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806Y1 - 과수원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과수원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806Y1
KR200263806Y1 KR2020010034286U KR20010034286U KR200263806Y1 KR 200263806 Y1 KR200263806 Y1 KR 200263806Y1 KR 2020010034286 U KR2020010034286 U KR 2020010034286U KR 20010034286 U KR20010034286 U KR 20010034286U KR 200263806 Y1 KR200263806 Y1 KR 200263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support plate
tube
fixing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환
Original Assignee
김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환 filed Critical 김병환
Priority to KR2020010034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8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806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수원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조를 일부 달리하여 금속재로된 지지판의 상부면에 열십자 형태로 강선이 지지되어 상기 강선이 강선 고정볼트 및 강선 고정너트에 의해 지지판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강선을 고정하고 있는 강선 고정볼트의 상단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강선의 상단보다는 높지 않도록 함에 따라 강선 고정후 보호망을 설치할 때 상기 보호망이 강선 고정볼트에 걸리는 일이 없도록 하고, 상기 원판상의 금속재로 된 지지판의 바깥둘레부분을 하향되게 안쪽으로 말아 상기 바깥둘레가 부드러우면서 매끄럽게 라운드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에 따라 강선 고정 후 보호망을 설치할 때 상기 보호망이 지지판에 걸려 끊어지거나 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끼움관(102)의 상단에 고정된 지지판(17)중 강선이 고정될 부위에 강선의 직경만큼한 깊이로 요입부(113)를 형성하여 강선 고정볼트(109) 및 강선 고정너트(110)에 의한 강선의 지지판(17) 고정이 상기 요입부(113)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지지판(17)의 바깥둘레부분을 하향되게 안쪽으로 말아 그 외측둘레부분이 부드러우면서 매끄럽게 라운드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수원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fixture of steel wire for supporting protective netting from fruit farm}
본 고안은 과수원의 과수에 열리는 과일을 각종 조류로 부터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보호망을 지지하기 위한 강선의 고정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구조를 달리하여 강선의 고정작업이 편리하면도 그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함께 강선의 고정후 보호망을 설치할 때 그 설치작업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과수원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의 과수원에 있어서는 옛날의 과수원과는 달리 과일이 열리는 과수(果樹)를 밀식(密植)하여 낮게 키우고 있는데, 이는 과수가 햇볕을 많이 받게하여 착과율이 높아지도록 하고, 착과 후에는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게하여 낙과가 방지되도록 하며, 과수의 가지유인과 가지치기 및 과일수확 등과 같은 여러가지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에서 과수를 낮게 키우기 위해서는 과수의 가지가 가급적 수직상태로 크지 않고 수평상태로 크도록 상기 가지를 수평되게 유인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과수원에서는 별도의 가지 유인선을 바둑판 형태가 되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하여 과수의 가지를 상기 가지 유인선에 붙잡아 매달고 있음이 보편적이다.
한편 과수원의 과수에 열린 과일이 수확기에 접어들게 되면 까치와 같은 조류가 상기 과수원으로 찾아들어 과일을 쪼아먹게 되고, 이에 따라 과일이 수확되기도 전에 부폐되거나 상품가치를 잃게되는 문제점이 과수원을 경영하는 사람으로서는 가장 큰 걱정거리로 대두되었고, 이를 해결하고자 과수원에서는 과수 위로 보호망을 설치하여 각종 조류의 침입을 막고 있는데, 상기 보호망은 강선 고정장치에 의해 바둑판 형태로 고정된 강선(1)으로 인해 그 처짐이 방지된 상태로 설치되고 있다.
