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394Y1 - 멀티경사조절신발 - Google Patents

멀티경사조절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394Y1
KR200265394Y1 KR2020010032800U KR20010032800U KR200265394Y1 KR 200265394 Y1 KR200265394 Y1 KR 200265394Y1 KR 2020010032800 U KR2020010032800 U KR 2020010032800U KR 20010032800 U KR20010032800 U KR 20010032800U KR 200265394 Y1 KR200265394 Y1 KR 200265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hoes
height
tilt adjustment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교종
Original Assignee
(주)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텍 filed Critical (주)포스텍
Priority to KR2020010032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3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394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높이 및 경사가 자유롭게 조절가능한 멀티경사조절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발이 안착하는 신발몸체와 상기 신발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밑창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밑창에는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승강판이 입출가능토록 설치된 것이며, 특히 상기 승강판은 높이가 조절되며 전방 및 후방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경사조절신발{A multi-slope regulatable shoes}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높이 및 경사가 자유롭게 조절가능한 멀티경사조절신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신발은 발이 들어가는 신발몸체부분과 그 하부에 형성되는 신발밑창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신발의 경우는 밑창이 신발몸체에 완전히 고정되어있으며, 또한 밑창에 별도의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신발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있어서 신발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등산의 경우에는 산을 올라갈때는 지면이 아래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판 역시 뒤로 기울어지게 되어 산을 오르는 사람이 몹시 힘들게 된다.
또한 산을 내려올때 역시 신발의 발판이 앞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산을 내려오는 사람이 몹시 힘들어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정으로 인하여 등산등의 경우에는 신발 발판의 각도의 조절이 매우 필요하게 된다.
이 외에도 조깅등의 운동을 할 경우에도 임의로 신발 발판의 각도를 조절하여 운동효과를 증대시킬 필요성이 있다. 즉, 발판을 앞으로 기울어지게 할 경우는 산을 내려올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되며, 발판을 뒤로 기우러지게 할 경우는 산을 올라갈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점들로 인하여 신발의 경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신발의 제공이 크게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신발의 발판의 경사를 전후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각종의 목적에 적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멀티경사조절신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발판의 전후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링크식으로 구성된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본 고안의 구성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신발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의 높이조절수단의 정면부를 보여주는 도면(신발을 상기 높이조절수단이 보일 수 있도록 종단면으로 자른 상태)
도3a 및 도3b는 도2의 측면도 및 그 변형예
도4는 본 고안의 조절봉고정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고안의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6a 내지 도6d는 본 고안의 높이조절수단의 다양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7 및 도8은 도6d 및 도6c의 적용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들
도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10은 도9의 요부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승강판 20: 링크
본 고안은 도1에서와 같이 발이 안착하는 신발몸체(1)와 상기 신발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밑창(2)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밑창(2)에는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승강판(10)이 입출가능토록 설치된것이며, 특히 상기 승강판(10)은 높이가 조절되며 전방 및 후방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판(10)은 밑창(2)의 소정부위에 하나만 설치하거나, 또는 밑창의 전후로 2개를 설치할 수 있다.
도2 및 도3은 본 고안의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높이조절수단은 그 교차하는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서로 교차하는 링크(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서로 교차하는 2개의 링크(20)가 일단부는 승강판(10)에 미끄럼가능토록 지지되고 타단부는 밑창 안쪽에 형성된 지지프레임(30)의 상판(3`)에 미끄럼 가능토록 지지되며, 상기 서로 교차하는 2개의 링크를 일정한 교차각을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조절봉(40)이 상기 2개의 링크를 관통하여 끼워진다.
상기 교차하는 2개의 링크(20)는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에 각각 한쌍씩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링크에는 상기 조절봉(40)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로로 슬롯(21)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2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홈(22)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봉(40)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롯(21)과 고정홈(22)에는 우레탄코팅층(26)을 형성하여 체결된 조절봉(40)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돕도록 할 수 도 있다.
상기 쌍을 이루는 서로 교차하는 링크(20)는 그 교차하는 부분은 양측의 고정홈(22)이 교차되는 부분으로 하며, 상기 교차되는 고정홈(22)의 위치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교차되는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링크의 중앙부의 고정홈(22)이 서로 교차될 경우가 가장 납작하게 접힌상태가 될 것이며, 이 상태가 상기 승강판(10)이 밑창의 하단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밑창안쪽으로 삽입된 상태가 된다.
