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573Y1 -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573Y1
KR200264573Y1 KR2020010034511U KR20010034511U KR200264573Y1 KR 200264573 Y1 KR200264573 Y1 KR 200264573Y1 KR 2020010034511 U KR2020010034511 U KR 2020010034511U KR 20010034511 U KR20010034511 U KR 20010034511U KR 200264573 Y1 KR200264573 Y1 KR 2002645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pport member
glass support
ignition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텍
Priority to KR2020010034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5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573Y1/ko

Links

Landscapes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park Plu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자동으로 폭약을 폭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 단자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글래스지지부재(120)와,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20)의 내측에 유리로 밀봉되어 있는 글래스부재(130)와, 상기 글래스부재(13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전원 단자가 연결되는 점화핀부재(110)와,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20)의 외측에 배설되어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20)를 밀봉하고 있는 폭약케이스부재(150)와, 상기 폭약케이스내측부(152)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서 폭파되는 폭약(140)과, 상기 점화핀부재(110)의 하단부 및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2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도통되도록 연결하는 전원연결부재(16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ELECTRONICAL PLUG APPARATUS FOR USING GLASS SEALING}
본 고안은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폭약을 폭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폭탄 등에 사용되는 점화장치의 구조는 외부에서 충격을 가했을 경우 그 충격력에 의해서 폭약에 충격력이 인가되므로서 폭탄 등이 폭파되도록 형성되었으나, 이러한 폭탄은 사용하기 어려우며 충격력을 인가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은, 폭탄 등에 사용되는 점화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폭약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단자에 신호가 인가되므로서 폭약이 폭발되므로서 간편하게 폭탄등을 폭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 단자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글래스지지부재와, 상기 글래스지지부재의 내측에 유리로 밀봉되어 있는 글래스부재와, 상기 글래스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전원 단자가 연결되는 점화핀부재와, 상기 글래스지지부재의 외측에 배설되어 상기 글래스지지부재를 밀봉하고 있는 폭약케이스부재와, 상기 폭약케이스내측부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서 폭파되는 폭약과, 상기 점화핀부재의 하단부 및 상기 글래스지지부재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도통되도록 연결하는 전원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의 점화핀부재는 핀부재의 재질은 니켈 52중량% 알로이(alloy)합금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코바(Kovar)(코발트 : 29중량%, 니켈 : 17중량%, 철 : 54중량%으로 구성됨.)로 구성되며, 상기 점화핀부재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외측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의 상기 글래스부재의 재질은 소프트 글래스(soft glass) 또는 하드 글래스(hard glass)로 구성되며, 상기 글래스지지부재는 하단부에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되어 있는 단턱부와, 상기 글래스지지부재에 관통되어 있는 내경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글래스부재에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인가되도록 복수개의 점화핀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점화핀부재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도통되도록 하단부에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연결부재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자식점화장치 110 : 점화핀부재
112 : 외측돌출부 116 : 미끄럼방지부
120, 170, 176 : 글래스지지부재
122, 172 : 단턱부 124, 174, 178 : 내경부
130 : 글래스부재 140 : 폭약
150 : 폭약케이스부재 152 : 폭약케이스내측부
160 : 전원연결부재 162 : 용접부
본 고안의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에 대한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에 대한 중앙부의 단면도로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100은 폭탄 등에 사용되는 자동점화장치이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 단자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글래스(glass)지지부재(120)와,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20)의 내측에 글래스(유리)로 밀봉되어 있는 글래스부재(130)와, 상기 글래스부재(13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전원 단자가 연결되는 점화핀부재(110)와,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20)의 외측에 배설되어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20)를 밀봉하고 있는 폭약케이스부재(150)와, 상기 폭약케이스내측부(152)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서 폭파되는 폭약(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점화핀부재(110)는 통상적으로 원통형 또는 사각형 등과 같은 형상의 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재질은 니켈 52중량% 알로이(alloy)합금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코바(Kovar)(코발트 : 29중량%, 니켈 : 17중량%, 철 : 54중량%로 구성됨.)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점화핀부재(110)의 하단부에는 환상형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외측돌출부(112)는 상기 점화핀부재(110)가 상기 글래스부재(130)에 결착되어 있을 경우 외부의 충격 등으로 상기 점화핀부재(110)가 상기 글래스부재(13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걸림작용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글래스부재(130)는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20)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2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점화핀부재(110)와 글래스부재(130)가 절연되도록 하는 것이며, 재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프트글래스(soft glass) 또는 하드 글래스(hard glass)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20)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되어 있는 단턱부(122)와,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20)에 관통되어 있는 내경부(12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20)의 재질은 철 또는 상기에서 언급한 코바소재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점화핀부재(110)의 하단부 및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2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연결부재(160)는 텅스텐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용접 등으로 결착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서 상기 점화핀부재(110) 및 글래스지지부재(120)가 도통되고, 이어서 상기 점화핀부재(110) 및 글래스지지부재(12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연결부재(160)에 전원이 도통되는 동안 상기 전원연결부재(160)와 접촉하고 있는 폭약(140)이 폭발하도록 도화선을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20)의 형상이 하단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글래스부재(130)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글래스지지부재(170)는 중앙부에 상기 글래스부재(130)가 밀봉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내경부(174)와,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70)의 하단부에 단턱지게 돌출되어 있는 단턱부(172)로 구성되어있으며, 재질은 도 1의 실시예에서 기술한 재질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점화핀부재(110)중에서 상기 글래스부재(130)에 밀봉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미끄럼방지부(116)는 상기 점화핀부재(110)가 상기 글래스부재(13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외측돌출부(112)와 차이점은 상기 외측돌출부(112)는 상기 점화핀부재(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인데 비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116)는 외측면에 깔쭈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외측돌출부(112) 및 미끄럼방지부(116)의 길이, 두께 또는 폭은 사용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로서,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나 차이점은 글래스지지부재(176) 내측면에 형성된 글래스부재(130)에 복수개의 점화핀부재(110)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며, 상기 복수개의 점화핀부재(110)에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될 경우 도통하도록 상기 전원연결부재(160)가 상기 복수개의 점화핀부재(110)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점화핀부재(110)의 중간에는 상기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점화핀부재(110)가 상기 글래스부재(130)로부터 분리되거나 빠지지 않도록 외측면으로 돌출된 외측돌출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에 기술한 점화핀부재(110)와 글래스지지부재(120)와 글래스부재(130)의 재질은 사용상태에 따라 서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상기 글래스부재(130)가 소프트 글라스의 재질인 경우에는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20)의 재질은 철을 사용하고, 상기 점화핀부재(110)는 니켈52중량%알로이로 사용하며, 그리고 상기 글래스부재(130)가 하드 글라스인 경우에는 상기 글래스지지부재(120)의 재질은 코바소재를 사용하고, 상기 점화핀부재(110)의 재질도 코바 소재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는 몇가지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는, 상기에 기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상기 점화핀부재(110)의 외측면에 외측돌출부(112) 및 미끄럼방지부(116)의 폭, 두께 또는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며, 갯수도 필요한 경우 복수개 형성할 수 있으며, 게다가 돌출되도록 하지 않고 오목하게 하는 것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는 특히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입력받게 되면 폭약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연결부재에 전원이 인가되므로서 자동으로 폭약을 폭파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여, 별도로 외부의 충격없이도 간편하게 다양한 폭탄 등을 폭파시킬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8)

