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710Y1 - Interior wall finishing structure of Cultural Heritage Store - Google Patents

Interior wall finishing structure of Cultural Heritage St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710Y1
KR200269710Y1 KR2019980021276U KR19980021276U KR200269710Y1 KR 200269710 Y1 KR200269710 Y1 KR 200269710Y1 KR 2019980021276 U KR2019980021276 U KR 2019980021276U KR 19980021276 U KR19980021276 U KR 19980021276U KR 200269710 Y1 KR200269710 Y1 KR 200269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finishing
humidity contro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27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09368U (en
Inventor
박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공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to KR2019980021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710Y1/en
Publication of KR200000093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36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710Y1/en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국가의 귀중한 문화재를 습기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문화재 수장고의 내벽마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수장고 내벽의 내측에 부착되며, 연질섬유질패널과 중질섬유질패널이 중첩되어 내부에 공기유통로가 형성되는 내벽마감용 조습패널과, 상기 내벽마감용 조습패널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세로 및 가로 이격틈을 커버하면서 공기의 유통이 허용되도록 일정간격의 공간이 확보되게 설치되는 세로 및 가로 띠장으로 수장고 내벽을 마감하며, 또한 상기 내벽마감용 조습패널은 목질계섬유질이 저밀도로 압축성형된 연질섬유질패널과 목질계섬유질이 고밀도로 압축성형되고 일면에 수개씩의 가로홈 및 세로홈이 격자상으로 교차되게 형성된 중질섬유질패널과를 접착제로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interior wall finishing structure of the cultural storage for safe storage of the precious cultural property of the country from moisture,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the soft fiber panel and the heavy fiber panel overlap the air flow path is formed inside Cover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gap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finishing humidity control panel and the inner wall finishing humidity control panel, and closes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cabinet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bands which are installed to secure a certain space to allow air flow. In addition, the humidity control panel for inner wall finishing is a soft fiber panel in which the wood-based fibers are compression molded at low density and the wood-based fiber is compacted at a high density,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grooves and vertical grooves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in a lattice shape on one surface. It is characterized by adhering the fibrous panel with an adhesive.

Description

문화재 수장고의 내벽마감구조Interior wall finishing structure of the cultural assets storage

본 고안은 국가의 귀중한 문화재를 습기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문화재 수장고의 내벽마감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inner wall finishing structure of the cultural asset storage room to keep the precious cultural property of the country safe from moisture.

일반적으로 유물 등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는 온도와 습도를 알맞게 유지해야 하며, 특히 각 문화재의 재질에 따라 적합한 온·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만 문화재를 영구적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safely keep cultural assets such as relic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must be properly maintained. In particular, the proper temperature and humidity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each cultural asset must be kept constant so that the cultural assets can be stored safely permanently.

이를 위한 종래 기술의 문화재 수장고는 습기를 흡수하는 성질과 방출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는 대표적인 나무로서 오동나무와 삼나무를 가공하여 수장고의 내벽마감재로 사용하여 왔지만 상기 원목들은 지속적인 습기의 흡방습작용(흡수 및 방출작용)으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게 되므로서 균열과 틈새 및 휨 등에 의한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변형현상에 대하여 별도의 보완책이 없이 원목류로만 수장고 내벽을 마감할 경우 수축팽창으로 인한 변형으로 수장고 외부의 열기, 습기 등 기타 다양한 오염인자들이 내부로 침입하여 일정한 온·습도 환경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며, 때문에 수장고 내부 마감재는 습기의 흡방습력이 뛰어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지속적인 흡방습작용으로 인한 균열, 휨과 같은 변형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The prior art cultural asset store for this purpose is a representative tree having moisture absorbing and releasing properties and has been used to process paulownia and cedar as an inner wall finishing material of the store, but the logs have a continuous moisture absorption and desorption effect (absorption and As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are repeated by the release action, deformation due to cracks, gaps and warpage is caused. If the interior wall of the cabinet is closed only with wooden goods without any additional countermeasures for this phenomenon, various external contaminants such as heat and humidity outside the cabinet are invaded and prevented from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And, because the cabinet interior finish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moisture absorption and moisture absorption, while the deformation and deformation such as cracking, bending due to the continuous moisture absorption and moisture action.

