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594Y1 - Dishcloth having scrubber - Google Patents

Dishcloth having scrub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594Y1
KR200264594Y1 KR2020010036100U KR20010036100U KR200264594Y1 KR 200264594 Y1 KR200264594 Y1 KR 200264594Y1 KR 2020010036100 U KR2020010036100 U KR 2020010036100U KR 20010036100 U KR20010036100 U KR 20010036100U KR 200264594 Y1 KR200264594 Y1 KR 2002645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ubber
yarn
knitted
loofah
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10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병원
Original Assignee
안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원 filed Critical 안병원
Priority to KR2020010036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59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5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594Y1/en

Link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행주겸용 수세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행주겸용 수세미(20)는, 함수율이 높은 비스코스 레이온사로 이루어진 행주사(22a)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편직된 행주부(22)와, 까칠까칠한 수세미사(24a)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편직된 세척부(24)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행주겸용 수세미(20)는, 경사(31)와 위사(32)가 교차하면서 편직되는 원단에 행주사(22a) 및 수세미사(24a)의 끝단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심어진다. 상기 행주사(22a)와 수세미사(24a)는 각각 일정한 높이만큼 위사(32)와 동일한 방향에서 경사(31)에 걸려 원단에 심어져 행주부(22)와 세척부(24)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행주와 수세미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행주겸용 수세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기대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 towel. Dish-washing scrubb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hcloth 22 is knitted so that the cloth (22a) made of viscose rayon yarn with a high moisture content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the scrubbing scrubber 24a is projected to the outside It consists of a knitted washing part 24. The dish towel 20 constructed as mentioned above is planted so that the ends of the hang yarn 22a and the scrubber 24a ar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fabric which is knitted while the warp 31 and the weft 32 cross. The hanger yarn 22a and the loofah yarn 24a are each hung on the fabric 3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eft yarn 32 by a predetermined height to be planted on the fabric to form the cloth hanger 22 and the washing unit 24. will 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ected to provide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h towel combined scrubber tha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dish towel and scrubber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행주겸용 수세미{Dishcloth having scrubber}Dishcloth having scrubber}

본 고안은 행주겸용 수세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이 용이하고 함수율이 높은 행주부와, 까칠까칠한 세척부가 반복적으로 편직된 행주겸용 세수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ing dishwa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hwashing dishwasher, in which a dishwashing portion which is easy to wash and has a high moisture content, and a rough washing portion are repeatedly knit.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행주와 수세미를 별도로 구비하여 적합한 용도에 각각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행주는, 주방에서 식기류나 싱크대 등에 묻어있는 수분을 제거하거나 식탁의 이물질을 닦아낼 때에 사용되어진다. 그리고, 수세미는, 식기나 부엌용품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때 사용한다. 이와 같이, 부엌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행주와 수세미를 별도로 각각 구비하여 용도별로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In general, the kitchen has a dishcloth and a loofah separately used for each suitable use. For example, dishcloths are used to remove moisture from dishes and sinks in kitchens or to wipe off foreign objects on the table. And a loofah is used when removing a foreign material from the surface of a tableware or kitchen utensil. As such, there is a hassle of having to separately use dishclothes and scrubbers necessary to maintain the cleanliness of the kitchen, and to select and use them according to the use.

이러한 번거러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행주와 수세미를 결합시킨 제품이 고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에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1990-18336호에 의하면, 수세미겸용 행주에 대한 고안이 개재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상기 수세미겸용 행주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세미겸용 행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가-가선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것을 기초하여 종래의 수세미 겸용 행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hassle, products that combine dishcloth and scrubber in various forms have been devised. Among them, according to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0-18336, the design for a loofah scrubber is interposed. 1 and 2 are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ofah scrubber.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loofah combined dish towel,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mporary wire shown in FIG. 1. Based on the illustration,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ventional loofah.

