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870Y1 - Feeding device for noodle machine - Google Patents

Feeding device for noodle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870Y1
KR200269870Y1 KR2020020001012U KR20020001012U KR200269870Y1 KR 200269870 Y1 KR200269870 Y1 KR 200269870Y1 KR 2020020001012 U KR2020020001012 U KR 2020020001012U KR 20020001012 U KR20020001012 U KR 20020001012U KR 200269870 Y1 KR200269870 Y1 KR 200269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late
hopper
flour
plate
stirr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01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준호
Original Assignee
박 종 기
박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 종 기, 박준호 filed Critical 박 종 기
Priority to KR2020020001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87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870Y1/en

Links

Landscapes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퍼(10)에 저장되는 밀가루를 설정된 양으로 믹싱기구(20)에 내려보내는 자동 제면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10)를 상하의 공간으로 양분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정 반경의 원주상에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간막이판(14); 상기 간막이판(14)과 연동하도록 그 상측으로 결합되는 교반익(12); 상기 간막이판(14)의 하측으로 장착되고, 외측면 상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톱니판(16); 및 상기 간막이판(14), 교반익(12), 톱니판(16)을 수용하도록 상기 호퍼(1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noodle machine for discharging the wheat flour stored in the hopper 10 to the mixing mechanism 20 in a predetermined amount: rotatably mounted to divide the hopper 10 into upper and lower spaces, A partition plate 14 having a plurality of holes in the plate; A stirring blade 12 coupled upwardly to interlock with the partition plate 14; A tooth plate 16 mounted below the partition plate 14 an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 housing 18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pper 10 to accommodate the partition plate 14, the stirring blade 12, and the tooth plate 16.

따라서, 밀가루와 물을 준비하고 스위치만 누르면 필요한 때에 원하는 양만큼의 국수를 생성하는 제면기에서 밀가루를 설정된 양만큼 가변적으로 배출하여 조리 시간을 줄이고 신속한 주문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the flour and water is prepared and the switch is pressed, the noodle machine, which generates the desired amount of noodles when necessary, variably discharges the flour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reby reducing cooking time and enabling rapid order processing.

Description

제면기의 정량공급 기구 {Feeding device for noodle machine}Feeding device for noodle machine {Feeding device for noodle machine}

본 고안은 제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가루와 물을 준비하고 스위치만 누르면 필요한 때에 원하는 양만큼의 국수를 생성하는 제면기에서 밀가루를 설정된 양만큼 가변적으로 배출하여 조리 시간을 줄이고 신속한 주문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제면기의 정량공급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odle making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to prepare flour and water and press a switch to produce a desired amount of noodles when needed, by variably discharging the flour by a set amount to reduce cooking time and speedy order processing. It relates to a fixed quantity feeding mechanism of the noodle making machine.

통상 국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밀가루를 물과 반죽하여 밀고 적절한 굵기로 절단하는 과정을 수작업에 의존하게 된다. 그러나 동시에 많은 주문을 처리해야 하는 음식점 등에서 이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종업원의 노동이 배가되어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게 되고 그렇다고 종업원의 수를 늘이면 수익성이 저하되므로 부적절하다.In general, to make noodles, the process of kneading wheat flour with water and cutting to an appropriate thickness is dependent on manual labor. However, if the same method is applied to a restaurant that needs to process a large number of orders at the same time, the labor of the employee is doubled and the quality of the service is reduced.

이를 위해 종래에는 반죽 또는 절단 등의 부분적인 작업을 기계에 의존하는 방식이 도입되기도 한다. 이는 비교적 빠른 시간내에 이미 예정된 분량의 국수를 준비하는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국수를 미리 만들어 보존하는데 따른 관리상의 주의가 필요하다.For this purpose, a method of conventionally relying on a machine for partial operations such as kneading or cutting may be introduced. Thi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repa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noodles in a relatively short time, but care must be taken to prepare and preserve the noodles in advance.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자동 제면기가 제안되는 바, 전 공정이 정해진 시컨스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행되어 원하는 양의 국수만 생성된다. 이러한 자동 제면기에 있어 다량으로 저장된 밀가루로부터 필요한 양만큼 정확하게 공정에 투입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설계 요소의 하나이다.In order to solve this disadvantage, the automatic noodle making machine is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and the entire process is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quence, so that only a desired amount of noodles is generated. In such automatic noodle making machine, it is one of the important design elements to make sure that the amount of wheat flour stored in the process is exactly as needed.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밀가루와 물을 준비하고 스위치만 누르면 필요한 때에 원하는 양만큼의 국수를 생성하는 제면기에서 밀가루를 설정된 양만큼 가변적으로 배출하여 조리 시간을 줄이고 신속한 주문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제면기의 정량공급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s flour and water and discharges the flour by a set amount from the noodle making machine to produce the desired amount of noodles when needed with a switch, thereby reducing the cooking time and enabling rapid order processing.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echanism.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가 적용되는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to which th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개념적으로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도식도,FIG. 2 is a schematic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main part of FIG. 1;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호퍼 12: 교반익10: hopper 12: stirring blade

