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807Y1 - 주방용 수납장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수납장 승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65807Y1 KR200265807Y1 KR2020010034944U KR20010034944U KR200265807Y1 KR 200265807 Y1 KR200265807 Y1 KR 200265807Y1 KR 2020010034944 U KR2020010034944 U KR 2020010034944U KR 20010034944 U KR20010034944 U KR 20010034944U KR 200265807 Y1 KR200265807 Y1 KR 20026580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kitchen cabinet
- belt
- rotary shaft
- kitche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수납장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면판(1,2) 및 내부판체(3) 사이에 주방용 수납장(50)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재(10), 상기 가이드부재(10)의 내부판체(3) 정면에 결합된 고정판(20) 및 선단에 벨트 풀리(21A,21B,23A,23B)를 갖는 상부 회전축 (21) 및 하부 회전축(23)을 각각 수평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상부 회전축(21)의 외주면 일측으로는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감속모터(22)를 결합시키며, 상기 상부 회전축(21)의 벨트 풀리(21A,21B)와 하부 회전축(23)의 벨트 풀리(23A,23B) 사이에는 벨트(30A,30B)를 각각 연결시킨 구동수단(30) 및 벨트(30A,30B)의 이송에 따라 승강하며, 주방용 수납장(50)이 결합되는 사각판체 형상의 수납장 지지부재(4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식기나 조리기구 등의 수납 과정에서 사용자가 주방용 수납장(50)을 필요한 높이로 승강시킴으로써 식기나 조리기구 등의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주방가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주방용 수납장을 벽면으로부터 승강가능하게 결합시켜 식기나 조리기구 등의 수납 과정에서 사용자가 주방용 수납장을 필요한 높이로 승강시킴으로써 식기나 조리기구 등의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주방에는 식기나 음식물 등의 세척을 위한 싱크대를 비롯하여 식기나 조리기구 등의 수납공간이 복합된 주방가구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주방가구는 수납공간을 극대화시켜 제한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는 한편, 식기 건조기나 조명장치 등의 결합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주방의 벽면 천정에서 싱크대로부터 상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설치된다.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은 가정용 주방가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와 같은 주방가구(200)는 식기나 음식물의 세척 및 조리공간을 제공하는 싱크대(120)와 상기한 싱크대(120)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주방의 벽면에 설치되는 주방용 수납장(11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주방용 수납장(110)은 수납공간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주방의 천정으로부터 싱크대(120)의 상부 사이의 벽면에 설치되므로 통상적으로 주방용 수납장(110)의 상부는 가상선으로 도시한 사용자(M)보다 높은 위치를 갖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주방가구(200)는 주방용 수납장(110)에 대한 식기 및 조리기구 등의 수납에 많은 불편이 따르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수납된 물품의 파손이나 수납된 물품의 낙하에 의해 부상을 당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주방용 수납장을 벽면으로부터 승강가능하게 결합시켜 식기나 조리기구 등의 수납 과정에서 사용자가 주방용 수납장을 필요한 높이로 승강시킴으로써 식기나 조리기구 등의 수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식기나 조리기구의 수납과정에서 사용자의 부상이나 수납된 물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양측에 결합된 측면판에 가이드바를 각각 수직으로 부착시키고, 후면으로는 벽면과 접하는 내부판체가 부착되며, 상기 측면판 및 내부판체 사이에는 주방용 수납장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판체 정면에 결합되며, 양측에는 직각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부 및 하부 양측에는 돌출부재를 각각 수평으로 부착시키며, 상기 돌출부재의 선단으로는 베어링을 부착시킨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부착된 베어링 사이에는 선단에 벨트 풀리를 갖는 상부 회전축 및 하부 회전축을 각각 수평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상부 회전축의 외주면 일측으로는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감속모터를 결합시키며, 상기 상부 회전축의 벨트 풀리와 하부 회전축의 벨트 풀리 사이에는 벨트를 각각 연결시킨 구동수단;
상기 상부 회전축 및 하부 회전축 사이에 연결된 벨트에 각각 부착되어 벨트의 이송에 따라 승강하며, 정면으로는 주방용 수납장이 결합되는 사각판체 형상의 수납장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수납장 승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 수납장 승강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싱크대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싱크대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 고안의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측면판 1A,2A : 가이드바
