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902Y1 -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902Y1
KR200268902Y1 KR2020010038875U KR20010038875U KR200268902Y1 KR 200268902 Y1 KR200268902 Y1 KR 200268902Y1 KR 2020010038875 U KR2020010038875 U KR 2020010038875U KR 20010038875 U KR20010038875 U KR 20010038875U KR 200268902 Y1 KR200268902 Y1 KR 2002689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nput
line
terminal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문규
박주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지에이 유피에스 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지에이 유피에스 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지에이 유피에스 시스템즈
Priority to KR2020010038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9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902Y1/ko

Links

Landscapes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무정전전원장치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노후되어 교체하는 경우에 무순단으로 무정전전원장치를 교체할 수 있도록, 외부 전원의 인입선이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외부 장치에 연결되는 출력선이 연결되는 출력단자와, 무정전전원장치의 입력선이 연결되는 입력연결단자와, 무정전전원장치의 출력선이 연결되는 출력연결단자와, 입력단자와 입력연결단자를 연결하는 입력연결선에 설치되는 입력차단기와, 출력단자와 출력연결단자를 연결하는 출력연결선에 설치되는 출력차단기와, 입력차단기와 입력단자 사이에서 입력연결선으로부터 분기하고 출력차단기와 출력단자 사이에서 출력연결선에 합기하는 바이패스선과, 바이패스선에 설치되는 바이패스차단기와, 상자형상의 케이스와, 케이스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를 제공한다.
입력연결단자 및 출력연결단자는 케이스에 설치되는 수커넥터와 덮개에 설치되는 암커넥터로 이루어지고, 덮개를 케이스에 닫아 고정하는 경우에는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덮개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전기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 {Device for Changing UPS without Power-off}
본 고안은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됨이 없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무정전전원장치(UPS)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노후되어 교체하는 경우에 무순단으로 무정전전원장치를 교체할 수 있도록 전원을 바이패스시키는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방송, 병원 등에서 사용하는 장비나 기기, 컴퓨터 등의 전원은 짧은 시간의 정전도 피해야 하는 고도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요구되므로, 무정전전원장치(UPS)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중단되어도 일정 시간동안은 정전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비상 발전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시간이나 고장을 일으킨 전원 설비나 기기의 복구를 위한 시간 또는 이 전원을 이용하는 장비나 기기, 컴퓨터 등의 작동을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고도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요구되는 전원에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을 무정전전원장치를 통하여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무정전전원장치에는 축전지가 설치되어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충전이 이루어지고,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이 정전되는 경우에는 축전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무정전전원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부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컴퓨터에 저장중인 중요한 데이터의 손실, 수술중 또는 치료중에 발생하는 의료기기 작동의 정지, 통신이나 방송의 중단 등이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인 작업수행이 가능하다.
그러나 무정전전원장치에 고장이나 이상이 발생하여 무정전전원장치를 교체하거나 수리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전원을 차단시켜야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무정전전원장치를 교체 또는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전원을 차단시키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회로를 구비한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덮개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연결단자 및 출력연결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와 덮개를 볼트로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는 외부 전원의 인입선이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외부 장치에 연결되는 출력선이 연결되는 출력단자와, 무정전전원장치의 입력선이 연결되는 입력연결단자와, 무정전전원장치의 출력선이 연결되는 출력연결단자와, 상기한 입력단자와 입력연결단자를 연결하는 입력연결선에 설치되는 입력차단기와, 상기한 출력단자와 출력연결단자를 연결하는 출력연결선에 설치되는 출력차단기와, 상기한 입력차단기와 입력단자 사이에서 입력연결선으로부터 분기하고 상기한 출력차단기와 출력단자 사이에서 출력연결선에 합기하는 바이패스선과, 상기한 바이패스선에 설치되는 바이패스차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고안이 제안하는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는 상기한 입력단자, 출력단자, 입력차단기, 출력차단기, 바이패스차단기, 입력연결선, 출력연결선, 바이패스선 등이 설치되는 상자형상의 케이스와, 상기한 케이스를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입력연결단자 및 출력연결단자는 상기한 케이스에 설치되는 수커넥터와 상기한 덮개에 설치되는 암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덮개를 케이스에 닫아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입력연결선과 무정전전원장치의 입력선 및 상기한 출력연결선과 무정전전원장치의 출력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한 덮개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입력연결선과 무정전전원장치의 입력선 및 상기한 출력연결선과 무정전전원장치의 출력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전원의 인입선(2)이 연결되는 입력단자(12)와, 외부 장치에 연결되는 출력선(4)이 연결되는 출력단자(4)와, 무정전전원장치(6)의 입력선(7)이 연결되는 입력연결단자(17)와, 무정전전원장치(6)의 출력선(8)이 연결되는 출력연결단자(18)와, 상기한 입력단자(12)와 입력연결단자(17)를 연결하는 입력연결선(27)에 설치되는 입력차단기(15)와, 상기한 출력단자(14)와 출력연결단자(18)를 연결하는 출력연결선(28)에 설치되는 출력차단기(16)와, 상기한 입력차단기(15)와 입력단자(12) 사이에서 입력연결선(27)으로부터 분기하고 상기한 출력차단기(16)와 출력단자(14) 사이에서 출력연결선(28)에 합기하는 바이패스선(20)과, 상기한 바이패스선(20)에 설치되는 바이패스차단기(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출력선(4)에 연결되는 외부 장치로는 컴퓨터 또는 통신, 방송, 병원 등에서 사용하는 장비나 기기 등이 사용된다.