14: 간막이판 20: 믹싱기구14: partition plate 20: mixing equipment

30: 연수탱크 40: 압연기구30: soft water tank 40: rolling mechanism

50: 세절기구 60: 커터50: cutting device 60: cutter

70: 컨베이어 80: 제어패널70: conveyor 80: control panel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호퍼(10)에 저장되는 밀가루를 설정된 양으로 믹싱기구(20)에 내려보내는 자동 제면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10)를 상하의 공간으로 양분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정 반경의 원주상에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간막이판(14); 상기 간막이판(14)과 연동하도록 그 상측으로 결합되는 교반익(12); 상기 간막이판(14)의 하측으로 장착되고, 외측면 상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톱니판(16); 및 상기 간막이판(14), 교반익(12), 톱니판(16)을 수용하도록 상기 호퍼(1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noodle machine for discharging the flour stored in the hopper 10 to the mixing mechanism 20 in a set amount: rotatably mounted to divide the hopper 10 into upper and lower spaces. A partition plate 14 having a plurality of holes on a circumference of a constant radius; A stirring blade 12 coupled upwardly to interlock with the partition plate 14; A tooth plate 16 mounted below the partition plate 14 an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 housing 18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pper 10 to accommodate the partition plate 14, the stirring blade 12, and the tooth plate 16.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간막이판(14)은 일측에 낙하되는 밀가루가 통과되는 안내구(15)를 일체로 구비한다.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plate 14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guide 15 through which the flour falling on one side pass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가 적용되는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개념적으로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도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to which th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s of Figure 1 in a conceptual block.

본 고안의 기구가 적용되는 자동 제면기는 호퍼(10), 믹싱기구(20), 연수탱크(30), 압연기구(40), 세절기구(50), 커터(60), 컨베이어(70) 등의 주요 구성품이 하나의 프레임 상에 일체로 결합된다.The automatic noodle machine to which th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uch as a hopper 10, a mixing mechanism 20, a soft water tank 30, a rolling mechanism 40, a cutting device 50, a cutter 60, a conveyor 70, and the like. The main components are integrally combined on one frame.

호퍼(10)는 밀가루를 저장하고 일정량씩 공급하는 것이며 밀가루를 상한 및 하한의 저장레벨이 표시되어 배출량이 항상 일정 범위로 안정된다. 호퍼(10)는 모터의 회전력으로 밀가루를 하방향 이송시켜 후속 공정에 투입하는데, 그 상세 구성과 작동은 후술하는 도 3을 참조한다.Hopper 10 is to store the flour and supply by a certain amount and the storage level of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flour is displayed, the discharge is always stable to a certain range. The hopper 10 transfers the wheat flour downwardly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puts it into a subsequent process,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연수탱크(30)는 상기 밀가루의 반죽을 위한 물을 저장하고 일정량씩 공급한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32는 연수탱크(30)의 물을 이송하는 펌프이고, 부호 34는 가수량을 조절하는 잠금밸브이고, 부호 36은 가수 유로를 신속하게 개폐 가능한 전자밸브이다.Soft water tank 30 stores the water for the dough of the flour and supplies a predetermined amount. In FIG. 2, reference numeral 32 denotes a pump for transferring water from the soft water tank 30, reference numeral 34 denotes a lock valv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and reference numeral 36 denotes an electromagnetic valve capable of quickly opening and closing the gas passage.

믹싱기구(20)는 순간 숙성된 소보로 형태의 원료를 생성하도록 상기 호퍼(10) 및 연수탱크(30)와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믹싱기구(20)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밀가루를 이송하는데, 그 상류단에서 노즐을 개재하여 연수탱크(30)와 배관으로 연결된다. 소보로란 밀가루가 물과 혼합되어 비교적 굵은 알갱이처럼 뭉친 상태를 의미한다.The mixing mechanism 20 is operatively connected with the hopper 10 and the soft water tank 30 to produce the raw material in the form of a bovine matured instantaneously. The mixing mechanism 20 transfers flour using a screw, and is connected to the soft water tank 30 and the pipe through a nozzle at an upstream end thereof. Soboro is a state in which flour is mixed with water to form a relatively coarse grain.

