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015Y1 - 낚싯대 받침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015Y1
KR200268015Y1 KR2020010034630U KR20010034630U KR200268015Y1 KR 200268015 Y1 KR200268015 Y1 KR 200268015Y1 KR 2020010034630 U KR2020010034630 U KR 2020010034630U KR 20010034630 U KR20010034630 U KR 20010034630U KR 200268015 Y1 KR200268015 Y1 KR 200268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support plate
rod support
piec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최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주호 filed Critical 최주호
Priority to KR2020010034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0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0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싯대를 받쳐주는 낚싯대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싯대가 고기에 의하여 물 속으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낚싯대 받침판을 수직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낚싯대 받침판을 수직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여도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판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별도의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아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낚싯대 받침대의 구성은 일정한 크기의 반원통으로 형성되어 낚싯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낚싯대를 걸 수 있는 걸림돌기(1)와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판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석(2)을 구비한 낚싯대 받침판(A)과, 상기 낚싯대 받침판(A)을 수직방향으로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부(B)와, 상기 낚싯대 받침판(A)과 각도조절부(B)를 일체형으로 하여 설치할 수 있는 공지의 지지대(C)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별도의 고정수단 및 받침수단없이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판의 각도조절에 관계없이 낚싯대 받침판 위에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며, 각도조절부의 나비너트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고, 소형, 경량이어서 휴대가 간편하다.

Description

낚싯대 받침대{The fishing rod prop}
본 고안은 낚싯대를 받쳐주는 낚싯대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싯대가 고기에 의하여 물 속으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낚싯대 받침판을 수직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낚싯대 받침판을 수직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여도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판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별도의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아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제 1996-6131호 “걸림고리를 갖춘 낚싯대 받침대”와 실용신안등록제 1997-6845호 “낚싯대 이탈방지용 받침대”및 실용신안등록제 1998-141547호 “낚싯대 이탈방지구가 있는 낚싯대 받침대”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낚싯대 손잡이 끝단부에 형성된 추와 추줄로 구성된 걸림추와 낚싯대 받침대에 형성된 추걸림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낚싯대 받침대에 올려져 있는 낚싯대가 고기에 의하여 앞쪽으로 당겨질 때, 그 당겨지는 방향이 어떤 각도를 취하던지, 낚싯대가 앞쪽이나 뒤쪽으로 세워지던지, 1996-6131호의 상부걸림고리(16)와 1997-6845호의 멈춤공(12) 및추줄끼움새(212)로 걸림추의 추가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안 등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고안은 조사가 잠시 자리를 비우는 등 부재중일 경우 또는 낚싯대의 찌에 정신을 집중하고 있지 않을 때 낚싯대의 바늘을 물은 고기가 낚싯대를 잡아당기면 낚싯대가 물 속으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는 있었다. 