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446Y1 - 조립식 천막 - Google Patents

조립식 천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446Y1
KR200264446Y1 KR2020010035870U KR20010035870U KR200264446Y1 KR 200264446 Y1 KR200264446 Y1 KR 200264446Y1 KR 2020010035870 U KR2020010035870 U KR 2020010035870U KR 20010035870 U KR20010035870 U KR 20010035870U KR 200264446 Y1 KR200264446 Y1 KR 200264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connector
frame
variable
conn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욱
Original Assignee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5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4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446Y1/ko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천막을 구성하는 천막의 지주들과 지붕골조의 각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들을 개량하여 보다 더 편리하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며, 또 공기의 유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천막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하단 코너연결구(1)들과 하단 직선연결구(2)들을 이용하여 하단골조(3)들과 지주(4)들을 조립하여 조립식 천막을 구성함에 있어서,
지주들(4)의 상부에 상단 가변관체(5c)를 구비한 상단 코너연결구(5)들과 상단 직선연결구(6)들을 조립하고 또 상단골조(7)들을 이중으로 조립하며,
상기의 상단 코너연결구(5)들과 상단 직선연결구(6)들의 가변관체에 지붕골조(8)들을 조립하여 가변관체(9b)(9b')를 구비한 용마루 코너연결구(9)들과, 가변관체(10b)10b')를 구비한 용마루 직선연결구(10)들과, 용마루골조(11)들을 조립하며, 양쪽 지붕골조(8)들 사이에는 지지간(8a')을 보강골조(8a)와 함께 연결구(8b)로 조립하여 아이볼트(16)들로 고정시키고 천막부직포(20)을 씌워서 구성된 것으로 조립식 천막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연결구들이 가변관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골조 및 천막을 조립/해체할 때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상기한 각 부분의 연결구를 구성하는 가변관체의 각도를 오무려서 골조들을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도 천막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방충망을 통해서 공기의 유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쾌적한 천막의 내부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천막{The fabrication tent}
본 고안은 조립식 천막을 구성하는 지주들과 지붕골조 등 각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들을 개량하여 보다 더 편리하고, 간편하게 천막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천막부직포에 방충망을 형성하여 공기의 유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천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립식 천막을 구성하는 지주들과 지붕골조의 각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의 구조를 살펴보면, 연결구를 구성하는 관체들이 일정한 각도에 고정되도록 용접하였기 때문에 천막을 설치하기 위하여 지주들과 지붕골조들을 연결구의 관체에 조립할 때나 해체할 때 매우 불편하였다.
상기와 같이 조립 또는 해체할 때 불편한 이유는 연결구를 구성하는 관체들이 일정한 각도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관체에 조립되는 지주들과 지붕골조들도 큰 각도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렇게 지주들과 지붕골조들이 큰 각도로 벌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면 이동할 때 반경이 매우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없고, 또 관체에 지주들과 지붕골조를 조립 또는 해체할 때에도 작업반경이 크게 형성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 천막을 조립 또는 해체할 때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천막의 크기와 지붕의 각도에 따라 연결구를 구성하는 관체의 고정각도가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천막의 크기와 지붕의 각도에 알맞은 연결구를 맞춤형태로 제작/공급하였다.