그리고 수장고 온·습도를 관리함에 있어 수장고 내벽 마감재 외에 항온항습장치를 지속적으로 가동시켜 수장고 내부위 온·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법이 있는데, 상기한 항온항습장치는 기계적인 힘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공기를 기설정된 온도와 습도로 조절하는 기능이 있어 수장고에 보관된 문화재가 요구하는 온·습도로 알맞게 조절하여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관하게 된다.In addition, in managing the sto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there is a method of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storage cabinet by continuously operat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ystem in addition to the interior wall finishing material of the storage cabinet.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ystem circulates the air by mechanical force. It has the function to control the air to the preset temperature and humidity, so that the cultural property is safely stored by adjusting it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required by the cultural property stored in the storage.

그러나 상기한 항온항습장치는 지속적으로 가동시켜야만 수장고 내부의 온·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가동시키는데 따른 가동비 등의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항온항습장치가 고장을 일으키게 될 경우에는 고장으로 인하여 가동이 장기간 동안 중지될 경우 수장고 내부의 온·습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없게 되어 문화재를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must be continuously operated, so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storage cabinet can be kept constant. Therefore, there is an economic problem that requires a large amount of maintenance costs such as operating costs for operating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In the case of the operation, if the operation is suspended for a long time due to a failure,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torage can not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causing a problem of damaging the cultural property.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습기의 침투를 차단하는 불투습패널로 구축된 수장고 내벽의 내부에 습기를 흡수 및 방출하는 특성을 지닌 목질계재료로 제작된 조습패널을 수장고 내벽마감재로 사용토록 함에 있어 상기 조습패널 자체에 공기유통로를 형성하는 수단으로 항온항습장치의 가동을 장시간 동안 정지시키더라도 내벽마감재인 조습패널 자체가 수장고 내부의 공기 중에 존재하는 습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습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상기 조습패널에 형성된 공기유통로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도록 각 조습패널들 사이에 형성시킨 공기유통용 틈새를 세로 및 가로 띠장으로 마감처리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humidity control panel made of a wood-based material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absorbing and releasing moisture in the interior wall of the cabinet built with an impervious panel that blocks the penetration of moisture The humidity control panel itself, which is an inner wall finishing material, is sensitive to the humidity change in the air inside the storage cabinet even when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is stopped for a long time as a means of forming an air flow path in the humidity control panel itself. It is aimed to keep the humidity at an appropriate level by reacting to the same, and also to vertically form a gap for air distribution formed between each humidity control panel so that air flows in and out smoothly into the air flow path formed in the humidity control panel. And it is another feature to finish with a horizontal strip.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문화재를 보관하는 수장고에 있어서,In the store storing cultural property,

상기 수장고 외벽의 내측에 부착되며, 연질섬유질패널과 중질섬유질패널이 중첩되어 내부에 공기유통로가 형성되는 내벽마감용 조습패널과;A humidity control panel attached to an inner side of the storage wall and having an air flow path formed therein by overlapping the soft fiber panel and the heavy fiber panel;

상기 내벽마감용 조습패널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세로 및 가로 이격틈을 커버하면서 공기의 유통이 허용되도록 일정간격의 공간이 확보되게 설치되는 세로 및 가로 띠장;Longitudinal and horizontal strips are installed so as to secure a space of a certain interval so as to allow the flow of air while cover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gaps formed between the humidity control panels for finishing the inner wall;

