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541Y1 - 하수관에 사용되는 이음관 - Google Patents

하수관에 사용되는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541Y1
KR200265541Y1 KR2020010036688U KR20010036688U KR200265541Y1 KR 200265541 Y1 KR200265541 Y1 KR 200265541Y1 KR 2020010036688 U KR2020010036688 U KR 2020010036688U KR 20010036688 U KR20010036688 U KR 20010036688U KR 200265541 Y1 KR200265541 Y1 KR 200265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joint pipe
sewage
s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욱
Original Assignee
신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욱 filed Critical 신진욱
Priority to KR2020010036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5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541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관에 사용되는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이음관 내부에 회전이 가능한 체결부를 장착함으로서 하수관의 접촉부위의 파손, 관의 진동, 누수, 관의 이탈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하수관의 방향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좋고, 하수관의 교체나 변경시에도 특별한 분리나 해체과정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으며, 복잡한 이음관을 만들기 위한 금형제작이나 생산이 필요없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복잡한 하수관망을 갖는 대형의 작업장이나 수자원 관련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오는 수도관에 사용되는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에 사용되는 이음관{A joint pipe of using a drain pipe}
본 고안은 하수관에 사용되는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하수도용 관들을 결합시키는 이음관에 회전이 가능한 체결부를 장착시켜 유량에 의한 접속부위의 파손, 관의 진동, 누수, 관의 이탈과 같은 현상을 막을 수 있고 하수관의 설치, 분해 및 조립이 쉬운 하수관에 사용되는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수관은 부식성이 높은 금속류나 설치가 어렵고 중량감이 큰 콘크리트 대신에 가볍고 부식성에 저항력이 큰 경질의 합성수지를 주재료로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하수관에 있어서, 배관시 용수의 변화지점이나 분기지점에는 이음관을 사용하여 하수관과 하수관을 결합시킴으로서 끓이지 않고 지속적인 물의 흐름이 일어날 수 있도록 일련의 수로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이음관을 이용한 이음방법은 하나의 관의 일단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연결시키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관의 일단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의 플랜지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관의 일단을 삽입시켜 관을 이어주는 접찹식 이음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접착식 이음방법은 하수관을 긴밀하게 연결시킴으로서 연결부위가 물에 의해 누수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었으나, 하수관과 이음관의 분해 및 조립이 어렵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연결된 관을 해체하거나 연결부의 보수관리를 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밖에도 상기 접착식 이음방법과 같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관의 연결부위에 이음구 본체를 씌우고 이음관 본체에 체결캡을 나사결합시켜 관을 이어주는 죔식 이음방법을 이용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죔식 이음방법은 분해조립이 가능하므로 이음작업 및 보수 관리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가질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이음관이 대부분 경질의 합성수지제로 제조되기때문에 고압의 유압이나 물리적인 충격으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하수관은 용수의 지속적인 흐름에 의하여 끓임없는 맥동이 발생하므로 이음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이음부위가 이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음관의 형태변화를 주고 이음관 내부에 고무링 등을 부속물로 이용하여 하수관과 이음관 또는 이음관과 이음관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서 소정의 효과를 얻으려고 했지만, 이음관이 항상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량에 유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여 접속부위의 파손, 관의 진동, 누수, 관의 이탈과 같은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한 상태이고, 특히 유량이 많은 대구경 하수관의 연결부위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심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수관에 결합되는 이음관의 연결부위를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유량의 흐름에 유동적으로 대처하여 접속부위의 파손, 관의 진동, 누수 및 관의 이탈을 막을 수 있으며, 특히 대구경의 하수관의 연결부위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하수관에 사용되는 이음관을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음관을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음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3a 내지 3b는 본 고안의 이음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음관
10 ; 본체
20 ; 고무링
30 ; 체결부
40 ; 캡
200 ; 제2 이음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말단의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일반적인 이음관의 모양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턱에 위치하여 진동을 방지하는 고무링과,
상기 고무링의 상면에 외부턱이 장착되어 하부가 이음관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내부에는 하수관과 체결할 수 있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면에 삽입되어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부를 고정시키는 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에 사용되는 이음관을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하수관에 사용되는 이음관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관을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다.
상기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이음관(100)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본체(10)의 경우 일정 강도와 부식성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며, 말단의 외주면에는 캡(40)과 나사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몸체는 두개의 하수관이 결합할 수 있는 일자형이나 세개의 하수관이 결합할 수 있는 'T'자형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음관과 같은 모양으로 성형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고무링(20)의 경우 이음관 본체(10)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턱에 위치하여 용수의 흐름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천연고무(NR)링이나 또는 합성 고무(SBR) 링을 이음관(10)과 체결부(30) 사이에 삽입시킴으로서 높은 수압과 지속적인 진동에 의한 미세한 누수도 흡수하여 접속부위의 완전한 밀폐 및 수밀기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체결부(30)에 있어서는 외주면에 형성된 턱이 고무링(20)의 상면에 위치하여 있고, 체결부의 하부가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로 본체(10)와 체결부(30) 사이에는 별도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좌, 우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체결부(30) 내부면에는 이음관(100)에 결합되는 제2 이음관과 나사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캡(40)의 경우에는 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나사결합에 의한 캡(40)의 조임으로 몸체(10)와 체결부(30) 사이의 고무링(20)을 압착하여 고무의 탄성에 의한 하수관과 이음관 또는 이음관과 제2 이음관의 접속부위 수밀성을 견고히 하고, 자체재질의 강성으로 하수관의 외주면을 가일층 압착하여 수압 및 관의 굴곡현상으로 야기되는 하수관의 후방이탈을 완전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이음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이음관(10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인 이음관의 모양을 갖는 본체(10)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턱에 고무링(20)이 위치하여 있고, 상기 고무링(20)의 상면에는 외주면의 턱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가 이음관 본체(10)에 삽입되어 있는 체결부(3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30)의 상면에 본체(10)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되어 있는 캡(40)이구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음관(100)은 체결부(30)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선을 통하여 외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다른 종류의 이음관과 결합시키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된 하수관이나 이음관들은 체결부(30)의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이와 함께 하수관 및 이음관도 회전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이 가능해진 하수관이나 이음관은 결합한 상태에서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쉽게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도관을 통하는 유량에 대해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접속부위의 파손, 관의 진동, 누수, 관의 이탈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유량이 많은 대구경 하수관의 연결부위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b는 본 고안의 이음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3a 내지 3b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이음관의 사용상태를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고안의 이음관(100)에 다양한 종류의 제2 이음관(200)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이음관(100)에 결합되는 제2 이음관(200)은 일자형의 하수관(소켓)을 비롯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는 엘보류나 다수의 하수관과 결합할 수 있는 'T'자형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이음관들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 다양한 이음관들은 하수관들과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하수관의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좋고 하수관의 교체나 변경시에도 특별한 분리나 해체과정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이음관과 결합하는 하수관도 일자형의 하수관이나 소정의 각도를 갖는 엘보 및 다수의 하수관이 결합될 수 있는 'T'자형의 이음과 등도 쉽게 조립될 수 있으므로 복잡한 하수관망을 갖는 대형의 작업장이나 수자원 관련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음관 내부에 회전이 가능한 체결부를 장착함으로서 하수관을 통하는 유량의 흐름에 대해 이음관이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접속부위의 파손, 관의 진동, 누수, 관의 이탈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유량이 많은 대구경 하수관의 연결부위에서 매우 좋은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또한 이음관과 이음관 및 이음관과 하수관의 결합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하수관의 방향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좋고, 하수관의 교체나 변경시에도 특별한 분리나 해체과정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일자형의 하수관(소켓)이나 소정의 각도를 갖는 엘보 및 다수의 하수관을 연결시킬 수 있는 'T'자형을 비롯한 다양한 하수관과도 쉽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이음관을 만들기 위한 금형제작이나 생산이 필요없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복잡한 하수관망을 갖는 대형의 작업장이나 수자원 관련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Claims (1)

