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356Y1 - 배수 이음관 일체형 밸브 유니트 - Google Patents
배수 이음관 일체형 밸브 유니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64356Y1 KR200264356Y1 KR2020010033891U KR20010033891U KR200264356Y1 KR 200264356 Y1 KR200264356 Y1 KR 200264356Y1 KR 2020010033891 U KR2020010033891 U KR 2020010033891U KR 20010033891 U KR20010033891 U KR 20010033891U KR 200264356 Y1 KR200264356 Y1 KR 20026435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valve
- flow
- inlet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나 연수기 등의 장치(이하 연수기라 통칭 함)에 적용되어 유체 흐름의 방향을 직각으로 변경함과 동시에 유체의 량이나 속도 등을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앵글밸브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밸브 몸체의 일측에 직각 엘보형 배수 이음관을 단일체로 결합 구비시킨 것으로써 연수기에서 배수되는 유체 연결관의 배선을 단정하게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배수되는 유체의 흐름을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밸브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위치에서 배수 유체의 흐름상황을 확인, 조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수, 유지관리에 만전을 기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정수기나 연수기 등에 적용되어 유체 흐름의 방향을 직각으로 변경함과 동시에 유체의 량이나 속도 등을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앵글밸브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밸브 몸체의 일측에 직각 엘보형 배수 이음관을 단일체로 결합 구비시킨 것으로써 연수기에서 배수되는 유체 연결관의 배선을 단정하게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배수되는 유체의 흐름을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밸브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위치에서 배수 유체의 흐름상황을 확인, 조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수, 유지관리에 만전을 기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앵글 밸브는 관로(管路)의 도중이나 용기에 설치하여, 유체의 유량·압력 등의 제어를 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유체의 흐름을 직각으로 변경하는 데 주로 이용되는 것이며,
또한 이음관은 관(管)을 이어 맞추는 데 사용하는 장치로서, 관의 종류·크기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型)이 있으며,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이음에는 직각으로 접속하는 엘보(elbow), T형으로 접속하는 티, Y형으로 접속하는 90° Y, 십자형으로 접속하는 크로스, U형으로 접속하는 귀환 벤드(return bend) 등이 있으며, 관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는 곳에는 마개 이음(socket and spigot joint)이 사용된다. 관의 지름이 큰 곳에는 플랜지 이음이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연수기나 정수기에는 원수를 유입시킴에 있어 유체의 유입량 제어나 원수의 선택적인 유입 차단을 위해 개폐밸브를 적용하고 있으며, 또한 해당 연수기에서 처리한 배출 용수를 차기 공정 또는 다수의 용도 처로 이송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배수 이음관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수기나 정수기는 각기 개별적으로 구성된 밸브 및 배수 이음관을 적용하는 관계로 연수기에 적용되는 배출수의 연결관을 배선함에 있어 대부분 보수,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위해 사용자의 손길이 용이하게 접할 수 있는 위치로 배선하지 않고 직접 차기의 공정으로 배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배수되는 유체 연결관의 배선상태가 복잡하게 되어 시공상의 불편함이 초래되는 것이며,
특히 이음관의 위치가 사용자의 관찰과 손길이 닿기 어렵게 은폐되는 상태인 경우는 배수되는 유체가 차기공정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손쉽게 확인하기 어려워 문제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하기 어려우며 이음관의 결속부위 등에서 문제가 발생되면 이를 수리 보수하는 과정에 많은 시간과 인력의 소모가 초래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구성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연수기에서 배수되는 유체 연결관의 배선을 단정하게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배수되는 유체의 흐름을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밸브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위치에서 배수 유체의 흐름상황을 확인, 조처하는 것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보수, 유지관리에 만전을 기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과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앵글밸브의 몸체 일측에 직각 엘보형 배수 이음관을 단일체로 결합 구비시킨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연수기에 적용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밸브를 개방한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4는 밸브를 폐쇄한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밸브의 형상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체 1A : 입구
1B : 배출구 2 : 밸브체
2A : 제 1유통공 2B : 제 2유통공
3 : 손잡이 4 : 연결부재
5 : 직각형 엘보 이음관 5A : 배수 유입구
5B : 배수 배출구
몸체(1)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1A)와 직각 상태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B)를 구비하며 상기 입구(1A)와 배출구(1B)의 연결부에는 제 1유통공(2A) 및 상기 제 1유통공(1A)의 내부와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 2유통공(2B)을 구비하는 밸브체(2)를 연결부재(4)를 통해 몸체(1)의 외부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는 손잡이(3)와 일체로 연결 구성하는 앵글밸브(V)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일측부에 단일체로 결합 성형되며, 상호 직각으로 연결되는 배수 유입구(5A)와 배수 배출구(5B)를 갖는 직각형 엘보 이음관(5)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6)은 밸브체와 접하는 한 쌍의 고정변이고, (7)는 연수기이며,
(8)은 연결관이며, (9)는 차후 공정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에서와 같이 몸체(1)의 입구(1A)에는 원수를 연결하고 몸체(1)의 배출구(1B)와 엘보 이음관(5)의 배수 유입구(5A)는 각각 연결관(8)을 통해 공지의 연수기(7)에 연결하며, 엘보 이음관(5)의 배수 배출구(5B)는 연결관(8)을 통해 차기의 공정(9)으로 연결시킨다.
또한 한 쌍의 고정변(6)은 밸브체(2)와 접하는 상태로 대향되게 고정 설치한다.
