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751Y1 - 운반장치가구비된골프백 - Google Patents

운반장치가구비된골프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751Y1
KR200268751Y1 KR2019980013133U KR19980013133U KR200268751Y1 KR 200268751 Y1 KR200268751 Y1 KR 200268751Y1 KR 2019980013133 U KR2019980013133 U KR 2019980013133U KR 19980013133 U KR19980013133 U KR 19980013133U KR 200268751 Y1 KR200268751 Y1 KR 200268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ortion
teeth
bracket
golf bag
main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473U (ko
Inventor
형 기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킹타이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킹타이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킹타이거
Publication of KR199900404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4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751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에 관한 것이며, 골프백(1)의 본체(2)에 고정되는 브래킷(100), 상기 브래킷(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삽입판(200), 톱니(334)가 형성된 힌지부(332)와 휠(310)을 구비하고 상기 각 삽입판(200)에 각각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다리부(300), 및 상기 각 다리부(300)를 상기 각 삽입판(200)에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연결하는 작동수단(400)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작동수단(400)은, 상기 각 삽입판(200)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332)의 톱니(334)와 선택적으로 물리는 톱니(413)가 형성된 메인 축받이(411)를 포함하는 축받이부(410), 상기 메인 축받이(411)에 상기 힌지부(33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440), 및 상기 힌지부(332)를 좌우로 이동시켜서 상기 힌지부(332)의 톱니(334)를 상기 메인 축받이(411)의 톱니(413)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작동레버(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기술분야)
본 고안은 골프백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착탈식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통상의 골프백은 메거나 들어서 운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넓은 필드에서 장거리를 이동하면서 플레이하는 골퍼에게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골퍼들은 카트 등과 같은 별도의 운반장치를 사용하거나 캐디를 동반하면서 플레이하고 있다. 그러나 카트와 같은 운반장치를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카트 자체의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골프백을 운반하는 일은 여전히 번거로운 일이다.
이런 이유로 골프백 자체에 운반장치를 장착한 골프백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골프백에 적용된 운반장치는, 운반장치의 각도조절을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서, 그 조작이 불편하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운반장치는 골프백의 좌우 측면 중간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시 골프백 자체의 중량에 의해 골프백이 아래로 처져서 골프백과 운반장치의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골프백에 대한 운반장치의 각도를 임의대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지면 상태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골프백을 운반할 수 있고 안전하게 세워 놓을 수 있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골프백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착탈식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골프백이 아래로 처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장의 염려가 적은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보다 편안한 자세로 골프백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어 중량이 가볍고 고장의 염려가 적은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의 사시도,
도2는 운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운반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4는 힌지부의 톱니와 축받이부의 톱니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5는 힌지부의 톱니와 축받이부의 톱니가 맞물린 상태의 단면도,
도6은 손잡이부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골프백 2: 본체
10: 운반장치 100: 브래킷
200: 삽입판 300: 다리부
310: 휠 332: 힌지부
334,413: 톱니 400: 작동수단
410: 축받이부 440: 축
450: 탄성부재(스프링) 460: 작동레버
500: 손잡이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에 있어서, 골프백의 본체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삽입판, 톱니가 형성된 힌지부와 휠을 구비하고 상기 각 삽입판에 각각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다리부, 및 상기 각 다리부를 상기 각 삽입판에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연결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각 삽입판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의 톱니와 선택적으로 물리는 톱니가 형성된 축받이를 포함하는 축받이부, 상기 축받이에 상기 힌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 및 상기 힌지부를 좌우로 이동시켜서 상기 힌지부의 톱니를 상기 축받이의 톱니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의 사시도, 도2는 운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운반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4는 힌지부의 톱니와 축받이부의 톱니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5는 힌지부의 톱니와 축받이부의 톱니가 