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752Y1 - 다용도 세탁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세탁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752Y1
KR200264752Y1 KR2020010034624U KR20010034624U KR200264752Y1 KR 200264752 Y1 KR200264752 Y1 KR 200264752Y1 KR 2020010034624 U KR2020010034624 U KR 2020010034624U KR 20010034624 U KR20010034624 U KR 20010034624U KR 200264752 Y1 KR200264752 Y1 KR 200264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drying
drying chamber
hanger
laundry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민석
Original Assignee
한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석 filed Critical 한민석
Priority to KR2020010034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752Y1/ko

Links

Landscapes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된 세탁물을 빠른 시간내에 건조하는 세탁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탈수 완료된 세탁물을 건조함은 물론 외출 후 입었던 옷을 살균 및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체(11)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2)와, 상기 본체의 상, 하부에 건조실과 별도로 격벽(19)(20)에 의해 구획된 상, 하부 구동부(21)(22)와, 상기 상, 하부 구동부에 설치되어 고온의 열을 발열하는 상, 하부 발열수단(23)(24)과, 상기 발열수단의 상, 하부에 설치되어 건조실측으로 열풍을 불어주는 상, 하부 송풍팬(25)(26)과, 상기 상, 하부 송풍팬의 일측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발생하는 상, 하부 음이온모듈(27)(28)과, 상기 송풍팬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오존을 발생하는 상, 하부 오존셀(29)(3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세탁물 건조기{omitted}
본 고안은 세탁된 세탁물을 빠른 시간내에 건조하는 세탁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탈수 완료된 세탁물을 건조함은 물론 외출 후 입었던 옷을 살균 및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세탁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세탁물 건조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체(1)의 전면에 도어(도시는 생략함)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건조실(2)이 구비된 본체(1)의 상부에는 통공(3a)이 형성된 격벽(3)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격벽의 상측에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하는 발열수단(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발열수단(4)의 직하방에는 발열수단(4)으로부터 발열된 열을 건조실(2)측으로 불어주는 송풍팬(5)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건조실(2)의 직하방에는 걸고리(6)에 걸린 세탁물(7)로부터 떨어지는 물이 담겨지는 물받이(8)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1)의 측면 및 상면에는 송풍팬(5)의 구동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건조실(2)로 유입하거나, 건조실내의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통공(9a)(9b)이 형성되어 있으며 걸고리(6)의 직상부에는 곰팡이균 또는 바이러스 등을 살균 처리하기 위한 할로겐 램프 등과 같은 살균수단(1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세탁 완료된 세탁물(7)을 걸고리(6)에 차례차례 건 다음 개방하였던 도어를 닫고 전원 스위치를 온시키면 발열수단(4)으로부터 열이 발생됨과 동시에 송풍팬(5)이 구동하여 고온의 열을 건조실(2)측으로 불어 주므로 세탁물(7)이 건조되기 시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탁물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세탁물에 있던 물이 하방으로 떨어져 물받이(8)에 담기게 된다.
이와 같이 발열수단(4) 및 송풍팬(5)의 계속되는 구동으로 세탁물(7)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살균수단(10)에 의해 세탁물(7)에 묻어 있던 곰팡이균 또는 바이러스 등의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종래의 세탁물 건조기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세탁물로부터 탈수가 이루어지면서 건조가 진행되므로 세탁물의 건조시간이 오래 걸린다.
둘째, 세탁물로부터 탈수된 물이 하방에 위치된 물받이에 담기므로 건조실내의 습도가 높아 건조시간이 지연되었다.
셋째,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열풍을 불어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되므로 건조효율이 떨어진다.