으로 수장고 내벽을 마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lose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또한 상기 내벽마감용 조습패널은 목질계섬유질이 저밀도로 압축성형된 연질섬유질패널과, 목질계섬유질이 고밀도로 압축성형되고 일면에 수개씩의 가로홈 및 세로홈이 격자상으로 교차되게 형성된 중질섬유질패널과를 접착제로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umidity control panel for finishing the inner wall is a soft fiber panel in which the wood-based fibers are compression molded at low density, and the heavy fiber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wood-based fibers are compacted at high density and several horizontal grooves and vertical grooves cross each other in a lattice shape. It is characterized by bonding the panel with an adhesive.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내벽마감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들.1 and 2 are front exemplary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ner wall finish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인 조습패널의 사시도들.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humidity control panel that is the main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조습패널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유통로를5 and 6 is an air passage formed in the humidity panel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나타내는 단면도들.Cross-sectional views.

도 7은 도 1의 A-A선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8은 도 2의 B-B선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 : 내벽마감용 조습패널 2 : 연질섬유질패널1: humidity control panel for interior wall finishing 2: soft fiber panel

3 : 중질섬유질패널 4 : 공기유통로3: heavy fiber panel 4: air channel

5 : 외벽 7 : 세로 띠장5: outer wall 7: longitudinal band

8 : 가로 띠장 41 : 세로홈8: horizontal strip 41: vertical groove

42 : 가로홈 61 : 받침각재42: horizontal groove 61: support angle

62 ,63,64 : 보강각재 81,82 : 상,하부 가로 띠장62, 63,64: Reinforcement shell material 81,82: Upper and lower horizontal bands

S1∼S4: 이격틈S 1- S 4 : Spacing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내벽마감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들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인 조습패널의 사시도들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조습패널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유통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며, 도 7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1 and 2 are front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ner wall finish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humidity control panel that is the main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flow path formed inside the humidity panel of the embodiment,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ure 2,

도면부호 1은 내벽마감용 조습패널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은 연질섬유질패널(2)과 중질섬유질패널(3)이 접착제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접착되어 단일체의 패널을 구성하는 것이다.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humidity control panel for inner wall finishing, wherein the humidity control panel 1 for inner wall finishing is composed of a single panel in which the soft fiber panel 2 and the heavy fiber panel 3 are integrally bonded by an adhesive. It is.

상기한 연질섬유질패널(2)과 중질섬유질패널(3)은 소나무류의 원목을 제재하고 남게 되는 폐목이나 대패질에 의해 생성된 대팻밥 및 톱밥을 0.5∼3.0mm 정도의 크기로 분쇄된 것을 원료로 하여 압축 성형되는 것인데, 상기 연질섬유질패널(2)의 경우는 330∼380Kg/cm3의 압력으로 압축된 저밀도로 성형되어 습기를 흡수하는 미세한 기공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 수장고 내부(IN)의 공기 중에 습기가 설정치 보다 많을 경우에는 습기를 흡수하는 작용을 하며, 그 반대로 습기가 적을 경우에는 흡수하고 있던 습기를 방출하는 작용을 하는 특성이 있으며, 또한 상기 중질섬유질패널(3)의 경우는 680∼730Kg/cm3의 압력으로 압축된 고밀도로 성형되어 상기한 연질섬유질패널(2) 보다는 습기를 흡수하는 기공은 적게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내벽마감재가 지녀야할 압축강도를 보유하는 특징이 있으며, 또 상기한 중질섬유질패널(3)에는 상기 연질섬유질패널(2)이 공기와의 접촉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수개의 세로홈(41)과 가로홈(42)들이 서로 교차되어 공기가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순환되게 하는 공기유통로(4)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며, 또는 공기유통로(4)가 세로방향으로만 형성되게 세로홈(41)만 형성시키거나 공기유통로(4)가 가로방향으로만 형성되게 가로홈(42)만을 형성시킬 수 있다.The soft fiber panel (2) and the heavy fiber panel (3) is a raw material obtained by crushing the large rice and sawdust produced by the waste wood or planer left over from the logs of pines to the size of 0.5 ~ 3.0mm In the case of the soft fiber panel (2) is molded at a low density compressed at a pressure of 330 ~ 380Kg / cm 3 is distributed a lot of fine pores that absorb moisture, moisture in the air inside the storage cabinet (IN) If more than the set value to absorb the moisture, on the contrary, if the moisture is less there is a characteristic to release the absorbed moisture, and in the case of the heavy fiber panel (3) 680 ~ 730Kg / Molded to a high density compressed by a pressure of cm 3 has less pores to absorb moisture than the soft fiber panel (2) described above, whil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inner wall finishing material In addition, the heavy fibrous panel 3 has several longitudinal grooves 41 and horizontal grooves 42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soft fibrous panel 2 can be made in contact with air. ) Cross each other to form an air flow path (4) to allow air to circulate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or to form only the vertical groove (41) so that the air flow path (4) is formed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ly the horizontal groove 42 may be formed such that the air flow path 4 is formed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와 같이 연질섬유질패널(2)과 중질섬유질패널(3)을 접착제로 접착시킨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을 이용하여 수장고의 내벽을 구축하는데 따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cabinet by using the humidity control panel (1) for finishing the inner wall of the flexible fiber panel (2) and the heavy fiber panel (3) with an adhesive as described above.