상기한 입력차단기(15), 출력차단기(16), 바이패스차단기(19)는 일반적으로 전원을 필요에 따라 차단 및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다양한 차단기가 모두 사용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의 일실시예는 상기한 입력단자(12), 출력단자(14), 입력차단기(15), 출력차단기(16), 바이패스차단기(19), 입력연결선(27), 출력연결선(28), 바이패스선(20) 등이 설치되는 상자형상의 케이스(30)와, 상기한 케이스(30)를 개폐하는 덮개(32)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입력연결단자(17) 및 출력연결단자(18)는 상기한 케이스(30)에 설치되는 수커넥터(37)와 상기한 덮개(32)에 설치되는 암커넥터(38)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덮개(32)를 케이스(30)에 닫아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입력연결선(27)과 무정전전원장치(6)의 입력선(7) 및 상기한 출력연결선(28)과 무정전전원장치(6)의 출력선(8)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한 덮개(32)를 케이스(3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입력연결선(27)과 무정전전원장치(6)의 입력선(7) 및 상기한 출력연결선(28)과 무정전전원장치(6)의 출력선(8)이 각각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덮개(32)를 케이스(30)에 닫아 고정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암커넥터(38)가 수커넥터(37)에 결합되어 서로 분리되어 있던 입력연결선(27)쪽 및 출력연결선(28)쪽의 수커넥터(37)와 무정전전원장치(6)의 입력선(7)쪽 및 무정전전원장치(6)의 출력선(8)쪽의 수커넥터(37)를 각각 전기적으로연결한다.
또 상기한 덮개(32)를 케이스(3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암커넥터(38)가 수커넥터(37)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므로, 입력연결선(27)쪽 및 출력연결선(28)쪽의 수커넥터(37)와 무정전전원장치(6)의 입력선(7)쪽 및 무정전전원장치(6)의 출력선(8)쪽의 수커넥터(37)는 각각 전기적으로 차단된다.
또 상기와 달리 입력연결단자(17) 및 출력연결단자(18)는 케이스(30)에 암커넥터(38)를 설치하고 덮개(32)에 수커넥터(37)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한 덮개(32)를 열고 닫음에 따라 상기한 입력연결선(27)과 무정전전원장치(6)의 입력선(7) 및 상기한 출력연결선(28)과 무정전전원장치(6)의 출력선(8)이 서로 전기적으로 차단 또는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다른 다양한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한 덮개(32)와 케이스(30)의 고정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36)나 작은나사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덮개(32)를 힌지를 이용하여 상기한 케이스(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열고닫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볼트(36)를 이용하여 덮개(32)를 케이스(30)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모서리를 따라 상기한 케이스(30) 및 덮개(32)의 구석부(사각형인 경우에는 4곳)에 각각 조립구멍(34), (35)을 형성한다.
상기한 케이스(30)에 형성하는 조립구멍(34)에는 암나사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무정전전원장치(6)를 교체 또는 수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전 무정전전원장치(6)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점검을 해야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이패스차단기(19)를 온(on)으로 작동시켜 상기한 외부 인입선(2)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이 바이패스선(20)을 따라 출력연결선(28) 및 출력선(4)쪽으로 흐르도록 하고, 상기한 입력차단기(15) 및 출력차단기(16)를 오프(off)로 작동시켜 상기한 입력연결선(27) 및 출력연결선(28)을 중간에서 차단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한 덮개(32)를 케이스(30)에 고정시키는 볼트(36)를 해제시킨 다음, 상기한 덮개(32)를 케이스(30)로부터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덮개(32)를 케이스(30)로부터 분리하면, 상기한 수커넥터(37)에 결합되어 있던 암커넥터(38)가 분리되어 무정전전원장치(6)로의 전원이 안전하고 완전하게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무정전전원장치(6)의 교체 또는 수리(정비)를 행한 다음, 다시 덮개(32)를 케이스(30)에 덮어 볼트(36)로 고정시키면, 상기한 암커넥터(38)와 수커넥터(37)가 결합되어 무정전전원장치(6)에 전원이 연결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어서 상기한 입력차단기(15) 및 출력차단기(16)를 온시키고 바이패스차단기(19)를 오프시키면, 외부의 인입선(2)으로 입력된 전원은 입력연결선(27) 및 입력선(7)을 통하여 무정전전원장치(6)로 입력되고, 무정전전원장치(6)를 통과한 전원은 출력선(8) 및 출력연결선(28)을 통하여 외부 장치에 연결된 출력선(4)으로 출력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에 의하면, 무정전전원장치를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중에도 무순단(전원의 끊어짐이 없이)으로 전원을 외부 장치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설치가 간편하며, 원가 상승에 대한 부담이 적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에 의하면, 입력차단기, 출력차단기, 바이패스차단기 등을 이용하여 차단 및 연결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커넥터방식으로 입력연결단자와 출력연결단자를 구성하여 덮개를 케이스에 개폐하는 것에 의하여 이중으로 전원의 차단 및 연결을 행하므로, 안전성이 향상되고, 작업성이 우수하다.