그럼 여기서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 출원인은 과수원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를 실용신안으로 출원(출원번호 제2000-20365호)하여 등록(등록번호 제206864호)받은 사실이 있는데, 이는 실제로 강선(1)이 고정되는 지지판이 프라스틱 소재로서 사출 성형되어있으므로 여러가지 장점도 있지만 재료비의 부담으로 인해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단점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단점을 해결하고자 일부 과수재배 농가에서는 지지판이 금속재로 된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가 상당히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럼 여기서 지지판이 금속재로 된 종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관(11)이 수직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관의 상단에는 지지관(11)의 외측둘레면을 감싼상태로 금속재로 된 끼움관(12)의 하부분이 끼워지며, 상기 지지관(11)의 끼움관(12) 끼움부분에는 수평상태로 연통되게 지지관 통공(13)이 형성됨과 함께 끼움관(12)에는 지지관 통공(13)과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연통되게 끼움관 통공(14)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관(11)에 끼워진 끼움관(12)은 지지관 통공(13)과 끼움관 통공(14)을 연속적으로 통해 수평상태로 끼워진 끼움관 고정볼트(15) 및 상기 끼움관 고정볼트에 나사조임된 끼움관 고정너트(16)에 의해 지지관(11)과 고정되며, 상기 끼움관(12)의 상단에는 보호망을 지지하기 위한 강선(1)을 열십자(+) 형태로 지지하도록 금속재로 된 원형판상의 지지판(17)이 용접에 의해 수평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중 바깥둘레와 가까운 가장자리 부분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열십자(+) 상태를 이루도록 2개가 한조를 이룬상태로 4조의 수직통공(18)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7)에 지지된 강선은 ∩형태로 절곡되어 각 조의 수직통공(18)에 끼워진 강선 고정볼트(19) 및 상기 강선 고정볼트에 나사조임된 강선 고정너트(20)에 의해 지지판(17)에 고정되며, 상기 끼움관(12)중지지관(11)에 끼워진 부분 보다 윗부분인 상부분에는 상,하로 엇갈린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연통되게 강선 통과공(21)이 형성되고, 상기 각 강선 통과공에는 가지유인선을 끼움관(12)에 붙잡아 매달도록 하기 위한 보조 강선(22)이 끼워진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에 의해 강선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그 이전에 상기 강선 고정장치를 과수원의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 선행과정을 거쳐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그럼 먼저 과수원의 지면에 강선 고정장치를 고정 설치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과수원에 심어진 과수 사이의 지면에 지지관(11)의 하단을 고정하여 수직상태로 세운 다음 상기 지지관의 상단이 감싸여지도록 끼움관(12)을 끼우는데, 이때 상기 끼움관에 형성된 끼움관 통공(14)이 지지관(11)에 형성된 지지관 통공(13)과 수평상태로 일치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지지관(11)에 형성된 지지관 통공(13)과 끼움관(12)에 형성된 끼움관 통공(14)을 연속적으로 통해 끼움관 고정볼트(15)를 수평상태로 끼운 다음 상기 끼움관 고정볼트에 끼움관 고정너트(16)를 나사조임하면 끼움관(12)이 지지관(11)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관에 고정된 끼움관(12)에는 그 상단에 강선을 열십자(+) 형태로 지지하도록 금속재로 된 원판상의 지지판(17)이 용접에 의해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결국 상기 지지판이 고정상태가 되면서 종래 보호망의 강선 고정장치가 과수원의 지면에 설치 완료된다.
이와 같이하여 각각의 과수 사이마다 종래 장치가 고정 설치되고 나면, 상기 종래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지지판(17) 위에 강선을 열십자 형태로 올려 지지시킨 다음 양단에서 잡아당겨서 팽팽하게 한 후 상기 강선을 지지판(17)에 고정시키면 된다.
즉, 강선을 지지판(17) 위로 열십자가 되게 올려 지지시킨 다음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4조(2개가 한조임)의 수직통공(18)을 통해 ∩자 형태로 절곡된 강선 고정볼트(19)를 수직상태로 끼워 상기 강선 고정볼트가 강선의 일부를 각각 네군데에서 감싸면서 클립상태로 잡아주도록 하고, 계속해서 상기 지지판(17)의 아래쪽에서 각 강선 고정볼트(19)에 강선 고정너트(20)를 나사조임하면 상기 각 강선 고정볼트(19)가 하방으로 가압되므로 열십자형태의 강선은 상기 강선 고정볼트(19) 및 강선 고정너트(20)로 인하여 지지판(17)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끼움관(12)중 지지관(11)에 끼움진 부분보다 윗쪽인 상부분에 서로 엇갈린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강선 통과공(21)으로 보조 강선(22)을 끼워 넣은 다음 상기 보조 강선의 양단을 잡아당겨 팽팽하게 한 다음 그 양단을 가지유인선에 연결시키면 결국 상기 가지유인선이 지지관(11)에 연결되어지므로 과수의 가지가 과일의 무게에 의해 처짐이 일어날려도 하더라도 상기 보조 강선(22)이 이를 잡아주게 된다.
