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660A -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 Google Patents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660A
KR20160087660A KR1020150006912A KR20150006912A KR20160087660A KR 20160087660 A KR20160087660 A KR 20160087660A KR 1020150006912 A KR1020150006912 A KR 1020150006912A KR 20150006912 A KR20150006912 A KR 20150006912A KR 20160087660 A KR20160087660 A KR 20160087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cradle
fishing rod
fish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5768B1 (ko
Inventor
송진아
Original Assignee
송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아 filed Critical 송진아
Priority to KR1020150006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768B1/ko
Publication of KR20160087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2Fishing rod hold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어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며 사용은 물론 보관이나 이동, 그리고 취급이 매우 용이한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받침대 테이블과 받침대 포스트, 그리고 받침대 거치대 등 전체 부품을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하고, 각각의 부품을 접거나 펼 수 있는 접이식 구조로 조립하여 제작한 새로운 형태의 낚시 받침대를 구현함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고, 취급이 매우 간편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사이즈를 최소화하여 보관은 물론 이동이 매우 편리한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Single unit folding type fishing support}
본 발명은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어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며 사용은 물론 보관이나 이동, 그리고 취급이 매우 용이한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저수지에 설치되는 좌대나 뭍에서 민물낚시를 할 때에, 낚시포인트ㆍ어종(낚고자하는 어종)ㆍ조사(釣士)의 취향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낚시대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여러 대의 낚시대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예를 들면, 좌대나 뭍에서 민물낚시를 하는 경우, 원하는 낚시 포인트나 낚고자하는 어종과 조사(釣士)의 취향에 따른 여러 조건에 따라 낚시대의 길이(칸수)를 달리하면서 여러 대의 낚시대를 동시에 걸어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보통 낚시대를 설치하여 사용할 때에 낚시대의 손잡이는 거치대를 이용하여 받쳐 지지하게 되고, 손잡이의 전방부분은 낚시 받침대를 이용하여 받쳐 지지하게 되며, 낚시 받침대는 단부를 지면에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낚시대에는 손잡이측을 받쳐 지지하는 낚시대 거치대와, 손잡이측의 전방을 받쳐 지지하는 낚시대 받침대가 개별적 분리되어 이를 각각 설치하게 되며, 상기 낚시대 받침대는 그 일단부를 뾰족하게 구성하여 땅에 꼽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낚시대를 받쳐주는 낚시 받침대는 앞받침대와 뒷받침대가 한 쌍으로 사용되며, 종래에는 앞받침대와 뒷받침대 모두 지주의 끝을 쐐기로 형성하여 지면에 박음하여 앞,뒤 받침대를 설치하였으나, 근래에는 받침대 고정구에 앞,뒤 받침대를 동시에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고, 받침대 고정구는 받침대 프레임에 다수를 설치하므로서 다수의 낚시대를 동시에 펼쳐서 낚시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낚시대 거치대와 낚시대 받침대는 이를 각각 설치하기 위하여, 설치 위치의 선정에 어려움이 있게 됨은 물론, 낚시대 거치대나 받침대는 각각 분할 구성되어, 이의 설치 및 분리하여 휴대하기가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낚시대 거치대와 받침대의 설치가 안정적이지 못할 경우에는 설치된 거치대나 받침대가 낚시대의 무게로 인해 쓰러지거나, 유동되는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낚시대의 받침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일일이 설치하고 철거하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여 설치, 철거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고가 요구되는 등의 불편이 있음은 물론, 또한 한번 설치한 후 낚시대의 방향이나 위치를 이동하고자 할 때에도 낚시대는 물론 거치대나 받침대도 하나하나 일일이 회수한 다음, 새로운 장소에서 다시 