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200Y1 - 킥보드의 완충기구 - Google Patents

킥보드의 완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200Y1
KR200266200Y1 KR2020010037742U KR20010037742U KR200266200Y1 KR 200266200 Y1 KR200266200 Y1 KR 200266200Y1 KR 2020010037742 U KR2020010037742 U KR 2020010037742U KR 20010037742 U KR20010037742 U KR 20010037742U KR 200266200 Y1 KR200266200 Y1 KR 200266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ed plate
kickboard
movable plate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태
Original Assignee
윤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태 filed Critical 윤기태
Priority to KR2020010037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2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200Y1/ko

Link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판(11), 조향컬럼(12), 휠(13)을 구비하는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발판(11)에 긴밀하게 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측판(21)과 절개홈(20b)을 구비하는 고정판(20); 상기 발판(11)과 고정판(2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착수단: 상기 고정판(20)의 측판(21)에 연결되는 측판(31)과 함께 상면에 미끄럼 방지판(36)을 구비하는 가동판(30); 상기 고정판(20)과 가동판(30)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위치 변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스프링(40); 및 상기 고정판(20)과 가동판(30)의 상대적인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측판(21)(31)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연결봉(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킥보드의 기종에 무관하게 용이하게 설치하여 주행중 지면으로부터의 충격 완화로 무릎을 보호하면서도 운동의 효과와 흥미를 동시에 증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킥보드의 완충기구 {Shock-absorbing device for kick board}
본 고안은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중 지면으로부터의충격을 완화하여 무릎을 보호하면서도 운동의 효과와 흥미를 동시에 증진할 수 있는 킥보드의 완충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통상의 킥보드는 후방의 휠(13)을 구비하는 발판(11)과, 전방의 휠(13)을 구비하여 발판(11)에 연결되는 조향컬럼(12)과, 발판(11)의 휠(13)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동기(14)와, 조향컬럼(12)의 상단에 연결되는 핸들(15)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발판(11) 위에 한 발을 올려놓고 다른 발로 지면을 밀면서 전방으로 주행하고, 속도가 너무 높으면 제동기(14)를 사용하여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주행시 지면의 굴곡이나 보도의 단턱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다리와 무릎으로 전달되어 무리를 주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른 주의를 요하며, 갑작스런 충격에 의해 사용자가 균형을 잃어 넘어지면서 주변의 차량과 부딪쳐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우려도 상존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킥보드용 충격 흡수기구가 제안되기도 한다. 일예를 들어 쌍으로 구성된 전방의 휠(13)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자동차의 쇽업소버와 같이 충격이 일차적으로 전달되는 휠(13)에서 완충을 시도하는 개념을 적용한다.
그러나 킥보드마다 치수와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특정한 기종에만 국한되는 설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기존의 킥보드를 보유한 사용자가 완충기구만 분리하여 다른 종류의 킥보드에 적용하려는 시도는 실현되기 곤란하여 결국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초래한다.