한편, 과수원의 지면에 고정 설치된 각각의 종래 강선 고정장치에 의해 강선이 고정되면 상기 강선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 5와 같이 바둑판 모양을 이루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바둑판 모양의 강선(1) 위로 그물형태의 보호망을 올려 놓은 다음 상기 보호망의 군데 군데를 강선(1)에 고정시키면 결국 보호망은 강선에 의해 처짐이 방지되면서 지지되므로 과수에 달려 있는 과일을 까치와 같은 조류가 쪼아먹기 위해 덤벼들더라도 보호망에 걸리게 되어 실제로 조류가 과일을 쪼아 먹지는 못하게 된다.
또한 과수에 달려 있는 과일을 수확한 후 필요에 의해 지지판(17)이 고정되어 있는 끼움관(12)에서 상기 지지판(17)을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강선 고정볼트(19)와 강선 고정너트(20)의 나사조임을 풀어 상기 지지판(17)에 열십자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강선(1)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 다음 끼움관 고정볼트(15)와 끼움관 고정너트(16)의 나사조임을 풀어 지지관(11)에 고정되어 있는 끼움관(12)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이후 지지판(17)을 상방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끼움관(12)을 지지관(11)에서 빼내면 된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는 지지판(17)의 상부면중 열십자 형태의 강선(1)이 고정될 부분이 그 이외의 다른 부분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형태로 절곡된 강선 고정볼트(19) 및 강선 고정너트(20)에 의해 상기 강선(1)을 고정하였을 때 상기 강선 고정볼트(19)의 상단이 지지판(17)의 상부면에 지지되어 있는 강선(1)의 상단보다 훨씬 높은 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높이차(t)를 가짐에 따라 보호망을 강선(1)에 의해 처짐이 방지된 상태로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호망을 한쪽에서 잡아당길 때 보호망이 강선 고정볼트(19)의 상부에 걸리는 일이 자주 발생되고, 이로 인해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판상의 금속재로 된 지지판(17)의 바깥둘레부분이 직각상태로 절단되어 그 모서리가 날카로운 상태에 있음에 따라 강선(1) 고정 후 보호망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호망이 모서리부분에 걸리는 일이 자주 발생되어 상기 보호망의 설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심할 경우 보호망이 끊기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상단에 원판형 지지판(17)이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끼움관(12)은 전부분이 동일한 외경을 이루고 있으므로 상기 끼움관을 지지관(11)의 상단에 끼울 때 끼움관(12)에 형성된 강선 통과공(21) 형성 부분은 반드시 지지관(11)에 의해 감싸여지지 않는 상태로서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므로 상기 지지관(11)이 끼움관(12)의 강선 통과공(21) 형성부분을 감싸지 않은 상태에서 끼움관 고정볼트(15)와 끼움관 고정너트(16)로서 상기 지지관(11)과 끼움관(12)을 고정시킬 수 밖에 없음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됨은 물론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제작 비용이 늘어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열십자 상태로 강선이 지지되는 지지판의 상부면중 상기 강선이 고정될 부분을 그 이외의 다른 부분에 비해 낮게하여 상기 강선이 강선 고정볼트 및 강선 고정너트에 의해 지지판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강선 고정볼트의 상단이 지지판의 상부면중 강선 고정부분 이외의 다른 부분에 지지되어 있는 강선의 상단보다 높지 않도록 함에 따라 강선 고정후 보호망을 설치할 때 상기 보호망이 강선 고정볼트에 걸리는 일이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원판상의 금속재로 된 지지판의 바깥둘레부분을 하향되게 안쪽으로 말아 상기 바깥둘레가 날카롭지 않고 부드러우면서 매끄럽게 라운드지도록 함에 따라 강선 고정 후 보호망을 설치할 때 상기 보호망이 지지판에 걸려 끊어지거나 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단에 원판형 지지판이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지지관에 감싸여진 상태로 끼워지는 끼움관중 강선 통과공 형성부분은 그 나머지 부분보다 직경이 더 크게 확관시켜 상기 끼움관을 지지관에 끼운상태에서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강선 통과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함은 물론 