맞물린 상태의 단면도, 도6은 손잡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골프백(1)의 본체(2)에는 운반장치(1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운반장치(10)는 브래킷(100), 한 쌍의 삽입판(200), 한 쌍의 다리부(300), 및 한 쌍의 작동수단(4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브래킷(100)은 상기 삽입판(200)을 본체(2)에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판상의 부재이며, 예를 들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된 골프백(1)의 본체(2)에 밀착될 수 있도록 본체(2)의 내측 외주면(3)의 윤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된 밀착면(110), 상기 삽입판(200)이 삽입되는 상하 방향의 가이드홈(120), 및 삽입판(200)의 아래쪽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홈(12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130)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브래킷(100)은, 예를 들어 리벳이나 볼트(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본체(2)의 내측 외주면(3)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브래킷(1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하나의 삽입판(200)을 장착할 수 있도록 본체(2)에 소정 거리를 두고 2개의 브래킷(100)을 부착할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두 개의 삽입판(200)을 하나의 브래킷(100)에 장착할 수 있도록 단일 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골프백(1)을 지면에 새워둘 때에는 휠(310)이 설치된 두 다리부(300)가 본체(2)와 함께 전체적으로 삼각 구조를 이루어야 골프백(1)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브래킷(100)을 사용하는 경우 두 브래킷(100)의 부착 위치는 두 다리부(300)와 본체(2)의 하단이 삼각형을 이룰 수 있는 위치, 예를 들어 두 다리부(300)의 사이 각이 60-90도가 되도록 2개의 브래킷(100)을 본체(2)의 내측 외주면(3)의 중간 양측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브래킷(100)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브래킷(100)에 대한 두 삽입판(200)의 장착 위치를 두 개의 브래킷(100)을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브래킷(100)을 본체(2)의 내측 외주면(3)에 부착하므로써, 골프백의 하중을 보다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으며, 본체가 아래로 처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판(200)은 이후에 설명될 축받이부(410)가 설치되는 판이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00)의 가이드홈(120)에 걸림턱(130)에 걸릴 때가지 끼워 넣는 방식으로 브래킷(100)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삽입판(200)과 브래킷(100) 사이에는 삽입판(200)이 브래킷(100)으로부터 자발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록킹 장치(2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킹 장치(210)로서는 삽입판(200)을 브래킷(100)에 선택적으로 잠그고 풀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브래킷(100)과 삽입판(200)에 키삽입홈(140,220)을 형성하고 여기에 자석키(230)를 삽입하여 록킹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고, 이때 브래킷(100)은 강재로 형성한다.
삽입판(200)에는 다리부(300)가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리부(300)는, 휠(310), 연결부재(320), 제1 다리(330) 및 제2 다리(340)로 구성할 수 있다.
흴(310)은 골프클럽(4)과 본체(2)의 하중을 견디면서 회전할 수 있는 통상의 휠이 사용되며 연결부재(320)를 통해 다리(330,3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다리(330)는 그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320)에 너클 조인트(331)로 어느 정도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단에는 축공(333)과 톱니(334)가 형성된 힌지부(3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톱니(334)의 작용은 이후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2 다리(340)는 그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320)에 유동 가능하게 너클 조인트(341)로 연결되어 있고, V자 형상으로 상부가 분지되어 있으며, 분지된 두 말단에는 각각 축공(343)이 형성된 힌지부(3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리부(300)를 제1 다리(330)와 2개로 분지된 제2 다리(340)로 구성하는 것은, 본체(2)에 대한 다리부(300)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다리(330,340)와 휠(310) 사이에 연결부재(320)를 사용하는 것은, 다리부(300)의 회전에 따라 너클 조인트(331, 341)의 작용으로 휠(310)의 위치가 적절히 변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삽입판(200)과 다리부(300) 사이의 회전 및 고정 가능한 연결은 작동수단(4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작동수단(400)은,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300)의 다리(330,3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축받이로 이루어진 축받이부(410), 축(440), 스프링(450), 및 상기 힌지부(332)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작동레버(4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축받이부(410)는 메인 축받이(411), 지지 축받이(420), 및 서브 축받이(430)로 이루어진다. 메인 축받이(411)와 지지 축받이(420)는 제1 다리(330)의 힌지부(3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서브 축받이(430)는 제2 다리(340)의 힌지부(3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메인 축받이(411)는, 중앙에 축공(412)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도2에서 좌측면)의 둘레에 톱니(413)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톱니(413)가 있는 쪽 방향에 전술한 제1 다리(330)의 힌지부(332)가 수용될 공간(414)이 존재하도록 삽입판(200)의 한쪽변(도2에서는 우측변)에 치우쳐 설치되어 있다. 힌지부(332)는 힌지부(332)의 톱니(334)와 메인 축받이(411)의 톱니(413)가 마주보는 상태로 메인 축받이(411)와 지지 축받이(420) 사이에 위치한다.
