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091Y1 -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 - Google Patents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091Y1
KR200268091Y1 KR2020010037510U KR20010037510U KR200268091Y1 KR 200268091 Y1 KR200268091 Y1 KR 200268091Y1 KR 2020010037510 U KR2020010037510 U KR 2020010037510U KR 20010037510 U KR20010037510 U KR 20010037510U KR 200268091 Y1 KR200268091 Y1 KR 200268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lens
flashlight
led
ligh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환
Original Assignee
조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환 filed Critical 조성환
Priority to KR2020010037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0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091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LED)의 광선을 이미지가 인쇄된 제1볼록렌즈를 통해 제2볼록렌즈로 통과시켜 조사하는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MICRO-TYPE HAND FLASHLIGHT FOR STRAIGHT-LIGHTING}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이하 LED 라 함)의 광선을 이미지가 인쇄된 제1볼록렌즈를 통해 제2볼록렌즈로 통과시켜 조사하는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손전등은 일반적으로 램프의 광선이 반사경을 통해 외부로 조사하여 광선의 손실이 크며, 특히 조사된 중심부분에 비해 그 주위가 어두워서 조사범위가 좁아질 수 있다.
한편, 종래 광고나 선전을 위한 조명장치, 예컨대 한국실용신안공보(공개번호 1995-12042 및 1995-12398)에 개시되어 있다.
도 5는 선전용 조명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 또는 천장에 부착되는 조명장치는 통상의 조명기구와 마찬가지로 할로겐램프(미도시)가 장착되어 있으며, 조명장치를 부착구(미도시)와 이 부착구와 조명기본체(3)를 연결하는 연결간(4)에 의하여 조명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부착되며, 조명기본체(3)의 전방 개구부는 중심에 투사공(5)이 천공된 스틸캡(6)으로 복개되는데, 이 스틸캡(6)은 그 양측의 구멍(10)을 통해 삽입되는 한 쌍의 안내봉(9) 일단의 나사부(9a)가 나사 조립구(11)에 나사 조립됨으로 해서 조명기본체(3)에 부착되는 것이며, 한 쌍의 안내봉(9)에는 오목렌즈(7)와 볼록렌즈(8)가 이동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게 조립되어 진다.
스틸캡(6)의 전면에 로고문양(15)이 형성된 로고조명판재(12)가 삽탈 가능하도록 괘지레일(13)을 착설시키며, 괘지레일(13) 양측단에는 로고조명판재(12)를 탄력 지지하는 탄편부재(14)를 형성시킨다.
그러나, 전술한 조명장치는 할로겐램프, 로고조명판재(12), 오목렌즈(7) 및 볼록렌즈(8) 각각의 설치 위치가 상당히 떨어져 있어 부피가 크고, 광선 손실이 크기 때문에, 제한된 공간에 설치하여 광고나 선전을 해야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선을 균일하게 멀리 조사하고 조사면에 이미지를 선명하게 형성시켜 광고나 선전을 어디서나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캡의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주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볼록렌즈의 다양한 변형 예를 도시한 도.
도 5는 종래의 선전용 조명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
110 : 동체 110a : 암나사부
115 : 건전지
130 : 캡 130a : 수나사부
131 : 전극단자 수납부 133 : 걸림부
135 : LED 수납부 137 : 광로부
139 : 렌즈 설치부
150 : LED 151,153 : 전극단자
155 : 플랜지
170,170a,170b,170c : 제1볼록렌즈
171 : 글라스판 175 : 이미지
180 : 제2볼록렌즈
191,193,195 : 전도체 192 : 절연체
F : 제2볼록렌즈 초점거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은 하나의 건전지를 수용하는 동체; 상기 동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캡; 상기 캡에 수납되며 상기건전지에 전기적으로 온/오프되도록 접속된 LED; 상기 캡에 수납되는 제1볼록렌즈와 제2볼록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볼록렌즈는 상기 LED의 광선이 모두 통과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볼록렌즈는 상기 제1볼록렌즈와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때 제1볼록렌즈의 일면에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의하면, LED의 광선을 균일하게 멀리 조사하고 광고나 선전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1볼록렌즈의 일면이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어, 이미지의 형성이 편리하다.