한편 도 3은 밸브체(2)를 개방시켜 입구(1A)와 배출구(1B)의 통로를 개방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상기 몸체(1)의 입구(1A)는 제 1유통공(2A)과 연결되고 배출구(1B)는 제 2유통공(2B)과 연결되어 유입된 원수가 입구(1A)와 제 1,2 유통공(2A)(2B) 및 배출구(1B)를 통해 연수기(7)로 유입되는 것이며, 연수기(7)에서 유입된 원수는 연화 처리된 물은 엘보 이음관(5)의 배수 유입구(5A)와 배수 배출구(5B)를 거쳐 차기의 공정으로 이송된다.
한편 도 4는 밸브체(2)를 폐쇄시켜 몸체(1)의 입구(1A)와 배출구(1B)의 통로를 막아주고 있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상기 밸브체(2)의 제 1유통공(2A)이 몸체(1)의 배출구(2B)와 연결되는 상태로 직각 회동되는 관계로 제 2유통공(2B)의 대향 측에 위치된 육부(肉部)가 입구(1A)측을 막게되어 상기 몸체(1)의 입구(1A)는 배출구(1B)와 단락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입구(1A)에서 유입되는 유체는 배출구(1B)로 이송, 배출될 수 없게 되어 연수기(7)로의 이송 공급이 불가능하게 되며 단지 연수기(7) 자체에서 임의의 잔여 폐배출수 등을 엘보 이음관(5)의 배수 유입구(5A)와 배수 배출구(5B)를 통해 배출하는 것은 가능하다.
상기의 본 고안은 연수기에의 앵글밸브(V)의 적용이 용이하고 배수되는 유체의 흐름을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밸브로 유도할 수 있어 배수 유체의 흐름상황을 확인, 조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앵글밸브 유니트에 단일체로 직각형 엘보 이음관을 적용 형성함으로써 기존에서와 같이 앵글밸브 유니트와 엘보 이음관을 개별적으로 준비, 적용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해결되어 밸브 적용이 용이하고, 연수기에서 배수되는 유체 연결관의 배선을 단정하게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배수되는 유체의 흐름을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밸브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위치에서 배수 유체의 흐름상황을 확인, 조처하는 것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보수, 유지관리에 만전을 기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과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 몸체(1)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1A)와 직각 상태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B)를 구비하며 상기 입구(1A)와 배출구(1B)의 연결부에는 제 1유통공(2A) 및 상기 제 1유통공(1A)의 내부와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 2유통공(2B)을 구비하는 밸브체(2)를 연결부재(4)를 통해 몸체(1)의 외부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는 손잡이(3)와 일체로 연결 구성하는 앵글밸브(V)에 있어서;상기 몸체(1)의 일측부에 단일체로 결합 성형되며, 상호 직각으로 연결되는 배수 유입구(5A)와 배수 배출구(5B)를 갖는 직각형 엘보 이음관(5)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이음관 일체형 밸브 유니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3891U KR200264356Y1 (ko) | 2001-11-01 | 2001-11-01 | 배수 이음관 일체형 밸브 유니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3891U KR200264356Y1 (ko) | 2001-11-01 | 2001-11-01 | 배수 이음관 일체형 밸브 유니트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04950A Division KR100457799B1 (ko) | 2002-01-25 | 2002-01-25 | 배수 이음관 일체형 밸브 유니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64356Y1 true KR200264356Y1 (ko) | 2002-02-16 |
Family
ID=73111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3891U KR200264356Y1 (ko) | 2001-11-01 | 2001-11-01 | 배수 이음관 일체형 밸브 유니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64356Y1 (ko) |
-
2001
- 2001-11-01 KR KR2020010033891U patent/KR20026435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81596B2 (en) | Isolation valve with valve in drain | |
US6347644B1 (en) | Bypass valve for water treatment system | |
WO2007078346A3 (en) | Faucet spout with water isolating couplings | |
US6966328B2 (en) | Fluid diversion apparatus | |
DE59604868D1 (de) | Doppel-Sicherheitsmagnetventil | |
US6357477B1 (en) | Bypass assembly incorporating double street t-fitt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US7448405B2 (en) | Multiple valve drain and pipe-cleaning device | |
WO2007076225A2 (en) | Bypass valve with blending feature | |
KR100457799B1 (ko) | 배수 이음관 일체형 밸브 유니트 | |
US5738135A (en) | Dispensing apparatus with line pressure diverter | |
US599660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n-line valve-controllable outlet | |
KR200264356Y1 (ko) | 배수 이음관 일체형 밸브 유니트 | |
ATE550584T1 (de) | Abgabevorrichtung für ein wasserabgabegerät und wasserabgabegerät mit einer abgabevorrichtung | |
WO2007146667A3 (en) | Faucet spout and diverter valve | |
CN201834772U (zh) | 净水器用水龙头 | |
JP2003130469A5 (ko) | ||
KR200264357Y1 (ko) |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 |
JP4583586B2 (ja) | 分岐接続具 | |
WO2002081978A8 (en) | Device for a hot water tank of the pressure heater type and a fitting for a hot water tank of the pressure heater type | |
KR200264361Y1 (ko) |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 |
JP7444443B2 (ja) | 配管ユニットおよびメータユニット | |
CN105293601B (zh) | 一种水处理设施运行的自由控制方法 | |
US20100186779A1 (en) | control apparatus for a washing station | |
KR20020024150A (ko) |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 |
CN109404566A (zh) | 一种排水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114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