지지 축받이(420)는 상기 공간(414)을 사이에 두고 볼트(422: 도4와 도5 참조) 등으로 삽입판(2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메인 축받이(411)의 축공(412)과 동일축 상에 축공(421)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축받이(420)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은 운반장치(1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서브 축받이(430)는 메인 축받이(411)와 지지 축받이(420)의 아래에 소정 간격을 두고 동일축 상에 축공(431)이 위치하도록 수평으로 2쌍이 나란히 설치되며, 여기에는 제2 다리(340)의 힌지부(342)가 힌지핀(4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연결된다.
메인 축받이(411), 제1 다리(330)의 힌지부(332), 및 지지 축받이(420)에는 각각의 축공(412,333,421)을 통해 축(440)이 끼워지고, 축(440)은 메인 축받이(411)와 지지 축받이(420)의 축공들(412,421) 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며, 제1 다리(330)의 힌지부(332)는 축(44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스프링(450)은 힌지부(332)와 메인 축받이(411)의 사이 위치에서 축(440)에 끼워져서 힌지부(332)를 메인 축받이(411)로부터 이탈시키는 쪽으로 가압하며, 그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축(440)의 일단에는 힌지공(44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힌지공(441)에는 작동레버(460)가 메인 축받이(411)에 접촉된 상태로 힌지핀(461)을 축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작동레버(460)는 그 힌지공(462)을 중심으로 한쪽으로 편심된 편심부(46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레버(460)를 상하로 움직이면, 편심부(463)와 메인 축받이(411)의 접점과 힌지공(441) 사이의 거리가 변하면서 축(440)이 상기 스프링(450)의 탄성에 반하여 우로 이동하거나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좌로 이동된다.
한편, 제1 다리(330)의 힌지부(332)는 축(440)에 대해 좌우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힌지부(332)의 톱니(334)와 메인축받이(411)의 톱니(413)의 물림과 분리의 관계(치합관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축(440)에 대한 힌지부(332)의 좌우 위치를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힌지부(332)와 지지 축받이(420) 사이의 축(440)에 나사(442)를 형성하고, 힌지부(332)가 스프링(450)의 탄성에 의해 축(440)을 따라 좌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로 된 스토퍼(443)를 상기 나사(442)에 체결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으며, 스토퍼(443)를 돌려서 힌지부(332)가 이동할 수 있는 좌측 한계를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1)의 작동을,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동레버(460)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올리면, 상기 편심부(463)의 소직경 부분이 메인 축받이(411)에 접하기 때문에, 축(440)이 좌측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긴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443)의 위치가 좌로 이동하게 되므로 스프링(450)의 작용으로 다리부(300)의 힌지부(332)가 좌로 이동하게 되며, 물려 있던 힌지부(332)의 톱니(334)와 메인 축받이(411)의 톱니(413)가 풀려서 제1 다리(330)와 제2 다리(340)는 메인 축받이(411), 지지 축받이(420) 및 서브 축받이(4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때 힌지부(332)의 좌측 이동이 불충분하여 힌지부(332)의 톱니(334)와 메인 축받이(411)의 톱니(413)가 완전하게 풀리지 않으면, 상기 스토퍼(443)를 돌려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 상태에서 골프 플레이어는, 도1의 실선과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300)를 회전시켜서, 다리부(300)가 본체(2)에 밀착된 상태(골프백을 운반을 위한 상태) 또는 다리부(300)가 본체(2)로부터 벌어진 상태(골프백을 새워 두기 위한 상태)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리부(30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한 후에, 다시 상기 작동레버(460)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내리면, 상기 편심부(463)의 대직경 부분이 메인 축받이(411)에 접하기 때문에, 축(440)이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스토퍼(443)의 위치가 우로 이동하게 되므로 메인 축받이(411)로부터 이격되어 있던 힌지부(332)가 스프링(450)의 탄성에 반하여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풀려 있던 힌지부(332)의 톱니(334)와 메인 축받이(411)의 톱니(413)가 물리게 되므로, 제1 다리(330)가 메인 축받이(411)와 지지 축받이(420)에 대해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결국 다리부(300) 전체가 축받이부(4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되므로 다리부(300)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고정되게 된다. 