낚시대와 거치대 및 받침대를 설치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낚시 받침대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있어서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설치하는 것이 번거롭고, 낚시 받침대의 준비 및 철수 시에 받침대의 분해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낚시 받침대는 부피가 큰 관계로 휴대나 보관이 불편하고,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받침대를 일일이 설치하고 회수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낚시 받침대는 단순히 낚시대를 거치하는 용도로서, 여러 대의 낚시대 설치 시 낚시대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낚시 포인트)를 선정 및 조정하는 측면에서 미흡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10-2013-0060415호, 한국공개특허 10-2013-0136649호,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1-001147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060415호 한국공개특허 10-2013-0136649호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1-001147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받침대 테이블과 받침대 포스트, 그리고 받침대 거치대 등 전체 부품을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하고, 각각의 부품을 접거나 펼 수 있는 접이식 구조로 조립하여 제작한 새로운 형태의 낚시 받침대를 구현함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고, 취급이 매우 간편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사이즈를 최소화하여 보관은 물론 이동이 매우 편리한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세워지는 복수 개의 받침대 포스트와, 상기 받침대 포스트의 전면에 제1힌지핀에 의해 결합되어 90°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거치대 플레이트와, 낚시대를 끼워서 고정시키는 부분으로서 상기 거치대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낚시대 거치대와, 상기 받침대 포스트의 상단에 제2힌지핀에 의해 결합되어 90°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낚시 용품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받침대 테이블과, 지면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받침대 포스트의 하단에 제3힌지핀에 의해 결합되어 90°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받침대 앵커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낚시대 거치대는 거치대 플레이트 상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 본체부와, 상기 거치대 본체부에 제4힌지핀에 의해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한 지지되고 낚시대를 끼울 수 있는 관 형태로 이루어진 거치대 홀더부와, 상기 거치대 홀더부에 체결되어 낚시대를 고정시켜주는 거치대 고정용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낚시대 거치대는 거치대 본체부의 후단부 하측에 설치되어 거치대 본체부의 좌우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 레버는 물론, 거치대 본체부의 후단부 상측에 설치되어 낚시대를 포함하는 거치대 홀더부 전체의 상하 각도를 조절해주는 각도조절용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는 받침대 테이블 수평으로 펼쳐놓은 상태를 유지해주는 수단으로, 받침대 테이블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홀 내에 걸려지는 걸림돌기를 상단에 가짐과 더불어 받침대 포스트의 상단부에 하단이 일체 연결되면서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원터치 방식의 테이블 록킹레버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의 상기 받침대 테이블에는 용기를 끼워서 걸쳐 놓을 수 있는 용기거치용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 상기 받침대 테이블은 한쪽 옆에 걸어서 걸쳐 놓을 수 있는 미끼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는 받침대 앵커를 수평으로 펼쳐놓은 상태를 유지해주는 수단으로, 받침대 포스트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에 걸려지는 걸림돌기를 하단에 가짐과 더불어 받침대 포스트의 하단부에 하단이 일체 연결되면서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원터치 방식의 앵커 록킹레버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받침대 테이블, 받침대 포스트, 받침대 거치대 등 전체 부품이 합성수지 소재로 되어 있어 무게가 가볍고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접이식 구조를 이용하여 쉽게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등 취급이 