그러나 낚싯대에 고기가 물려 있는 것을 확인 한 조사가 물고기를 끌어올리려 할 때 낚시에 많은 경력이 있는 조사가 아닌 경우 낚싯대를 앞쪽 대각선 방향이나 수직방향으로 당기면서 올리기 때문에 낚싯대 손잡이 끝단부에 형성된 추와 추줄로 구성된 걸림추가 낚싯대 받침대의 걸림고리나 멈춤공 및 추줄끼움새에 걸림으로써 올바른 채비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경력이 있는 조사라 하더라도 고기가 물린 것을 확인 한 때에는 자신도 모르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채비를 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낚싯대가 낚싯대 이탈방지용 받침대의 걸림고리나 멈춤공 및 추줄끼움새에 걸려서 물 속으로는 끌려 들어가지는 않지만 낚싯대 이탈방지용 받침대의 V자형 홀더로부터는 이탈되기 때문에 조사가 낚싯대를 잡는 데에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낚싯대 받침대는 낚싯대의 손잡이 부분을 받쳐주는 낚싯대 받침대와 낚싯대가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낚싯대 앞부분이나 중간부분을 받쳐주는 낚싯대 보조 받침대로 구성되어 있어서, 낚싯대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낚시도구의 휴대수량이 많아서 휴대함에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낚시도구의 구입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낚싯대를 생산하는 생산자에게는 낚싯대 받침대의 구성부품이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서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또한 제조비용이 많이 발생되어 제품의 경쟁력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낚싯대 받침대를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실용신안등록제 2000-204949호 “낚싯대 받침대의 각도조절장치”와 공개실용신안 2000-19265호 “낚시받침대”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조가 복잡하여 조작이 불편하였으며, 무게가 무거워서 휴대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위와 같은 종래의 낚싯대 받침대는 낚싯대 이탈방지용 받침대와 낚싯대의 중간부분이나 앞쪽부분을 받쳐주는 보조 받침대가 구성되어서 하나의 낚싯대 받침대가 되거나, 또는 낚싯대 이탈방지용 받침대 및 낚싯대의 중간이나 앞쪽부분을 받쳐주는 보조 받침대와 상기 보조 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낚싯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낚싯대 받침대 및 낚싯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낚싯대 받침대가 전부 였다. 따라서 상기 낚싯대 받침대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성부품이 많아서 휴대하기가 불편하였으며, 제조원가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조작이 용이하고 소형 경량이어서 휴대가 간편하며, 낚싯대가 고기에 의하여 물 속으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낚싯대 받침판을 수직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낚싯대 받침판을 수직방향으로 각도조절을 하여도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판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별도의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고 방지할 수 있는 소형 경량의 다기능 낚싯대 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낚싯대 이탈방지구가 있는 낚싯대 받침대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또다른 낚싯대 이탈방지용 받침대의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각도조절용 낚싯대 받침대
제4도는 종래의 낚싯대 받침대
제5도는 본 고안의 낚싯대 받침대의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낚싯대 받침대의 분해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낚싯대 받침대의 사용상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낚싯대 받침대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낚싯대 받침대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낚싯대 받침판 B:각도조절부
C:공지의 지지대 1:걸림돌기
2:자석 3:회동편
4:안착판 5,5',5'',5''':관통구
6,6':볼트 7:너트
8:고정편 9:스프링
10:와셔 11:나비너트
12:홈 13:래칫기어
14:걸림턱 15:원통형 철편
본 고안의 구성은 제5도의 본 고안의 낚싯대 받침대의 사시도와 제6도의 본 고안의 낚싯대 받침대의 분해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반원통으로 형성되어 낚싯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낚싯대를 걸 수 있는 걸림돌기(1)와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판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석(2)을 구비한 낚싯대 받침판(A)과, 상기 낚싯대 받침판(A)을 수직방향으로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부(B)와, 상기 낚싯대 받침판(A)과 각도조절부(B)를 일체형으로 하여 설치할 수 있는 공지의 지지대(C)로 구성된다.
상기 낚싯대 받침판(A)의 중앙 하단부는 각도조절부(B)의 회동편(3)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판(4)이 부착되고, 상기 안착판(4)은 각도조절부(B)의 회동편(3)을 체결할 수 있는 관통구(5)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판(4)과 각도조절부(B)의 회동편(3)을 체결하기 위한 볼트(6)와 너트(7)가 구비된다.
상기 각도조절부(B)는 안착판(4)과 체결되는 회동편(3)과, 공지의 지지대(C)와 결합되는 고정편(8) 및 낚싯대 받침대(A)의 회동과 고정을 원활히 해주기 위한 스프링(9)과 볼트(6'), 와셔(10) 및 나비너트(11)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편(3)은 안착판(4)과 체결되기 위해서 볼트(6)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구(5')와 고정편(8)과 체결되기 위해서 볼트(6')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구(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편(8)도 회동편(3)과 체결되고 볼트(6')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구(5''')가 형성된다.