이외에도, 압연기구(40)는 상기 원료를 가압하여 판형태로 생성하고, 세절기구(50)는 상기 판형태의 원료를 일정한 굵기로 절단하여 국수를 생성하고, 커터(60)는 상기 국수를 일정한 길이 단위로 절단하고, 컨베이어(70)는 상기 절단된 국수를 배출한다. 제어패널(80)은 상기 각 주요 구성품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설정된 시컨스에 따라 동작을 제어한다. 주요 구성품은 전술한 호퍼(10), 믹싱기구(20), 연수탱크(30), 압연기구(40), 세절기구(50), 커터(60)를 모두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olling mechanism 40 pressurizes the raw material to produce a plate shape, the cutting mechanism 50 cuts the plate-shaped raw material to a certain thickness to produce noodles, the cutter 60 constant the noodle Cutting in length units, the conveyor 70 discharges the cut noodles. The control panel 8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major components and control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t sequence. The main components include all of the above-mentioned hopper 10, mixing mechanism 20, soft water tank 30, rolling mechanism 40, cutting mechanism 50, cutter 60.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호퍼(10)에 저장되는 밀가루를 설정된 양으로 믹싱기구(20)에 내려보내는 자동 제면기에 관련되며, 상부에 뚜껑(11)을 지니는 원통형의 호퍼(10) 내부에는 소정의 작동품이 내장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noodle machine for lowering the flour stored in the hopper 10 to the mixing mechanism 20 in a predetermined amount, and a predetermined working product is provided inside the cylindrical hopper 10 having a lid 11 at the top thereof. It is built.

본 고안에 따르면 일정 반경의 원주상에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는간막이판(14)이 상기 호퍼(10)를 상하의 공간으로 양분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간막이판(14)을 기준으로 호퍼(10)의 상부 공간에는 밀가루가 저장되고, 호퍼(10)의 하부 공간에는 모터와 연결하기 위한 기구적 구성이 수용된다. 상기 복수의 구멍은 간막이판(14)의 외단보다 약간 내측의 원주상에서 일정 각도 범위에 걸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간막이판(14)의 구멍에는 밀가루가 투입되어 낙하를 위한 대기 상태로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tion plate 14 having a plurality of holes on a circumference of a predetermined radius is rotatably mounted to divide the hopper 10 into upper and lower spaces. Flour is stored in the upper space of the hopper 10 based on the partition plate 14, and a mechanical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with a motor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space of the hopper 10. The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same size over a range of angles on the circumference slightly inward of the outer end of the partition plate 14. Flour is put into the hole of the partition plate 14 to be in a standby state for falling.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간막이판(14)과 연동하도록 그 상측으로 교반익(12)이 결합된다. 교반익(12)은 호퍼(10)에 적층 상태로 저장되는 밀가루가 서로 뭉치지 않도록 하여 간막이판(14)의 구멍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한다. 교반익(12)은 별도의 모터를 사용하거나, 또는 동일한 모터를 사용하더라도 적절한 변속기구를 개재시켜 교반익(12)과 다른 속도로 가동하는 구성도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rring blade 12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so as to interlock with the partition plate 14. Stirring blade 12 is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hole of the partition plate 14 so that the flour stored in the laminated state in the hopper 10 do not agglomerate with each other. The stirring blade 12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t a different speed from the stirring blade 12 even though a separate motor is used or the same motor is provided via an appropriate transmission mechanism.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외측면 상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톱니판(16)이 상기 간막이판(14)의 하측으로 장착된다. 톱니판(16)도 복수의 홈을 통해 밀가루가 일정량 단위로 낙하되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ooth plate 16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on the outer surface is mounted below the partition plate 14. The tooth plate 16 also allows the flour to fall in a predetermined amount unit through the plurality of grooves.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간막이판(14), 교반익(12), 톱니판(16)을 수용하도록 상기 호퍼(10)의 하단에 하우징(18)이 결합된다. 호퍼(10)의 하단을 하우징(18)에 삽착한 후 볼트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한다. 하우징(18)의 저면에는 간막이판(14)과 교반익(12)의 구동을 위한 모터가 장착된다. 하우징(18)에는 하방향의 믹싱기구(20)로 밀가루를 투입하기 위한 배출구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배출구까지 이송된 밀가루는 자중에 의하여 낙하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18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pper 10 to accommodate the partition plate 14, the stirring blade 12, the tooth plate 16. The lower end of the hopper 1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8 and then coupled to each other using bolts.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18, a motor for driving the partition plate 14 and the stirring blade 12 is mounted. The housing 18 is also provided with an outlet for injecting flour into the mixing mechanism 20 in the downward direction. Accordingly, the flour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port falls by its own weight.