간편하여 설치 및 해체는 물론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미사용 시 접어서 전체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 보관 및 이동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넷째, 받침대 거치대의 회전 및 각도 조절 가능한 구조를 이용하여 낚시대를 현장 조건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는 등 사용 시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를 접어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는 전체적으로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며,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사용 및 취급이 간편하고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는 지면에 세워 놓을 수 있는 받침대 포스트(10)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 포스트(10)는 양 옆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세워지는 복수 개, 예를 들면 양 옆에 나란하게 세워지면서 가로부재에 의해 일체형 연결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받침대 포스트(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받침대 테이블(15)과 받침대 앵커(17)의 수평 자세를 각각 잡아주는 원터치 방식의 테이블 록킹레버(23) 및 앵커 록킹레버(28)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 록킹레버(23)는 받침대 테이블(15)을 수평으로 펼쳐놓은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수단으로서, 받침대 포스트(10)의 상단부 전면을 양쪽 절개하여 성형한 바 형태를 이루면서 포스트측에 하단을 통해 일체 연결되어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테이블 록킹레버(23)는 하단 연결부위를 지지점으로 하여 전체가 앞뒤로 탄력 유동가능하게 되고, 이때의 탄력 유동 특성을 이용하여 받침대 테이블(15)을 걸어서 잡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이블 록킹레버(23)의 상단부에는 전면쪽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2a)가 형성되고, 이때의 걸림돌기(22a)는 받침대 테이블(15)의 다리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홀(21) 내에 걸려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대 포스트(10)의 후면쪽에 접혀져서 세워져 있던 받침대 테이블(15)을 윗쪽으로 젖혀서 펼치게 되면, 받침대 테이블(15)의 다리부분에 있는 걸림홈(21) 내에 테이블 록킹레버(23)의 걸림돌기(22a)가 체결되면서 걸려지게 되므로, 즉 받침대 테이블(15)측과의 접촉에 의해 테이블 록킹레버(23)가 앞쪽으로 약간 휘어짐과 더불어 재차 복원되는 동시에 걸림돌기(22a)가 받침대 테이블(15)의 걸림홈(21)에 끼워지게 되므로, 이때의 걸림돌기(22a)와 걸림홈(21) 간의 걸림작용에 의해 받침대 테이블(15)가 수평 자세의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테이블 록킹레버(23)의 전면을 손으로 눌러서 뒷쪽으로 밀어주게 되면, 걸림돌기(22a)가 걸림홈(21)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므로, 받침대 테이블(15)을 원래 상태로 접어놓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앵커 록킹레버(28)는 받침대 앵커(17)를 수평으로 펼쳐놓은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수단으로서(상대적으로 받침대 앵커에 대해 받침대 포스트를 수직 자세로 유지시켜주는 수단으로서), 받침대 포스트(10)의 하단부 전면을 양쪽 절개하여 성형한 바 형태를 이루면서 포스트측에 상단을 통해 일체 연결되어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앵커 록킹레버(28)는 상단 연결부위를 지지점으로 하여 전체가 앞뒤로 탄력 유동가능하게 되고, 이때의 탄력 유동 특성을 이용하여 받침대 앵커(17)를 걸어서 잡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앵커 록킹레버(28)의 하단부에는 전면쪽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2b)가 형성되고, 이때의 걸림돌기(22b)는 받침대 앵커(17)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7)과 위아래로 서로 맞걸려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대 포스트(10)의 후면쪽에 접혀져서 세워져 있던 받침대 앵커(17)를 아래쪽으로 젖혀서 펼치게 되면, 받침대 앵커(17)의 선단부에 있는 걸림턱(27)이 앵커 록킹레버(28)의 걸림돌기(22b)가 체결되면서 걸려지게 되므로,이때의 걸림돌기(22b)와 걸림턱(27) 간의 맞걸림 구조에 의해 받침대 앵커(17)가 수평 자세의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앵커 록킹레버(28)의 전면을 손으로 눌러서 뒷쪽으로 밀어주게 되면, 걸림돌기(22b)와 걸림턱(27) 간의 걸림이 해제되므로, 받침대 앵커(17)를 원래 상태로 접어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는 복수 개의 낚시대 거치대(13)가 설치되는 장소를 마련해주는 수단으로 거치대 플레이트(12)를 포함한다.