물론, 종래의 완충기구는 수동식 및 전동식 킥보드에 따라 또 다른 구조를 요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으로 상호 전용할 수 있는 가능성은 더욱 희박해진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폐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킥보드의 기종에 무관하게 용이하게 설치하여 주행중 지면으로부터의 충격 완화로 무릎을 보호하고 운동의 효과와 흥미를 동시에 증진할 수 있는 킥보드의 완충기구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를 분해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구를 조립된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결착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 스프링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봉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고정판 21, 31: 측판
25: 클립 27: 볼트/너트
29: 밴드 30: 가동판
36: 미끄럼 방지판 40: 완충 스프링
50: 연결봉 52: 와셔
54: 분할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청구항 1에 기재되는 고안은 발판(11), 조향컬럼(12), 휠(13)을 구비하는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발판(11)에 긴밀하게 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측판(21)과 절개홈(20b)을 구비하는 고정판(20); 상기 발판(11)과 고정판(2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착수단: 상기 고정판(20)의 측판(21)에 연결되는 측판(31)과 함께 상면에 미끄럼 방지판(36)을 구비하는 가동판(30); 상기 고정판(20)과 가동판(30)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위치 변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스프링(40); 및 상기 고정판(20)과 가동판(30)의 상대적인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측판(21)(31)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연결봉(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되는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결착수단은 상하 접합의 측면을 감싸는 ㄷ자형의 클립(25), 상하로 관통되는 볼트/너트(27), 상하면을 전체로 감싸는 밴드(29)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되는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완충 스프링(40)은 볼트(45) 또는 용접(W)에 의해 선택되는 방식으로 고정판(20)과 가동판(30)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되는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연결봉(50)은 작동중 이탈을 방지하도록 와셔(52)와 분할핀(54)을 이용한 구조, 와셔(52)와 볼트(56)를 이용한 구조 중 택일하여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를 분해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구를 조립된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발판(11), 조향컬럼(12), 휠(13)을 구비하는 킥보드에 관련되며, 전술한 제동기(14)와 핸들(15)을 포함하여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식 킥보드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측판(21)과 절개홈(20b)을 구비하는 고정판(20)이 상기 발판(11)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장착 가능하다. 고정판(20)은 발판(11)과 동일한 평판 구조이고 양측면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측판(21)을 구비한다. 통상 발판(11)의 상면에는 주행중 안전한 착지를 위한 미끄럼 방지판(16)이 구비된다. 고정판(20)의 하면에는 이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발판(11)과 긴밀하게 밀착된다. 또한 통상의 발판(11)과 조향컬럼(12) 사이에는 리브(17)가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동시에 조향컬럼(12)을 발판(11)에 접을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절개홈(20b)은 조향컬럼(12)을 발판(11)에 접을 때 리브(17)가 고정판(20)에 간섭되지 않도록 수용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발판(11)과 고정판(2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착수단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완충 기구에서 고정판(20)은 안정적인 지지와 결속을 필요로 하는 부분이다. 고정판(20)이 발판(11)에 긴밀하게 결속되지 않으면 완충의 기능은 물론 또 다른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속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는 도 3을 통하여 후술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판(20)의 측판(21)에 연결되는 측판(31)과 함께 상면에 미끄럼 방지판(36)을 구비하는 가동판(30)이 사용된다. 가동판(30)은 고정판(20)과 동일한 크기의 평판 구조이고, 주행중 안전한 착지를 위한 미끄럼 방지판(36)을 상면에 구비한다. 가동판(30)의 미끄럼 방지판(36)은 발판(11)의 미끄럼 방지판(16)과 동일하게 내마모성 고무 소재를 사용한다. 가동판(30)의 측판(31)은 고정판(20)의 측판(21)과 동일한 위치에 상호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고정판(20)과 가동판(30)이 결합된 상태로 상호 상하운동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장공(21a)과 원형공(31a)을 구비해야 하는데, 그 중 적어도 일측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21a)으로 되어야 한다. 고정판(20)과 가동판(30)을 각각의 측판(21)(31)을 이용하여 결합할 때 장공(21a)과 원형공(31a)은 상호 일치되는 위치에 있도록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판(20)과 가동판(30) 사이에 완충스프링(40)이 개재되어 상호 위치 변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한다. 완충 스프링(40)은 고정판(20)과 가동판(3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나 적어도 2개소에 설치된다. 물론 완충 스프링(40)은 2열로 총 4개소 또는 2열로 총 6개소에 설치할 수도 있다. 2열 구조는 1열 구조에 비하여 가동판(30)의 안정적 지지를 도모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나 구조가 복잡화되고 제품의 원가를 상승하는 요인이 된다.
