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741Y1 - 프리 사이즈 선바이저 - Google Patents

프리 사이즈 선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741Y1
KR200268741Y1 KR2020010041079U KR20010041079U KR200268741Y1 KR 200268741 Y1 KR200268741 Y1 KR 200268741Y1 KR 2020010041079 U KR2020010041079 U KR 2020010041079U KR 20010041079 U KR20010041079 U KR 20010041079U KR 200268741 Y1 KR200268741 Y1 KR 200268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band
rim
viso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1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부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다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다실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다실업
Priority to KR2020010041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7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741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이즈 조절이 자연스러운 개선된 형태의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바이저의 테두리 전면부 양 측면에 늘어나는 밴드를 부착, 봉제하여 선바이저 착용시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자연스럽게 사이즈 조절이 되며, 상기 밴드를 테두리 전면부의 원단으로 감싸게 됨으로써 착용감을 더욱 좋게하도록 제작된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선바이저는 햇빛으로부터 얼굴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제작한 챙부와 상기 챙부와 부착, 봉제되어 머리 전면 둘레부를 감싸는 테두리전면부와, 머리 후면 둘레부를 감싸는 테두리 후면부와 상기 테두리 전면부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테두리 후면부와 테두리 전면부 사이에 연결 봉제된 밴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밴드는 신축성 기능이 있어 사이즈 조절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리 사이즈 선바이저{Free size visor}
본 고안은 사이즈 조절이 자연스러운 개선된 형태의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바이저의 테두리 전면부 양 측면에 신축성 있는 밴드를 부착하여 선바이저 착용시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자연스럽게 사이즈 조절이 되며, 상기 밴드를 테두리 전면부 원단으로 감싸게 됨으로써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제작된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바이저는 일반 야구 모자와는 달리 머리 전체를 감싸지 않고 머리 둘레 부분만을 감싸는 테두리부와 얼굴의 안면을 햇빛으로부터 보호하는 챙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바이저의 테두리 후면부에는 사이즈를 조절하는 사이즈 조절 장치가 연결, 봉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선바이저의 사이즈 조절 장치는 탈부착 방식으로 되어있는 벨크로(Velcro)나 그외 다른 체결 방식을 이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사이즈 변화에 따라 수시로 사이즈 조절 장치의 사이즈를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해 테두리 전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신축성 밴드로 대체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의해 제조된 선바이저는 착용시 밴드에 직접 닿는 머리 둘레 부분에 압박감을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가져다 주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선바이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선바이저의 테두리 전면부 양 측면에 늘어나는 밴드를 부착하여 선바이저 착용시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자연스럽게 사이즈 조절이 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선바이저의 테두리 전면부 양 측면에 위치한 밴드를 선바이저 전면부의 원단으로 충분히 감싸줌으로써 밴드가 이마에 직접 닿지않게 함으로써 모자 착용시 압박감을 줄이게 되어 모자의 착용감을 더욱 좋게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선바이저는 머리 둘레 부분을 감싸는 테두리부와 테두리의 전면부에 봉제되어 얼굴의 안면을 햇빛으로부터 보호하는 챙부와 상기 테두리 전면부의 양 측면에 부착, 봉제된 밴드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는 테두리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감싸는 테두리 사이에 연결, 봉제되어 있으며, 테두리 전면부는 상기 연결부분의 둘레를 감싸도록 제작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A-A'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테두리 전면부 2: 테두리 후면부
3: 밴드 4: 챙부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의 사시도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는 머리 전면 둘레를 감싸는 테두리 전면부(1)와, 머리 후면 둘레를 감싸는 테두리 후면부(2)와, 상기 테두리 전면부에 부착되어 얼굴의 안면을 햇빛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챙부(4)와, 상기 테두리 전면부의 양 측면에 부착되어 사이즈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밴드(3)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의 우측면도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밴드(3)는 테두리 전면부(1)와 사용자의 머리 후면 둘레부를 감싸는 테두리 후면부(2) 사이에 연결, 봉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3)가 사용자의 머리에 직접 닿지 않도록 상기 테두리 전면부(1)를 충분히 연장하여 밴드(3)를 최대한 늘이더라도 사용자의 머리에 닿지 않게 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A-A' 부분단면도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신축성 밴드(3)가 연결된 부분의 선바이저 전면부(1)는 선바이저 바깥쪽 원단(5)과 신축성 밴드(3)와 선바이저의 밴드와 인접한 내부 원단들(6),(7)로 구성되며, 상기 선바이저의 바깥쪽 원단(5)과 선바이저의 내부 원단들(6),(7)의 상단 부분은 일정한 크기의 원단(8)으로 감싸서 봉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바이저 전면 하단부에 위치한 것으로서, 상기 챙부를 구성하는 원단들(9),(10)은 선바이저의 바깥쪽 원단(5)과 선바이저의 내부 원단들(6),(7)과 함께 봉제되어 있다. 상기 챙부는 챙싱(11)과 챙싱을 둘러싼 2개의 원단들(9),(10)로 구성되며, 상기 선바이저의 전면부 바깥쪽 원단(5)은 밴드(3)가 늘어나는 위치를 눈으로 볼 수 있도록 메쉬(MESH) 원단으로 제작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선바이저는 선바이저의 양 측면에 신축성 밴드를 부착, 봉제하여 사용자가 착용시 별도의 사이즈 조절을 하지 않고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자연스럽게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도록 했다. 또한, 선바이저의 전면부를 상기 밴드와 연결된 선바이저의 후면부를 감싸는 테두리부를 감싸되, 상기 밴드를 최대한 늘이더라도 밴드가 사용자의 머리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을만큼 충분히 연장하여 감싸도록 함으로써 압박감을 줄여 보다 편안한 착용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머리 전면 둘레부를 감싸는 테두리 전면부와;
    머리 후면 둘레부를 감싸는 테두리 후면부와;
    테두리 전면부에 부착된 챙부와;
    상기 테두리 전면부와 테두리 후면부 사이에 연결된 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밴드가 머리에 직접 닿지 않도록 밴드의 둘레 부분을 상기 테두리 전면부의 원단으로 감싸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사이즈 선바이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신축성 있는 밴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사이즈 선바이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전면부의 양 측면 바깥쪽 원단은 내부가 보이는 원단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사이즈 선바이저
KR2020010041079U 2001-12-31 2001-12-31 프리 사이즈 선바이저 KR200268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1079U KR200268741Y1 (ko) 2001-12-31 2001-12-31 프리 사이즈 선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1079U KR200268741Y1 (ko) 2001-12-31 2001-12-31 프리 사이즈 선바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741Y1 true KR200268741Y1 (ko) 2002-03-18

