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344Y1 -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열풍기 - Google Patents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열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344Y1
KR200265344Y1 KR2020010028670U KR20010028670U KR200265344Y1 KR 200265344 Y1 KR200265344 Y1 KR 200265344Y1 KR 2020010028670 U KR2020010028670 U KR 2020010028670U KR 20010028670 U KR20010028670 U KR 20010028670U KR 200265344 Y1 KR200265344 Y1 KR 200265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ot air
air
burner
lique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호 filed Critical 김윤호
Priority to KR2020010028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344Y1/ko

Links

Landscapes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열풍기에 있어서, 공기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되어진 공기와 버너를 통해서 분출되어진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와 같은 가스를 점화기에 의하여 점화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버너의 정면에 세라믹 재질로 제작된 열판을 놓아서 열효율을 극대화시키며, 연소실에서 발생되어진 열이 복사실의 공기의 온도를 높이고 송풍팬의 회전에 따른 송풍력에 의해 가온공기를 열풍 배출구를 통하여 토출함으로써 기계공장 등의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고 온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온도의 조절 및 제어가 가능한 건조용 가스 열풍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열풍기{Air heater using liquid natural gas or liquid propane gas}
본 고안은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열풍기(10)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흡입구(130)를 통해서 흡입되어진 공기와 가스 버너(20)를 통해서 분출되어진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점화기(40)에 의하여 점화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버너의 정면에 세라믹 재질로 제작된 열판(180)을 놓아서 열효율을 극대화시키며, 연소실에서 불완전 연소되어진 가스를 열풍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열교환기(200)에 의하여 폐열을 다시 열풍기로 주입시키고, 연소실(30)에서 발생되어진 열이 복사실(190)의 공기의 온도를 높이고 송풍팬(120)의 회전에 따른 송풍력에 의해 가온공기를 열풍 배출구(140)를 통하여 토출함으로써 기계공장 등의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건조용 가스 열풍기(10)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열풍기는 경유 또는 석유를 사용하여 간접적인 열풍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3~4년간 연속하여 사용하게 되면 기계의 성능 및 효율이 떨어지게 되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설의 노후에 따라 새로운 장비로 교체가 요망되므로 계속적인 생산활동 및 운전이 불가능하여 시설을 대체하여야 하므로 경제적, 시간적 손실이 상당한 문제점으로 발생된다. 더 나아가 경유, 석유 등을 연료로 사용함으로 인하여 각종 가스 및 공해발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및 운전자 및 종사자의 건강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스 열풍기는 일반적으로 연료인 가스를 연소시킴에 의해 얻어지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찬공기를 더운공기로 열교환시키면서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기기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의 하부에 팬하우징이 고정되어 지고, 팬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진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팬과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어 송풍팬의 회전에 따른 송풍력 발생시 본체 내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그릴과, 상기 팬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본체 내부로 여러 가지 구성품을 지지하는 베리어와 상기 베리어의 송풍팬 직상방부 일측에 위치되어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에 설치되며 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가 연소실내로 분사되도록 복수개의 슬릿공을 갖는 버너와, 상기 버너 내부로 연료인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 및 상기 가스의 분사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과, 상기 공기 공급관의 버너 연결부 내에 설치되어 공기 공급관을 통한 공기의 공급력을 제공하는 공기 공급팬과, 상기 버너 내부에 위치되도록 장착되며 가스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가스를 공기와 함께 연소실로 분사시켜 주는 분사 노즐과, 상기 가스 공급관에 설치되어 가스 공급관의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는 가스 밸브와, 상기 연소실의 상부에 연결되어 본체 내부로 흡입된 찬 공기를 연소열에 의해 더운 공기로 열교환시켜 주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한편에 연결되어 찬 공기를 열교환시키고 난 후의 연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가스 배출관과, 상기 본체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어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더운 공기를 본체 외부로 토출시켜 주는 토출 그릴로 구성되어 진다.
따라서, 기기를 실내의 적소에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을 시키면, 먼저 공기공급팬이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회전하므로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 공급관을 통해 흡입된다. 이후 흡입된 공기는 공기 공급팬의 회전이 계속되는 동안 버너를 통해 연소실 내로 들어간 다음 계속해서 열교환기를 지나 가스 배출관을 통해 다시 실외로 빠져 나가는 프리 퍼지 과정을 수분동안 수행한다.
상기 프리 퍼지 과정이란 연소실 내에 남아있는 잔존가스를 외부로 완전히 배출시키고 연료인 가스가 상기 연소실에서 초기 연소될 때 잔존가스에 의한 연소실의 폭발 위험성을 미연에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리 퍼지 과정이 수행되고 나면, 공기 공급팬은 계속해서 회전하면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이와 동시에 가스 공급관에 설치된 가스 밸브가 콘트롤러의 제어 신호를 받아 가스가 가스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공급되는 가스는 분사 노즐의 가스 분출공을 통해 버너 내부로 분출된다. 이때, 버너 내부로 공기 공급관을 통해 공기가 공급되므로 분출된 가스는 공기와 혼합되면서 버너에 형성된 각 슬릿공을 통해 연소실로 분사되고, 이 과정에서 점화수단이 작동하여 분사되는 혼합 가스에 불꽃을 점화시켜 주므로 혼합 가스가 연소실에서 연소된다.