상기와 같이 맞춤형태의 연결구를 제작/공급하면 연결구를 생산할 때 관체를 고정시키는 각도에 많은 신경을 써야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저조하여 원가가 상승될 수 밖에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조립/해체할 때 불편한 천막을 고가로 구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천막을 해체한 후 부품들을 보관함에 있어서 연결구를 구성하는 관체가 일정한 각도로 벌려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커지게 되어 운반 및 보관할 때 용이하지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주들과 지붕골조들을 조립하는 각 연결구의 관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지주들과 지붕골조들을 보다 간편하게 조립/해체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천막의 크기와 지붕골조의 설치각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원만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천막을 제공하는데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도 1은 부분상세도를 포함한 천막골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단 코너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용마루 코너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상단 코너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상단 직선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용마루 코너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7은 용마루 직선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조립식 천막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단 코너연결구 2: 하단 직선연결구
3: 하단골조 4: 지주
5: 상단 코너연결구 6: 상단 직선연결구
7: 상단골조 8: 지붕골조
9: 용마루 코너연결구 10: 용마루 직선연결구
11: 용마루골조 12: 지지골조
13: 14: 15: 수직관체 16: 아이볼트
17: 축볼트 18: 19: 고정관
본 고안의 조립식 천막에 관한 바람직한 구성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조립식 천막의 전체적 골조와 부분상세도를 보인 것으로서, 하단 코너연결구(1)들과 하단 직선연결구(2)들을 이용하여 하단골조(3)들과 지주(4)들을조립하고, 지주들(4)의 상측에는 상단 코너연결구(5)들과 상단 직선연결구(6)들을 조립하여 상단 코너연결구(5)들과 상단 직선연결구(6)들을 구성하는 수평관체(5a)(5a')과 고정편(5b)(6b)을 이용하여 상단골조(7)들을 이중으로 조립하였다.
상기의 상단 코너연결구(5)들과 상단 직선연결구(6)들에는 지붕골조(8)들의 하측을 조립하고, 지붕골조(8)들의 상측에는 용마루 코너연결구(9)들과, 용마루 직선연결구(10)들을 조립하며, 또 용마루 직선연결구(10)에는 수평으로 용마루골조(11)들을 조립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지붕골조(8)들 사이에는 지지간(8a')을 보강골조(8a)와 함께 연결구(8b)로 조립하였고, 상기의 용마루 코너연결구(9)들과, 용마루 직선연결구(10)들의 상측으로 형성된 고정관(18)(19)에는 천막의 후라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골조(12)를 조립하였으며, 상기의 모든 골조와 각 연결구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아이볼트(16)를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천막의 골조들을 연결하는 각 연결구들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하단 코너연결구(1)는 직각으로 된 수평관체(1a)와, 수직으로 된 수직관체(1b)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 직선연결구(2)는 직선으로 된 수평관체(2a)와, 수직으로 된 수직관체(2b)가 형성되어 있다.
상단 코너연결구(5)는 도 2,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관체(13)에 직각으로 된 수평관체(5a)(5a')와 고정편(5b)들을 일체로 형성하고, 가변관체(5c)는 각도를자유롭게 변환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연결편(5')을 형성하여 수평관체(5a)에 축볼트(17)로 결합하였다.
상단 직선연결구(6)는 도 5에서와 같이 수직관체(14)에 수평관체(6a)(6a')와 좌, 우, 중간에 고정편(6b)을 형성하고, 수평관체(6a)(6a') 사이에는 가변관체(6c)에 구비된 연결편(6c')을 축볼트(17)로 결합하였다.
용마루 코너연결구(9)는 도 3,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관체(15)의 지지편(15')에는 지지골조 결합용 고정관(18)을 구비한 수평관체(9a)를 고정하고, 또 지지편(15')에는 연결편(9')(9")을 구비한 두 개의 가변관체(9b)(9b')를 축볼트(17)로 설치하여 각도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용마루 직선연결구(1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골조 결합용 고정관(19)을 구비한 수평관체(10a)에 연결편(10'(10")을 구비한 두 개의 가변관체(10b)(10b')를 축볼트(17)로 설치하여 각도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립식 천막의 골조에 씌우는 천막부직포(20)의 지붕(21) 양쪽과 벽체(22)에는 통풍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방충망(23)(23')을 형성하였고, 벽체(22)의 방충망(23')에는 가리게(24)의 상단을 고정하고 하단에는 매직테이프(25)를 구비하여 가리게(24)의 하단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도8참조)