넷째, 단순히 건조기능 외에는 다른 기능이 없어 활용도가 떨어진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구조를 개선하여 건조실의 상, 하부에서 건조실측으로 열풍을 불어 빠른 시간내에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세탁물의 건조 기능은 물론 외출 후 입었던 옷의 살균 및 발생된 정전기를 간편하게 없앨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건조실의 옷걸이에 세탁물측으로 발열수단에 의해 발열된 열을 송풍팬의 구동으로 불어 건조하는 세탁물 건조기에 있어서,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본체의 상, 하부에 건조실과 별도로 격벽에 의해 구획된 상, 하부 구동부와, 상기 상, 하부 구동부에 설치되어 고온의 열을 발열하는 상, 하부 발열수단과, 상기 발열수단의 상, 하부에 설치되어 건조실측으로 열풍을 불어주는 상, 하부 송풍팬과, 상기 상, 하부 송풍팬의 일측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발생하는 상, 하부 음이온모듈과, 상기 송풍팬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오존을 발생하는 상, 하부 오존셀로 구성되어 건조실의 상, 하부에서 건조실측으로 열풍을 불어 세탁물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세탁물 건조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세탁물 건조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세탁물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는 건조실의 배면에 배기용 팬이 설치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본체 13 : 건조실
15 : 걸고리 16 : 걸이대
18 : 바구니 21, 22 : 상, 하부 구동부
23, 24 : 상, 하부 발열수단 25, 26 : 상, 하부 송풍팬
27, 28 : 상, 하부 음이온모듈 29, 30 : 상, 하부 오존셀
31 : 콘트롤부 32a, 32b, 32c, 32d : 버튼
33a, 33b, 33c : 타이머 34a, 34b : 스위치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세탁물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건조실의 배면에 배기용 팬이 설치된 상태도로서, 본 고안은 본체(11)의 전면에 도어(1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본체(11)에 형성된 건조실(13)의 내부에는 세탁물(14)을 걸기 위한 걸고리(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건조실(13)에 설치된 걸고리(15)의 직하방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지 또는 수건을 걸어두는 걸이대(16)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걸이대는 걸고리(15)에 세탁물(14)을 걸어 건조시 일점쇄선과 같이 내측으로 접어공간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고 바지 또는 수건을 건조할 경우에는 상기 걸이대(16)를 수평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스토퍼(17)로 록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7)는 스프링(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인출 가능하도록 탄력 설치하여 걸이대(16)를 지지할 경우에는 상기 걸이대가 상측에 얹혀져 지지되도록 하고 걸이대(16)를 내측으로 접을 경우에는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본체(11)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여 걸이대(16)가 접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건조실(13)의 하부에는 부피가 적은 양말이나, 속옷 등을 담아 건조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바구니(18)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랍식으로 구성하여 바구니(18)를 건조실(13)로부터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11)에 형성된 건조실(13)의 상, 하부는 격벽(19)(20)에 의해 구획된 상, 하부 구동부(21)(22)가 형성되어 있는데, 싱기 상, 하부 구동부에는 고온의 열을 발열하는 상, 하부 발열수단(23)(24), 건조실측으로 열풍을 불어주는 상, 하부 송풍팬(25)(26), 음이온을 발생하는 상, 하부 음이온모듈(27)(28), 오존을 발생하는 상, 하부 오존셀(29)(3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 하부 구동부(21)(22)에 설치된 상, 하부 발열수단(23)(24)과, 상, 하부 송풍팬(25)(26)과, 상, 하부 음이온모듈(27)(28)과, 상, 하부 오존셀(29)(30)은 콘트롤부(31)에 설치된 버튼(32a)(32b)(32c)(32d)의 누름 동작에 의해 일시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하거나 중단하도록 되어 있는데, 각 모드(강력, 자동, 자연풍, 살균)는 타이머(33a)(33b)(33c)에 설정된 시간 동안 상, 하부 발열수단(23)(24) 및상, 하부 송풍팬(25)(26)이 온 또는 오프동작하면서 세탁물(14)을 건조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 하부 음이온모듈(27)(28)과 상, 하부 오존셀(29)(30)은 각 모드시 자동 또는 스위치(34a)(34b)의 조작에 의해 개별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 하부 발열수단(23)(24)은 각각 3개의 히터로 구성되어 각 모드의 설정에 따라 동시에 전원이 온, 오프되거나, 선택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11)의 건조실(13) 배면에 습기 배기공(3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습기 배기공의 일측에는 건조실내의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용 팬(36)이 설치되어 있으며 건조실(13)의 내부에는 건조실내의 세탁물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건조실(13)내의 습도를 센싱하여 셋팅된 시간 내에 설정된 습도에 도달하면 건조기의 구동을 자동으로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습도센서(37)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세탁물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셋팅된 시간이 도달하기 전에 건조가 완전히 이루어졌는데도 건조기가 계속해서 구동하여 열을 가하여 건조된 세탁물이 과도한 열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탈수가 완료된 세탁물(14)을 걸고리(15)에 걸거나, 걸이대(16)를 도 2의 실선과 같이 펼친 상태에서 바지 또는 수건을 걸거나, 바구니(18)에 세탁물을 넣은 다음 강력 건조모드의 버튼(32a)을 누르면 상, 하부 발열수단(23)(24)인 3개의 히터에 동시에 전원이 지속적으로 인가됨과 동시에 상, 하부 송풍팬(25)(26)이구동하게 되므로 발열수단의 발열에 의해 발생된 열풍을 건조실(13)측으로 불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걸고리(15) 또는 걸이대(16)나 바구니(18)에 담겨진 세탁물이 건조되기 시작한다.