이러한 거치대 플레이트(12)는 직사각형 판체로서, 받침대 포스트(10)의 전면에 위치됨과 더불어 그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핀 브라켓(29)을 통해 제1힌지핀(11)으로 결합되고, 이때의 제1힌지핀(11)을 중심으로 90°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즉, 상기 제1힌지핀(11)의 힌지구조를 이용하여 사용 시에는 수평 자세로 펼쳐 놓을 수 있게 되고, 미사용 시에는 수직 자세로 접어서 세워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는 실질적으로 낚시대를 거치하는 수단으로 복수 개의 낚시대 거치대(13)를 포함하며, 이때의 낚시대 거치대(13)는 거치대 플레이트(12)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낚시대 거치대(13)는 거치대 몸체에 해당하는 거치대 본체부(13a), 낚시대를 끼워서 걸 수 있는 거치대 홀더부(13b), 낚시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거치대 고정용 레버(13c)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대 본체부(13a)는 거치대 플레이트(12)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고정되고, 그 상부 중심에 위치하며 하부에 축(30a)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회전체(30)를 포함한다. 이때의 회전체(30)의 테두리 상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요철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대 본체부(13a)를 축(30a)을 힌지로 하여 회전체(30)를 좌우로 회전시켜가면서 낚시대의 좌우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치대 홀더부(13b)는 앞부분 윗쪽이 일부 절개되어 있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낚시대가 끼워질 수 있게 되며, 상기 거치대 본체부(13a)의 관통부위 내에서 후단부를 통해 위치되면서 제4힌지핀(18)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거치대 홀더부(13b)는 제4힌지핀(18)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전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회전구조에 의해 거치대 홀더부(13b)에 끼워져 있는 낚시대의 상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거치대 고정용 레버(13c)는 거치대 홀더부(13b)에 끼워져 있는 낚시대를 고정시켜주는 일종의 고정나사로서, 거치대 홀더부(13b)의 상면에 나사체결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거치대 홀더부(13b) 내에 적당히 길이를 맞춰 낚시대를 끼운 다음, 거치대 고정용 레버(13c)를 돌려서 조여주게 되면, 거치대 고정용 레버(13c)의 하단이 낚시대를 눌러주게 되므로, 낚시대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낚시대 거치대(13)에는 거치대 본체부(13a)의 좌우 회전을 구속하는 수단으로 스토퍼 레버(19)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토퍼 레버(19)는 거치대 본체부(13a)의 후단부 하측에 나사체결 구조로 설치되며, 그 하단을 통해 거치대 플레이트(12)의 회전체(30) 상면을 가압하면서 거치대 본체부(13a) 전체를 거치대 플레이트(12)측에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 레버(19)의 체결상태를 약간 풀어서 거치대 본체부(13a)의 회전체(30)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다음, 거치대 본체부(13a)의 회전체(30)를 좌우로 돌려서 각도를 조정한 후에 재차 스토퍼 레버(19)를 조여주게 되면, 이때의 거치대 본체부(13a)의 회전체(30)가 조정된 상태를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낚시대 거치대(13)에는 거치대 홀더부(13b)의 상하 각도를 조절해주는 수단으로 각도조절용 레버(20)가 구비된다.
이러한 각도조절용 레버(20)는 거치대 본체부(13a)의 회전체(30) 후단부 상측에 나사체결 구조로 설치되며, 그 하단을 통해 거치대 홀더부(13b)의 후단부에 있는 연장편(31)과 접촉하면서 거치대 홀더부(13b)의 후단부를 아래로 밀어 내리거나 거치대 홀더부(13b)의 후단부가 위로 들려지게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용 레버(20)를 조이는 방향으로 체결하게 되면, 각도조절용 레버(20)의 하단부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계속해서 거치대 홀더부(13b)의 후단부 또한 제4힌지핀(18)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각도조절용 레버(20)에 의해 아래로 밀리게 되므로, 낚시대 뒷쪽이 아래로 밀림에 따라 낚시대 앞쪽이 위로 들려지게 되면서 낚시대 상향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각도조절용 레버(20)를 푸는 방향으로 체결하게 되면, 거치대 홀더부(13b)의 후단부 연장편(31)을 누르고 있던 각도조절용 레버(20)의 하단부가 위로 올라가게 되고, 이와 상응하여 