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776Y1 - 허리 받침구 - Google Patents

허리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776Y1
KR200267776Y1 KR2020010034885U KR20010034885U KR200267776Y1 KR 200267776 Y1 KR200267776 Y1 KR 200267776Y1 KR 2020010034885 U KR2020010034885 U KR 2020010034885U KR 20010034885 U KR20010034885 U KR 20010034885U KR 200267776 Y1 KR200267776 Y1 KR 200267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waistband
support
waist support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용
Original Assignee
정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찬용 filed Critical 정찬용
Priority to KR2020010034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7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776Y1/ko

Link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약자 및 허리디스크 환자 등의 허리를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허리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허리를 폭넓게 감싸줄 수 있도록 폭이 넓게 형성되며, 양단에는 착탈이 자유로운 벨크로태잎이 부착된 허리 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침구의 상측에 재봉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기등이 형성된 채 허리를 감싸주는 허리띠와; 상기 허리 받침구와 허리띠 사이에 형성되는 통풍공간부와; 상기 허리띠 속에 내재된 상태에서 허리띠를 탄력적으로 조여주는 허리밴드와; 상기 허리띠의 전면 내측에 형성되며, 허리밴드의 조임탄력을 조절하는 버클의 인출 및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밴드조절용 개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허리 받침구{Waist supporter}
본 고안은 노약자 및 허리디스크 환자 등의 허리를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허리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가 약한 노약자나 허리디스크질병에 걸린 환자 등의 허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허리 보호대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텔 등과 같이 합성섬유사로 직조된 합성섬유직물을 소재로 하여 착용자의 허리를 어느 정도 강하게 압박할 수 있도록 비교적 두터운 두께(대략 5 내지 7mm 정도)를 가지도록 제조되는 것과, 합성섬유직물과 고무밴드를 혼용하여 제조된 것이 있으며,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의 허리 보호대는 그 양단에 착탈이 용이한 벨크로태잎을 부착하여 착용자 스스로 자신의 허리에 맞추어 꼭맞게 착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허리 보호대는 착용자가 일어선 자세에서 자신의 허리를 꽉조일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두께 자체가 두텁기 때문에 착용자가 허리 보호대를 허리에 착용하고 그 위에 옷을 입었을 때 허리 보호대로 인하여 착용자의 허리선이 굵어지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통상 허리와 배는 앉았을 때 팽배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착용자가 일어선 상태에서 허리 보호대를 꽉조인 상태로 착용한 상태에서 의자에 구부려 앉거나 또는 바닥에 양반자세로 앉았을 때에는 허리와 배가 팽배되는 반면에 허리 보호대는 늘어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자리에 앉은 착용자는 팽배된 뱃살을 심하게 압박하는 허리 보호대로 인하여 압박통증을 느끼게 되며, 이러한 압박통증을 없앨 목적으로 일어선 상태에서 허리 보호대를 착용할 때 꽉조인 상태로 착용하지 않고 약간 느즌하게 착용하게 될 때에는 보행시 허리를 보호하는 효과가 떨어지게 될 뿐 아니라 허리 보호대 자체가 밑으로 흘러내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착용자는 보행시 느즌하게 착용된 허리 보호대가 밑으로 흘러내릴 때마다 수시로 추스려 올려야 하는 불편이 뒤따르게 되며, 또는 일어선 상태에서는 꽉조인 상태로 착용하고 자리에 앉고자 할 때에는 앉기 전에 미리 허리 보호대의 약간 느즌하게 교정하는 수단으로 보행시에는 허리 보호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자리에 앉을 때에는 압박통증을 해소할 수 있겠지만 이와 같이 보행시 또는 자리에 앉을 때 허리 보호대의 착용상태를 수시로 교정하여야 하는 불편을 뒤따르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의 허리 보호대는 합성섬유직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땀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더운 날씨에 허리 보호대를 착용하였을 때에는 허리 보호대와 닿는 피부가 손상될 뿐 아니라 