계속되는 상, 하부 발열수단(23)(24) 및 상, 하부 송풍팬(25)(26)의 구동으로 설정된 시간동안 세탁물(14)의 건조가 이루어지고 나면 상, 하부 발열수단(23)(24)에 인가되던 전원이 자동으로 오프되는 반면, 상, 하부 송풍팬(25)(26)은 약 3분 정도 지속적으로 구동하여 쿨링(cooling)을 실시하는데, 상기한 동작시 상, 하부 구동부(21)(22)에 설치된 상, 하부 음이온모듈(27)(28)과, 상, 하부 오존셀(29)(30)에 전원이 자동으로 인가되어 동시에 동작하게 되므로 세탁물(14)의 세탁시 발생된 정전기 제거 및 살균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세탁물(14)의 건조가 완료되고 나면 상, 하부 송풍팬(25)(26)과 상, 하부 음이온모듈(27)(28) 그리고 상, 하부 오존셀(29)(30)에 인가되던 전원이 자동으로 오프됨과 동시에 부저 또는 벨과 같은 알림수단이 구동하여 세탁물의 건조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되므로 건조실(13)로부터 건조가 완료된 세탁물을 꺼낼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달리 세탁물의 두께가 비교적 얇은 하절기의 우기에 세탁물을 건조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실(13)내에 세탁물(14)을 넣은 다음 자연풍 건조모드의 버튼(32b)을 눌러주면 된다.
이에 따라, 상, 하부 발열수단(23)(24)의 히터 중 가운데 위치한 히터에만 전원이 인가되는데, 상기 히터는 설정된 시간마다(약 30초 정도) 타이머의 셋팅 시간동안 온, 오프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세탁물을 건조하게 된다.
설정된 시간동안 세탁물(14)을 건조하고 나면 강력 건조모드와 동일하게 쿨링 및 정전기제거 그리고 살균 기능을 완료하고 동작을 멈추게 되므로 건조실(13)로부터 건조가 완료된 세탁물을 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조실(13)내에 세탁물(14)을 넣은 다음 자동 건조모드의 버튼(32c)을 누르면 상, 하부 발열수단(23)(24)인 3개의 히터에 전원이 동시에 인가됨과 함께 상, 하부 송풍팬(25)(26)이 구동하게 되는데, 강력 건조모드와 다른 것은 세탁물(14)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동안 상, 하부 발열수단(23)(24)이 지속적으로 온되는 것이 아니라 자연풍 건조모드와 같이 설정된 주기로 타이머에 셋팅된 시간마다 전원의 인가가 온, 오프되면서 세탁물(14)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자동 건조모드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머에 셋팅된 시간이 경과되고 나면 강력 건조모드 및 자연풍 건조모드와 같이 쿨링 및 정전기제거 그리고 살균 기능을 완료하고 동작을 멈추게 된다.