관련 부품도 절감되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에 의해 강선이 고정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종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가 과수원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종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가 과수원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에 의해 강선이 고정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Ⅲ-Ⅲ선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가 과수원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가 과수원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강선 11. 지지관
12. 끼움관 13. 지지관 통공
14. 끼움관 통공 17. 지지판
18. 수직통공 19. 강선 고정볼트
20. 강선 고정너트 21. 강선 통과공
22. 보조 강선 23. 요입부
24. 보조 수직통공 25. 보조 고정볼트
26. 보조 고정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지면에 수직상태로 지지되는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상단에 하부분이 지지관에 의해 감싸여진 상태로 끼워진 금속재의 끼움관과, 상기 끼움관의 상단에 용접에 의해 수평고정되어 강선을 열십자(+) 형태로 지지하도록 금속재로 된 원형판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2개가 한조를 이루도록 형성된 4조의 수직통공과, 상기 지지판에 열십자 형태로 지지된 강선을 고정하기 위해 각 수직통공으로 끼워지는 ∩형태의 강선 고정볼트 및 상기 강선 고정볼트에 나사조임되는 강선 고정너트와, 상기 끼움관중 지지관에 끼워진 부분보다 윗 부분인 상부분에 상,하로 엇갈리면서 수평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강선 통과공과, 상기 강선 통과공에 끼워져 가지유인선을 끼움관에 붙잡아 매다는데 이용되는 보조 강선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중강선이 고정될 부위에 강선의 직경만큼한 깊이로 요입부를 형성하여 강선 고정볼트 및 강선 고정너트에 의한 강선의 지지판 고정이 상기 요입부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지지판의 바깥둘레부분을 하향되게 안쪽으로 말아 그 외측둘레부분이 부드러우면서 매끄럽게 라운드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본 고안 과수원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6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6은 본 고안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에 의해 강선이 고정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고안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가 과수원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가 과수원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중 지면에 수직상태로 지지되는 지지관(11), 상기 지지관의 상단에 일부가 지지관(11)에 의해 감싸여진 상태로 끼워진 금속재의 끼움관(12), 상기 끼움관의 상단에 용접에 의해 수평고정되어 강선(1)을 열십자(+) 형태로 지지하도록 금속재로 된 원형판상의 지지판(17),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2개가 한조를 이루도록 형성된 4조의 수직통공(18), 상기 지지판(17)에 열십자 형태로 지지된 강선(1)을 고정하기 위해 각 수직통공(18)으로 끼워지는 ∩형태의 강선 고정볼트(19) 및 상기 강선 고정볼트에 나사조임되는 강선 고정너트(20), 상기 끼움관(12)중 지지관(11)에 끼워진 부분보다 윗부분인 상부분에 상,하로 엇갈리면서 수평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강선 통과공(21), 상기 강선 통과공에 끼워져 가지유인선을 끼움관(12)에 붙잡아 매다는데 이용되는 보조 강선(22)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하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판(17)중 강선(1)이 고정될 부위에 상기 강선의 직경만큼한 깊이로 요입부(23)를 형성하여 강선 고정볼트(19)에 의한 강선(1)의 고정이 상기 요입부(23)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강선(1)이 고정판(17)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강선 고정볼트(19)의 상단이 요입부(23) 이외 부분의 지지판(17)에 지지된 강선의 상단 보다 높지 않도록 하고, 상기 지지판(17)의 바깥둘레부분을 하향되게 안쪽으로 말아 절곡시켜 그 바같둘레부분이 부드러우면서 매끄럽게 