정전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허리 보호대 속에 원적외선이나 자력이 방출된다는 옥석이나 자석 등을 여러 군데 매설한 경우에는 그 옥석 및 자석의 두께에 의해 허리 보호대 자체의 두께가 더욱 두터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허리 보호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리에 누었을 경우에는 옥석 또는 자석들이 베이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 등살에 자극(압박)을 주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다수의 옥석 또는 자석들의 무게에 의해 허리 보호대 자체의 무게가 더 무거워져 허리에 중량감을 느끼게 하여 오히려 허리보호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노약자나 허리디스크 환자들의 특성 즉, 허리를 펴고 일어서 활동하는 시간과 허리를 구부리고 자리에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비슷하다는 것에 염두를두고 착용에 불편을 느끼지 않게 하면서 항시 허리에 차고 보행하는 활동할 때 또는 자리에 앉거나 누워있을 때 허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의한 수단으로서,
허리를 폭넓게 감싸줄 수 있도록 폭이 넓게 형성되며, 양단에는 착탈이 자유로운 벨크로태잎이 부착된 허리 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허리 받침구의 상측에 재봉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기둥이 형성된 채 허리를 감싸주는 허리띠와;
상기 허리 받침구와 허리띠 사이에 형성되는 통풍공간부와;
상기 허리띠 속에 내재된 상태에서 허리띠를 탄력적으로 조여주는 허리밴드와;
상기 허리띠의 전면 내측에 형성되며, 허리밴드의 조임탄력을 조절하는 버클의 인출 및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밴드조절용 개구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허리 받침구와 허리띠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기둥 중 등쪽부분의 연결기등은 좌,우로 폭이 넓게 형성되고 허리 양쪽부분 및 앞쪽부분 각각에 형성되는 연결기둥들은 폭이 좁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허리 받침구는 두께가 얇고 면직물로 된 내·외피와 그 사이에 보조천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재봉으로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허리띠에 내장된 탄성밴드의 체결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허리띠 내측에서 버클을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허리 받침구 2a,2b : 벨크로태잎
3 : 통풍공간부 4 : 허리띠
5 : 허리밴드 6 : 버클
11,12 : 내·외피 13 : 보조천
14 : 재봉선 41,42 : 연결기둥
43 : 탄력조절용 개구부 44 : 주름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허리띠에 내장된 탄성밴드의 체결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허리띠 내측에서 버클을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허리 받침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허리 받침구(1)는 순수한 면으로 직조되며 두께가 얇은 내·외피(11)(12)와 상기 내·외피 사이에도 두께가 얇은 면직물로 된 보조천(13)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재봉하여 상기한 내·외피 및 보조천이 삼중겹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재봉선(14)은 내·외피(11)(12) 및 보조천(13)이 서로 들뜨거나 이완되지 않고 항시 납짝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다단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허리 받침구(1)는 내·외피(11)(12) 및 보조천(13)이 삼중겹으로 결합되어 있기는 하지만 두께가 얇은 면직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체의 두께는 대략 2mm를 넘지 않도록 하여 기존의 허리 받침구(또는 보호대) 제품(대략 5∼7mm 정도)에 비하여 훨씬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허리 받침구(1) 자체의 상,하 폭은 기존의 허리 받침구와 거의 같은 폭을 가지도록 하므로서 허리를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도록 구성하며, 또 허리 받침구(1)의 길이는 착용자 각각의 신체조건에 따라 길고 짧게 구성하는데, 착용자가 자신의 허리를 감싸도록 착용하였을 때 허리 받침구(1)의 양단이 서로 겹쳐질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허리 받침구(1)의 양단에는 암·수 구조로 결합되는 벨크로태잎(2a)(2b)을 적당한 크기로 부착하는데, 부직포구조로 된 일측 벨크로태잎(2a)은 허리 받침구(1)의 일단 내측에 부착시키며, 후크구조로 된 타측의 벨크로태잎(2b)은 허리 받침구(1)의 타단 외측에 부착시키므로서 허리 받침구(1)를 허리에 착용하였을 때에는 항시 까칠까칠한 후크구조로 된 벨크로태잎(2b)이 착용자의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한다.