상기 링크(20)에는 링크(20)의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링크고정수단을 부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링크고정수단은 상기 조절봉(40)의 선단에 체결되는 통상의 나비너트로 구성하여 상기 나비너트를 돌림으로써 링크를 압착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도3a·b 및 도4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봉(40)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단심면(62)과 장심면(63)이 형성된 편심레버(60)로 구성하여 상기 편심레버(60)를 조작함으로써 링크(20)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상기 편심레버(60)는 일측에는 회전지지축의 역할을 하는 지지돌기(41)가 삽입되고 타측에는 손잡이(61)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41)가 삽입되는쪽은 단심면(62)과 장심면(63)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41)는 상기 조절봉(4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봉(40)에는 도3에서와 같이 일측단에는 고정너트()를 고정적으로 체결하거나 또는 스토퍼를 형성시키고 타측에만 편심레버(60) 또는 나비너트를 설치하여 링크(20)와 조절봉(40)을 서로 압착하여 고정시키거나 또는 서로 자유롭도록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절봉(40)의 양단에 모두 나비너트 또는 편심레버등의 링크고정수단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나비너트(50)나 편심레버(60)와 링크와의 사이에는 도4에서와 같이 와셔(45)를 설치하여 압압력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의 양쪽 선단부에는 안내돌기(23)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돌기(23)가 걸려서 미끄럼 안내되도록 가이드턱(11,31)을 상기 승강판(10)과 지지프레임(30)의 상판(30`)에 형성하고, 상기 링크의 하단부를 안쪽으로 밀어주도록 압축코일스프링(24)을 설치하고, 링크의 상단부는 안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상판(30`)의 가이드턱(31)에 스토퍼(3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30)은 밑창(2)에 고정되도록 밑창에 내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판(30`)과 측판(30``)으로 형성하되 상기 상판(3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손가락을 넣어서 상기 링크고정수단을 조작할 수 있도록 조절용 홈(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통상적으로 신발몸체의 하단이 고정되는 바닥판(72 )이 형성될 것이다.
상기 바닥판에도 역시 상기 조절용 홈(30```)과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조절용 홈(30```)과 동일한 모양의 홈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동원리를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일반적인 평지에서 사용할 경우는 도2 또는 도3 또는 도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교차하는 한쌍의 링크(20)는 각각 슬롯에 형성된 고정홈(22) 중에서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이 서로 교차하도록 조정된 상태이다.
이 상태는 상기 한쌍의 링크가 가장 납작하게 접혀진 상태로써 상기 링크의 하단과 서로 지지되는 승강판(10)이 밑창(2)의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들어간 상태가 된다.
그러나 산을 오를때와 같이 신발의 바닥판이 뒷쪽이 더 높아지도록 하기를 원할때는 상기 편심레버(60) 또는 나비너트등의 조절봉 고정수단을 조작하여 링크와 조절봉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링크(20)의 하단부를 압축코일스프링(24)이 안쪽으로밀게되며, 이 힘에 의하여 상기 링크의 하부가 안쪽으로 밀려서 서로 교차하는 한쌍의 링크는 하부가 서로 근접하게 된다.
이때 링크의 상부는 스토퍼(32)에 의해서 저지되어 좁혀지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링크의 하부가 좁혀지면서 하강하게 되며, 링크의 하부에 체결된 승강판(10)이 밑창(2)의 바깥으로 돌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승강판(10)이 하강하여 돌출되게 되면 상기 링크의 고정홈으로 부터 조절봉(40)을 이탈시켜 슬롯(21)을 따라 이동시켜서 원하는 다른 고정홈에 끼워넣은 후 상기 조절봉고정수단을 조작하여 서로 교차하는 링크를 교차각을 변경시켜서 다시 고정시킨다.
상기 서로 교차하는 한쌍의 교차각도는 각각의 교차하는 고정홈의 위치를 달리하여 변경시키게 된다.
이에 대한 예로서, 도6c 및 도6d에서와 같이 한쪽의 링크는 하부의 고정홈이, 그리고 다른쪽의 링크는 상부의 고정홈이 교차점에 오도록 교차하여 고정하게 되면 승갈발판(10)은 앞쪽 또는 뒷쪽으로 경사지게 돌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교차되는 고정홈의 위치를 가변하면 경사각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링크의 고정홈(20)의 갯수나 승강판(10)의 크기는 신발의 형태나 용도에 마추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5b는 승강판에 경사각을 주지 않고 돌출만 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승강판의 돌출되는 높이나 경사각은 신발 앞쪽의 승강판과 신발 뒷쪽의 승강판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나 특수한 목적을 위해서는 다양한 각도조절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7 및 도8은 도6d 및 도6c의 적용상태도이다.