또한, 상기 제2볼록렌즈를 상기 제1볼록렌즈로부터 상기 제2볼록렌즈의 초점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이미지의 형상을 보다 선명하게 조사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캡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주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100)은 크게 원통관인 동체(110), 동체(1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캡(130), 동체(110)의 후방에 결합되는 스위치 조립체(미도시)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동체(110)의 중심부에는 건전지(115)가 수납되고 그 일측 부근에는 (-)전도체(191)와 건전지(115)의 (+)전극과 접속하는 전도체(193)가 배치된다. 참조번호 192는 (-)전도체(191)와 (+)전도체(193) 사이에 배치된 절연체이다. 이 (-)전도체(191)와 (+)전도체(193)는 스위치 조립체와 접속된 연결전도체(195)에 접속되어 있다.
캡(130)은 동체(110)에 나사 결합을 통해 체결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130)의 내부에는 LED(150)의 전극단자 수납부(131), 걸림부(133), LED 수납부(135), 광로부(137) 및 렌즈 설치부(139)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단자 수납부(131)에는 (-)전도체(191)에 접속되는 전극단자(151)와 (+)전도체(193)에 접속되는 전극단자(153)가 배치되며, 전극단자 수납부(131)의 외주면에는 동체(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10a)와 체결되는 수나사부(130a)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131)는 LED(150)의 플랜지(155)가 걸려 LED(150)를 소정위치에 수납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로부(137)는 LED(150)의 광선이 통과하는 공간으로서, 그 폭(w2)은 LED 수납부(135)의 폭(w1)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LED(150)의 광선이 직접 제1볼록렌즈(170)로 입사될 수 있다. 또한, 광로부(137)의 거리(t2)는 적어도 LED(150)의 광선을 모두 제1볼록렌즈(170)에 집적시킬 수 있는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광선이 제1볼록렌즈(170)에 100% 집적됨에 따라 소형이면서도 에너지 효율이 높아 높은 조도를 유지할 수 있다.
렌즈 설치부(139)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볼록렌즈(170)와 제2볼록렌즈(180)가 소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볼록렌즈(170)는 입사된 광선을 균일하게 조사하며, 제2볼록렌즈(180)는 균일하게 조사된 광선을 보다 더 집적하여 더 멀리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렌즈 설치부(139)의 폭(w3)은 광로부(137)의 폭(w2)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광선이 렌즈(170;180)의 최외곽 부분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능한 한 광선을 모두 집적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볼록렌즈(170)의 일면에는 광고나 선전을 위한 이미지(175)가 인쇄되어 있다. 이 이미지(175)의 인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볼록렌즈(170a,170b)의 일면이 평면으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공된 평면에 이미지(175)가 형성되는 것이 볼록한 면에 이미지가 형성되는 것 보다 편리하게 된다.
한편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면이 평면인 제1볼록렌즈(170c)와 이미지가 형성된 글라스판(171)이 부착된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볼록렌즈(170,170a,170b) 또는 글라스판(171)에 형성된 이미지(175)가 선명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제2볼록렌즈(180)는 그 자체의 초점거리(F)만큼 제1볼록렌즈와 떨어진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 조립체(미도시)는 건전지(115)의 (-)단자와 접속되는 전도체(미도시), 전도체(미도시)와 (-)전도체(191)를 접속시키는 연결전도체(195), (+)전도체(193) 및 연결전도체(195)를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미도시)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LED의 광선이 모두 통과하는 위치에 제1볼록렌즈가 배치되어 있어, ①LED의 광선을 100% 활용할 수 있고 ②제1볼록렌즈를 통해 LED의 광선을 균일하게 조사하고 ③제1볼록렌즈와의 거리를 최대한 단축시켜 손전등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휴대가 간단하여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고,
이 제1볼록렌즈와 소정거리의 위치에 제2볼록렌즈가 배치되어 있어, ①제2볼록렌즈가 제1볼록렌즈에서 집적된 광선을 보다 더 집적하여 보다 멀리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다.
