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302Y1 - 고층건물탈출장치 - Google Patents

고층건물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302Y1
KR200269302Y1 KR2020010038198U KR20010038198U KR200269302Y1 KR 200269302 Y1 KR200269302 Y1 KR 200269302Y1 KR 2020010038198 U KR2020010038198 U KR 2020010038198U KR 20010038198 U KR20010038198 U KR 20010038198U KR 200269302 Y1 KR200269302 Y1 KR 200269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ise building
braking
cylindrical roller
brak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식
윤재주
김기철
Original Assignee
정경식
윤재주
김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식, 윤재주, 김기철 filed Critical 정경식
Priority to KR2020010038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3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302Y1/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시에 고층건물로부터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며, 착용과 설치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하였으며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케이블이 감겨진 원통롤러(100)와; 상기 원통롤러(100)의 회전축(102)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210)와 연결되며 다리걸이부(202)와 어깨걸이부(201)가 구비되는 착용밴드(200)와; 상기 케이블의 말단부를 수용하게되고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따라 브레이크패드(320)와 케이블(101)의 마찰로 제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형성되는 보조링(330)과 구속되는 제동손잡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신체의 중심부와 케이블이 연결됨에 의해 안정성을 향상시킴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고층건물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층건물탈출장치{escaping apparatus from building}
본 고안은 고층빌딩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탈출장치에 관련되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재나 건물의 붕괴시에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지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고안된 고층건물탈출장치에 관련된다.
경제성장과 더불어 고층건물의 신축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건물에서의 화재발생시나 건물의 붕괴시에는 엄청난 인명피해를 일으키게된다. 따라서, 각종의 대피기구등이 설치되고 있으나 그 실효성은 크지않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화재발생시에는 비상계단을 이용하여 먼거리를 내려오고있는 실정이다.
이하에서는 실용신안등록번호 1983-0001246호의 고층건물 비상탈출 자중하강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며, 첨부되는 도 1은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고안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2는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끈(2)을 감은 회전체(3)를 기통(1)에 축부(4)로 축지하여 감는손잡이(5)를 고정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회전체(3)측면과 기통(1)내벽에 브레이크판(6)(6')을 설치하고 회전체(3)내부 경사홈(7)내의 돌출봉(3')에 원추형제동체(8)의 요구(8')로 감입한 그 외측나사봉(10)을 암나사(10')에 나합 설치하여 그 외단에 외부손잡이(11)을 설치하여서된 고층건물 비상탈출 자중하강기에 관련되는 것이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고층건물 비상탈출 자중하강기의 경우는 원추형제동체(8)를 밀어 회전체의 일측면과 기통(1) 내벽에 부착되는 브레이크판의 마찰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하에서는 일측벽으로만 큰 힘이 발생하게되며 이로인해 기통(1)자체의 변형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통(1)의 변형은 상기 브레이크판(6,6')간의 마찰면의 불균형을 초래하게되며 결국에는 제동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게된다.
한편,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구(12)의 설치상태는 어깨,허리 그리고 양발을 끼워 착용을 하게되는데 전체적으로 사용자의 자세는 높아 안정성이 결여되며 발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어 하강중 발생될 수 있는 다른 변수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비상시 고층건물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함에 있어 제동성능이 우수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한 고층건물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고안의 단면도.
도 2 - 도1에 대한 사용예시도.
도 3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층건물탈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 - 도4는 상기 도3의 장치를 사용하는 실제 예시도.