라운드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에 따라 강선(1) 고정후 보호망을 설치할 때 상기 보호망이 지지판(17)에 걸리는 일이 없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17)에는 각 수직통공(18)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보조 수직통공(24)을 형성하여 강선(1) 고정후 상기 각 보조 수직통공(24)중 중심을 교차한 상태로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보조 수직통공을 통해 ∩형태로 절곡된 보조 고정볼트(25)을 끼운 다음 상기 보조 고정볼트의 양단에 보조 고정너트(26)를 나사조임함에 따라 강선 고정볼트(19)와는 별도로 보조 고정볼트(25)가 강선(1)의 교차부분을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단에 원판형 지지판(17)이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지지관(11)에 감싸여진 상태로 끼워지는 끼움관(12)중 강선 통과공(21) 형성부분은 그 나머지 부분보다 직경이 더 큰 상태가 되도록 확관시켜 상기 끼움관(12)을 지지관(11)에 끼운상태에서는 상기 확관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부품으로서 상기 끼움관(12)을 지지관(11)에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보조 강선(22)을 끼우기 위한 강선 통과공(21)의 외부 노출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실시예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에 의해 강선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그 이전에 상기 강선 고정장치를 과수원의 지면에 고정 설치하여야 하는 선행과정을 겨쳐야 함은 이해 가능한데, 상기 강선 고정장치를 과수원의 지면에 고정하는 과정중 상단에 지지판(17)이 고정된 끼움관(12)을 지지관(11)에 끼워 결합한 후에는 별도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지지관(11)과 끼움관(12)을 서로 고정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에서 지지관(11)에 끼워진 끼움관(12)은 상부의 강선 통과공(21) 형성부분이 상기 지지관(11)에 의해 감싸여지지 않은 상태로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끼움관(12)의 상부분인 강선 통과공(21) 형성부분이 확관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확관 부분은 지지관(11)에 의해 감싸여지지 않으므로 가능하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작용에서 보조강선(22)을 상기 강선 통과공(21)으로 원활하게 끼울 수 있게 된다.
한편 각각의 과수 사이마다 본 고안 강선 고정장치가 고정 설치되고 나면, 상기 본 고안 강선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지지판(17)에 강선(1)을 열십자(+)형태로 지지시킨 후 고정하면 된다.
즉, 강선(1)을 지지판(17) 위에 열십자 형태로 일단 지지시킨 다음 상기 강선을 양단에서 잡아당겨 팽팽하게 하면서 지지판(17)에 형성된 수직통공(18)을 통해 ∩형태로 절곡된 강선 고정볼트(19)를 수직상태로 끼우면 일단 상기 강선 고정볼트가 지지판(17)의 네군데에서 강선(1)을 감싼상태로 잡아주게 되고, 이후 상기 지지판(17)의 하부면 쪽에서 각 강선 고정볼트(19)의 양단으로 강선 고정너트(20)를 나사조임하면 결국 상기 강선은 강선 고정볼트(19) 및 강선 고정너트(20)에 의해 지지판(17)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는데, 상기 지지판중 강선 고정볼트(19) 및 강선 고정너트(20)에 의해 강선(1)이 고정된 부분은 상기 강선의 직경만큼한 깊이로 요입부(23)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강선 고정볼트(19) 및 강선 고정너트(20)에 의한 강선(1)의 지지판(17) 고정이 상기 요입부(23) 내에서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강선 고정볼트(19)의 상단이 요입부(23) 이외 부분의 지지판(17)에 지지된 강선의 상단 보다 높지 않으므로 상기 강선(1)의 고정 이후 보호망을 설치할 때 상기 보호망이 강선 고정볼트(19)에 걸려 간섭되는 일은 없게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강선(1)의 고정을 더욱 명확히 하고자 할 경우에는 지지판(17)에 형성된 보조 수직통공(24)중 중심을 교차한 상태로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보조 수직통공을 통해 ∩형태로 절곡된 보조 고정볼트(25)을 수직상태로 끼운 다음 상기 지지판(17)의 하부면 쪽에서 보조 고정볼트(25)의 양단으로 보조 고정너트(26)를 나사조임하면 상기 지지판(17)에 지지된 강선(1)의 가운데 교차부분이 상기 보조 고정볼트(25) 및 보조 고정너트(26)에 의해 고정되므로 이 경우에는 강선(1)의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짐은 이해 가능하다.