  1. 말단의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일반적인 이음관 모양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턱에 위치하여 진동을 방지하는 고무링(20)과,
    상기 고무링(20)의 상면에 외부턱이 장착되고 하부가 이음관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하수관과 체결할 수 있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30)와,
    상기 체결부(30)의 상면에 삽입되어 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부(30)를 고정시키는 캡(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에 사용되는 이음관
KR2020010036688U 2001-11-28 2001-11-28 하수관에 사용되는 이음관 KR200265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688U KR200265541Y1 (ko) 2001-11-28 2001-11-28 하수관에 사용되는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688U KR200265541Y1 (ko) 2001-11-28 2001-11-28 하수관에 사용되는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541Y1 true KR200265541Y1 (ko) 2002-02-21

Family

ID=7311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688U KR200265541Y1 (ko) 2001-11-28 2001-11-28 하수관에 사용되는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5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5541Y1 (ko) 하수관에 사용되는 이음관
CN101382218B (zh) 一种管材连接装置
KR100488219B1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CN213871531U (zh) 一种强密封管接头
CN213206855U (zh) 一种大口径钢筋混凝土排水管连接结构
KR100398788B1 (ko) 관 이음 플랜지
CN210263294U (zh) 一种市政用下水道
KR200342277Y1 (ko) 맨홀의 관 접합장치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10048821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200258641Y1 (ko) 스테인리스 배급수관 연결기구
KR200347922Y1 (ko) 배관용 분기관
CN2280193Y (zh) 快装管接头
CN212509496U (zh) 用于管道连接处的橡胶垫片
CN113090378B (zh) 一种用于发动机机油冷却器的反向一体式接管接头
CN220600775U (zh) 一种m型碳钢/不锈钢内螺纹卡压式快接法兰弯头
CN210920456U (zh) 一种用于给排水管件的密封结构
KR200315555Y1 (ko)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CN214789685U (zh) 一种高适用性的不锈钢锥密封式管接头
CN220286692U (zh) 一种便于安装的管路连接件
CN215981278U (zh) 一种法兰式铜箍管接头
CN214037324U (zh) 一种便于组装的pe管
CN220453019U (zh) 一种轴线可偏转的旋转接头组件
CN215862149U (zh) 一种方便安装的管接头
CN220706700U (zh) 一种建筑给排水管道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