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797Y1 - 브레커의 진공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커의 진공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797Y1
KR200269797Y1 KR2020010039322U KR20010039322U KR200269797Y1 KR 200269797 Y1 KR200269797 Y1 KR 200269797Y1 KR 2020010039322 U KR2020010039322 U KR 2020010039322U KR 20010039322 U KR20010039322 U KR 20010039322U KR 200269797 Y1 KR200269797 Y1 KR 200269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breaker
piston
cylind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운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운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운중공업
Priority to KR2020010039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7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797Y1/ko

Links

Landscapes

  • Actu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압 브레커(breaker)에 관한 것으로, 유압 브레커의 피스톤과 로드의 타점이 형성되면서 내부 공간에 진공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도록 하는 브레커의 진공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유압 브레커에 있어서, 프론트 헤드의 내부 공간과 실린더의 측면 및 상부를 연결하는 에어통로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 측면에 형성된 에어통로에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압력에 의하여 에어를 배출하고 흡입하는 왕복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실린더 상부에 형성된 에어통로는 밀봉나사로 막아주거나 에어 콤푸레서와 연결시키도록 하므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브레커의 진공 방지 장치{Non vacuume state system of braker}
본 고안은 유압 브레커(breaker)에 관한 것으로, 유압 브레커의 피스톤과 로드의 타점이 형성되면서 내부 공간에 진공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도록하는 브레커의 진공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압브레커는 실린더 내부에서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키고, 상기 피스톤은 로드를 타격하여 소망의 작업을 행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피스톤이 로드를 타격하는 작업이 반복될수록 즉 피스톤의 왕복운동이 진행될수록 피스톤과 로드의 선단이 위치한 프론트 헤드의 내부공간에 진공이 발생하여 타격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같이 프론트 헤드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타격이 불가능해 지는 경우 작업을 중단하고 강제로 피스톤을 좌우로 회동시켜 프론트 헤드의 내부 진공상태를 해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프론트 헤드의 내부공간에 진공상태가 발생하면 피스톤의 왕복운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기기의 수명이 단축되며, 진공상태가 해소될 때까지의 작업이 중단되는 문제와 함께 강제로 피스톤을 움직여 주어여 하므로 구조적으로도 불합리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 한 것으로, 유압 브레커의 프론트 헤드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에어통로를 형성시키되 상기 에어통로에 왕복밸브를 설치하여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른 압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왕복밸브가 이동하면서 에어를 배출하고 흡입하므로써 진공상태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유압 브레커에 있어서, 프론트 헤드의 내부 공간과 실린더의 측면 및 상부를 연결하는 에어통로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 측면에 형성된 에어통로에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압력에 의하여 에어를 배출하고 흡입하는 왕복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실린더 상부에 형성된 에어통로는 밀봉나사로 막아주거나 에어 콤푸레서와 연결시키도록 하므로써 이루어진다.
도 1 은 본 고안 브레커의 측면도
도 2 는 본 고안 브레커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진공방지용 왕복밸브 닫힘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진공방지용 왕복밸브 열림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밀봉나사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압 브레커 2 : 실린더 3 : 프론트 헤드
4 : 백헤드 5 : 피스톤 8 : 내부공간
10 : 로드 20 : 에어통로 21 : 단턱
22 : 왕복밸브 23 : 통공 24 : 돌기부
25 : 홀더 26 : 통공 27 : 밀봉나사