도 1에서 고정판(20)에 형성되는 요홈(21c)은 완충 스프링(40)의 하단을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용도이다. 요홈(21c)의 구성은 후술하는 도 4를 통하여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홈(21c)을 굳이 형성할 필요 없이 고정판(20)위에 완충 스프링(40)을 바로 설치해도 무방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판(20)과 가동판(30)의 상대 운동(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측판(21)(31)을 개재하여 연결봉(50)이 연결된다. 고정판(20)이 발판(11)에 일체로 고정되면 완충 스프링(40)으로 지지되는 가동판(30)이 일정 범위에서 상하로 상대 운동이 가능해야 한다. 연결봉(50)은 고정판(20)과 가동판(30)의 측판(21)(31)에 형성된 장공(21a)과 원형공(31a)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연결봉(50)은 측판(21)(31)과 함께 미끄럼 운동되어 내마모성이 요구되므로 금속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결착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결착수단은 상하 접합의 측면을 감싸는 ㄷ자형의 클립(25), 상하로 관통되는 볼트/너트(27), 상하면을 전체로 감싸는 밴드(29)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한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결착수단은 발판(11)과 고정판(20)의 결합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큰 역할이며 부차적으로 결속에 따른 작업이 용이한 특성을 필요로 한다.
전술한 도 1에서는 결착수단으로서 클립(25)이 제안되는데, 고강도의 금속편을 U자 단면으로 성형한 구조이다. U자 단면의 내면에는 톱니를 형성하여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클립(25)은 결속력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무난하지만 결속을 해제하기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반복하여 재사용하면 결속력이 저하된다.
반면 도 3에서, 일측에 볼트/너트(27)를 사용하고 타측에 밴드(29)를 사용한 것을 나타낸다. 볼트/너트(27)는 체결과 해체가 무난한 편이고 결속력이 우수한 반면, 밴드(29)는 체결과 해체가 매우 용이하고 결속력은 매우 약하다. 밴드(29)는 발판(11)과 고정판(20)의 흔들림을 수직 방향으로 구속하는 역할은 어느 정도 감당하나 수평 방향으로 구속하는 역할은 기대할 수 없다. 그러므로 킥보드의 급출발 및 급가속이 반복될 때마다 고정판(20)이 전후로 요동된다. 도 3의 구성은 이러한 양자의 단점을 보완하는 제안으로서 볼트/너트(27)가 일단을 견실하게 지지하면서 밴드(29)가 타단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의 결착수단으로서 양단에 모두 볼트/너트(27)를 사용하거나 양단에 모두 밴드(29)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볼트/너트(27) 및 밴드(29)를 전술한 클립(25)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에는 생략되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반영구적으로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 스프링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완충 스프링(40)은 볼트(45) 또는 용접(W)에 의해 선택되는 방식으로 고정판(20)과 가동판(30) 사이에 개재된다. 고정판(20) 및 가동판(30) 사이에 완충 스프링(40)을 결합할 때 모두 볼트(45)를 사용하거나, 모두 용접(W)하거나, 볼트(45)와 용접(W)을 병용할 수 있다. 볼트(45)는 적절한 길이로 노출되어 완충 스프링(40)에 삽입되므로 착탈이 용이한 반면 용접(W)은 고정판(20)과 가동판(30)을 일체의 구조로 형성한다. 고정판(20) 및 가동판(30) 중 적어도 일측이 볼트(45)로 연결되면 가동판(30)이 분리하기 용이할 뿐 아니라 상하의 진폭도 커지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보다 스릴있는 운동을 즐길 수도 있다.