따라서, 연소실에서는 연소열이 발생되고, 이 연소열은 연소실의 상부에 위치된 열교환기를 가열시킨 다음 가스 배출관을 통해 실외로 빠져나간다.
또한, 가스 연소시와 함께 송풍팬이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므로 송풍력이 발생되어, 실내의 공기가 흡입 그릴을 통해 본체 내부로 흡입된 다음 본체 내부의 상부로 이동한다. 이후에 공기는 열교환기를 지나면서 연소열에 의해 열교환되어 더운 공기로 바뀌어진 다음 상기 본체의 전면 상부에 설치된 토출 그릴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를 난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스 열풍기는 정확하게 온도를 감지하고 제어를 할 수 없으므로 가공, 생산 및 중간 공정중인 제품의 품질의 저하 및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기 흡입구(130)를 통해서 흡입되어진 공기와 가스 버너(20)를 통해서 분출되어진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점화기(40)에 의하여 점화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버너의 정면에 세라믹 재질로 제작된 열판(180)을 놓아서 열효율을 극대화시키며, 연소실에서 불완전 연소되어진 가스를 열풍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열교환기(200)에 의하여 폐열을 다시 열풍기로 주입시키고, 연소실(30)에서 발생되어진 열이 복사실(190)의 공기의 온도를 높이고 송풍팬(120)의 회전에 따른 송풍력에 의해 가온공기를 역풍 배출구(140)를 통하여 토출함으로써 기계공장 등의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고 온도감지센서를 부착하여 정확한 온도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가공, 생산 및 중간 공정중인 제품의 품질의 저하 및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건조용 가스 열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건조용 가스 열풍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가스 버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가스 버너의 정면도이다.
※ 도면부호의 설명
10. 가스 열풍기 20. 가스버너
30. 연소실 40. 점화기
50. 가스조절밸브 60. 가스압력측정기
70. 가스압력스위치 80. 가스 솔레노이드 밸브
90. 가스 조절기 100. 가스필터
110. 가스 호스 120. 송풍팬
130. 공기 흡입구 140. 열풍 배출구
150. 가스분사노즐 160. 호스홀
170. 고정홀 180. 열판
190. 복사실 200. 열교환기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열풍기(10)에 있어서 공기 흡입구(130)를 통해서 흡입되어진 공기와 가스 버너(20)를통해서 분출되어진 혼합가스를 점화기(40)에 의하여 점화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가스 버너(20)의 정면에 세라믹 재질로 제작된 열판(180)을 놓아서 열효율을 극대화시키며, 연소실에서 불완전 연소되어진 가스를 열풍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열교환기(200)에 의하여 폐열을 다시 열풍기로 주입시키고, 연소실(30)에서 발생되어진 열이 복사실(190)의 공기의 온도를 높이고 송풍팬(120)의 회전에 따른 송풍력에 의해 가온공기를 열풍 배출구(140)를 통하여 토출함으로써 기계공장 등의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고 온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온도의 조절 및 제어가 가능한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열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가스 버너(20)의 형태는 원추형을 이루고 있고 가스호스(110)가 가스 버너의 호스홀(160)에 연결되어 가스가 공급되며, 호스홀(160)을 통하여 공급되어진 가스는 가스분사노즐(150)을 통하여 연소실로 분사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사용되는 연료가스는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액화프로판가스(LPG)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연료가스의 사용으로 인해 종래의 경유, 석유를 연소시키는 열풍기에 비해 높은 열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열풍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스 탱크의 가스는 가스필터(100)를 통하여 정화된 후 가스 압력 스위치(70)에 의하여 원하는 압력으로 조정된 후 가스 조절기(90)에 의하여 조정되어진 압력을 가스 압력 측정기(60)를 통해 확인한 후 가스 솔레노이드 밸브(80)를 통과하여 가스 콘트롤 밸브를 지나 가스 호스(100)를 통하여 가스 버너(20)에 전달되어 진다.
가스 버너(20)로 전달되어진 가스는 버너의 가스 분사노즐(150)을 통하여 연소실(30)로 분사되고 버너의 중앙에 설치되어진 가스 점화기(40)에 의하여 점화되어 연소되어 진다.
상기의 가스 버너(20)에서 발생되어진 열은 가스 버너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는 열판(170)을 통과하면서 열판의 온도를 높이게 되고 상기 열판(180)은 급속히 온도가 높아지고 열판을 통과한 열은 복사실(190)의 공기의 온도를 높이게 된다. 상기 열판은 세라믹 재질로 만들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소실에서 불완전 연소되어진 가스는 연소실의 챔버를 통하여 열풍기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열교환기(200)에 의하여 상기 가스가 지니고 있는 폐열을 열풍기의 연소실 내로 다시 주입시킴으로써, 열풍기의 열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킨다.
복사실(190)내의 뜨거워진 공기는 송풍팬(120)의 회전에 따른 송풍력에 의해 온공기를 온공기 배출구(140)를 통하여 토출하여 진다.