상기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은 습기를 차단하는 불투습패널로 구축된 수장고 외벽(5)의 내면에 나사못이나 타정총 등으로 고정 부착되는 것인데, 도 1의 도시예와 같이 바닥(G)과 천장(T) 사이에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을 1단으로 설치하면서 좌,우로 배열하는 수단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또는 도 2의 도시예와 같이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을 2단으로 설치하면서 좌,우로 배열하는 수단으로 설치할 수 있다.The humidity control panel (1) for finishing the inner wall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5), which is constructed of an impervious panel that blocks moisture, and is fixedly attached with a screw or a tableting gun, etc., as shown in FIG. It can be installed by means of arranging the left and right humidity control panel 1 for finishing the inner wall finishing between the ceiling and the ceiling (T) in one stage, or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It can be installed by means of arranging left and right while installing in stages.

상기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을 1단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의 상,하단이 바닥(G)과 천장(T)과의 사이에 상,하부 이격틈(S1)(S2)이 형성되게 설치하는데, 바닥(G)과의 사이에 형성된 하부 이격틈(S2)에는 받침각재(61)를 개입시켜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을 지지하도록 한다.When the humidity control panel 1 for finishing the inner wall is installed in one stage, the upper and lower gaps between the floor G and the ceiling 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umidity control panel 1 for finishing the inner wall S 1 ) (S 2 ) is installed to be formed, the lower spaced gap (S 2 ) formed between the bottom (G) to support the humidity control panel (1) for finishing the inner wall through the support angle material (61).

상기한 받침각재(61)는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에 형성된 공기유통로(4)를 막지 않도록 세로홈(41)들 각각의 사이에 위치한 채 지지하도록 토막상태로 구성된 것이다.The support angle member 61 is configured in a state of slicing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each of the vertical grooves 41 so as not to block the air flow passage 4 formed in the humidity control panel 1 for inner wall finishing.

상기 불투습패널(5) 내측에 1단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좌,우로 배열되는 각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들의 좌,우 양측에는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세로 이격틈(S3)이 형성되게 설치하고, 상기 세로 이격틈(S3)의 상,하부와 중간부분에 일정간격을 두고 작은 토막으로 된 보강각재(62)를 고정시키는데, 상기한 각 보강각재(62)들은 세로 이격틈(S3)을 형성하고 있는 양쪽의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의 가장자리에 걸쳐진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각 보강각재(62)들은 세로 이격틈(S3)을 커버하는 세로 띠장(7)이 공기의 유통공간을 확보한 채 부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세로 띠장(7)에 의해 가려진 상태가 된다.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of the inner wall finishing humidity control panels 1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in the state attached to the first stage inside the impermeable panel 5, the vertical separation gap (S 3 ) so that air can be passed through It is installed to be formed, and to fix the reinforcement shell material 62 made of small piec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upper, lower and middle portions of the vertical spacing (S 3 ), each of the reinforcement shell materials 62 are vertical spacing (S 3 ) is fixed in a state spanning the edges of the both side wall finishing humidity control panel (1), and each of the reinforcement shell 62 is a vertical band (S 3 ) to cover the vertical gap (S 3 ) 7) can be attached while securing the air circulation space, and at the same time, it is covered by the vertical stripe 7.