3 : 내부판체 10 : 가이드부재
11,12 : 직각 절곡부 13,14,15,16 : 돌출부재
13A,14A,15A,16A : 베어링 20 : 고정판
21 : 상부 회전축 21A,21B,23A,24A : 벨트 풀리
23 : 하부 회전축 30 : 구동수단
30A,30B : 벨트 40 : 수납장 지지부재
50 : 주방용 수납장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싱크대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 고안의 배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 수납장 승강장치(100)는, 식기나 조리기구의 수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식기나 조리기구가 수납된 주방용 수납장(50)을 사용자가 임의로 승강시킨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주방의 벽면에 설치되어 주방용 수납장의 결합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부재(10), 상기한 가이드부재(10)에 결합된 고정판(20), 상기한 고정판(20)의 정면에 결합되는 구동수단(30) 및 가정용 수납장(50)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한 구동수단(30)에 구비한 감속모터(22)의 동작에 따라 주방용 수납장(50)을 직접 승강시키는 수납장 지지부재(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이드부재(10)는, 주방의 벽면과 접하는 내부판체(3)의 양측으로부터 사각판체 형상의 측면판(1,2)을 각각 전방으로 돌출시켜 부착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한 측면판(1,2)의 중심부에는 가이드바(1A,2A)가 각각 수직으로 부착되며, 내부 공간으로는 도 4와 같이 주방용 수납장(50)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한 가이드부재(10)는 주방용 수납장(50)과 같이 목재를 소재로 하여 구성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하며, 하부를 개방함으로써 내부에 결합된 주방용 수납장(50)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가이드부재(10)의 내부판체(3)의 정면에 부착되어 측면의 직각 절곡부(11,12)의 내측을 통해 형성된 공간으로 감속모터(22)를 포함한 구동수단(30)의 결합공간을 제공하는 고정판(20)은, 상부 및 하부 양측에 사각통체형상의 돌출부재(13,14,15,16)가 각각 수평으로 부착되고, 상기한 각 돌출부재(13,14,15,16)의 선단으로는 베어링(13A,14A,15A,16A)이 각각 부착되며, 각 베어링(13A,14A,15A,16A)은 구동수단(30)의 상부 회전축(21) 및 하부 회전축(23)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한 구동수단(30)은, 양측에 벨트 풀리(21A,21B,23A,23B)를 갖는 상부 회전축(21) 및 하부 회전축(23)을 고정판(20)의 베어링(13A,14A,15A,16A)에 의해 각각 지지시키고, 상부 회전축(21) 및 하부 회전축(23)을 벨트(30A,30B)에 의해 각각 연결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구동수단(30)은, 벨트(30A,30B)의 정면에는 주방용 수납장(50)의 배면에 각각 부착되는 사각판체 형상의 수납장 지지부재(40)가 각각 부착되고, 상부 회전축(21)의 외주면 일측으로는 종동 풀리(21C)가 결합되며, 상기한 종동 풀리(21C)의 외주면으로는 감속모터(22)의 구동풀리(22A)와 연결된 벨트(22B)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시안된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감속모터(22)가 정역회전할 경우에는 상기한 감속모터(22)의 구동력이 감속모터(22)의 회전축 선단에 결합된 구동풀리(22A) 및 벨트(22B)를 통해 종동풀리(21C)에 전달됨으로써 감속모터(22)의 회전방향에 따라 벨트(30A,30B)의 정면에 부착된 수납장 지지부재(40)가 상부나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주방용 수납장(40)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한 수납장 지지부재(40)는 4개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주방용 수납장(50)의 상부 및 하부 양측을 각각 지지시켜 주방용 수납장(50)에 대한 지지가 안정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주방의 면적 등을 고려하여 연속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주방용 수납장(50)에 대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와 함께 주방의 높이나 설치위치나 용도 등을 고려하여 길이를 적절히 가감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5는 벨트(30A,30B)의 양측과 각각 밀착되어 벨트(30A,30B)의 이탈을 방지하고, 벨트(30A,30B)의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 벨트가이드이고, 부호 41,42,43,44는 주방용 수납장(50)의 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가이드바(1,2)와의 접촉에 따라 주방용 가구(50)의 승강과정에서 유동을 방지하고, 원활한 승강을 이루어지도록 한 가이드 롤러이며, 부호 S는 수납장 지지부재(50)의 승강폭을 규제하는 리미트 스위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 수납장 승강장치(100)는 주방의 면적 등을 고려하여 싱크대(120)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주방의 벽면을 통해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통상의 상태에서는 주방용 수납장(50)을 소정위치에 정렬시킴으로써 미려한 외관과 안정된 분위기를 갖도록 한다.