도 2는 본 고안의 가스 버너의 측면도이다. 본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스 버너(20)의 형태는 원추형을 이루고 있고 가스호스(110)가 가스 버너의 호스홀(160)에 연결되어 가스가 공급되며, 호스홀(160)을 통하여 공급되어진 가스는 가스분사노즐(150)을 통하여 연소실로 분사되어 진다. 가스 버너는 고정홀(170)에 의하여 건조용 가스 열풍기(10)에 설치되어 진다.
도 3은 본 고안의 가스 버너의 정면도이다. 본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스 버너(20)는 원추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그 내부에 가스분사노즐(150)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공기 흡입구(130)를 통해서 흡입되어진 공기와 가스 버너(20)를 통해서 분출되어진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점화기(40)에 의하여 점화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버너의 정면에 세라믹 재질로 제작된 열판(180)을 놓아서 열효율을 극대화시키며, 연소실에서 불완전 연소되어진 가스를 열풍기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열교환기(200)에 의하여 폐열을 다시 열풍기로 주입시키고, 연소실(30)에서 발생되어진 열이 복사실(190)의 공기의 온도를 높이고 송풍팬(120)의 회전에 따른 송풍력에 의해 가온공기를 열풍 배출구(140)를 통하여 토출함으로써 기계공장 등의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고 온도감지센서를 부착하여 정확한 온도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가공, 생산 및 중간 공정중인 제품의 품질의 저하 및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열효율이 기존 연료를 사용하는 열풍기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하며, 더 나아가 기존의 기름 열풍기에 비하여 환경오염에 의한 공장 운전자 및 종사자의 건강악화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가스 열풍기(10)에 있어서, 공기 흡입구(130)를 통해서 가스의 산화를 위한 공기를 흡입하고, 가스 버너(20)를 통해서 분출되어진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점화기(40)에 의하여 점화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가스 버너(20)의 정면에 세라믹 재질로 제작된 열판(180)을 장착시키고, 연소실에서 불완전 연소되어진 가스를 열풍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열교환기(200)에 의하여 폐열을 다시 열풍기로 주입시키고, 연소실(30)에서 발생되어진 열이 복사실(190)의 공기의 온도를 높이고 송풍팬(120)의 회전에 따른 송풍력에 의해 가온공기를 열풍 배출구(140)를 통하여 토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가스 열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버너(20)의 형태는 원추형을 이루고 있고 가스호스(110)는 가스 버너의 호스홀(160)에 연결되어 가스가 공급되며, 호스홀(160)을 통하여 공급되어진 가스는 가스분사노즐(150)을 통하여 연소실로 분사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가스 열풍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열풍기(10)의 상부에 열교환기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가스 열풍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열풍기(10)에 온도감지센서를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가스 열풍기
KR2020010028670U 2001-09-18 2001-09-18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열풍기 KR200265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670U KR200265344Y1 (ko) 2001-09-18 2001-09-18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열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670U KR200265344Y1 (ko) 2001-09-18 2001-09-18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열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344Y1 true KR200265344Y1 (ko) 2002-02-21

Family

ID=7310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670U KR200265344Y1 (ko) 2001-09-18 2001-09-18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열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3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381B1 (ko) 2007-01-04 2007-06-18 이영수 간접 온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381B1 (ko) 2007-01-04 2007-06-18 이영수 간접 온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1760B2 (en) Direct-fired heater
KR200265344Y1 (ko)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열풍기
KR100414851B1 (ko)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프로판가스를 이용한 열풍기
US5941236A (en) Roofing kettle control apparatus
KR100281069B1 (ko) 가스온풍기
KR100268001B1 (ko) 가스온풍기의 공기공급관 연결상태 감지장치
KR0159149B1 (ko) 연소장치 및 연소장치의 급배기구의 폐쇄검지방법
KR100290847B1 (ko) 가스온풍기의 연소실 폭발 방지장치 및 방법
KR100187047B1 (ko) 유압송무화식 오일연소기의 제어방법
JP2675515B2 (ja) 燃焼機器の不完全燃焼検出装置
KR0155487B1 (ko) 오일연소기의 대류장치
KR100281070B1 (ko) 가스온풍기의분사노즐장착장치
JP2665136B2 (ja) 燃焼機器の不完全燃焼検出装置
KR100290848B1 (ko) 가스온풍기의 버어너구조
KR20000019237A (ko) 가스난방기의 송풍팬 구동방법 및 장치
KR100187049B1 (ko) 회전무화식 오일연소기의 제어방법
KR100187068B1 (ko) 로터리히터의 송풍모터 제어방법
KR100224009B1 (ko) 석유연소기의 기화기 적정온도 유지장치 및 유지방법
KR930006169B1 (ko) 석유 연소기의 적열방지 장치
JPH094814A (ja) 固体・流体燃料兼用燃焼装置
GB2033070A (en) Waste oil burner
KR19980069418A (ko) 로터리히터의 초기착화 제어방법
JP2002022154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H01102218A (ja) 燃焼装置
KR20040061456A (ko) 가스버너의 공기량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량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