낚시대 자체 무게에 의해 거치대 홀더부(13b)가 회전됨과 더불어 낚시대 앞부분이 아래로 쳐지게 되므로, 낚시대의 하향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는 각종 낚시 용품이나 미끼 등을 편리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으로 받침대 테이블(15)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 테이블(15)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서, 한쪽 가장자리에 있는 다리부분을 통해 받침대 포스트(10)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즉, 상기 받침대 포스트(10)의 상단부에 받침대 테이블(15)의 다리 부분에 삽입됨과 더불어 이 상태에서 포스트 상단부와 테이블 다리부분이 수평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2힌지핀(14)에 의해 함께 결합되므로서, 상기 받침대 테이블(15)은 제2힌지핀(14)을 중심으로 하여 위아래로 90°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대 테이블(15)은 제2힌지핀(1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미사용 시에는 받침대 포스트(10)의 후면쪽에 세워진 자세로 접혀져 있게 되고, 또 사용 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걸림홀(21)과 걸림돌기(22a) 간의 걸림구조를 통해 수평자세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 테이블(15)에는 중심부에 원형의 홀(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홀(25)은 낚시 용품 등이 담겨져 있는 용기(24)를 위로부터 끼워서 걸쳐 놓고 사용할 수 있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낚시 미끼의 취급과 관련하여 덮개를 가지는 미끼통(2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미끼통(26)은 일측 가장자리에 있는 고리(32)를 이용하여 받침대 테이블(15)은 한쪽 옆에 걸어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는 낚시 받침대 전체를 지면에 고정시켜주는 수단으로 2개 정도의 받침대 앵커(17)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 앵커(17)는 바 형태로서, 그 선단부를 통해 받침대 포스트(10)의 하단부에 제3힌지핀(16)에 의해 함께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 앵커(17)의 후단부에는 홀(33)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때의 홀(33)을 통해 지면에 앵커핀(미도시)을 박아줌으로써 받침대 앵커(17) 등을 포함하는 낚시 받침대 전체가 지면에 세워져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대 앵커(17)는 제3힌지핀(16)을 중심으로 90°회전되면서 미사용 시에는 받침대 포스트(10)의 후면쪽에 세워진 자세로 접혀져 있게 되고, 또 사용 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걸림턱(27)과 걸림돌기(22b) 간의 걸림구조를 통해 수평자세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를 접어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낚시 받침대의 미사용 시, 예를 들면 보관 시나 이동 시 낚시 받침대를 접어놓은 상태를 보여준다.
즉, 낚시 받침대의 받침대 테이블(15)은 테이블 록킹레버(23)의 조작을 통해 테이블측 걸림홀(21)과 포스트측 걸림돌기(22a) 간의 걸림을 해제한 후, 아래로 젖혀서 받침대 포스트(10)의 후면 윗쪽에 접어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낚시 받침대의 받침대 앵커(17)도 앵커 록킹레버(28)의 조작을 통해 앵커측 걸림턱(27)과 포스트측 걸림돌기(22b) 간의 걸림을 해제한 후, 위로 젖혀서 받침대 포스트(10)의 후면 아래쪽에 접어 놓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낚시대 거치대(13)를 포함하는 거치대 플레이트(12) 전체도 제1힌지핀(11)을 통해 회전시켜 위로 젖혀서 받침대 포스트(10)의 전면쪽에 접어 놓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받침대 테이블(15), 받침대 앵커(17), 거치대 플레이트(12) 등을 거치대 포스트(10)측에 접어 놓을 수 있게 되므로, 낚시 받침대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보관이나 운반 시 매우 간편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 받침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접혀져 있는 받침대 테이블(15), 받침대 앵커(17), 낚시대 거치대(12) 및 거치대 플레이트(12) 등을 펼치는 조작이 필요하다.
즉, 거치대 포스트(10)의 후면 아래쪽에 접혀져 있던 거치대 앵커(17)를 제3힌지핀(16)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아래로 펼친 후에 앵커 록킹레버(28)를 이용하여 90°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킨다.