도면의 미설명 부호 40은 천막고정용 끈 41은 천막의 후라이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식 천막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조립식 천막의 전체적인 골조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하고 천막부직포(20)를 씌워 천막을 설치하는데 조립의 우선 순위는 중요하지 않으며, 하단 코너연결구(1)들과 하단 직선연결구(2)들을 이용하여 하단골조(3)들과 지주(4)들을 조립하여 천막 골조를 구성하는 벽체(22)의 골조를 마련하고 그 위에 지붕을 조립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벽체(22)를 구성하는 지주들(4)의 상부에 상단 코너연결구(5)들과 상단 직선연결구(6)들을 조립하고 또 수평 위치에 있는 고정편(5b)(6b) 및 수평관체(5a)(5a')에 상단골조(7)들을 이중으로 조립하여 아이볼트(17)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단 코너연결구(5)들과 상단 직선연결구(6)들에는 지붕골조(8)들의 하측을 조립하고 지붕골조(8)들의 상측에는 용마루 코너연결구(9)들과, 용마루 직선연결구(10)들과, 용마루골조(11)들을 조립하고, 또 지붕골조(8)들 사이에는 보강골조(8a)를 연결구(8b)로 조립하며, 또한 용마루 코너연결구(9)들과, 용마루 직선연결구(10)들에 구비된 고정관(18)(19)에 지지골조(12)를 결합하고 아이볼트(16)로 고정하여 천막의 골조를 완성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할 때 상단 코너연결구(5)를 구성하는 가변관체(5c)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환시킬 수 있고 또 상단 직선연결구(6)를 구성하는 가변관체(6c)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용마루 코너연결구(9)를 구성하는 가변관체(9b)(9b')와, 용마루 직선연결구(10)를 구성하는 두 개의 가변관체(10b)(10b')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지붕골조(8)들을 서로 조립할 때 가변관체들을 최소의 각도로 오무려서 조립할 수 있고 최종에는 요구하는 각도로 벌려서 조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조립식 천막의 골조에 천막부직포(20)를 씌우고 천막고정끈(40)으로 고정시키며, 우천시 또는 추울때에는 천막용 후라이(41)를 지지골조(12)의 외부로 씌운다.
상기와 같은 조립식 천막은 지붕(21) 양쪽과 벽체(22)에 방충망(23)(23')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필요할 때 항상 신선한 공기를 신속하게 순환시킬 수 있고 또 가리게(2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리게를 펼쳐서 하단에 있는 매직테이프(25)로 고정하면 외부공기를 차단할 수도 있는 것이며, 우천시 또는 추울때에는 천막용 후라이(41)를 씌우더라도 지지골조(12)에 의해서 천막부직포(20)와 천막용 후라이(4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의 유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조립식 천막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연결구들이 가변관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골조 및 천막을 조립/해체할 때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상기한 각 부분의 연결구를 구성하는 가변관체의 각도를 오무려서 골조들을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도 천막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방충망을 통해서 공기의 유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쾌적한 천막의 내부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하단 코너연결구(1)들과 하단 직선연결구(2)들을 이용하여 하단골조(3)들과 지주(4)들을 조립하여 조립식 천막을 구성함에 있어서,
    지주들(4)의 상부에 상단 코너연결구(5)들과 상단 직선연결구(6)들을 조립하여 상단골조(7)들을 이중으로 조립하며,
    상기의 상단 코너연결구(5)들과 상단 직선연결구(6)들의 가변관체(5c)6c)에 지붕골조(8)들의 하측을 조립하고, 지붕골조(8)들의 상측에 가변관체(9b)(9b')를 구비한 용마루 코너연결구(9)들과, 가변관체(10b)10b')를 구비한 용마루 직선연결구(10)들과, 용마루골조(11)들을 조립하며,
    지붕골조(8)들 사이에는 지지간(8a')을 보강골조(8a)와 함께 연결구(8b)로 조립하여 아이볼트(16)들로 고정시키고, 천막부직포(20)을 씌워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막.
  2. 제 1항에 있어서, 용마루 코너연결구(9)들과, 용마루 직선연결구(10)들에 고정관(18)(19)을 형성하고 용마루골조(11)를 조립하여 천막의 후라이를 씌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막.
  3. 제 1항에 있어서, 상단 코너연결구(5)는 수직관체(13)에 직각으로 된 수평관체(5a)(5a')와 고정편(5b)들을 일체로 형성하고 가변관체(5c)는 각도를 자유롭게변환할 수 있도록 일측에 연결편(5')을 형성하여 수평관체(5a)에 축볼트(17)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막.