도시한 바에 의하면, 비스코스 재질로 이루어진 2개의 외피(1,2)에 스폰지 등과 같은 쿠션부재(3)를 개재시키고, 주변부에 마감부재(4)를 씌워 재봉 부착하였다. 그리고, 상기 쿠션부재(3)를 내장하고 있는 2개의 외피(1,2)를 상호 부착시키기 위하여 재봉하는 것에 의하여 재봉선(7)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되어진 행주의 외피(1,2)에 수세미부재(6)를 부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세미겸용 행주가 이루어졌다.As shown, two outer shells 1 and 2 made of a viscose material were interposed with cushioning members 3 such as sponges, and the finishing members 4 were sewn on the periphery. In addition, a sewing line 7 is formed by sewing the two outer shells 1 and 2 having the cushion member 3 therein therebetween. A loofah combined dishcloth was made by attaching the loofah member 6 to the outer shells 1 and 2 of the dishcloth prepared as mentioned above.

상술한 바와 같은 수세미겸용 행주는, 상하면을 이루는 외피(1,2)에 형태보존력이 뛰어난 스폰지 등과 같은 쿠션부재(3)를 내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파지력이 미치지 않는 부위는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려는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이로써, 주방용기의 표면과의 접촉면적이 넓게되어 쉽게 이물질이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the above-described scrubbing pads and the like, the internal parts of the upper and lower shells (1, 2) by embedding a cushion member (3) such as a sponge having excellent shape retention ability to maintain the original shape of the site where the holding force of the user does not reach You will have resilience. As a result, the contact area with the surface of the kitchen container is w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or moisture.

그러나, 상술한 수세미겸용 행주를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번거러움이 제기된다. 먼저, 외피에 별도의 쿠션부재를 내장하여 외피의 표면에서 재봉선을 형성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완성된 행주의 외피에 수세미부재를 별도로 부착하여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러움이 존재한다.Howeve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above-mentioned scrubbing brush, the following troubles arise. Firs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a sewing lin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uter shell by embedding a separate cushion member in the outer shell. In addition, there is a work-related hassle to attach the loofah member separately to the outer coat of the finished dishcloth.

또한, 상기 수세미겸용 행주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문제점은, 스폰지 재질로 구성되는 쿠션부재는 함수성이 우수하여 사용자가 사용후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방치하면 행주나 수세미의 틈새에 끼어 있는 이물질에 의하여 부패될 가능성이 있어 비위생적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caused in the process of using the loofah scrubber, the cushion member made of a sponge material is excellent in functionality so that when the user is left without removing the moisture completely after use, it gets stuck in the gap of the loofah or scrubber It is unsanitary due to the possibility of corruption due to foreign matter.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도 위생적이고 세척력이 우수한 행주겸용 수세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dish towel scrubber excellent hygiene and washing power even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도 1은 종래의 수세미겸용 행주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loofah combined dish towel.

도 2는 도 1의 가-가선의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mporary wire of FIG. 1. FIG.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행주겸용 수세미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h towel for loofa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행주겸용 수세미의 일실시예에 의한 편직상태를 보이기 위해 내부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interior to show the knitting st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a dish towel scrub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행주겸용 수세미의 종방향 단면도.Figure 5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h towel for wa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행주겸용 수세미의 행주사가 편직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횡방향 단면도.Figure 5b is a transvers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ger yarn of the combined wash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행주겸용 수세미 22 ..... 행주부20 ..... dish towels 22 ..

22a ..... 행주사 24 ..... 세척부22a ..... washcloth 24 ..... cleaning unit

24a ..... 수세미사 31 ..... 경사24a ..... Scrubber 31 ..... Incline

32 ..... 위사32 ..... weft

본 고안에 의한 행주겸용 수세미는,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사가 표면으로돌출되도록 편직된 행주부와; 까칠까칠한 합성섬유사가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편직된 세척부가 반복적으로 교대되도록 편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h t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h cloth knitted so that the viscose rayon filament yarn protrudes to the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ning part is knitted so that the rough synthetic fiber yarn is projected to the surface is repeatedly alternated.