도 5 - 제동손잡이에 대한 측면도(a)와 단면도(b)를 도시한 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원통롤러 101 : 케이블
102 : 회전축 106 : 보호커버
107 : 배출로 200 : 착용밴드
201 : 어깨걸이부 202 : 다리걸이부
210 : 커넥터 250 : 보조밴드
255 : 연결고리 300 : 제동손잡이
310 : 브레이크드럼 320 : 브레이크패드
330 : 보조링 350 : 안전고리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케이블이 감겨진 원통롤러와; 상기 원통롤러의 회전축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와 연결되며 다리걸이부와 어깨걸이부가 구비되는 착용밴드와; 상기 케이블의 말단부를 수용하게되고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따라 패드와 케이블의 마찰로 제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형성되는 보조링과 구속되는 제동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신체의 중심부와 케이블이 연결됨에 의해 안정성을 향상시킴을 기술적 요지로하는 고층건물탈출장치에 관련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고층건물탈출장치에 의하게 되면 간단한 구조를 이루면서도 안정성이 높고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실제 적용가능성이 높은 이점을 가지게된다.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는 타인의 도움을 기대하기가 어렵고 따라서 가능하면 개인 스스로 위험현장으로부터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고층빌딩과 같은 장소에서는 비상구가 폐쇄되거나 비상구를 이용하기에는 과도한 시간이 요구될 시에는 건물의 벽면을 타고 신속히 대피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고층에서는 보통의 사람들은 심한 불안감을 느끼게되며 비상탈출을 위해 케이블에 매달리게되면 강한 바람등으로 흔들림이 심하게되어 안정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대처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와 사용의 편리성 및 안정성을 갖춘 고층건물탈출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층건물탈출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크게 본 고안은 원통롤러(100), 착용밴드(200) 그리고 제동손잡이(300)로 구성이 된다. 상기 원통롤러(100)에는 케이블(101)이 감겨져있고 착용밴드(200)는 사용자의 어깨부 및 다리부에 착용되는 것이고 제동손잡이(300)는 케이블(101)과 마찰작용으로 하강속도를 조절하게되는 부위가 된다.
첨부되는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층건물탈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그 기본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고 도4는 상기 도3의 장치를 사용하는 실제 예시도에 해당된다.
상기 도3 또는 도4에 보이는 것과 같이 상부로부터 제동손잡이(300), 원통롤러(100) 그리고 착용밴드(200)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롤러(100)는 회전축(102)이 좌우스포터(103)에 의해 지지설치되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좌우스포트(103)는 원통체(104)에 의해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축을 상기 스포터(103)와 베어링(105)으로 구속되도록 함으로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통롤러(100)에는 보호커버(106)가 형성되며 이것은 원통형상으로 상기 좌우스포터(103)의 내측면 가장자리부와 체결되도록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좌우스포터(103)의 내면 가장자리부 전주에 걸쳐 일정한 홈을 형성시켜 고정결합되도록 하고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106)중 상부측으로 향한 부위에는 가로방향으로 개구된 배출로(107)를 형성시키도록 함으로서 케이블(101)이 공급될 수 있도록한다. 상기 케이블(101)은 상기 배출로(107)를 통해 공급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배출로의 영역에 한정되어 유동된다. 상기와 같이 제한된 배출로(107)를 형성시킴으로서 케이블이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된다.
이어서, 착용밴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착용밴드(200)는 직물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폭을 가지는 밴드가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착용밴드는 크게 어깨걸이부(201)와 다리걸이부(202)로 구성되며 상기 다리걸이부(202)는 팔자형상을 이루고있고 그 매듭부로부터 연결밴드(203)가 연장되어져 상기 원통롤러로부터 형성되는 커넥터(210)와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게된다. 그리고 상기 어깨걸이부(201)는 좌우로 형성되는 상기 다리걸이부(202)의 전방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타측 다리걸이부(202)의 후방측과 연결된다. 한편, 또 하나의 어깨걸이부(201)는 이와 대응되게 형성되어져 좌우어깨걸이부가 교차하는 부위에서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착용밴드(200)에는 보조밴드(250)가 형성되며 이것은 상기 어깨걸이부(201)로부터 형성되어져 케이블(101)과 연결되는 부재이다. 상기 도4에 도시된 것처럼 보조밴드(250)에는 연결고리(255)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고리(255)는 다시 메인고리(255a)와 보조고리(255b)로 나누어지며 상기 메인고리(255a)는 케이블(101)를 감싸면서 형성되고 상기 메인고리(255a)에는 다시 상기 보조고리(255b) 2개가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보조고리(255b)는 상기 보조밴드(250)의 각 단부와 결합을 이루게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밴드(250)가 형성됨으로서 사용자의 상체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되어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메인고리(255a) 및 보조고리(255b)는 필요에 따라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이것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인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다음으로는 제동손잡이(300)에 대해 상기 첨부된 도3 및 도4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도5는 제동손잡이에 대한 측면도(a)와 단면도(b)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동손잡이에서는 케이블과 브레이크패드간의 마찰로 제동이 일어나게된다. 상기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동손잡이(300)는 브레이크드럼(310)과 브레이크패드(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레이크드럼(310)과 브레이크패드(320)는 일단부에서 구속결합되어 회동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이루게된다. 그 작동은 상기 브레이크드럼(31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패드(320)를 가압시켜 누름에 의해 하강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된다. 상기 케이블(101)은 브레이크패드(320)의 상단을 통해서 하단으로 길게 설치되어 이동하게된다. 즉 상기 브레이크패드(320)의 상단부에는 케이블(101)이 통하는 상부유입공(미도시)이 형성되며 브레이크패드(320)의 하단부로 나오는 케이블은 상기 브레이크드럼(310)으로부터 형성되는 케이블유도홀(315)을 통하여 원통롤러(100)에 감기게된다.