상기와 같이 세로 이격틈(S3)이 형성되게 좌,우로 연속해서 설치되는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들의 상,하단에는 길이가 긴 상,하부 가로 띠장(81)(82)이 부착되며, 또한 상기 세로 띠장(7)은 상,하부 가로 띠장(81)(82) 사이에 꼭 끼이게 설치되어 각 세로 이격틈(S3)을 커버하는 것이다.Long, upper and lower horizontal bands 81 and 82 ar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umidity control panels 1 for finishing the inner wall which are continuously installed to the left and the right to form the vertical gap S 3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vertical stripe 7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stripe 81 (82) tightly to cover each vertical gap (S 3 ).

그리고, 도 2의 도시예와 같이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을 2단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1단측 하단부분과 2단측 상단부분에는 전술한 실시예(내벽마감용 조습패널을 1단으로 설치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하부 가로 띠장(81)(82)을 설치하고, 1단측 상단부분과 2단측 하단부분 사이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가로 이격틈(S4)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가로 이격틈(S4)에도 작은 토막으로 된 보강각재(63)를 일정간격으로 부착시킨 후 가로 띠장(8)을 부착하므로서 가로 이격틈(S4)은 가로 띠장(8)에 의해 커버됨과 동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installing the humidity control panel 1 for inner wall finishing in two stages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2,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humidity control panel for inner wall finishing is installed in one stage)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bands 81 and 82 are installed, and horizontal gaps S 4 are formed to allow air to flow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irst stage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stage. The horizontal gap (S 4 ) is also attached to the reinforcement shell material (63) made of small pieces at regular intervals, and then the horizontal band (8) is attached so that the horizontal gap (S 4 ) is covered by the horizontal band (8) and Space for the simultaneous air can be secured.

상기와 같이 가로 띠장(8)을 설치한 다음 가로 띠장(8)의 전면에 세로 띠장(7)이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하는데, 세로 띠장(7)을 받쳐주는 보강각재(64)의 두께는 가로 이격틈(S4)에 설치되는 보강각재(63)와 가로 띠장(8)의 두께를 합한 것과 같은 두께로 된 것을 사용하므로서 가로 띠장(8)의 전면으로 세로 띠장(7)이 포개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After installing the horizontal strip (8)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strip (7)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horizontal strip (8),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shell material (64) supporting the vertical strip (7) is horizontal By us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shell material 63 and the horizontal strip 8 to be installed in the separation gap (S 4 ) while the vertical strip (7) is stacked on the front of the horizontal strip (8). It is installed.