계속해서 이와 같은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의 주방용 수납장(50)으로부터 식기 등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주방용 수납장(50)의 일측에 구비된 도시안된 스위치를 조작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를 조작하면, 도시안된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감속모터(22)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감속모터(22)가 회전을 하게 되며, 이와 같은 감속모터(22)의 구동력은 구동모터(22)의 회전축 선단에 결합된 구동풀리(22A) 및 벨트(22B)를 통해 종동기어(21C)에 전달되어 상부 회전축(21)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한 상부 회전축(21)은 하부 회전축(23)과 함께 벨트(30A,30B)를 개재하여 돌출부재(13,14,15,16)의 선단에 부착된 베어링(13A,14A,15A,16A)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감속모터(22)의 동작에 따라 벨트(30A,30B)를 수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벨트(30A,30B)의 정면에 부착된 수납장 지지부재(40)를 각각 하강시키며, 이에 따라 상부가 조리실의 천정과 인접한 상태로 위치한 주방용 수납장(50)이 도 5와 같이 하강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과정에 따라 주방용 수납장(50)의 하강이 완료하면 벨트(30A,30B)의 하부에 부착된 수납장 지지부재(40)가 리미트 스위치(S)와 접촉되어 감속모터(22)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주방용 수납장(50)의 과도한 하강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의 완료후 인접한 다른 위치의 주방용 수납장(50)을 하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위치의 주방용 수납장(50)에 구비된 스위치를 조작하여 주방용 수납장(50)을 하강시키며, 상기한 바와 같이 주방용 수납장(50)의 하강이 완료되면, 별도의 보조수단이 없이도 주방용 수납장(50)에 수납된 식기를 수납할 수 있어 식기의 인출이나 정리 등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있다.
계속해서 식기의 수납이 완료됨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 수납장 승강장치(100)로부터 주방용 수납장(50)을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타단에 위치한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감속모터(22)를 회전시켜 주방용 수납장(5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주방용 수납장(50)의 승강이 완료되어 주방용 수납장(50)이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면 벨트(30A,30B)의 상부에 부착된 수납장 지지부재(40)가 리미트 스위치(S)와 접촉되어 감속모터(22)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주방용 수납장(50)의 과도한 상승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 수납장 승강장치(100)는, 주방용 수납장(50)을 벽면으로부터 승강가능하게 결합시켜 식기나 조리기구 등의 수납 과정에서 사용자가 주방용 수납장(50)을 필요한 높이로 승강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주방용 수납장(50)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식기 및 조리기구 등의 수납이 이루어지므로 식기나 조리기구 등의 수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이와 같은 과정에서 수납된 물품의 파손이나 수납된 물품의 낙하에 의해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 양측에 결합된 측면판(1,2)에 가이드바(1A,2A)를 각각 수직으로 부착시키고, 후면으로는 벽면과 접하는 내부판체(3)가 부착되며, 상기 측면판(1,2) 및 내부판체(3) 사이에는 주방용 수납장(50)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재(10);상기 가이드부재(10)의 내부판체(3) 정면에 결합되며, 