특히 회동편(3)과 고정편(8)의 내측에는 낚싯대 받침판(A)의 안착판(4)과 결합된 회동편(3)의 회동을 원활히 해주기 위한 스프링(9)이 안착될 수 있는 홈(12)이 형성되고, 낚싯대 받침판(A)을 원하는 각도로 회동한 후 회동편(3)을 고정편(8)에 볼트(6')와 나비너트(11)를 이용하여 체결하였을 때 낚싯대의 무게에 의하여 낚싯대 받침판(A)이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래칫기어(1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7도와 제8도 및 제9도의 본 고안의 낚싯대 받침대의 사용상태도와 또 다른 사용상태도를 보고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먼저 낚싯대에 낚싯대 받침판(A)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에 걸 수 있는 걸림턱(14)과 낚싯대 받침판(A)에 구비된 자석(2)에 부착되어 낚싯대 받침판(A)을 어떠한 각도로 조절하여도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판(A)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통형 철편(15)을 삽입한다.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낚싯대를 수평상태로 하여 낚시를 하고자 할 경우 낚싯대 받침판(A)을 각도조절부(B)의 나비너트(11)를 이용하여 공지의 지지대(C)와 수직상태로 유지한 다음 원하는 위치에 고정한 후 낚싯대 받침판(A)에 형성되어 낚싯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1)에 낚싯대의 걸림턱(14)을 넣고 낚싯대를 낚싯대 받침판(A)에 올려놓으면 된다. 이 때 고기가 낚싯대의 낚시바늘을 물고 어떠한 곳으로 가든지 간에 낚싯대의 걸림턱(14)이 낚싯대 받침판(A)의 걸림돌기(1)에 걸려있어서 낚싯대가 어떠한 방향으로도 끌려가지 아니하고, 또한 낚싯대 받침판(A)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자석(2)이 낚싯대에 부착되어 있는 원통형 철편(15)을 자력의 힘으로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낚싯대의 유동이 없다.
실시예 2
먼저 낚싯대에 낚싯대 받침판(A)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에 걸 수 있는 걸림턱(14)과 낚싯대 받침판(A)에 구비된 자석(2)에 부착되어 낚싯대 받침판(A)을 어떠한 각도로 조절하여도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판(A)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통형 철편(15)을 삽입한다.
제8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형이 평탄하지 않아 공지의 지지대(C)를 대각선으로 고정하고 낚싯대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낚시를 하고자 할 경우도 역시 낚싯대 받침판(A)을 각도조절부(B)의 나비너트(11)를 이용하여 낚싯대 판침판(A)을 지면과 수평상태로 유지한 다음 낚싯대를 낚싯대 받침판(A)에 형성되어 낚싯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1)의 걸림턱(14)에 넣고 낚싯대를 낚싯대 받침판(A)에 올려놓으면 된다. 이 때 고기가 낚싯대의 낚시바늘을 물고 어떠한 곳으로 가든지 간에 낚싯대의 걸림턱(14)이 낚싯대 받침판(A)의 걸림돌기(1)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어서 어떠한 방향으로도 끌려가지 아니하고, 또한 낚싯대 받침판(A)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자석(2)이 낚싯대에 부착되어 있는 원통형 철편(15)을 자력의 힘으로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낚싯대의 유동이 없다.
실시예 3
먼저 낚싯대에 낚싯대 받침판(A)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에 걸 수 있는 걸림턱(14)과 낚싯대 받침판(A)에 구비된 자석(2)에 부착되어 낚싯대 받침판(A)을 어떠한 각도로 조절하여도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판(A)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통형 철편(15)을 삽입한다.
낚싯대를 대각선으로 한 상태에서 낚시를 하고자 할 경우도 역시 낚싯대 받침판(A)을 각도조절부(B)의 나비너트(11)를 이용하여 낚싯대 받침판(A)을 지면과 대각선 상태로 유지한 다음 낚싯대를 낚싯대 받침판(A)에 형성되어 낚싯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1)의 걸림턱(14)에 넣고 낚싯대를 낚싯대 받침판(A)에 올려놓으면 낚싯대 받침판(A)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자석(2)이 낚싯대에 부착되어 있는 원통형 철편(15)을 자력의 힘으로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낚싯대가 흘러내릴 문제가 없다. 이 때 고기가 낚싯대의 낚시바늘을 물고 어떠한 곳으로 가든지 간에 낚싯대의 걸림턱(14)이 낚싯대 받침판(A)의 걸림돌기(1)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어서 어떠한 방향으로도 끌려가지 아니하고, 또한 낚싯대 받침판(A)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자석(2)이 낚싯대에 부착되어 있는 원통형 철편(15)을 자력의 힘으로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낚싯대의 유동이 없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조작이 용이하고 소형 경량이어서 휴대가 간편하며, 낚싯대가 고기에 의하여 물 속으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낚싯대 받침판을 수직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낚싯대 받침판을 수직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여도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판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및 생산자가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고 생산할 수 있다.