  4. 제 1항에 있어서, 상단 직선연결구(6)는 수직관체(14)에 수평관체(6a)(6a')와 좌, 우, 중간에 고정편(6b)을 형성하고, 수평관체(6a)(6a') 사이에 가변관체(6c)에 구비된 연결편(6c')을 축볼트(17)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막.
  5. 제 1항에 있어서, 용마루 코너연결구(9)는 수직관체(15)에 고정관(18)을 구비한 수평관체(9a)를 고정하고 수직관체(15)에 지지편(15')을 결합하여 연결편(9')(9")을 구비한 두 개의 가변관체(9b)(9b')를 축볼트(17)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막.
  6. 제 1항에 있어서, 용마루 직선연결구(10)는 수평관체(10a)와 연결편(10'(10")을 구비한 두 개의 가변관체(10b)(10b')를 축볼트(17)로 결합하고 수평관체(10a)에 고정관(1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막.
  7. 제 1항에 있어서, 조립식 천막의 골조에 씌우는 천막부직포(20)의 지붕(21) 양쪽과 벽체(22)에 방충망(23)(2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막.
  8. 제 7항에 있어서, 벽체(22)의 방충망(23)에는 가리게(24)의 상단을 고정하고 하단에는 매직테이프(2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막.
KR2020010035870U 2001-11-21 2001-11-21 조립식 천막 KR200264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870U KR200264446Y1 (ko) 2001-11-21 2001-11-21 조립식 천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870U KR200264446Y1 (ko) 2001-11-21 2001-11-21 조립식 천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446Y1 true KR200264446Y1 (ko) 2002-02-19

Family

ID=73112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870U KR200264446Y1 (ko) 2001-11-21 2001-11-21 조립식 천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4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118B1 (ko) * 2015-10-23 2017-05-24 주식회사 정상이엔지 장력 및 하중 감지 천막 구조물
KR20180092154A (ko) * 2017-02-08 2018-08-17 김중협 고정력과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간이 구조물용 프레임 연결구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118B1 (ko) * 2015-10-23 2017-05-24 주식회사 정상이엔지 장력 및 하중 감지 천막 구조물
KR20180092154A (ko) * 2017-02-08 2018-08-17 김중협 고정력과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간이 구조물용 프레임 연결구 구조
KR101960587B1 (ko) * 2017-02-08 2019-03-20 김중협 고정력과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간이 구조물용 프레임 연결구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6020B1 (en) Collapsible canopy framework and structure with articulating scissor assemblies
US9140030B2 (en) Foldable tent
US10494832B2 (en) Removably mountable roof frame for use with an expandable canopy
US6374843B1 (en) Support structure for collapsible shelter
US11639613B2 (en) Portable room with ceiling pockets
US9181723B2 (en) Tent frame coupler assembly
JPH11152940A (ja) 簡易ハウス用骨組
US11674329B2 (en) Portable containment room
US20190330876A1 (en) Portable room
KR200264446Y1 (ko) 조립식 천막
KR102087159B1 (ko) 조립형 텐트
KR100838783B1 (ko) 절첩식 대형 텐트
KR101090348B1 (ko) 천막의 절첩식 프레임
KR102566348B1 (ko) 조립식 자바라 텐트
CN112854580A (zh) 一种顶棚伸缩结构
JP2002138713A (ja) 組み立て式テントと組み立て式テントの組み立て方法
KR101153274B1 (ko) 접철식 천막
CN111042638A (zh) 一种便于搭建和拆装的帐篷
CN219034270U (zh) 折叠组合一体式露营帐篷
KR102574424B1 (ko) 확장 가능한 텐트
CN215347962U (zh) 一种户外折叠床
CN212376406U (zh) 一种便于搭建和拆装的帐篷
CN219365616U (zh) 一种便于拆卸的帐篷
CN213654420U (zh) 双顶篷房的篷房支架和双顶篷房
RU2769238C1 (ru) Дом-палат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