Claims (3)

  1. 외부 전원의 인입선이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외부 장치에 연결되는 출력선이 연결되는 출력단자와,
    무정전전원장치의 입력선이 연결되는 입력연결단자와,
    무정전전원장치의 출력선이 연결되는 출력연결단자와,
    상기한 입력단자와 입력연결단자를 연결하는 입력연결선에 설치되는 입력차단기와,
    상기한 출력단자와 출력연결단자를 연결하는 출력연결선에 설치되는 출력차단기와,
    상기한 입력차단기와 입력단자 사이에서 입력연결선으로부터 분기하고 상기한 출력차단기와 출력단자 사이에서 출력연결선에 합기하는 바이패스선과,
    상기한 바이패스선에 설치되는 바이패스차단기를 포함하는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입력단자, 출력단자, 입력차단기, 출력차단기, 바이패스차단기, 입력연결선, 출력연결선, 바이패스선이 설치되는 상자형상의 케이스와,
    상기한 케이스를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입력연결단자 및 출력연결단자는 상기한 케이스에 설치되는 수커넥터와 상기한 덮개에 설치되는 암커넥터로 이루어지는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
KR2020010038875U 2001-12-17 2001-12-17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 KR200268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875U KR200268902Y1 (ko) 2001-12-17 2001-12-17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875U KR200268902Y1 (ko) 2001-12-17 2001-12-17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902Y1 true KR200268902Y1 (ko) 2002-03-16

Family

ID=7307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875U KR200268902Y1 (ko) 2001-12-17 2001-12-17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9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743B1 (ko) * 2012-11-12 2013-02-18 김승석 순간정전보상장치 교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743B1 (ko) * 2012-11-12 2013-02-18 김승석 순간정전보상장치 교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6568B2 (en) UPS systems and methods using variable configuration modules
US20180007807A1 (en) Modula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CN105409089B (zh) 使用双模式整流器/逆变器的ups系统和方法
US20090033154A1 (en) Redundant isolation and bypass of critical power equipment
CN101350535B (zh) 不间断电源
US11316365B2 (en) Modula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CN101642007A (zh) 不间断电源分配系统以及使用分布配电单元的方法
US20100026098A1 (en) Power supply assembly
CN104192153A (zh) 轨道列车控制器
US20060072283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with integral applications processor
US20090206671A1 (en) Backup power system equipped with independent protection circuit architecture
KR200268902Y1 (ko) 무정전전원장치의 무순단 교체장치
CN211405071U (zh) 一种可移动自切电源可扩容的不间断电源综合配电装置
CN110739758A (zh) 一种不间断电源及配电系统
CN110690755A (zh) 通信电源系统
CN210350851U (zh) 一种医用配电箱
CN216056470U (zh) 一种旁路ats供电系统
CN106130175A (zh) 一种ups电源以及带有断电保护的计算机
CN215267762U (zh) 一种ups故障电源自投入装置
CN109450078A (zh) 一种双冗余ups电源车及其控制方法
CN220357623U (zh) 闸机系统
CN203166316U (zh) 故障继电器替代装置
CN211296299U (zh) 一种ups双回路供电装置
CN211089221U (zh) 一种冗余控制电路
JPH1194988A (ja) 原子力発電所の非常用電源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