한편,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 수장고의 외벽(5)은 습기의 침투를 차단하는 불투습패널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한 불투습패널은 내수합판의 양면에 알루미늄판지가 도포되어 외부의 습기 및 기타 오염인자를 차단하는 작용과 내부의 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으로 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outer wall 5 of the storage is composed of an impervious panel to block the penetration of moisture, the impervious panel is coated with aluminum sheet on both sides of the water-resistant plywood to the outside moisture and other It is designed to block the pollutant and to prevent the internal moistur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수장고 외벽(5)의 내측 사방에 1단 또는 2단으로 좌,우 연속해서 부착된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들 각각은 그 내부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유통로(4)가 상,하,좌,우측에 형성된 상,하부 이격틈(S1)(S2)과 세로 이격틈(S3) 및 가로 이격틈(S4)과 서로 연통하는 상태이므로 수장고 내부(IN)의 공기가 대류작용으로 순환될 때 상기한 각 이격틈을 통해 공기유통로(4)로 유입되었다가 유출되는 순환작용을 하게 되는데, 상기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을 구성하고 있는 연질섬유질패널(2) 자체는 공기의 습도가 높을 때에는 습기를 흡수하는 특성이 있고, 공기의 습도가 낮을 때에는 흡수하고 있던 습기를 방출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수장고 내부(IN)의 공기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공기가 공기유통로(4) 내부를 이동하는 동안 공기 중의 습기가 연질섬유질패널(2)의 미세한 기공으로 흡수되면서 순환하게 되므로 공기유통로(4)를 통과하여 수장고 내부(IN)로 방출되는 공기는 상기한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에 흡수된 습기만큼 습기가 줄어든 상태로 방출되므로서 수장고 내부(IN)의 공기습도를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작용은 수장고 내부(IN)의 공기습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보다 높을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나타나게되며, 이와 반대로 습도가 기준치 보다 낮은 건조한 공기가 공기유통로(4)를 순환하게 될 때에는 연질섬유질패널(2)이 흡수하고 있던 습기를 방출하게 되므로서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의 공기유통로(4)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유입될 때의 습도 보다 높은 습도를 가지고 있게 되어 수장고 내부의 습도를 높여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Each of the inner wall finishing humidity control panels 1 attached to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storage cabinet 5 in one or two stages continuously is provided with an air flow passage 4 formed therei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formed upper and lower gaps (S 1 ) (S 2 ) and the vertical gap (S 3 ) and the horizontal gap (S 4 )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so the inside of the storage cabinet (IN) When the air is circulated in the convection action is to enter the air flow path (4) through each of the above-described gaps and to perform a circulation action, the soft fiber panel constituting the humidity control panel (1) for finishing the inner wall ( 2) It has a characteristic of absorbing moisture when the humidity of the air is high, and it emits moisture that has been absorbed when the humidity of the air is low. Therefore, when the humidity of the air inside the cabinet is high, the air flows through the air. Moisture in the air is soft while moving inside the furnace (4). Since the air is circulated while being absorbed by the fine pores of the vaginal panel 2,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flow passage 4 and discharged into the inside of the storage cabinet IN is absorbed by the moisture absorbed by the humidity control panel 1 for finishing the inner wall. As it is released in a reduced state, it is possible to lower the air humidity inside the storage cabinet (IN), and this effect is continuously present when the air humidity inside the storage cabinet (IN) is high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When dry air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circulates through the air flow passage 4, the soft fiber panel 2 releases moisture absorbed from the air flow passage 4, and thus flows out of the air flow passage 4 of the humidity control panel 1 for finishing the inner wall. The incoming air will have a higher humidity than the humidity at the time of inflow, thereby increasing the humidity inside the storage.

상기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의 공기유통로(4)를 도 3 및 도 5와 같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형성하였을 경우 공기유통로(4)로 유입되는 공기는 사방으로 고르게 퍼지면서 순환하는 상태가 되므로 습기의 흡수 및 방출작용이 원활하게 나타나게 되며, 또한 상기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의 상,하,좌,우측에 형성된 각 이격틈(S1∼S4)에 의하여 공기유통로(4)로 공기의 유입 및 유출작용이 잘 이루어져 공기유통로(4)에서의 대류작용의 원활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되어 수장고 내부(IN) 공기의 습도조절이 잘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air flow path 4 of the inner wall finishing humidity control panel 1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flow path 4 is circulated evenly in all directions. Since the absorption and release action of the moisture appears smoothly, and also the air flow by the gaps (S 1 ~ S 4 ) formed in the upper, lower, left, right of the inner wall finishing humidity control panel (1).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air into the furnace (4) is well made can be expected to smooth the convection action in the air flow path (4) is to control the humidity of the inside of the storage (IN) air well.