도9 및 도10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예에서는 발이 안착하는 신발몸체(1)와 상기 신발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밑창(2)을 구비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밑창에는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승강판(70)이 입출가능토록 설치되되, 상기 승강판은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판(70)의 내부 공간에는 공기주머니(71)가 설치되어 상기 공기주머니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승강판(70)이 하방으로 돌출하거나 밑창으로 다시 들어가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공기주머니의 팽창과 수축에 의해 승강판(70)이 하방으로 돌출되거나 들어오게 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공기주머니(71)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주머니(71)로 공기를 주입시키거나 빨아들이기 위한 공기주입구(7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주입구(74)는 밑창의 상부에 바닥판(72)을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주입구(74)는 상기 밑창의 상부 외에도 상기 밑창의 측면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일방향 실링고무등을 사양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공기주입구(74)로의 공기주입은 휴대용 에어건(75)등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주입 및 흡입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공기주머니의 하단은 승강판(70)의 바닥 내면과 고착시킬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예에서는 평상시에는 도8에서와 같이 공기주머니(71)의 공기를 빼내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승강판(70)은 밑창(2) 내부로 들어간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공기주머니(71) 내부와 외기와의 기압차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신발이 높이조절 및 경사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공기주머니(71)에 공기를 주입하여 승강판(70)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주입하는 공기의 양에 따라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되며, 신발 밑창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상기와 같은 장치를 설치할 경우, 앞뒤의 승강판의 돌출되는 높이를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다르게 할 경우는 신발의 경사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된다.
상기 상태에서 다시 공기주머니의 공기를 빼내게 되면 상기 공기주머니는 수축하여 승강판(70)은 다시 밑창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원래의 상태로 회복되게 된다.
상기 공기주머니는 주름진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도 있으며, 또는 탄력을 갖는 탄성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신발의 높이 및 경사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되어 등산과 같이 경사진 곳을 오르거나 내려올때 매우 손쉽게 걸을 수 있게되어 등산시의 피로를 크게 줄일 수 있게됨은 물론 신발이 미끌어져서 당하는 안전사고또한 크게 줄일 수 있게된다.
또한 본 고안은 평지에서의 조깅이나 런닝머신등의 사용시에도 신발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산길을 오르내리는 효과를 제공할 수 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신발기능 외에도 그 높이 및 경사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록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된다.

Claims (12)

  1. 발이 안착하는 신발몸체와 상기 신발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밑창(2)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밑창에는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승강판이 입출가능토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경사조절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높이가 조절되며 전방 및 후방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경사조절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그 교차하는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서로 교차하는 링크(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경사조절신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서로 교차하는 2개의 링크(20)가 일단부는 승강판에 미끄럼가능토록 지지되고 타단부는 밑창 안쪽에 형성된 지지프레임(30)의 상판(3`)에 미끄럼 가능토록 지지되며, 상기 서로 교차하는 2개의 링크를 일정한 교차각을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조절봉(40)이 상기 2개의 링크를 관통하여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경사조절신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하는 2개의 링크(20)는 좌우에 각각 한쌍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경사조절신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에는 상기 조절봉(40)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로로 슬롯(21)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2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홈(22)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봉(40)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경사조절신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20)에는 링크(20)의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링크고정수단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경사조절신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고정수단은 상기 조절봉(40)의 선단에 체결되는 나비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나비너트를 돌림으로써 링크를 압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경사조절신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고정수단은 상기 조절봉(40)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단심면(62)과 장심면(63)이 형성된 편심레버(60)로 구성되어 상기 편심레버(60)를 조작함으로써 링크(20)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경사조절신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양쪽 선단부에는 안내돌기(23)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돌기(23)가 걸려서 미끄럼안내되도록 가이드턱(11,31)을 상기 승강판(10)과 지지프레임의 상판(30`)에 형성하고, 상기 링크의 하단부를 안쪽으로 밀어주도록 압축코일스프링(24)을 설치하고, 링크의 상단부는 안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상판(30`)의 가이드턱(31)에 스토퍼(3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경사조절신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판(30`)에는 상기 링크고정수단을 조작할 수 있도록 조절용 홈(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경사조절신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판의 내부 공간에는 공기주머니(71)가 설치되어 상기 공기주머니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승강판이 하방으로 돌출하거나 밑창으로 다시 들어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경사조절신발.