이때, 본 고안의 간막이판(14)은 일측에 낙하되는 밀가루가 통과되는 안내구(15)를 일체로 구비한다. 안내구(15)는 배출구 부근의 간막이판(14)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밀가루의 낙하를 돕는다.At this time, the partition plate 1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guide (15) through which the flour falling on one side. Guide port 15 is integrally fixed to the top of the partition plate 14 in the vicinity of the outlet to help the fall of the flour.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구를 작동하기 위한 구동모터는 전술한 제어패널(80)과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제어패널(80)은 다시 주제어기인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도시 생략)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어패널(80)을 통하여 제면량을 세팅하면 본 고안의 기구는 설정된 시간만큼 작동된다.Such a driving motor for operating th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80 described above. The control panel 80 is again connected to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not shown) which is a main controller. Accordingly, when the amount of noodle is set through the control panel 80,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for a set tim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밀가루와 물을 준비하고 스위치만 누르면 필요한 때에 원하는 양만큼의 국수를 생성하는 제면기에서 밀가루를 설정된 양만큼 가변적으로 배출하여 조리 시간을 줄이고 신속한 주문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s flour and water, presses a switch, and variably discharges the flour by a set amount from the noodle making machine to produce the desired amount of noodles when needed, thereby reducing cooking time and enabling rapid order processing. It works.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modific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호퍼(10)에 저장되는 밀가루를 설정된 양으로 믹싱기구(20)에 내려보내는 자동 제면기에 있어서:In the automatic noodle machine for lowering the flour stored in the hopper 10 to the mixing mechanism 20 in a set amount: 상기 호퍼(10)를 상하의 공간으로 양분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정 반경의 원주상에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간막이판(14);A partition plate 14 rotatably mounted to divide the hopper 10 into upper and lower spaces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on a circumference of a predetermined radius; 상기 간막이판(14)과 연동하도록 그 상측으로 결합되는 교반익(12);A stirring blade 12 coupled upwardly to interlock with the partition plate 14; 상기 간막이판(14)의 하측으로 장착되고, 외측면 상에 복수의 홈을 구비하는 톱니판(16); 및A tooth plate 16 mounted below the partition plate 14 an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상기 간막이판(14), 교반익(12), 톱니판(16)을 수용하도록 상기 호퍼(1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기의 정량공급 기구.And a housing (18)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pper (10) to accommodate the partition plate (14), stirring blade (12), and tooth plate (16).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간막이판(14)은 일측에 낙하되는 밀가루가 통과되는 안내구(15)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기의 정량공급 기구.The partitioning plate 14 is a fixed quantity supply mechanism of the noodl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guide (15) through which the flour falling on one side passes.
KR2020020001012U 2002-01-12 2002-01-12 Feeding device for noodle machine KR20026987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012U KR200269870Y1 (en) 2002-01-12 2002-01-12 Feeding device for noodle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012U KR200269870Y1 (en) 2002-01-12 2002-01-12 Feeding device for noodle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870Y1 true KR200269870Y1 (en) 2002-03-23

Family

ID=73116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012U KR200269870Y1 (en) 2002-01-12 2002-01-12 Feeding device for noodle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87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9203A (en) Vacuum kneading and extruding apparatus
JPH06319427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bread baking
CA2754198C (en) Variable diameter, variable pitch auger with material scraper and breaker bar
CN107927554B (en) Automatic steamed sponge cake production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0269870Y1 (en) Feeding device for noodle machine
AU2003203931B2 (en) Device and method for dough production
KR101446218B1 (en) Appratus for forming dough sheet in equipment for forming food dough
KR20040050616A (en) A rice cake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apparatus
CN202588167U (en) Stuffed cake preparer
CN212331385U (en) Novel ceramic feeding device
KR101426688B1 (en) Dough forming machine for chinese pancake
JP3115950U (en) Raw material supply device for noodle making machine
KR200307036Y1 (en) Dough drop for noodle machine
KR20030061901A (en) Device for producing noodles automatically
CN213523640U (en) Moon cake divides filling machine
JP3189549U (en) Raw material supply device for noodle making machine
KR200269871Y1 (en) Mixing device for a noodle machine
JP2004313165A (en) Method for producing noodle and device for the same
CN220494094U (en) Automatic noodle machine
KR200307038Y1 (en) Rolling device for noodle machine
RU2221454C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of macaroni products
CN220936517U (en) Integrated noodle processing equipment
CN220734215U (en) Fresh wet noodle machine
JP3975285B2 (en) A device for adjusting the supply amount of mince in the mince dividing device
KR200307037Y1 (en) Eliminating device for a noodl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