다음, 거치대 포스트(10)의 전면에 접혀져 있던 낚시대 거치대(12) 및 거치대 플레이트(12)를 제1힌지핀(1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수평 자세로 펼쳐 놓는다.
이때, 상기 거치대 플레이트(12)의 후단이 거치대 포스트(10)의 전면에 접촉지지되므로 거치대 플레이트(12) 및 낚시대 거치대(12)의 수평 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다음, 거치대 포스트(10)의 후면 윗쪽에 접혀져 있던 거치대 테이블(15)을 제2힌지핀(14)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위로 펼친 후에 테이블 록킹레버(23)를 이용하여 90°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받침대 앵커(17)를 적당한 장소에 놓고 앵커핀으로 고정시키면, 낚시 받침대 전체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낚시 받침대를 지면에 견고히 고정 설치한 다음, 낚시대 거치대(13)의 거치대 홀더부(13b)에 낚시대(100)를 끼우고, 거치대 고정용 레버(13c)를 조여 낚시대(100)를 고정시키면, 낚시대 설치 과정이 모두 완료된다.
이때, 낚시터 조건이나 환경 등을 고려하여 스토퍼 레버(19)나 각도조절용 레버(20)를 적당히 조작하면서 낚시대의 좌우 각도 및 상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낚시대 받침대의 각 부품을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하고, 또 각 부품을 접거나 펼 수 있는 접이식 구조로 조립하여 제작한 새로운 낚시 받침대를 제공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고, 미사용 시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 편리하게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는 등 사용 및 취급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다.
10 : 받침대 포스트 11 : 제1힌지핀
12 : 거치대 플레이트 13 : 낚시대 거치대
13a : 거치대 본체부 13b : 거치대 홀더부
13c : 거치대 고정용 레버 14 : 제2힌지핀
15 : 받침대 테이블 16 : 제3힌지핀
17 : 받침대 앵커 18 : 제4힌지핀
19 : 스토퍼 레버 20 : 각도조절용 레버
21 : 걸림홀 22a,22b : 걸림돌기
23 : 테이블 록킹레버 24 : 용기
25 : 용기거치용 홀 26 : 미끼통
27 : 걸림턱 28 : 앵커 록킹레버
29 : 핀 브라켓 30 : 회전체
31 : 연장편 32 : 고리
33 : 홀

Claims (8)

  1.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세워지는 복수 개의 받침대 포스트(10);
    상기 받침대 포스트(10)의 전면에 제1힌지핀(11)에 의해 결합되어 90°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거치대 플레이트(12);
    낚시대를 끼워서 고정시키는 부분으로서 상기 거치대 플레이트(12)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낚시대 거치대(13);
    상기 받침대 포스트(10)의 상단에 제2힌지핀(14)에 의해 결합되어 90°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낚시 용품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받침대 테이블(15);
    지면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받침대 포스트(10)의 하단에 제3힌지핀(16)에 의해 결합되어 90°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받침대 앵커(1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거치대(13)는 거치대 플레이트(12) 상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30)를 포함하는 거치대 본체부(13a)와, 상기 거치대 본체부(13a)의 회전체상에 제4힌지핀(18)에 의해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한 지지되고 낚시대를 끼울 수 있는 관 형태로 이루어진 거치대 홀더부(13b)와, 상기 거치대 홀더부(13b)에 체결되어 낚시대를 고정시켜주는 거치대 고정용 레버(13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거치대(13)는 거치대 본체부(13a)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거치대 본체부(13a)의 회전체(30) 상면을 눌러 좌우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 레버(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거치대(13)는 거치대 본체부(13a)의 회전체(30) 후단부 상측에 설치되어 낚시대를 포함하는 거치대 홀더부(13b) 전체의 상하 각도를 조절해주는 각도조절용 레버(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테이블(15)을 수평으로 펼쳐놓은 상태를 유지해주는 수단으로, 받침대 테이블(15)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홀(21) 내에 걸려지는 걸림돌기(22a)를 상단에 가짐과 더불어 받침대 포스트(10)의 상단부에 하단이 일체 연결되면서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원터치 방식의 테이블 록킹레버(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테이블(15)에는 용기(24)를 끼워서 걸쳐 놓을 수 