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553Y1 - 화장대 겸용 장롱 - Google Patents

화장대 겸용 장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553Y1
KR200268553Y1 KR2019990005613U KR19990005613U KR200268553Y1 KR 200268553 Y1 KR200268553 Y1 KR 200268553Y1 KR 2019990005613 U KR2019990005613 U KR 2019990005613U KR 19990005613 U KR19990005613 U KR 19990005613U KR 200268553 Y1 KR200268553 Y1 KR 200268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ssing table
present
mirror
dressing
bed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222U (ko
Inventor
이광부
Original Assignee
이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훈 filed Critical 이지훈
Priority to KR2019990005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553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2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553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대로 사용할 수 있는 화장대 겸용 장롱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침실에 화장대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장롱의 일부를 화장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한 화장대 겸용 장롱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장롱의 어느 하나의 설합 내부에 화장대로 사용하기 위한 거울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필요시 설합을 열어 거울이 전개되도록 하여 화장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화장대를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게 되고, 별도의 화장대 점유면적이 불필요하여 침실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대 겸용 장롱{Dressing Table and Cabinet Drawer in One}
본 고안은 화장대 겸용 장롱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상시에는 장롱으로 사용하고 필요시에는 일부를 화장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롱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현대인의 주거공간은 제한되어 있으며, 따라서 침대, 장롱 등을 들여놓은 침실에 화장대까지 설치하게 되면 침실의 활동 공간이 더욱 협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화장대는 그 특성상 거실 등 다른 공간에 설치할 수 없는 것이며, 반드시 침실에 설치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가 쉽지 않은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침실에 화장대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장롱의 일부를 화장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한 화장대 겸용 장롱을 제공함에 있다.
도 1, 2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장대 겸용 장롱의 사용방법을 보인 사시도.
도 3, 4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장대 겸용 장롱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요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또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납공간 2 : 문짝 3 : 설합4 : 덮개 5 : 경면 6 : 경첩
8 : 거울 9 : 조명등 10 : 스위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장롱의 어느 하나의 설합 내부에 화장대로 사용하기 위한 거울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필요시 설합을 열어 거울이 전개되도록 하여 화장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대 겸용 장롱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은 화장대를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하지 않고도 장롱의 일부를 화장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4에 본 고안에 의한 화장대의 구조를 단면도로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복수개의 수납공간(1)을 구비하고 이들 수납공간(1)이 복수개의 문짝(2)으로 개폐되도록 하며, 하나 이상의 설합(3)을 구비하여서 된 공지의 장롱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설합(3)의 내측 후방 상부를 덮어서 된 덮개(4)와, 설합(3)의 내측 전방 상부를 덮도록 된 경면(5)을 구비한 거울(8)과, 덮개(4) 및 거울(8)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경첩(6)으로 구성된 것이며, 미설명부호 7은 설합의 손잡이 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화장대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1, 3으로 보인 바와 같이 손잡이(7)를 잡고 설합(3)을 당겨내어 인출하면 덮개(4)와 거울(8)이 노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거울(8)을 들어 뒤로 젖히면 경첩(6)을 중심으로 하여 거울(8)이 회동하여 도 2, 4로 보인 바와 같이 거울(8)의 경면(5)이 사용자의 얼굴을 비추게 되는 것이고, 화장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설합(3)의 내측 바닥면에는 화장용 브러쉬나 화장솔 등을 놓아 둘 수 있는 것이며, 설합(3)의 높이를 높게 하면 높이가 높은 로션병 등도 세워 보관하였다가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는 도 5로 보인 바와 같이 거울(8)의 폭이 설합(3) 상단의 폭 보다 다소 넓게 하여 거울(8)이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하면 사용이 더욱 편리하게 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도 6으로 보인 바와 같이 장롱의 상부에 조명등(9)을 설치하고 설합(3)의 일측에 스위치(10)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설합(3)을 열면 스위치(10)의 레버(11)가 동작하여 '온' 상태가 됨으로써 조명등(9)이 켜지도록 하고 설합(3)을 닫으면 스위치(10)의 레버(11)가 동작하여 '오프'상태가 됨으로써 별도의 조명없이 어두운 실내에서도 편리하게 화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고가이며 부피가 큰 화장대를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음은 물론 협소하기 마련인 침실의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화장을 위하여 거울은 물론 화장품을 넣어두는 수납공간을 함께 제공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더욱이 설합을 열면 장롱의 상부에 조명등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어두운 실내에서도 화장할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한 잇점이 있다.

Claims (2)

  1. 복수개의 수납공간(1)을 구비하고 이들 수납공간(1)이 복수개의 문짝(2)으로 개폐되도록 하며, 하나 이상의 설합을 구비하여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설합(3)의 내측 후방 상부를 덮어서 된 덮개(4)와, 설합(3)의 내측 전방 상부를 덮도록 된 경면(5)을 구비한 거울(8)과, 덮개(4) 및 거울(8)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경첩(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대 겸용 장롱.
  2. 청구항2는 삭제 되었습니다.
KR2019990005613U 1999-04-07 1999-04-07 화장대 겸용 장롱 KR200268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613U KR200268553Y1 (ko) 1999-04-07 1999-04-07 화장대 겸용 장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613U KR200268553Y1 (ko) 1999-04-07 1999-04-07 화장대 겸용 장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222U KR20000019222U (ko) 2000-11-06
KR200268553Y1 true KR200268553Y1 (ko) 2002-03-16

Family

ID=5476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613U KR200268553Y1 (ko) 1999-04-07 1999-04-07 화장대 겸용 장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55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946B1 (ko) * 2019-06-08 2021-08-24 박삼권 화장대와 tv 기능이 포함된 장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222U (ko)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1318B2 (en) Portable cosmetics case
KR200268553Y1 (ko) 화장대 겸용 장롱
US6237612B1 (en) Turn key compact
US20060006772A1 (en) Makeup cabinet
USD367196S (en) Personal care cabinet
IT1256619B (it) Contenitore di dispositivi per cosmetica ed igiene personale, come pennelli da trucco e da barba, rossetti da labbra, applicatori in genere, erogatori di profumo, spazzolini da denti e cosi' via.
KR200378221Y1 (ko) 수납식 침대
KR200352107Y1 (ko) 서랍장을 구비한 화장대
USD366250S (en) Personal computer cabinet
JP2001054433A (ja) 洗面化粧台及び洗面化粧室
USD428290S (en) Hair care center
KR20130003698U (ko) 전면 조명을 갖는 가구형 화장대
USD394749S (en) Compartmented portable therapy case
KR100461528B1 (ko) 수납장 문의 슬라이딩 로울러 구조
JPH0716394Y2 (ja) 洗髪・洗面化粧台
US2884666A (en) Combination hallway and disappearing dressing room
KR200242044Y1 (ko)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JP2601479Y2 (ja) 洗面化粧キャビネットのカバー付コンセント
KR970002897Y1 (ko) 화장대가 설치된 장농
KR200211624Y1 (ko) 경대
JP2005000229A (ja) 洗面化粧台
RU8578U1 (ru) Шкаф для ванной комнаты
JPH0349580Y2 (ko)
JPS59144414A (ja) ドレツサ−
KR200293362Y1 (ko)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다기능 화장용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