본 고안은 유압 브레커(1)에 있어서, 프론트 헤드(3)의 내부공간(8)을 외부와 연결시키기 위한 에어통로(20)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 통로(20)에는 피스톤(5)의 왕복운동에 따라 에어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왕복밸브(22)를 설치하여 내부공간(8)에 진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유압 브레커(1)는 완충장치(6)와 밸브하우징(7)이 구비된 실린더(2)의 전방에 프론트 헤드(3)가 결합되고 후방에 백 헤드(4)가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3)내부에는 피스톤(5)이 위치하고 상기 프론트 헤드(2)의 내부에는 로드(10)가 위치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로드(10)는 로드핀(11)에 의하여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한편 커버(14)가 하부에 씌워지고 내부에 스러스트 부시(13)와 스러스트 링(12)이 구비된다.
본 고안은 상기된 피스톤(5)의 선단과 로드(10)의 선단이 위치하는 프론트 헤드(2)의 내부공간(8)에 피스톤(5)의 왕복에 의한 로드(10)의 타격으로 진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내부공간(8)과 외부를 연결하는 에어통로(20)를 형성하되 상기 에어통로(20)는 프론트 헤드(2)와 실린더(3)및 백헤드(4)를 관통하여 설치하고, 상기 에어통로(20)의 입구는 실린더(2)의 측면과 백헤드(4)의 상부에 형성시킨다.
상기 실린더(2)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통로(20)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단턱(21)가 지게하고, 내부에 수 개의 통공(23)이 형성되며 중앙에 돌기부(24)가 형성된 왕복밸브(22)를 삽입시키고, 상기 왕복밸브(22)의 외측으로 통공(26)이 형성된 홀더(25)를 끼우되 왕복밸브(22)와 홀더(25)사이에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왕복밸브(22)가 단턱(21)진 곳에서 홀더(25)의 선단까지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왕복밸브(22)의 중앙에 형성된 돌기부(24)는 홀더(25)의 통공(26)내측에 끼워져 밀봉이 이루어지게 하고, 홀더(25)의 통공(26)외측에는 도시되지 아니한 밀봉나사가 끼워지게 한다.
그리고 백헤드(4)에 형성된 에어통로(20)에는 밀봉나사(27)를 끼워주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유압 브레커(1)는 실린더(2)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5)이 프론트 헤드(3)에 끼워진 로드(10)를 타격하도록 하고 상기 로드(10)는 스러스트 부시(13)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목표물을 타격하게 되며, 상기 로드(10)는 로드핀(11)이 끼워져 있어 로드(1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왕복이동을 도와 주도록 한다.
이때 스러스트링(12)은 내부공간(8)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완충장치(6)는 피스톤(5)의 왕복이동시 발생되는 압력을 완충시켜 주게 되며, 벨브 하우징(7)은 피스톤(5)의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밸브를 조작하게 된다.
이러한 유압 브레커(1)는 공지된 구성으로써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피스톤(5)이 로드(10)를 타격하게 되는 타점이 형성되면서 내부공간(8)이 진공상태가 되는 경우를 없애주는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피스톤(5)이 로드(10)를 타격하기 위하여 하강하게 되면 즉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내부공간(8)의 에어가 압축되게 되고, 상기 내부공간(8)의 압축에어에 의해 왕복밸브(22)는 도 3 과 같이 이동하여 돌기부(24)가 홀더(25)의 통공(26)을 막아주도록 하여 에어가 통공(23)(2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왕복밸브(22)가 이동할 때 왕복밸브(22)가 홀더(25)를 막아주기 직전까지는 에어가 배출되게 되며, 왕복밸브(22)의 돌기부(24)가 홀더(25)의 통공(26)을 막아주고, 홀더(25)가 왕복밸브(22)의 통공(26)을 막아주게 되면 에어의 배출은 없게 된다.
반대로 피스톤(5)이 상승하게 되면 즉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내부공간(8)이 넓어져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왕복밸브(22)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되므로 통공(23)(26)이 모두 열려 외부에어가 흡입되게 된다.
따라서 내부공간(8)이 진공이 발생할 우려가 없으며, 에어는 왕복밸브(22)의 이동에 따라 흡입 또는 배출되게 되는 것으로, 피스톤(5)이 로드(10)를 타격하는 타점 형성시 내부공간(8)에서 발생하는 진공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유압 브레커(1)의 실린더(2)부위까지 잠기는 수중작업을 할 경우는 홀더(25)의 외측에서 통공(26)에 도시되지 아니한 밀봉나사를 끼워 밀봉을 시킴으로서 왕복밸브(22)쪽으로는 에어가 흐르지 않도록 하고, 백헤드(4)에 형성된 에어통로(20)에 끼워진 밀봉나사(27)를 풀어낸 후 상기 밀봉나사(27)가 끼워진 자리에 에어 콤프레서를 연결하여 강제로 에어를 공급하도록 한다.
이때 에어 콤프레서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기압을 공급하게 하면 내부공간(8)에 발생된 흡입력으로 충분한 에어를 흡입시킬 수 없게 되므로, 에어 콤프레서를 이용하여 압축에어를 강제로 밀어 넣도록 하여 내부공간(8)에서의 진공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은 유압 브레커의 피스톤과 로드의 타점이 형성되면서 내부 공간에 진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진공발생으로 인한 순간적인 타격이 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며, 작업이 중단되거나 피스톤을 회동시키는 불편함도 사라지게 된다.