상기 행주부를 구성하고 있는 비스코스 레이온 필라멘트사는, 환경친화성 천연소재(예를 들면, 목재펄프나 버드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셀룰로오스를 재생한 인조섬유사로, 통풍성이 좋고 정전기가 발생되지 않아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광택이 좋고 염색성이 우수하여 선명한 색상을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이물질이 물에 의하여 쉽게 분리되어 얼룩이 생기지 않는 행주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Viscose rayon filament yarn constituting the cloth is artificial fiber yarn that recycles cellulose contained in environmentally friendly natural materials (for example, wood pulp or willow). It is well known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maintained. In addition, it has a good luster and excellent dyeability and has a characteristic of displaying a vivid color,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hcloth in which foreign matter is easily separated by water so that stains do not occur.

그리고, 상기 세척부를 구성하는 합성섬유사는 웨이브를 가지는 까칠까칠하게 구성되어 주방용기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ynthetic fiber yarn constituting the washing unit is configured to be roughly shaky with a wave to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kitchen vessel.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것을 기초하여 본 고안에 대해 더욱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Nex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행주겸용 수세미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행주겸용 수세미의 편직 상태를 보이기 위하여 내부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함수율이 높은 비스코스 레이온사로 이루어진 행주사(22a)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편직된 행주부(22)와, 까칠까칠한 수세미사(24a)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편직된 세척부(24)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행주겸용 수세미(20)는, 경사(31)와 위사(32)가 교차하면서 편직되는 원단에 행주사(22a) 및 수세미사(24a)의 끝단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심어진다. 상기 행주사(22a)와 수세미사(24a)는 각각 일정한 높이만큼 위사(32)와 동일한 방향에서 경사(31)에 걸려 원단에 심어져 행주부(22)와 세척부(24)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Figure 3 show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dish t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portion of the interior to show the knitting state of the dish t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washing part 24 knitted so that the hanger 22a made of viscose rayon yarn having a high moisture content is projected to the outside, and the washing part 24 knitted so that the rough scrubber 24a protrudes outward. Consists of The dish towel 20 constructed as mentioned above is planted so that the ends of the hang yarn 22a and the scrubber 24a ar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fabric which is knitted while the warp 31 and the weft 32 cross. The hanger yarn 22a and the loofah yarn 24a are each hung on the fabric 3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eft yarn 32 by a predetermined height to be planted on the fabric to form the cloth hanger 22 and the washing unit 24. will be.

상술한 바와 같이 행주부(22)와 세척부(24)를 반복적으로 교대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주방용기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고하고자 할 경우에 행주겸용 수세미(20)에 적당량의 수분을 적시면 행주부(22)에 대부분의 수분이 함유되게 된다. 상기 행주부(22)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과 세제가 적절하게 혼합되는 것에 의하여, 용기의 표면에 묻어있는 기름기는 용해시키거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용기의 표면에서 기름기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은 주로 까칠까칠한 세척부(24)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세척부(24)가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적당량의 수분을 수시로 공급하는 것은 함수율이 높은 행주부(22)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the cloth part 22 and the washing | cleaning part 24 are alternately comprised. As a result, when the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f the kitchen container is desired to be wetted with an appropriate amount of moisture in the dishwashing dishwasher 20, most of the moisture is contained in the dishcloth 22. By properly mixing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dish portion 22 with the detergent, the oily oil on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is dissolved or removed. Removing foreign matters such as oil from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is mainly possible by the rough cleaning part 24, and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from time to time so that the cleaning part 24 effectively removes foreign matters It is made by the towel part 22 with high moisture content.