이후 끼움관(12)의 상부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된 강선 통과공(21)으로 보조강선(22)을 끼워 상기 보조강선의 양단을 팽팽하게 잡아당긴 다음 그 양단을 가지유인선과 연결시키면 상기 가지유인선이 보조강선(22)에 매달리는 상태가 되면서 본 고안 강선 고정장치에 의한 강선의 고정 작업이 모두 완료되는데, 상기 보조강선(22)의 양단에 가지유인선을 붙잡아 매다는 것은, 과수의 가지에 열린 과일의 무게로 인해 가지를 붙들고 있는 가지유인선이 처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에 있고, 이에 따라 과일이 열려 있는 가지의 처짐을 막기 위해 지주목으로 가지를 받쳐주는 일은 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하여 과수원의 지면에 고정 설치된 각각의 본 고안 강선 고정장치에 의해 강선(1)이 고정 완료되고 나면 상기 강선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 11과 같이 바둑판 모양을 이루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바둑판 모양의 강선 (1) 위로 과수에 달려 있는 과일을 보호하기 위해 그물로된 보호망을 올려 놓은 다음 상기 보호망의 군데 군데를 별도의 끈을 사용해 강선(1)에 고정시키면 결국 보호망의 설치가 완료되고, 이 상태에서의 상기 보호망은 강선(1)에 의해 처짐이 방지되면서 지지되므로 과수에 달려 있는 과일을 까치와 같은 조류가 쪼아 먹고자 덤벼들더라도 보호망에 간섭되어 실제로는 과일을 쪼아 먹거나 하지는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보호망을 설치할 때 본 고안 강선 고정장치의 구성요소인 지지판(17)은 그 바깥둘레부분이 하향되게 안쪽으로 말아져 절곡되어 있으므로 상기 바깥둘레부분이 부드러우면서 매끄럽게 라운드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에 따라 보호망이 지지판(17)의 바깥둘레에 걸려 손상되는 일이 없이 없게된다.
또한 과수에 달려 있는 과일을 수확한 후 필요에 의해 지지관(11)에서 지지판(17)이 고정되어 있는 끼움관(12)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판(17)에 열십자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강선(1)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다음 상기 끼움관(12)을 위로 들어 올리면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는 지지판(17)의 상부면중 열십자 형태의 강선(1)이 고정될 부분이 그 이외의 다른 부분보다 낮도록 되어 있으므로 ∩형태로 절곡된 강선 고정볼트(19)의 양단에 강선 고정너트(20)를 나사결합하여 상기 강선(1)을 고정하였을 때 상기 강선 고정볼트(19)의 상단이 지지판(17)의 상부면에 지지되어 있는 강선(1)의 상단보다 높지 않음에 따라 보호망을 강선에 의해 처짐이 방지된 상태로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호망을 한쪽에서 잡아당길 때 보호망이 강선 고정볼트(19)의 상부에 걸리는 일이 일어나지 않게되고, 이로 인해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판상의 금속재로 된 지지판(17)의 바깥둘레부분이 하향되게 안쪽으로 말아져 절곡되어 있으므로 상기 바깥둘레부분이 부드러우면서 매끄러운 라운드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강선(1) 고정 후 보호망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호망이 지지판(17)의 바깥둘레부분에 걸리는 일이 없어 상기 보호망의 설치가 항상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보호망이 끊기거나 하는 일이 없게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단에 원판형 지지판(17)이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끼움관(12)중 강선 통과공(21)이 형성된 상부분이 그 외부분인 하부분보다 직경이 크게 확관된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끼움관(12)을 지지관(11)의 상단에 끼운 상태에서 별도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끼움관(12)에 형성된 강선 통과공(21) 형성 부분이 지지관(11)에 의해 감싸여지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게 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부품수가 줄어들어 전체적인 제작 비용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지면에 수직상태로 지지되는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상단에 하부분이 지지관에 의해 감싸여진 상태로 끼워진 금속재의 끼움관과, 상기 끼움관의 상단에 용접에 의해 수평고정되어 강선을 열십자(+) 형태로 지지하도록 금속재로 된 원형판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2개가 한조를 이루도록 형성된 4조의 수직통공과, 상기 지지판에 열십자 형태로 지지된 강선을 고정하기 위해 각 수직통공으로 끼워지는 ∩형태의 강선 고정볼트 및 상기 강선 고정볼트에 나사조임되는 강선 고정너트와, 상기 끼움관중 지지관에 끼워진 부분보다 윗 부분인 상부분에 상,하로 엇갈리면서 수평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강선 통과공과, 상기 강선 통과공에 끼워져 가지유인선을 끼움관에 붙잡아 매다는데 이용되는 보조 강선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중 강선이 고정될 부위에 강선의 직경만큼한 깊이로 요입부를 형성하여 강선 