그리고 도 4 및 도 6과 같이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의 공기유통로(4)를 세로방향으로만 형성시킨 경우에는 상기 공기유통로(4)로 유입된 공기가 세로방향으로 유동하게 되어 공기의 순환작용이 빠르게 진행하게 되어 공기가 공기유통로(4) 내에서의 체류시간이 짧아지는 반면에 대류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단위시간당 공기와의 접촉작용을 전술한 실시예(공기유통로가 세로 및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실시예)와 비교할 때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이며, 따라서 공기유통로(4)를 세로방향으로만 형성시킨 것과 세로 및 가로방향으로 공기유통로(4)를 형성시킨 것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수장고의 내벽을 구축하게 되면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의 체류시간과 대류작용이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4 and 6, when the air flow path 4 of the inner wall finishing humidity control panel 1 is formed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flow path 4 flows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circulation of the air proceeds rapidly, the residence time in the air flow passage 4 is shortened, while the convection is smoothly performed.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in which the air flow path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it does not show a large difference. Therefore, the air flow paths 4 are formed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air flow paths 4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When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cabinet is constructed by using the formed material in combination, the residence time and convection of the air circulating inside the humidity control panel 1 for finishing the inner wall can be more efficiently performed. to be.

상기와 같은 내벽마감용 조습패널(1)은 통상 항온항습장치를 가동시켜 수장고 내부(IN)의 온도와 습도를 기 설정된 기준치로 조절하는 동안에는 습기를 흡수하는 상태이며, 항온항습장치의 가동이 정지되어 습도가 서서히 낮아지는 상태가 될 때에는 흡수하고 있던 습기를 방출하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서 항온항습장치를 24시간 지속적으로 가동하지 않고 일정시간동안만 가동하였다가 가동을 멈추더라도 수장고 내부(IN)의 공기습도를 기준치에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므로 항온항습장치가 고장났을 때에도 공기습도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어 항온항습장치의 고장을 수리하는 동안에 수장고 내부의 습도를 적정수준으로 조절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Humidification panel (1) for the interior wall finishing as described above is a state that absorbs moisture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to adjus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nside of the cabinet (IN)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operation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is stopped When the humidity is gradually lowered, it releases the absorbed moisture. Therefore,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ystem does not operate continuously for 24 hours. Since the air humidity can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the air humidity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even when the thermo-hygrostat is broken, and the humidity inside the cabinet is adjusted to an appropriate level while the thermo-hygrostat is repaired. .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수장고의 내벽을 구성하는 내벽마감용 조습패널이 자체적으로 습기를 흡수 또는 방출시키는 작용으로 수장고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게 되므로서 항온항습장치를 24시간 지속적으로 가동하지 않고 정해진 시간동안만 가동한 후 일정시간동안 정지시키더라도 수장고 내부의 습도를 기 설정된 기준치에 알맞게 조절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와 같은 습도조절효과는 수장고 내부에 보관된 문화재가 요구하는 습도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문화재가 습도의 변화로 인하여 손상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주어 문화재 보관 및 관리를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하고 실용적인 고안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humidity control panel for the inner wall finishing constituting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cabinet itself by absorbing or releasing moisture to control the humidity inside the storage cabinet, so that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is not operated continuously for 24 hours. Even after stopp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humidity inside the cabinet can be adjusted to the preset standard value. This humidity control effect can maintain the humidity required by the cultural assets stored in the cabinet. It is a useful and practical design tha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ase of cultural property being damaged by the change of humidity, and provides the advantage of safe storage and management of cultural property.