이에 더해서, 상기 브레이크드럼(310)과 브레이크패드(320)의 하단부에는 브레이크패드(320)의 회동을 제한하여 지나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제한커버(317)가 설치된다. 즉 상기 회동제한커버(317)는 상기 브레이크드럼(310)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돌출되는 상부는 브레이크패드(320)의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부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패드(320)는 일정각도 이상으로는 벌어지지 않게되는 것이다.
상기 제동손잡이(300)는 보조링(330)에 의해 상기 원통롤러(100)와 연결되며 상기 보조링(330)의 일측 양단부는 각각 상기 원통롤러의 회전축(102) 단부와 결합되고 반대측은 고리를 이루면서 상기 브레이크드럼(310)의 하단부와 결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동손잡이(300)의 상단부 즉, 상기 브레이크드럼(310)과 브레이크패드(320)를 회동토록 구속하는 결합핀(355)에는 사용자의 손목에 끼울 수있도록하는 안전고리(350)가 부착되어져있다.
상기 안전고리(350)는 사용자가 제동손잡이(300)를 파지하여 하강중 부주의로 제동손잡이를 놓치게되는 것에 대비하여 부착되는 부재이다.
상기 도 5의 단면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브레이크패드(320)와 브레이크드럼(310) 사이에 케이블(101)이 위치되며 사용자가 브레이크패드(320)를 가압하여 케이블과 마찰됨에 의해 하강속도가 제어된다. 브레이크패드(320)를 가압하는 힘을 더욱 많이 줄수록 마찰은 증가되어 제동력은 증가하게되어 하강속도는 떨어지게된다.
상기 도5의 에이(a)에 보이는 것처럼 상기 브레이크패드(320)에 있어 케이블(101)과 접하는 면중 한개소를 볼록하게 형성시켜 집중적으로 케이블과 브레이크패드 및 브레이크드럼이 마찰될 수 있도록함으로서 그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브레이크패드(320)는 하우징(321)에 의해 하부면을 제외하고는 감싸여져 있으며 상기 하우징(321)은 브레이크패드보다 높게 돌출되어 케이블(101)의 직경보다 높게 형성시키도록 한다. 상기 브레이크패드(320)는 자동차용 제동장치등에 사용되는 브레이크패드와 같은 재질을 사용토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321)은 비전도성의 재질인 경질의 플라스틱등으로 제조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드럼(310)은 브레이크패드에 의해 눌리어지는 케이블을 저면에서 지지하여 브레이크패드(320)에 의한 가압력으로 마찰이 충분히 발생토록 하는 것으로서 브레이크드럼 또한 내마모성의 재질을 사용토록한다. 또한, 브레이크드럼의 하부면은 파지하기 용이하며 열전달이 쉽게 생기지 않는 합성수지등으로 하여 감싸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사용자가 브레이크드럼과 브레이크패드를 파지하여 가압시에 발생되는 열에 대해 상처를 받지않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상기의 제동손잡이의 구성에 있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있으나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단순한 재질 및 구조의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해당됨을 밝혀둔다.