있는 용기거치용 홀(2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느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테이블(15)은 한쪽 옆에 걸어서 걸쳐 놓을 수 있는 미끼통(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앵커(17)를 수평으로 펼쳐놓은 상태를 유지해주는 수단으로, 받침대 포스트(1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7)에 걸려지는 걸림돌기(22a)를 하단에 가짐과 더불어 받침대 포스트(10)의 하단부에 하단이 일체 연결되면서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원터치 방식의 앵커 록킹레버(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KR1020150006912A 2015-01-14 2015-01-14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KR101745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912A KR101745768B1 (ko) 2015-01-14 2015-01-14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912A KR101745768B1 (ko) 2015-01-14 2015-01-14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660A true KR20160087660A (ko) 2016-07-22
KR101745768B1 KR101745768B1 (ko) 2017-06-09

Family

ID=5668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912A KR101745768B1 (ko) 2015-01-14 2015-01-14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332A (ko) * 2021-12-21 2023-06-28 박동순 낚시대 거치용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403B1 (ko) 2018-08-01 2019-03-22 김다연 낚싯대 받침용 지지구
KR102160174B1 (ko) 2019-02-15 2020-09-25 최재휘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173Y1 (ko) 2011-12-23 2013-05-3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 시스템
KR20130060415A (ko) 2011-11-30 2013-06-10 최종관 뒷받침대가 회동하는 낚시받침대 고정구
KR20130136649A (ko) 2012-06-05 2013-12-13 이해도 낚싯대용 접이식 낚시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410Y1 (ko) * 2000-09-15 2001-03-15 김화규 낚시용 다목적 태클박스
KR100792228B1 (ko) * 2006-08-03 2008-01-07 조도영 낚싯대용 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415A (ko) 2011-11-30 2013-06-10 최종관 뒷받침대가 회동하는 낚시받침대 고정구
KR200467173Y1 (ko) 2011-12-23 2013-05-3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 시스템
KR20130136649A (ko) 2012-06-05 2013-12-13 이해도 낚싯대용 접이식 낚시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332A (ko) * 2021-12-21 2023-06-28 박동순 낚시대 거치용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768B1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347B1 (en) Foldable hanging table
US4177595A (en) Portable fishing rod holder and stand
KR100940356B1 (ko)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KR101745768B1 (ko) 일체형 접이식 낚시 받침대
US20150108318A1 (en) Post Support Stand
US20160262560A1 (en) Head Covering Holding Apparatus
KR101415812B1 (ko) 낚싯대 이탈방지용 거치대
KR101961403B1 (ko) 낚싯대 받침용 지지구
US20160165870A1 (en) Self hook setting rod holder
US2592306A (en) Fishing pole holder
KR20120077857A (ko) 테트라 포드용 낚시대 받침대 고정구
KR101357831B1 (ko) 지그형 낚시용 거치대
JP2009195252A (ja) 釣竿受具の使用方法
CN211175946U (zh) 一种带有风扇灯的直播支架
KR101289476B1 (ko) 보트용 낚싯대 받침틀 어셈블리
KR101048616B1 (ko)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KR20130136649A (ko) 낚싯대용 접이식 낚시받침대
KR200465317Y1 (ko) 민물낚시대 받침대
KR101819860B1 (ko) 낚시받침대 장착용 꽂이대
US2755049A (en) Tree stand
DK177067B1 (en) Device for holding a rod-shaped object
KR20140004445U (ko) 농업용 스프링클러 지지대
KR200321983Y1 (ko) 낚시받침틀
KR101434188B1 (ko) 낚싯대용 앞 받침대
KR20210123070A (ko) 낚시대 거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