Claims (4)

  1. 일정한 크기의 반원통으로 형성되어 낚싯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낚싯대를 걸 수 있는 걸림돌기(1)와 낚싯대가 낚싯대 받침판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석(2)을 구비한 낚싯대 받침판(A)과, 상기 낚싯대 받침판(A)을 수직방향으로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부(B)와, 상기 낚싯대 받침판(A)과 각도조절부(B)를 일체형으로 하여 설치할 수 있는 공지의 지지대(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낚싯대 받침판(A)의 중앙 하단부는 각도조절부(B)의 회동편(3)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판(4)이 부착되고, 상기 안착판(4)은 각도조절부(B)의 회동편(3)을 체결할 수 있는 관통구(5)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판(4)과 각도조절부(B)의 회동편(3)을 체결하기 위한 볼트(6)와 너트(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도조절부(B)는 안착판(4)과 체결되는 회동편(3)과, 공지의 지지대(C)와 결합되는 고정편(8) 및 낚싯대 받침대(A)의 회동과 고정을 원활히 해주기 위한 스프링(9)과 볼트(6'), 와셔(10) 및 나비너트(11)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편(3)은 안착판(4)과 체결되기 위해서 볼트(6)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구(5')와 고정편(8)과 체결되기 위해서 볼트(6')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구(5'')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8)도 회동편(3)과 체결되고 볼트(6')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구(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회동편(3)과 고정편(8)의 내측에는 낚싯대 받침판(A)의 안착판(4)과 결합된 회동편(3)의 회동을 원활히 해주기 위한 스프링(9)이 안착될 수 있는 홈(12)이 형성되고, 낚싯대 받침판(A)을 원하는 각도로 회동한 후 회동편(3)을 고정편(8)에 볼트(6')와 나비너트(11)를 이용하여 체결하였을 때 낚싯대의 무게에 의하여 낚싯대 받침판(A)이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래칫기어(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대.
KR2020010034630U 2001-11-12 2001-11-12 낚싯대 받침대 KR200268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630U KR200268015Y1 (ko) 2001-11-12 2001-11-12 낚싯대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630U KR200268015Y1 (ko) 2001-11-12 2001-11-12 낚싯대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015Y1 true KR200268015Y1 (ko) 2002-03-15

Family

ID=7311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630U KR200268015Y1 (ko) 2001-11-12 2001-11-12 낚싯대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0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228B1 (ko) 2006-08-03 2008-01-07 조도영 낚싯대용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228B1 (ko) 2006-08-03 2008-01-07 조도영 낚싯대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9989C (en) Fishing rod holder mount
US6088946A (en) Fishing pole holder and fish hooker
US8453372B1 (en) Articulating fishing rod holder
US5937567A (en) Fishing rod holder
US4852290A (en) Fishing rod holder
US8567108B1 (en) Fishing rod holder with hook setting capability
US4486968A (en) Fishing rod support and trigger
US20080134563A1 (en) Automatic fish hook setter
US4231178A (en) Automatic fish snatcher
US5507209A (en) Sleeve-type screw holder and driver
US2810981A (en) Fishing rod supporting means
US6301820B1 (en) Hook setting fishing rod holder
KR200268015Y1 (ko) 낚싯대 받침대
US5269395A (en) Portable tree mounted seat
KR200273717Y1 (ko) 낚싯대 받침대
US9113620B2 (en) Fishing rod holder with fishing motion capability
KR102160174B1 (ko)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
KR100792228B1 (ko) 낚싯대용 받침대
KR100352846B1 (ko) 낚시 받침대
KR100959156B1 (ko) 낚싯대 받침 장치
KR20090035334A (ko) 낚싯대용 받침대
KR20160087660A (ko)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JP2009195252A (ja) 釣竿受具の使用方法
KR100860492B1 (ko) 낚시용 뜰채 걸이장치
JP2858033B2 (ja) 釣竿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