이때 힌지부(332)의 우측 이동이 불충분하여 힌지부(332)의 톱니(334)와 메인 축받이(411)의 톱니(413)가 완전하게 물리지 않으면, 상기 스토퍼(443)를 돌려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골프 플레이어는 상기 작동레버(460)를 조작하면서 다리부(300)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운반장치(10)의 다리부 각도를 지면의 상태에 따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록킹 장치(210)의 자석키(230)를 키삽입홈(140,220)으로부터 뽑고 브래킷(100)으로부터 삽입판(200)을 빼면, 고정 브래킷(100)을 제외한운반장치(10)의 모든 부품을 본체(2)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운반장치(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들을 별도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골프백(1)을 필드에서 운반할 때 사용하는 손잡이부는 필드의 지면 상태 또는 플레이어의 신장에 따라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골프백(1)의 손잡이부(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500)에는 상기 운반장치(10)에 적용된 다리부(300)의 각도 조절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다. 즉 손잡이부(500)는, 골프백(1)의 본체(2)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브래킷(510), 톱니(522)가 형성된 힌지부(521)를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510)에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520), 및 상기 손잡이(520)를 상기 브래킷(510)에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연결하는 작동수단(5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작동수단(530)은, 브래킷(510)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521)의 톱니(522)와 선택적으로 물리는 톱니(541)가 형성된 메인 축받이(540), 상기 메인 축받이(540)와의 사이에 공간을 두고 브래킷(5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축받이(550), 상기 메인 축받이(540)와 지지 축받이(550)에 상기 손잡이(520)의 힌지부(52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560), 및 상기 힌지부(521)를 좌우로 이동시켜서 상기 힌지부(521)의 톱니(522)를 상기 메인 축받이(540)의 톱니(541)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작동레버(5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손잡이(520)는, 골프백을 운송 또는 보관할 때 보다 적은 체적을 점유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힌지부(521)에 근접한 위치에서 노브(knob:524) 쪽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에서, 도면부호 523은 힌지부(521)의 축공, 도면 부호542와 551은 메인 축받이(540)와 지지 축받이(550)의 축공, 도면 부호 561과 562는 축(560)에 형성된 나사와 힌지공, 도면 부호 563과 564는 스토퍼와 스프링, 571과 572는 작동레버(570)의 힌지공과 편심부를 각각 나타내고, 이들의 결합 관계와 작동은 앞서 운반장치(10)에 관한 내용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에 따라, 첫째 휠이 설치된 다리의 각도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지면 상태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골프백을 운반할 수 있고 안전하게 세워 놓을 수 있다. 둘째, 운반장치가 착탈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골프백으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셋째, 운반장치가 골프백 본체의 내측 외주면에 지지되므로, 골프백의 하중을 보다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으며, 본체가 아래로 처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골프백의 손잡이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안한 자세로 골프백을 운반할 수 있다. 다섯째 운반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어 중량이 가볍고 고장의 염려가 적다.