둘째, 제1볼록렌즈의 일면에 이미지가 인쇄되기 때문에, ①이미지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어 보다 소형화가 달성되고 ②사용자는 그 이미지를 항상 응시할 수 있어 광고나 선전의 효과, 특히 판촉물을 통한 광고나 선전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넷째, 일면이 평면인 제1볼록렌즈를 사용함으로써, 평면에 인쇄하기가 용이하다.
다섯째, 제1볼록렌즈와 제2볼록렌즈간의 거리를 제2볼록렌즈의 초점거리로 설정함으로써, 이미지를 보다 선명하게 볼 수 있다.

Claims (4)

  1. 하나의 건전지를 수용하는 동체;
    상기 동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캡;
    상기 캡에 수납되며 상기 건전지에 전기적으로 온/오프되도록 접속되는 LED;
    상기 캡에 수납되는 제1볼록렌즈와 제2볼록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볼록렌즈는 상기 LED의 광선이 모두 통과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볼록렌즈는 상기 제1볼록렌즈와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볼록렌즈의 일면이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볼록렌즈의 일면에 이미지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볼록렌즈와 상기 제2볼록렌즈간의 거리는 상기 제2볼록렌즈의 초점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
KR2020010037510U 2001-12-05 2001-12-05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 KR200268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510U KR200268091Y1 (ko) 2001-12-05 2001-12-05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510U KR200268091Y1 (ko) 2001-12-05 2001-12-05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091Y1 true KR200268091Y1 (ko) 2002-03-15

Family

ID=7311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510U KR200268091Y1 (ko) 2001-12-05 2001-12-05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0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790B1 (ko) * 2008-12-01 2009-08-26 (주)케이엔텍 엘이디 램프 장치
KR101468276B1 (ko) * 2012-11-14 2014-12-10 김문경 휴대용 발광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790B1 (ko) * 2008-12-01 2009-08-26 (주)케이엔텍 엘이디 램프 장치
KR101468276B1 (ko) * 2012-11-14 2014-12-10 김문경 휴대용 발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0661A (en) Metal arc flashlight
AU653045B2 (en) Outdoor variable focus light fixture
US6758588B2 (en) Optical fiber light
BRPI0313978B1 (pt) lampada de semáforo e respectivo método de retroajustamento
CA2418851A1 (en) Led flashlight
WO2019114591A1 (zh) 照明灯具及光源模组
EP1248033A3 (de) Reflektorleuchte, insbesondere Boden-,Decken-oder Wandeinbau-Reflektorleuchte
JP3127330U (ja) Ledの焦点可変装置
KR100961472B1 (ko) 엘이디 전구모듈을 사용한 조립식 랜턴
KR200268091Y1 (ko) 초소형 직광용 손전등
CN211551215U (zh) 手电筒
JPH0343903A (ja) 照明器具
KR101016483B1 (ko) 다목적용 랜턴
US20040130894A1 (en) Lighting head assembly with reverse polarity protection
WO2007058070A3 (en) Light source unit and projector system
KR101870013B1 (ko) 반사식 광학장치를 구비한 조명 기구
US6994451B2 (en) Lighting head assembly with improved optical control
CN220397368U (zh) Led灯及led柱顶灯具
CN113028307A (zh) 手电筒
US1932102A (en) Electric illuminating device
CN220338297U (zh) 一种插地灯
CN219571731U (zh) 一种多重光源变倍调焦的户外钓鱼灯
CN211780864U (zh) 一种透镜组件及照明灯具
JP2005129517A (ja) Led照明器具およびled非常灯
CN219140529U (zh) 一种可调节水下激光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