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953Y1 - 휴대용 연필깍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연필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953Y1
KR200264953Y1 KR2020010034653U KR20010034653U KR200264953Y1 KR 200264953 Y1 KR200264953 Y1 KR 200264953Y1 KR 2020010034653 U KR2020010034653 U KR 2020010034653U KR 20010034653 U KR20010034653 U KR 20010034653U KR 200264953 Y1 KR200264953 Y1 KR 200264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pencil sharpener
groove
portable
kn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민아
Original Assignee
안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민아 filed Critical 안민아
Priority to KR2020010034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9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953Y1/ko

Link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연필을 깍을 때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함은 물론 톱밥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연필깍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는 일면이 개방된 수용홈(2)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폭방향으로 삽입홈(3)이 형성된 몸체(1)와, 상기 수용홈의 개방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몸체의 하면에 결합되는 커버(5)와, 상기 몸체(1)에 형성된 삽입홈의 내부에 삽입되는 칼(4)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연필깍기{pencil sharpener for portable}
본 고안은 휴대용 연필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필을 깍을 때 발생되는 톱밥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하여 주변의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휴대용 연필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필은 쓰고 지울 수 있는 필기구로서, 나무를 이용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길이와 직경으로 몸체를 가공하고 그 몸체의 중앙에는 흑연을 가공한 연필심을 삽입하여 사용시에는 연필심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나무를 깍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필을 깍을 때에는 칼 또는 연필깍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칼을 이용하여 연필을 깍을 때에는 부주의로 인하여 칼에 의한 상해를 입게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상해를 입지 않는다고 하여도 연필을 깍을 때 발생되는 톱밥이 주변에 떨어져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필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하고 그 삽입공의 일측에 칼이 부착된 연필깍기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때에는 사용자를 상해를 방지할 수 는 있으나 톱밥에 의한 주변의 오염을 방지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필을 깍을 때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함은 물론 톱밥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연필깍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필깍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필깍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필깍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필깍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수용홈
3 : 삽입홈 4 : 칼
5 : 커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내부에는 일면이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폭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수용홈의 개방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몸체의 하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삽입홈의 내부에 삽입되는 칼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에 형성된 삽입홈은 소정의 경사각이 유지되게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연필(6)을 안내하는 요입홈(8)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면고 칼은 중앙부는 낮고 양측단부는 높게 만곡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필깍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필깍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필깍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몸체(1)의 내부에 수용홈(2)이 형성되어 있되, 그 일면 즉, 몸체(1)의 하면측에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몸체(1)의 상면에는 폭 방향으로 삽입홈(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삽입홈(3)은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용홈(2)의 개방부 즉, 몸체(1)의 하면에는 수용홈(2)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커버(5)가 분리/결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3)에는 연필(6)을 깍을 수 있는 칼(4)이 삽입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1)의 연필(6)을 안내하는 요입홈(8)을 형성할 수 도 있다.
또는 상기 몸체(1)의 상면과 칼(4)을 중앙부는 낮고 양측단부는 높게 만곡형성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연필깍기로 연필을 깍을 때에는 커버(5)가 결합된 연필깍기 몸체(1)를 한손으로 잡고 또다른 한손으로는 연필(6)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연필(6)의 선단부가 칼(4)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당기면 상기 연필(6)은 칼(4)에 의해서 조금씩 깍이게 되는 것이며, 상기 연필(6)을 돌리면서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면면 연필(6)이 깍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필(6)을 깍을 때 발생되는 톱밥은 몸체(1)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홈(2)의 내부로 삽입되므로 그 톱밥을 버릴때에는 몸체(1)에 결합된 커버(5)를 분리시킨 후 톱밥을 버리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의 상면에 요입홈(8)을 형성하면 연필(6)을 깍을 때 그 연필(6)을 요입홈(8)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시키면 연필(6)을 안내하게 되므로 연필을 간편하게 깍을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의 상면 및 칼(4)을 만곡형성하면 연필(6)의 깍이는 부분이 만곡되게 깍이므로 사용시 부드러운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연필을 깍는 칼이 외부로 돌출 되지 않게되므로 사용자를 상해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연필을 깍을 때 발생되는 톱밥을 수집하게 되므로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부에는 일면이 개방된 수용홈(2)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폭방향으로 삽입홈(3)이 형성된 몸체(1)와,
    상기 수용홈의 개방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몸체의 하면에 결합되는 커버(5)와,
    상기 몸체(1)에 형성된 삽입홈의 내부에 삽입되는 칼(4)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휴대용 연필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형성된 삽입홈은 소정의 경사각이 유지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연필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연필(6)을 안내하는 요입홈(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연필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과 칼은 중앙부는 낮고 양측단부는 높은 만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연필깍기.
KR2020010034653U 2001-11-12 2001-11-12 휴대용 연필깍기 KR200264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653U KR200264953Y1 (ko) 2001-11-12 2001-11-12 휴대용 연필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653U KR200264953Y1 (ko) 2001-11-12 2001-11-12 휴대용 연필깍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021A Division KR20010109253A (ko) 2001-11-12 2001-11-12 휴대용 연필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953Y1 true KR200264953Y1 (ko) 2002-02-21

Family

ID=7307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653U KR200264953Y1 (ko) 2001-11-12 2001-11-12 휴대용 연필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9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345B2 (en) Combination utility knife
US20200180170A1 (en) Convertible utility knife
NO156119B (no) Saks-slire med integrert bladsliper.
US20060080846A1 (en) Sharpener with integrated pencil cap
US20150224816A1 (en) Sharpener for marking instruments
KR200264953Y1 (ko) 휴대용 연필깍기
US5845406A (en) Soft core pencil sharpener including cleaning shaper
US7143516B2 (en) Pencil sharpener cap
KR20010109253A (ko) 휴대용 연필깍기
US7981108B2 (en) Protective cover for a surgical tool
US6846229B1 (en) Handheld retractable pull-through knife sharpener
US4135299A (en) Ring cutting tool
JP4664992B2 (ja) ミクロトームブレード
US6123476A (en) Crayon holder with integral sharpener
US6381856B2 (en) Hand-held sharpener as a container-type sharpener
US6634108B2 (en) Sharpener for sharpening a soft-core pencil
KR200423855Y1 (ko) 연필깍이
KR200354956Y1 (ko) 연필깎이가 내장된 연필꽂이
KR20080107709A (ko) 연필깍기
KR200433586Y1 (ko) 매니큐어 제거용기
US895019A (en) Combined pencil holder and sharpener.
JP3042580U (ja) 持ち軸に取り付けられたままワンタッチで開閉されるキャップ
GB2367523A (en) Handsaw with pencil sharpener
KR20050113100A (ko) 고무지우개
KR200155137Y1 (ko) 연필깎이 겸용 연필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