform
ITBO960479A1 (en) DEVICE TO PREVENT OSCILLATION OF THE PROTECTIVE HELMET OF DRIVERS OF VEHICLES SUCH AS MOTOR VEHICLES, AIRCRAFT AND VESSELS
KR101202840B1 (en) Screen door device
JP4606933B2 (en) Elevator landing equipment for seismic isolation buildings
RU2142841C1 (en) Vehicle, attractions
WO2011033178A1 (en) People mover
CN215097545U (en) Air bicycle and air entertainment system
CN215097542U (en) Aerial bicycle track and aerial bicycle system
RU2787420C1 (en) Cable car with stabilized cabins
CN218708456U (en) Constraint type sliding system of elevato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