킥보드는 어린이들의 놀이와 등하교나 직장인들의 출퇴근에도 이용되지만 주요 사용 대상자가 청소년층이므로 흥미를 유발하는 기능을 요한다. 본 고안의 기구를 사용하면 롤러 블레이드, 롤러 스케이트, 롤러 보드 등에 비하여 색다른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만일 고정판(20)과 가동판(30) 상에서 완충 스프링(40)의 양단을 볼트(45)로 삽착하면 완충 스프링(40)을 교체하여 탄성력을 조절하기 용이하므로 남녀노소 자신의 운동 기능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즐길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봉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연결봉(50)은 작동중 이탈을 방지하도록 와셔(52)와 분할핀(54)을 이용한 구조, 와셔(52)와 볼트(56)를 이용한 구조 중 택일하여 구비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정판(20)의 장공(21a)과 가동판(30)의 원형공(31a)에 연결봉(50)이 삽입되고 그 단부에 와셔(52)와 분할핀(54)이 차례로 결속된다. 와셔(52)는 가동판(30)의 측판(31)이 원활하게 운동하도록 하고 분할핀(54)은 이러한 와셔(52) 및 연결봉(50)의 이탈을 방지한다. 반면 도 5는 분할핀(54) 대신에 볼트(56)가 사용되는 것을 나타낸다. 볼트(56)를 장착하기 위해 연결봉(50)의 단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이때 와셔(52)는 볼트(56)가 회전하여 풀리지 않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스프링와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통하여 하나의 연결봉(50)을 사용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연결봉(50)을 2개소 또는 그 이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판(20)과 가동판(30) 사이에 완충 스프링(40)을 설치하는 구성에 있어 일체형을 이루기 때문에 킥보드의 기종이나 구동방식(수동 또는 전동)에 무관하게 착탈하여 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에서 고정판(20)을 발판(11)에 고정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발판(11)이 고정판(20)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클립(25), 볼트/너트(27), 밴드(29)와 같은 결착수단이 불필요하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킥보드의 기종에 무관하게 용이하게 설치하여 주행중 지면으로부터의 충격 완화로 무릎을 보호하면서도 운동의 효과와 흥미를 동시에 증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발판(11), 조향컬럼(12), 휠(13)을 구비하는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발판(11)에 긴밀하게 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측판(21)과 절개홈(20b)을 구비하는 고정판(20);
    상기 발판(11)과 고정판(2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착수단:
    상기 고정판(20)의 측판(21)에 연결되는 측판(31)과 함께 상면에 미끄럼 방지판(36)을 구비하는 가동판(30);
    상기 고정판(20)과 가동판(30)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위치 변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스프링(40); 및
    상기 고정판(20)과 가동판(30)의 상대적인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측판(21)(31)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연결봉(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완충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은 상하 접합의 측면을 감싸는 ㄷ자형의 클립(25), 상하로 관통되는 볼트/너트(27), 상하면을 전체로 감싸는 밴드(29)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완충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스프링(40)은 볼트(45) 또는 용접(W)에 의해 선택되는 방식으로 고정판(20)과 가동판(30)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완충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50)은 작동중 이탈을 방지하도록 와셔(52)와 분할핀(54)을 이용한 구조, 와셔(52)와 볼트(56)를 이용한 구조 중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완충기구.
KR2020010037742U 2001-12-06 2001-12-06 킥보드의 완충기구 KR200266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742U KR200266200Y1 (ko) 2001-12-06 2001-12-06 킥보드의 완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742U KR200266200Y1 (ko) 2001-12-06 2001-12-06 킥보드의 완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200Y1 true KR200266200Y1 (ko) 2002-02-27

Family

ID=7311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742U KR200266200Y1 (ko) 2001-12-06 2001-12-06 킥보드의 완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2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4226B2 (en) Folding bicycle
US4732400A (en) Scooter board
US20130320648A1 (en) Scooter
US6390488B1 (en) Impact and shock absorbing motorcycle foot peg
US5370441A (en) Baby chair for wheeled cycles
KR20090072932A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EP1112208B1 (en) Snow-type bike
US20140265216A1 (en) Bicycle frame
US6010140A (en) Child bicycle seat and training system
US9327796B2 (en) Scooter having position recovery and shock-absorbing functions
KR200266200Y1 (ko) 킥보드의 완충기구
US20080246235A1 (en) Shock absorbing tandem roller skate
US6089587A (en) Dual-purpose step of tricycle for children
WO2000005128A1 (en) A foldable bicycle frame
US3498633A (en) Vehicle attachment for motorcycles
KR200493488Y1 (ko) 주행보드용 전륜 충격 흡수장치
US20020096848A1 (en) Shock absorbing skateboard device
CN214189937U (zh) 一种用于两轮平衡车的驻车车架
KR100844620B1 (ko) 썰매형 롤러보드
KR200427359Y1 (ko) 방향성 캐스터가 구비된 자전거
CN210149469U (zh) 一种摩托车踏板
CN220243440U (zh) 一种减震车架及平衡车
KR101191294B1 (ko) 자세복원 및 완충기능을 가지는 스쿠터
KR200407911Y1 (ko) 킥보드의 발판쿠션장치
KR200251018Y1 (ko) 2륜 무동력 스쿠터의 후륜 서스펜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