상기 허리 받침구(1)의 상측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통풍공간부(3)에 의하여 이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주는 허리띠(4)가 원형으로 형성된 채 일체적으로 결합되게 하는데, 상기 원형으로 형성되는 허리띠(4) 자체는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크고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허리띠(4)를 허리 받침구(1) 상측에 일체로 결합시키기 위해 허리띠(4)에는 다수개의 연결기둥들이 적당한 간격을 유지한 채 하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허리 받침구(1)의 내·외피(11)(12) 사이에 보조천(13)과 함께 개재된 채 재봉으로 연결되는데, 상기한 다수개의 연결기둥들 중에서 등쪽부분에 형성되는 하나의 연결기등(41)은 넓은 폭을 가지도록 하여 착용자의 허리 등쪽부분을 폭 넓게 받쳐주는 작용을 하도록 하는 한편 좌,우 양측 및 앞쪽부분에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기둥(42)들은 좁은 폭을 가지도록 하여 허리띠(4) 자체가 허리 받침구(1)를 위에서 붙잡아 주어 흘러내리지 않게 하는 작용과 동시 허리띠(4) 자체가 주름(44)을 형성하면서 조여들 수 있게 하는 작용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허리띠(4) 역시 면직물로 직조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허리띠(4)의 내측에는 고무밴드로 형성된 허리밴드(5)가 원형상으로 내재되는데, 상기 허리밴드(5)는 버클(6)에 의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허리띠(4) 자체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허리밴드(5)의 길이조절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허리띠(4)의 전방측 내면에는 버클(6)과 허리밴드(5)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탄력조절용 개구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허리밴드(5)는 착용자가 일어섰을 때의 허리 싸이즈에 맞추어 탄력적으로 조여준 상태에서 허리 받침구(1)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착용자가 자리에 앉았을 때 뱃살이 늘어나게 될 때에는 팽배된 뱃살에 따라 유연하게 늘어나 착용자의 허리에 압박통증을 주지 않는 유연한 탄력을 가진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허리 받침구(1)를 착용하고자 하는 착용자는 허리 받침구(1) 양단의 벨크로태잎(2a)(2b)를 탈리하고 이어서 허리띠(4)의 탄력조절용 개구부(43)를 통해서 버클(6)을 인출하여 허리밴드(5)를 풀어주거나 또는 느즌한 탄력상태로 조정한 다음 바지 및 치마를 입듯이 허리 받침구(1)와 허리띠(4)를 허리에 착용한다.
상기와 같이 착용한 후 다시 허리띠(4)의 탄력조절용 개구부(43)를 통해 버클(6) 및 허리밴드(5)의 체결단을 인출하여 자신의 신체조전(허리 싸이즈)에 맞추어 허리밴드(5)를 조여준 상태에서 버클(6)을 체결하는데, 상기한 허리밴드(5) 자체는 착용자가 일어섰을 때의 허리 싸이즈에 맞추어 체결하는 것이며, 이어서 허리 받침구(1)를 자신의 허리에 알맞는 상태로 하여 허리 받침구(1)의 양단에 부착된벨크로태잎(2a)(2b)을 체결하게 되면 허리 받침구(1) 자체는 일어선 상태로 활동하는 착용자의 허리를 안정되게 받쳐주게 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일어선 상태를 기준하여 허리 받침구(1)를 착용하여 활동하다가 자리에 앉고자 할 때에는 늘어나는 뱃살을 감안하여 허리 받침구(1)를 약간 풀어주게 되면 착용자는 자리에 앉았을 때에도 늘어나는 뱃살에 의한 심한 압박통증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자리에 앉았을 때를 기준하여 허리 받침구(1)를 느즌하게 착용한 상태에서 다시 자리에서 일어나게 되면 뱃살이 들어가게 되어 앞서 앉은 자세에 맞추어 착용했던 허리 받침구(1) 자체가 착용자의 허리에서 흘러내릴 정도로 느즌한 상태가 되는데, 이때 허리띠(4)에 내재된 허리밴드(5)가 착용자의 허리를 탄력적으로 압박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서 느즌하게 착용된 허리 받침구(1)는 흘러내지 않고 착용자의 허리에 그대로 감싸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착용자가 앉은 자세를 기준하여 허리 받침구(1)를 착용한 상태에서 잠시 일어나 활동한 후 다시 자리에 앉는 활동을 반복하게 될 때 허리 받침구(1)를 수시로 교정하여 착용하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허리 받침구(1)와 허리띠(4)는 다수의 연결기둥(41)(42) 사이에 형성된 통풍공간부(3)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허리 받침구(1)를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를 전,후,좌,우로 굽히게 될 때 늘어나는 뱃살 및 허리살이 이격공간부(3)를 통해 일부 빠져나오게 되므로서 팽배되는 뱃살 및 허리살이 허리 받침구(1)에만 몰리게 되는 현상을 배제하여 압박감이 감소시키는 작용을 기대할수 있으며, 또한 통풍공간부(3)는 착용자의 허리를 압박하고 있는 허리 받침구(1)와 허리띠(4)의 통풍이 잘되도록 하여 땀을 식혀주는 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허리 받침구(1) 및 허리띠(5) 자체는 순수한 면직물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진 