고정볼트 및 강선 고정너트에 의한 강선의 지지판 고정이 상기 요입부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지지판의 바깥둘레부분을 하향되게 안쪽으로 말아 그 외측둘레부분이 부드러우면서 매끄럽게 라운드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원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판에는 각 수직통공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보조 수직통공을 형성하여 강선 고정후 상기 각 보조 수직통공중 중심을 교차한 상태로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보조 수직통공을 통해 ∩형태로 절곡된 보조 고정볼트를 끼운 다음 상기 보조 고정볼트의 양단에 보조 고정너트를 나사조임함에 따라 보조 고정볼트가 강선의 교차부분을 별도로 고정하여 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원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단에 원판형 지지판이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지지관에 감싸여진 상태로 끼워지는 끼움관중 강선 통과공 형성부분은 그 나머지 부분보다 직경이 더 큰 상태가 되도록 확관시켜 상기 끼움관을 지지관에 끼운상태에서는 상기 확관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부품으로서 상기 끼움관을 지지관에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보조 강선을 끼우기 위한 강선 통과공의 외부 노출이 가능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원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
KR2020010034286U 2001-11-08 2001-11-08 과수원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 KR200263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86U KR200263806Y1 (ko) 2001-11-08 2001-11-08 과수원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86U KR200263806Y1 (ko) 2001-11-08 2001-11-08 과수원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806Y1 true KR200263806Y1 (ko) 2002-02-09

Family

ID=7308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286U KR200263806Y1 (ko) 2001-11-08 2001-11-08 과수원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8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435Y1 (ko) 2009-10-05 2012-05-29 김수년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CN115067142A (zh) * 2022-07-15 2022-09-20 中国农业科学院果树研究所 一种果园支撑系统中边柱的安装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435Y1 (ko) 2009-10-05 2012-05-29 김수년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CN115067142A (zh) * 2022-07-15 2022-09-20 中国农业科学院果树研究所 一种果园支撑系统中边柱的安装方法
CN115067142B (zh) * 2022-07-15 2024-02-06 中国农业科学院果树研究所 一种果园支撑系统中边柱的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8825B2 (en) Stackable trellis support system
KR101769449B1 (ko) 비가림시공이 가능한 농작물 가지걸침지지구
US10676959B2 (en) Netting post cap
US20230039568A1 (en) Agricultural trellis systems, and associated devices and methods
US5438795A (en) Trellis wire support system
KR200263806Y1 (ko) 과수원의 보호망 지지용 강선 고정장치
KR200482209Y1 (ko) 농작물가지 걸침지지구
AU2017204039B2 (en) A Trellis Component.
US11483984B2 (en) Trellis
US4965961A (en) Trellis wire support clip and method of adapting metal grape stake for vertical trellising
KR200458605Y1 (ko) 과수나무의 가지처짐방지용 견인줄결속부를 가지는 방조망설치용 와이어고정부재
KR200268446Y1 (ko) 나무지지대
KR20210136658A (ko) 과실나무 가지용 지주 캡
KR20230001519U (ko) 개별 과수목용 비닐하우스 프레임
AU2003100651A4 (en) Vineyard netting post cap
JP3008083U (ja) 樹木サポート
JPH09238582A (ja) 蓮田用防風・防鳥ネット棚の構造
WO1997014294A1 (en) Plant supports
KR200324424Y1 (ko) 포도 재배용 보호비닐 설치 장치
KR200251689Y1 (ko) 농작물지지용 지주대 설치구조
NZ721326B (en) A Trellis Component
KR200429381Y1 (ko) 낙과 방지용 과일 보호구
KR20230149590A (ko) 자동조절 기능이 갖추어진 수목지지대와 이를 이용한 수목지지방법.
JPH0139180Y2 (ko)
KR200174682Y1 (ko) 과수목(果樹木)보호용 그물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