  1.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 단자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글래스지지부재와, 상기 글래스지지부재의 내측에 유리로 밀봉되어 있는 글래스부재와, 상기 글래스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전원 단자가 연결되는 점화핀부재와, 상기 글래스지지부재의 외측에 배설되어 상기 글래스지지부재를 밀봉하고 있는 폭약케이스부재와, 상기 폭약케이스내측부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서 폭파되는 폭약과, 상기 점화핀부재의 하단부 및 상기 글래스지지부재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도통되도록 연결하는 전원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핀부재의 재질은 니켈 52중량% 알로이(alloy)합금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코바(Kovar)(코발트 : 29중량%, 니켈 : 17중량%, 철 : 54중량%으로 구성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핀부재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외측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부재의 재질은 소프트 글래스(soft glass) 또는 하드 글래스(hard glas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지지부재는 하단부에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되어 있는 단턱부와, 상기 글래스지지부재에 관통되어 있는 내경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지지부재의 재질은 철 또는 코바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지지부재는 중앙부에 상기 글래스부재가 밀봉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내경부와, 상기 글래스지지부재의 하단부 외측에 단턱지게 돌출되어 있는 단턱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부재에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인가되도록 복수개의 점화핀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점화핀부재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도통되도록 하단부에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연결부재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
KR2020010034511U 2001-11-09 2001-11-09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 KR200264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511U KR200264573Y1 (ko) 2001-11-09 2001-11-09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511U KR200264573Y1 (ko) 2001-11-09 2001-11-09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573Y1 true KR200264573Y1 (ko) 2002-02-19

Family

ID=7311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511U KR200264573Y1 (ko) 2001-11-09 2001-11-09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5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743B1 (ko) * 2002-12-07 2005-10-17 주식회사 풍산 전자신관용 신호전송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탄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743B1 (ko) * 2002-12-07 2005-10-17 주식회사 풍산 전자신관용 신호전송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탄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0939A (en) Ignition device for a passive retention system
US3681512A (en) Electrical connector
DE69834939D1 (de) Elektrisches Zündelement
KR100245956B1 (ko) 램프 소켓
ES2193868B1 (es) Conjunto de elementos fusibles para un fusible de gama completa.
KR920008797A (ko) 시간지연 퓨즈 및 그 제조방법
US4789762A (en) Miniature multiplanar acceleration switch
US2929892A (en) Explosive actuated switch
ES2037595A1 (es) Microfusible de gran capacidad de ruptura.
KR200264573Y1 (ko) 글래스 실링을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
JP2002509511A (ja) 起爆システム用コネクター器具
US2490317A (en) Electrical connector
CA2235362A1 (en) Squib connector socket assembly having shorting clip for automotive air bags
US5222899A (en) Electrostatic discharge safety connector for electro-explosive devices
KR950007206A (ko) 쐐기형 전기콘넥터를 전기배분 네트워크의 도선들에 적용하기 위한 공구
US2960933A (en) Detonator
US5626496A (en) Cigarette lighter adapter with flexible diameter
US2722155A (en) Manufacture of electric blasting caps
US3636501A (en) Electrical connector
US4309685A (en) Thermally actuatable electrical switch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50899A (en) Plug for electrical connections.
KR970077778A (ko) 전지용 단자 케이스
US676219A (en) Blasting device.
JP4308146B2 (ja) イグナイタ短絡接点
CA2346221A1 (en) Protection device having a sleeve and method of assembling a battery with a protection device and an electrical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