양측에는 직각 절곡부(11,12)를 형성하고, 상부 및 하부 양측에는 돌출부재(13,14,15,16)를 각각 수평으로 부착시키며, 상기 돌출부재(13,14,15,16)의 선단으로는 베어링(13A,14A,15A,16A)을 부착시킨 고정판(20);상기 고정판(20)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부착된 베어링(13A,14A) 사이에는 선단에 벨트 풀리(21A,21B,23A,23B)를 갖는 상부 회전축(21) 및 하부 회전축(23)을 각각 수평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상부 회전축(21)의 외주면 일측으로는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감속모터(22)를 결합시키며, 상기 상부 회전축(21)의 벨트 풀리(21A,21B)와 하부 회전축(23)의 벨트 풀리(23A,23B) 사이에는 벨트(30A,30B)를 각각 연결시킨 구동수단(30);상기 상부 회전축(21) 및 하부 회전축(23) 사이에 연결된 벨트(30A,30B)에 각각 부착되어 벨트(30A,30B)의 이송에 따라 승강하며, 정면으로는 주방용 수납장(50)이 결합되는 사각판체 형상의 수납장 지지부재(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수납장 승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4944U KR200265807Y1 (ko) | 2001-11-14 | 2001-11-14 | 주방용 수납장 승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4944U KR200265807Y1 (ko) | 2001-11-14 | 2001-11-14 | 주방용 수납장 승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65807Y1 true KR200265807Y1 (ko) | 2002-02-21 |
Family
ID=7311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4944U KR200265807Y1 (ko) | 2001-11-14 | 2001-11-14 | 주방용 수납장 승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6580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0616B1 (ko) * | 2009-03-27 | 2011-07-19 | 주식회사 은성산업 | 리프트 식기건조기의 승하강 장치 |
-
2001
- 2001-11-14 KR KR2020010034944U patent/KR20026580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0616B1 (ko) * | 2009-03-27 | 2011-07-19 | 주식회사 은성산업 | 리프트 식기건조기의 승하강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4551B1 (ko) | 붙박이 식기세척기 | |
CN202496674U (zh) | 一种电动旋转餐桌 | |
KR200265807Y1 (ko) | 주방용 수납장 승강장치 | |
CN210463107U (zh) | 升降灶 | |
CN205425099U (zh) | 一种控制面板自动开合的集成灶 | |
CN210077567U (zh) | 拖地机 | |
CN214536337U (zh) | 一种升降式多头燃气灶 | |
CN210095099U (zh) | 一种适用于小空间具有隐藏台面的智能橱柜 | |
JP2003009961A5 (ko) | ||
JP4239011B2 (ja) | 食器洗浄乾燥機 | |
JPH11206474A (ja) | 厨房用機器の上下移送装置 | |
JP3968332B2 (ja) | 食器洗浄機 | |
CN212233914U (zh) | 一种可旋转式的烤涮一体火锅桌 | |
KR200369568Y1 (ko) | 승강이 자유로운 싱크 볼이 형성된 싱크대 | |
CN215940754U (zh) | 一种馒头自动售卖机的清洗挂板 | |
CN212755563U (zh) | 一种具备自动冲洗烘干消毒的洗碗机 | |
CN211559207U (zh) | 一种具有多功能的餐具用品承架的餐桌 | |
JP2003009961A (ja) | 昇降式吊り戸棚 | |
CN218571691U (zh) | 一种餐台 | |
KR200244481Y1 (ko) | 싱크대 수납장 | |
CN219557217U (zh) | 一种碗篮升降装置及洗碗机 | |
CN213786052U (zh) | 一种智能洗碗消毒一体式餐桌 | |
KR200318149Y1 (ko) | 승강 가능한 수납 선반 | |
CN215225872U (zh) | 一种智能联动推拉橱柜 | |
CN209122971U (zh) | 一种电动升降消毒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211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