Claims (4)

  1.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에 있어서, 골프백(1)의 본체(2)에 고정되는 브래킷(100), 상기 브래킷(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삽입판(200), 톱니 (334)가 형성된 힌지부(332)와 휠(310)을 구비하고 상기 각 삽입판(200)에 각각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다리부(300), 및 상기 각 다리부(300)를 상기 각 삽입판(200)에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연결하는 작동수단(400)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작동수단(400)은, 상기 각 삽입판(200)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 (332)의 톱니(334)와 선택적으로 물리는 톱니(413)가 형성된 메인 축받이(411)를 포함하는 축받이부(410), 상기 메인 축받이(411)에 상기 힌지부(33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440), 및 상기 힌지부(332)를 좌우로 이동시켜서 상기 힌지부 (332)의 톱니(334)를 상기 메인 축받이(411)의 톱니(413)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작동레버(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0)은 상기 본체(2)의 안쪽면(3)의 외형 윤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된 밀착면(110), 상기 삽입판(20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 (120), 및 삽입판(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 (100)과 상기 삽입판(200)에 형성된 키삽입홈(140,220) 및 상기 키삽입홈(140,220)에 삽입되는 자석키(230)로 구성된 록킹 장치(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440)에는, 상기 힌지부(332)를 상기 메인 축받이 (411)로부터 이탈시키는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450)과 상기 힌지부(332)가 상기 메인 축받이(411)로부터 이탈되는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44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레버(460)에는 상기 축(440)과의 힌지연결부위에 편심부 (46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편심부(463)는 상기 축(440)을 통해 상기 힌지부 (332)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힌지부(32)의 톱니(334)가 상기 메인 축받이(411)의 톱니(413)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에는 손잡이부(5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500)는, 상기 본체(2)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브래킷(510), 톱니(522)가 형성된 힌지부(521)를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510)에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520), 및 상기 손잡이(520)를 상기 브래킷(510)에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연결하는 작동수단(530)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수단(530)은, 상기 브래킷(510)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521)의 톱니(522)와 선택적으로 물리는 톱니(541)가 형성된 메인 축받이(540), 상기 메인 축받이(540)와의 사이에 공간을 두고 브래킷(5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지지 축받이(550), 상기 메인 축받이(540)와 지지 축받이 (550)에 상기 손잡이(520)의 힌지부(52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560), 및 상기 힌지부(521)를 좌우로 이동시켜서 상기 힌지부(521)의 톱니(522)를 상기 메인축받이(540)의 톱니(541)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작동레버(5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KR2019980013133U 1998-04-14 1998-07-16 운반장치가구비된골프백 KR20026875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05789 1998-04-14
KR98-5789 1998-04-14
KR2019980005789 1998-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473U KR19990040473U (ko) 1999-11-25
KR200268751Y1 true KR200268751Y1 (ko) 2002-10-25

Family

ID=69514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133U KR200268751Y1 (ko) 1998-04-14 1998-07-16 운반장치가구비된골프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7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192B1 (ko) * 2010-07-22 2012-08-20 주식회사 킹타이거 골프백 카트
KR102034404B1 (ko) * 2019-01-29 2019-10-18 성 호 김 카트 탈부착식 이동형 골프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192B1 (ko) * 2010-07-22 2012-08-20 주식회사 킹타이거 골프백 카트
KR102034404B1 (ko) * 2019-01-29 2019-10-18 성 호 김 카트 탈부착식 이동형 골프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473U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2338B2 (en) Foldable transportable multiple function pilates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4996977A (en) Tremor control device
US4405142A (en) Knock down wheel chair
US8057371B2 (en) Portable workout apparatus including a plie bar
US10946247B1 (en) Unstable surfac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4246677A (en) Cart caster
US20040092341A1 (en) Portable basketball system
US5659904A (en) Tub grab bar
EP0274014B1 (en) Rotatable club holder insert for a golf bag
JPH0256109B2 (ko)
US20020125667A1 (en) Golf cart
US20120283079A1 (en) Foldable Transportable Multiple Function Pilates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5024359A (en) Bicycle cooler
WO1994011236A1 (en) Wheelchair frame assembly and components for use thereon
KR100273666B1 (ko)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US6068270A (en) Detachable cart for carrying golf bag
KR200268751Y1 (ko) 운반장치가구비된골프백
US4413833A (en) Two-wheel hand truck
US4210341A (en) Transport apparatus
US5989162A (en) Portable exercise device
US5643141A (en) Leg exerciser
US20030127814A1 (en) Golf bag carrier
US5427493A (en) Hand truck with horizontally spreadable arms
JP3457252B6 (ja) ゴルフバッグ運搬装置
KR100273665B1 (ko) 골프백운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