상기한 각 모드에서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정지 버튼(32d)를 눌러 건조기의 가동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세탁이 완료된 옷을 입고 외출을 한 경우에는 외출을 하는 동안 옷이 잡균에 의해 오염되거나, 정전기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입었던 옷을 그대로 보관하면 다음 외출을 위해 옷을 입을 때 옷에 곰팡이가 발생될 우려가 있음은 물론 정전기가 더욱 심화되어 착용감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외출시 입었던 옷을 걸고리(15)에 건 다음 세탁물 건조(강력, 자연풍, 자동)모드와는 달리 상, 하부 발열수단(23)(24) 및 상, 하부 송풍팬(25)(26)에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스위치(34a)(34b)를 눌러 상, 하부 음이온모듈(27)(28) 그리고 상, 하부 오존셀(29)(30)에만 전원을 일정 시간동안 인가하여 옷에 묻어 있던 균을 살균함과 동시에 정전기를 제거하므로써 옷을 청결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세탁물 건조기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세탁물로부터 탈수가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에서 건조가 진행되므로 세탁물의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건조기의 가동에 따른 에너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건조실의 상, 하부에서 고온의 열풍을 건조실측으로 불어넣어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되므로 건조 효율을 극대화하게 된다.
셋째, 건조기능 외에는 외출시 입었던 옷의 살균 및 정전기 제거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입었던 옷을 청결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넷째, 건조실내에 걸고리가 절첩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바구니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세탁물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세탁물을 최적의 조건에서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건조실의 옷걸이에 세탁물측으로 발열수단에 의해 발열된 열을 송풍팬의 구동으로 불어 건조하는 세탁물 건조기에 있어서,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본체의 상, 하부에 건조실과 별도로 격벽에 의해 구획된 상, 하부 구동부와, 상기 상, 하부 구동부에 설치되어 고온의 열을 발열하는 상, 하부 발열수단과, 상기 발열수단의 상, 하부에 설치되어 건조실측으로 열풍을 불어주는 상, 하부 송풍팬과, 상기 상, 하부 송풍팬의 일측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발생하는 상, 하부 음이온모듈과, 상기 송풍팬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오존을 발생하는 상, 하부 오존셀로 구성되어 건조실의 상, 하부에서 건조실측으로 열풍을 불어 세탁물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세탁물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바지 또는 수건을 걸어두는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시키는 스토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세탁물 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의 하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바구니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세탁물 건조기.
KR2020010034624U 2001-11-10 2001-11-10 다용도 세탁물 건조기 KR200264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624U KR200264752Y1 (ko) 2001-11-10 2001-11-10 다용도 세탁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624U KR200264752Y1 (ko) 2001-11-10 2001-11-10 다용도 세탁물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752Y1 true KR200264752Y1 (ko) 2002-02-20

Family

ID=7308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624U KR200264752Y1 (ko) 2001-11-10 2001-11-10 다용도 세탁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7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101B1 (ko) * 2002-02-08 2005-04-22 주식회사 엘에스글로벌 내의 살균 건조 장치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101B1 (ko) * 2002-02-08 2005-04-22 주식회사 엘에스글로벌 내의 살균 건조 장치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645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S2626653T3 (es) Aparato de tratamiento de ropa
AU2009201757B2 (en)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341086A1 (en) Clothes dryer using led light source
KR20060038796A (ko) 의류건조기 일체형 세탁 장치
CN102733160A (zh) 冷凝式干衣机及其控制方法
CN202671922U (zh) 冷凝式干衣机
KR20080024864A (ko) 가구형상을 갖는 세탁물 처리기
KR100731904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KR100845843B1 (ko) 리프레쉬 장치
KR20110053108A (ko) 빨래 건조기
KR101041905B1 (ko) 건조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용 받침대
KR200264752Y1 (ko) 다용도 세탁물 건조기
KR101041904B1 (ko) 건조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용 받침대
KR100741798B1 (ko) 건조기 일체형 세탁기
KR200179327Y1 (ko) 세탁물 건조 및 다림질장치
KR102249080B1 (ko) 현열 교환형 급속건조 의류관리 장치
KR20110079389A (ko) 가구형상을 갖는 세탁물 처리기
KR10136626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80090743A (ko) 세탁물건조기
KR100809580B1 (ko) 상의 건조기
CN108625091B (zh) 洗涤烘干机
JP2000233099A (ja) 衣類等収納乾燥装置
KR20000071978A (ko) 신발 건조기
CN206204641U (zh) 除湿式干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