KR2020010032800U 2001-10-26 2001-10-26 멀티경사조절신발 KR200265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800U KR200265394Y1 (ko) 2001-10-26 2001-10-26 멀티경사조절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800U KR200265394Y1 (ko) 2001-10-26 2001-10-26 멀티경사조절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394Y1 true KR200265394Y1 (ko) 2002-02-21

Family

ID=7307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800U KR200265394Y1 (ko) 2001-10-26 2001-10-26 멀티경사조절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394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52B1 (ko) 2007-01-25 2008-01-17 박영춘 신발 높이조절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090090648A (ko) * 2008-02-21 2009-08-26 박영춘 신발 높이조절장치
WO2012087733A3 (en) * 2010-12-20 2012-09-13 Allen Joseph Selner Adjustable forefoot posting for orthotic
KR101204292B1 (ko) 2012-05-29 2012-11-26 박근식 오르막길 보행용 신발
WO2016140841A1 (en) * 2015-03-03 2016-09-09 Avex, Llc Insole foot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s
US9655400B2 (en) 2010-12-20 2017-05-23 Allen Joseph Selner Adjustable forefoot posting for orthotic
US9757302B2 (en) 2011-08-12 2017-09-12 Avex, Llc Foot compression and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CN108477747A (zh) * 2018-05-18 2018-09-04 安徽多马西简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高度的跑鞋
KR102115972B1 (ko) * 2019-01-22 2020-05-2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
US10799415B2 (en) 2011-12-02 2020-10-13 Avex, Llc Spring-driven foot compression system
KR102540719B1 (ko) * 2022-02-22 2023-06-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신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52B1 (ko) 2007-01-25 2008-01-17 박영춘 신발 높이조절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090090648A (ko) * 2008-02-21 2009-08-26 박영춘 신발 높이조절장치
WO2012087733A3 (en) * 2010-12-20 2012-09-13 Allen Joseph Selner Adjustable forefoot posting for orthotic
US8490301B2 (en) 2010-12-20 2013-07-23 Allen Joseph Selner Adjustable forefoot posting for orthotic
US9655400B2 (en) 2010-12-20 2017-05-23 Allen Joseph Selner Adjustable forefoot posting for orthotic
US9757302B2 (en) 2011-08-12 2017-09-12 Avex, Llc Foot compression and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US10799415B2 (en) 2011-12-02 2020-10-13 Avex, Llc Spring-driven foot compression system
KR101204292B1 (ko) 2012-05-29 2012-11-26 박근식 오르막길 보행용 신발
US10369075B2 (en) 2015-03-03 2019-08-06 Avex, Llc Insole foot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s
WO2016140841A1 (en) * 2015-03-03 2016-09-09 Avex, Llc Insole foot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s
CN108477747A (zh) * 2018-05-18 2018-09-04 安徽多马西简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高度的跑鞋
KR102115972B1 (ko) * 2019-01-22 2020-05-2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
KR102540719B1 (ko) * 2022-02-22 2023-06-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5394Y1 (ko) 멀티경사조절신발
US10493316B2 (en) Exercise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4446580A (en) Prosthetic foot structure
JP3950096B2 (ja) スライド部材およびシューソール
US6764521B2 (en) Multi-axial ankle joint
US6569213B1 (en) Orthopaedic pedal
US20100223810A1 (en) Outer sole having resilient mid-sole with floating hinges
CA2712895C (en) Hiking boot attachment for descending slopes
CN108577026A (zh) 带有突起的鞋底和鞋类物品
US5076263A (en) Toe stretcher
US20040153168A1 (en) Shape and roll prosthetic foot
US20040110604A1 (en) Rocking exercise device
US20050050770A1 (en) Dynamic canting and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CN109513170A (zh) 一种利用活动定型防滑配合气压按摩的健身用的踏步机
US20070107268A1 (en) Variable surface sole for bowling and other shoes
US11969057B2 (en) Sole for footwear with positioning faces
TW313515B (ko)
CN210539188U (zh) 一种脚控方便快速调节高低的可组合的增高鞋
GB2179235A (en) Sprung footwear
US20220061453A1 (en)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of increasing foot propulsion
KR20190069804A (ko) 의지발
KR101196569B1 (ko)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
JP2022526598A (ja) 摩擦力可変シューズ
KR20200000015A (ko) 양방향으로 신을 수 있는 신발
JPS61154501A (ja) スキ−ブ−ツ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