한편, 상기 세척부(24)의 사이사이에는 부드러운 행주부(22)가 구성되어 있어 용기와 세척부(24)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적은 힘으로도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부(24)에 의하여 분리된 이물질은 행주부(22)의 표면에 붙더라도 비스코스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특성상 세척수에 의하여 쉽게 분리되므로 기름기 등의 이물질이 행주겸용 수세미(20)의 표면에 엉키는 현상없이 청결하게 용기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washing portion 24 is composed of a soft dishcloth 22 is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washing portion 24 can be easily washed with a small force. In addition, even if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by the washing unit 24 is easily separated by the wash water due to the nature of the viscose material, even if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ishcloth 22, foreign matters such as greasy surface of the dishwasher combined scrubber 20 The container can be cleaned cleanly without getting tangled up.

이 뿐만 아니라, 식탁이나 싱크대 등에 말라붙은 이물질을 닦고자 할 경우에도, 까칠까칠한 세척부(24)가 이물질을 분리시키고, 분리된 이물질은 행주부(22)가 닦아내는 것에 의하여 일반적인 행주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척부(24)는 금속세사나 연마재 등을 함유하지 않고 나일론 등과 같은 합성섬유사로 이루어져 용기의 표면이나 식탁, 싱크대 등을 흠집없이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you want to wipe the foreign matter dried on the table or the sink, the rough cleaning unit 24 separates the foreign matter,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by using a general dishcloth by wiping the dish cloth 22. It can be cleaned more effectively than removing debris. The washing part 24 is made of synthetic fiber yarns such as nylon without containing metal sand or abrasives, and can effectiv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without scratching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table, the sink, and the like.

상술한 바와 같이 직조되어 만들어지는 행주겸용 수세미(20)에서 행주사(22a) 및 수세미사(24a)가 경사(31) 및 위사(32) 사이에서 심어져 있는 상태를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서 간단하게 살펴보고자 한다.5A and 5B show a state in which the hanger yarn 22a and the loofah yarn 24a are planted between the warp yarns 31 and the weft yarns 32 in the woven cloth loofah 20 made by weaving as described above. Let's take a quick look at this.

우선, 도 5a는 행주겸용 수세미(20)를 횡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세로줄에 해당하는 경사(31)를 기준으로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교차되는 위사(32)에 의하여 원단의 베이스가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행주겸용 수세미(20)의 베이스에 행주사(22a)나 수세미사(24a)가 위사(32)와 동일한 방향에서 경사(31)에 걸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행주사(22a) 및 수세미사(24a)의 하측(22b,24b)이 경사(31)에 걸려지고, 위쪽과 아래쪽으로 교차되는 위사(32)에 의하여 지지되어 원단의 베이스에 고정되게 된다.First, FIG. 5A partially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ishwashing scrubber 20 is cut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fabric is formed by the wefts 32 intersecting upward or downward based on the inclination 31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line. It can be seen that the base is constructed. At the base of the combined dishwasher 20, the hanger yarn 22a or the scrubber 24a is caught by the warp yarn 3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eft yarn 32. Thus, the lower side 22b, 24b of the row scanning 22a and the scrubbing thread 24a are caught by the inclined 31 and supported by the weft 32 intersecting upward and downward to be fixed to the base of the fabric. do.

그리고, 도 5b에는 행주겸용 수세미(20)를 종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에서 행주사(22a)가 경사(31)에 걸려진 상태를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행주겸용 수세미(20)를 사용할 때, 외부마찰에 의하여 행주사(22a)가 원단의 베이스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경사(31)에 걸쳐 걸려지도록 편직한 것이다.5B is for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hanger 22a was caught by the inclination 31 in the state cut | disconnected the washcloth combined use scrubber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when using the dishwashing scrubber 20, it is knitted to hang over a plurality of inclined 31 to prevent the hangsa 22a from falling out of the base of the fabric by external friction.