Family

ID=7307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1079U KR200268741Y1 (ko) 2001-12-31 2001-12-31 프리 사이즈 선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7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131B1 (ko) 이중구조 크라운을 가진 모자
CA2269369C (en) Sized head gear
EP2615935B1 (en) Hat systems
CA2893648A1 (en) Ear warming headwear having retention means for securing same in an ear-covering position
KR100566488B1 (ko) 모자
KR100691901B1 (ko) 크라운 형태를 유지해주는 모자
US6928660B2 (en) Coated headband for a cap
US20060090247A1 (en) Visor cap
KR200268741Y1 (ko) 프리 사이즈 선바이저
KR200268747Y1 (ko) 톱니 모양 밴드를 가진 모자
KR200366134Y1 (ko) 위생모자
KR100691904B1 (ko) 부분 절개된 챙을 가진 모자
KR200264768Y1 (ko) 보조밴드를 구비한 선바이저
KR200470496Y1 (ko) 다기능 비니모자
KR200292768Y1 (ko) 사이즈조절 밴드가 숨겨진 모자
KR20130024510A (ko) 차광부재를 갖는 모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323800Y1 (ko) 신축성을 가진 차양모
KR200268682Y1 (ko) 사이즈 조절 장치를 구비한 모자
KR100702714B1 (ko) 비신축성 헤드밴드를 가진 모자
CA2425962C (en) Elastically retained hat and band
KR200314989Y1 (ko) 고무사를 이용한 모자
KR100773462B1 (ko)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를 구비한 모자
KR200278972Y1 (ko) 압박감을 해소한 프리 사이즈 캡
KR200272650Y1 (ko) 이중 구조의 챙을 가진 모자
KR200286275Y1 (ko) 탄성 밴드를 부착한 바이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