Claims (2)

  1. 완충장치(6)와 밸브하우징(7)이 구비된 실린더(2)의 전방에 프론트 헤드(3)가 결합되고 후방에 백 헤드(4)가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2)내부에는 피스톤(5)이 위치하고 상기 프론트 헤드(3)의 내부에는 로드(10)가 위치되게 구성된 유압 브레커(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5)의 선단과 로드(10)의 선단이 위치하는 프론트 헤드(3)의 내부공간(8)과 외부를 연결하는 에어통로(20)를 형성하되 상기 에어통로(20)는 프론트 헤드(3)와 실린더(2) 및 백헤드(4)를 관통하여 설치하고, 상기 에어통로(20)의 입구는 실린더(2)의 측면과 백헤드(4)의 상부에 형성시키며, 상기 실린더(2)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통로(20)에는 중앙에 통공(26)이 형성된 홀더(25)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공(23)이 형성되고 중앙에 돌기부(24)가 형성된 왕복밸브(22)가 이동되게 설치하며, 상기 백헤드(4)의 상부에 형성된 에어통로(20)에는 밀봉나사(27)를 끼워주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커의 진공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홀더(25)에 형성된 통공(26)의 외측에는 밀봉나사가 끼워지게 하고, 왕복밸브(22)는 에어통로(20)에 단턱(21)을 주어 이동거리가 제한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커의 진공 방지 장치.
KR2020010039322U 2001-12-19 2001-12-19 브레커의 진공 방지 장치 KR200269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322U KR200269797Y1 (ko) 2001-12-19 2001-12-19 브레커의 진공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322U KR200269797Y1 (ko) 2001-12-19 2001-12-19 브레커의 진공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797Y1 true KR200269797Y1 (ko) 2002-03-23

Family

ID=7311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322U KR200269797Y1 (ko) 2001-12-19 2001-12-19 브레커의 진공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7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570B1 (ko) 2016-04-05 2016-08-16 주식회사 제일지엔시 브레이커 실린더 자동 사상 및 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570B1 (ko) 2016-04-05 2016-08-16 주식회사 제일지엔시 브레이커 실린더 자동 사상 및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1140B1 (en) Fastener driving tool
KR101751409B1 (ko) 유압타격장치용 타격몸체
KR19980018458A (ko) 사전 압축 스프레이어
KR200269797Y1 (ko) 브레커의 진공 방지 장치
JP2002507938A (ja) 空気充填式空気ばね打撃装置
JP2005211807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100531829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지지장치
KR20120050215A (ko) 유압브레이커의 밸브장치
KR100414116B1 (ko) 압축기 압축기구부의 마찰손실 저감구조
KR101846944B1 (ko) 진동발생장치
CN218644813U (zh) 一种磁性排气阀
KR200261198Y1 (ko) 에어모터
CN217081536U (zh) 气动钉枪的控制阀结构
KR101189448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밸브파괴 방지구조
CN217683472U (zh) 一种液压破碎锤的换向阀总成
JPH06280262A (ja) ハンマー装置
KR20220059093A (ko) 진공타격식 저소음형 유압브레이커
KR100307948B1 (ko) 피스톤 와이퍼를 갖는 유압해머
CN203431256U (zh) 破碎锤本体防尘进气阀
KR20080001806A (ko) 작동이 양호한 에어 노커
CN116816745A (zh) 一种往复运动装置及打击锤
KR100455194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가스 토출장치
KR100343715B1 (ko) 리니어 압축기의 밸브 결합구조
JP3918364B2 (ja) 打込機
KR101711628B1 (ko) 공압 브레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