상기 행주사(22a)가 다수개의 경사(31)에 걸려 심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수세미사(24a)도 편직시 다수개의 경사(31)에 걸려지도록 심어지는 것은 물론이다.As the row scanning yarn 22a is hung over a plurality of warp yarns 31, the loofah microfiber 24a is also planted to be hung over a plurality of warp yarns 31 during knitt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행주겸용 수세미(20)에 의하면, 행주부(22)와 세척부(24)가 각각 일정한 범위만큼 반복적으로 편직되어 구성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hwashing dishwash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basic technical idea that the dishwashing portion 22 and the washing portion 24 are repeatedly knitted by a predetermined range. have.

그리고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nd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well a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ttached.

예를 들면, 본 고안에서는 정방향의 행주겸용 수세미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그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howing a dish towel in the forward direction, of course,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s.

본 고안에 의하면, 행주와 수세미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행주겸용 수세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기대된다. 그리고, 행주겸용 수세미의 표면에 기름기 등의 이물질이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결하게 용기를 세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행주부에서 적당량의 수분을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세제의 분해를 효과적으로 하여 세제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ected to provide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a dish towel combined scrubber tha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dish towel and scrubber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such as grease on the surface of the dishwashing scrubber can be prevented from tangl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tainer can be washed clean. In addition, by dispens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from the cloth,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integrate the detergent and prevent waste of the detergent.

Claims (3)

행주사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편직된 행주부와, 수세미사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편직된 세척부로 이루어지고,The dishwasher is made of a dishcloth knitte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the washing part knitted so that the loofah is protruded to the outside, 상기 행주부 및 세척부가 교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주겸용 수세미.Combination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hwashing unit and the washing unit is configured alternately. 제 1항 에 있어서, 상기 행주사는 비스코스 레이온사를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주겸용 수세미.The dishwash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hwasher is made of viscose rayon yar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미사는 합성섬유사를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주겸용 수세미.The dishwasher of claim 1, wherein the loofah is made of synthetic fiber yarn.
KR2020010036100U 2001-11-23 2001-11-23 Dishcloth having scrubber KR20026459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100U KR200264594Y1 (en) 2001-11-23 2001-11-23 Dishcloth having scrub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100U KR200264594Y1 (en) 2001-11-23 2001-11-23 Dishcloth having scrub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594Y1 true KR200264594Y1 (en) 2002-02-19

Family

ID=7307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100U KR200264594Y1 (en) 2001-11-23 2001-11-23 Dishcloth having scrub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59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929A (en) * 2015-02-27 2016-09-06 김경만 preventing separation for knitting threa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929A (en) * 2015-02-27 2016-09-06 김경만 preventing separation for knitting thread
KR101672626B1 (en) 2015-02-27 2016-11-03 김경만 preventing separation for knitting thre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9304Y1 (en) Microfiber cleaner mixed with metallic yarn
KR200264594Y1 (en) Dishcloth having scrubber
KR200286205Y1 (en) cloth
JP2022023474A (en) Dishwashing tool
JP2015024105A (en) Sliding washer
KR200426805Y1 (en) A acryl scrubber
KR101399676B1 (en) Members for splash prevention of water of sink
JP2006296541A (en) Washing cloth
KR20170054589A (en) Multi-function cleaner
JPH11164800A (en) Cleaning tool
KR200304453Y1 (en) Structure of a scrubbing brush
KR20190084736A (en) Multi-function double faced scrubber
CN220695219U (en) Convenient dish towel
KR200185901Y1 (en) A scrubber
JPS6342875Y2 (en)
KR910006441Y1 (en) A scrubber
JP3855218B2 (en) Brush with handle
JP3119038U (en) Cleaning tool
RU2690722C1 (en) Sponge, mesh brush with product for washing, cleaning surfaces, care, cleaning and personal hygiene
KR200324667Y1 (en) A Pot Cleaner
KR200449338Y1 (en) Dish towel
KR20180002016U (en) A sponge scrubber
JPH0321723Y2 (en)
JP2003325409A (en) Scrubbing brush with brush
KR200243257Y1 (en) a pot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