Claims (2)

문화재를 보관하는 수장고에 있어서,In the store storing cultural property, 330~380㎏/㎤의 압력으로 압축된 저밀도의 연질섬유질패널과, 680~730㎏/㎤의 압력으로 압축된 고밀도의 중질섬유질패널이 중첩 접합되며, 상기 연질섬유질패널과 중질섬유질패널 사이에 세로 및 가로로 된 공기유통로가 형성된 채 상기 수장고 외벽의 내측에 부착되는 내벽마감용 조습패널과;A low density soft fiber panel compressed at a pressure of 330 to 380 kg / cm 3 and a high density heavy fiber panel compressed at a pressure of 680 to 730 kg / cm 3 are overlapped and joined between the soft fiber panel and the heavy fiber panel. And a humidity control panel for finishing the inner wall which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storage wall with a horizontal air passage formed therein; 상기 내벽마감용 조습패널 각각들을 세로 및 가로 이격틈이 형성되게 상하좌우로 연속해서 설치한 다음 상기 세로 및 가로 이격틈을 커버하면서 공기의 유통을 허용할 수 있도록 내벽마감용 조습패널의 전면에서 일정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세로 및 가로 띠장;Each of the humidity control panels for finishing the inner wall are installed vertically an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o that vertical and horizontal separation gaps are formed. Then, the humidity control panels for finishing the inner wall finishing allow the air flow while cover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eparation gaps. Vertical and horizontal strips installed at intervals; 을 포함하여 수장고 내벽을 마감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수장고의 내벽마감구조.Including the interior wall finishing structure of the storage of cultural assets, characterized in that by closing the interior wall of the storage. 상기 공기유통로는 연질섬유질패널의 접합면에 접착제로 접합되는 중질섬유질패널의 접합면에 수개씩의 가로홈과 세로홈이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수장고의 내벽마감구조.The air flow path finishes the inner wall finishing structure of the cultural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junction surface of the heavy fibrous panel bonded to the bonding surface of the flexible fibrous panel by several horizontal grooves and vertical grooves cross each other.
KR2019980021276U 1998-11-03 1998-11-03 Interior wall finishing structure of Cultural Heritage Store KR20026971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276U KR200269710Y1 (en) 1998-11-03 1998-11-03 Interior wall finishing structure of Cultural Heritage St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276U KR200269710Y1 (en) 1998-11-03 1998-11-03 Interior wall finishing structure of Cultural Heritage Sto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368U KR20000009368U (en) 2000-06-05
KR200269710Y1 true KR200269710Y1 (en) 2002-08-08

Family

ID=6952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276U KR200269710Y1 (en) 1998-11-03 1998-11-03 Interior wall finishing structure of Cultural Heritage Sto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710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368U (en)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9711Y1 (en) Humidification panel for interior wall finishing of cultural assets storage
KR100672867B1 (en) Vented Furring Strip
US7721498B2 (en) Floor system
US4129972A (en) Top vented insulating structure
CA3042600A1 (en) Ventilated and draining foam insulation panel for building construction
KR20190068866A (en) Prefabricated house having concrete panel and finishing panel for building
KR200269710Y1 (en) Interior wall finishing structure of Cultural Heritage Store
JP4355303B2 (en) Low temperature drying equipment
CA2159827C (en) Noise-protection screen
JP3251000B2 (en) Insulation structure of house and heat shield used
KR200488126Y1 (en) Ceiling structure comprising air permeable molding
JP6570058B2 (en) Outside air heat insulation house structure
KR100638852B1 (en) Floor layer structure method with a damping means
CA2888793A1 (en) Insulated battens for installation of exterior wall insulation at corners and architectural trim
EP3568296B1 (en) Strip-shaped sandwich structure and a slat comprising such a strip-shaped sandwich structure
US5161519A (en) Modular panel as air transferring conduit
JPH11264556A (en) Panel for floor heating
US20110167669A1 (en) Wall dry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375559B1 (en) Wooden dr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70080605A (en) The structure of duplication floor
CN214697574U (en) Wooden door plate structure of fire door for refuge room
NL2032478B1 (en) Insulation panel for acoustic and/or thermal insulation, and assembly of such insulation panels
CN100344838C (en) Use of insulating material off-cuts for fire rated door and structures
JP2002070214A (en) Wall face structure of building and its constructing method
KR20080028705A (en) Plate for sound ins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