것이므로 피부에 직접 닿게 착용하더라도 피부가 손상되지 않을 뿐 아니라 땀을 흡수하게 되므로서 불쾌감을 없앨 수 있으며, 또 허리 받침구(1) 자체의 두께가 매우 얇으므로 허리 받침구(1)를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옷을 입었을 때 착용자 자신의 허리곡선을 그대로 살릴 수 있게 하는 특징이 있을 뿐 아니라 허리 받침구(1)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리에 눕게 되더라도 몸에 베이는 등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허리 받침구가 두께가 얇고 면직물로 형성되어 있어 피부에 직접 닿게 착용하더라도 착용감을 좋게 함과 동시 허리 받침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옷을 입었을 때에도 착용자의 허리곡선을 날씬하게 살려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앉은 자세를 기준하여 허리 받침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어서게 될 때에도 허리 받침구가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노약자나 허리디스크 환자들에게는 허리 받침구를 늘 착용한 상태로 생활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허리를 폭넓게 감싸줄 수 있도록 폭이 넓게 형성되며, 양단에는 착탈이 자유로운 벨크로태잎이 부착된 허리 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허리 받침구의 상측에 재봉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기둥이 형성된 채 허리를 감싸주는 허리띠와;
    상기 허리 받침구와 허리띠 사이에 형성되는 통풍공간부와:
    상기 허리띠 속에 내재된 상태에서 허리띠를 탄력적으로 조여주는 허리밴드와;
    상기 허리띠의 전면 내측에 형성되며, 허리밴드의 조임탄력을 조절하는 버클의 인출 및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밴드조절용 개구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받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받침구와 허리띠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기둥 중 등쪽부분의 연결기둥은 좌,우로 폭이 넓게 형성되고 허리 양쪽부분 및 앞쪽부분 각각에 형성되는 연결기둥들은 폭이 좁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받침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받침구는 두께가 얇고 면직물로 된 내·외피와 그 사이에 보조천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재봉으로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받침구.
KR2020010034885U 2001-11-13 2001-11-13 허리 받침구 KR200267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885U KR200267776Y1 (ko) 2001-11-13 2001-11-13 허리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885U KR200267776Y1 (ko) 2001-11-13 2001-11-13 허리 받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776Y1 true KR200267776Y1 (ko) 2002-03-13

Family

ID=7311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885U KR200267776Y1 (ko) 2001-11-13 2001-11-13 허리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7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6023A (en) Adjustable knee support
US20180161194A1 (en) Jaw fixation belt
US4571000A (en) Vest type restraining garment
US20080000002A1 (en) Garment for protecting a part of an extremity
KR20180075478A (ko)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
KR102444298B1 (ko) 체간 서포터 및 그것을 구비한 웨어
US6435185B1 (en) Travelers' comfort—wearable arm support
KR102167617B1 (ko) 자세교정벨트
KR200434837Y1 (ko) 허리 보호대
KR200267776Y1 (ko) 허리 받침구
KR101916094B1 (ko)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
KR101883805B1 (ko) 의료용 부목
CN115708605A (zh) 裤子保持条带
KR20130000452U (ko) 허리보호대
KR200278827Y1 (ko) 허리보호대
KR20160059718A (ko) 다변형 기능성 레깅스
CN211560574U (zh) 一种人体动态矫正穿戴外衣
JP7465421B1 (ja) 手足保護具
CN216416122U (zh) 一种弹簧支撑透气薄筒状缠绕膝部护套
JPH0343209Y2 (ko)
CN211832964U (zh) 一种病员服
CN219720971U (zh) 一种保护性护理器具
CN215819909U (zh) 一种可调节舒适型骑行服
KR200361628Y1 (ko) 신축성 에어벨트
CN110731559A (zh) 病员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