이하로부터는 상기 도 4에 나타난 실제 사용예시도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고층건물탈출장치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착용밴드(200)의 다리걸이부(202)는 사용자의 엉덩이부에 걸리게되고 어깨걸이부(201)는 양어깨에 착용된다. 상기 다리걸이부(202)의 메듭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밴드(203)는 원통롤러(100)와 연결되어짐으로서 무게중심이 신체의 중심부와 거의 일치하게되며 이에 의해 높은곳에 매달린 상태에서도 흔들림이 없이 안정성을 유지한채 하강할 수 있게된다.
고층건물에서 탈출을 시도하고자 할때에는, 먼저 케이블(101)의 단부를 유동이 없는 고정물에 견고히 고정시키도록하며 착용밴드(200)를 착용하고 케이블에 상기 보조밴드(250)의 단부에 부착되는 보조고리(255b)를 케이블(101)에 설치되는 메인고리(255a)와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는 제동손잡이(300)를 파지한체 가압력을 적당히 조절하면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고층건물과 같은 높은 위치에서비상시등에 탈출을 시도함에 있어 쉽게 착용가능하고 안정성이 높은 특성으로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한 고층건물탈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케이블(101)이 감겨진 원통롤러(100)와;
    상기 원통롤러(100)의 회전축(102)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210)와 연결되며 다리걸이부(202)와 어깨걸이부(201)가 구비되는 착용밴드(200)와;
    상기 케이블(101)의 말단부를 수용하게되고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따라 브레이크패드(320)와 케이블(101)의 마찰로 제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102)으로부터 형성되는 보조링(330)과 구속되는 제동손잡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신체의 중심부와 케이블이 연결됨에 의해 안정성을 향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탈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밴드(200)는,
    좌우 어깨걸이부(201)로부터 보조밴드(250)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밴드(250)의 단부에는 케이블과 상호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고리(255)가 구비되어져 신체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탈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롤러(100)는,
    보호커버(106)가 설치되고 상부면 일개소에 케이블의 배출로(107)가 뚫려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탈출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손잡이(300)는,
    제동손잡이를 파지하는 손에 끼워지는 안전고리(3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탈출장치.
KR2020010038198U 2001-12-11 2001-12-11 고층건물탈출장치 KR200269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198U KR200269302Y1 (ko) 2001-12-11 2001-12-11 고층건물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198U KR200269302Y1 (ko) 2001-12-11 2001-12-11 고층건물탈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302Y1 true KR200269302Y1 (ko) 2002-03-23

Family

ID=7307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198U KR200269302Y1 (ko) 2001-12-11 2001-12-11 고층건물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3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707A (ko) 2019-11-06 2021-05-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707A (ko) 2019-11-06 2021-05-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17327A2 (en) Descending life line for emergency escape
CN102151369B (zh) 一种绳降装置
US20120103725A1 (en) Lowering device comprising a swivel arm having contoured braking means
US20110067956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ersonal high altitude rappel escape safety device
EP0328646A1 (en) DESCENT DEVICE FOR EMERGENCY EVACUATION.
US4598793A (en) Sky-ride emergency escape system
US6672428B2 (en) Personal descent apparatus
KR200269302Y1 (ko) 고층건물탈출장치
CN105833437A (zh) 一种绳索下降器
CN201394288Y (zh) 家用高楼救生装置
KR102020217B1 (ko) V홈 브레이크 방식 완강기
DK2512605T3 (en) abseil descent
CN213994618U (zh) 一种高楼消防逃生用缓降器
KR100973461B1 (ko) 하지 조절식 레펠기구
KR20050061924A (ko) 비상 로프 장치
CN102284144B (zh) 绳式快速逃生装置
WO2014063429A1 (zh) 一种变截面绕绳轮及其悬吊器
KR200433119Y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구
CN110975178B (zh) 高楼逃生缓降器
WO2014067175A1 (zh) 一种变截面绕绳轮及其悬吊器
WO2014063423A1 (zh) 一种变截面绕绳轮及其悬吊器
CN203043355U (zh) 一种手动升降器
KR200259813Y1 (ko) 완강장치 및 그 완강장치를 포함한 비상 탈출장치
CN220404668U (zh) 一种耐磨型全身式安全带
KR860002889Y1 (ko) 비상탈출기의 브레이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