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731Y1 - 고휘도 방전 램프용 안정기 회로 - Google Patents

고휘도 방전 램프용 안정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731Y1
KR200263731Y1 KR2020010033016U KR20010033016U KR200263731Y1 KR 200263731 Y1 KR200263731 Y1 KR 200263731Y1 KR 2020010033016 U KR2020010033016 U KR 2020010033016U KR 20010033016 U KR20010033016 U KR 20010033016U KR 200263731 Y1 KR200263731 Y1 KR 200263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discharge lamp
voltage
switching element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레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레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레전기
Priority to KR2020010033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7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731Y1/ko

Link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슈퍼 임포스 이그나이터를 사용한 안정기에 있어서, 고압 펄스로 인한 전자 부품의 발연, 발화시에 즉시 회로를 차단하여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여, 점등 회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휘도 방전램프용 안정기 이그나이터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고휘도 방전 램프용 안정기 회로는 고휘도 방전 램프용 안정기의 리액터(2)에 고압 펄스 발생부(1)가 연결된 고휘도 방전램프용 안정기 이그나이터 회로에 있어서, 상기 리액터(가 펄스 트랜스(PT)와 부스터 코일(L) 및 스위칭 소자(SD)를 콘덴서(C1)와 저항(R1)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SD)의 트리거용 충방전 콘덴서(C2)가 상기 스위칭 소자(SD)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콘덴서(C2)의 충방전 전압에 의한 스위칭 소자(SD)의 스위칭 동작으로 펄스 트랜스(PT)의 2차 측에 유기된 고압펄스에 의하여 상기 램프가 점등되며, 상기 펄스 트랜스(PT) 및 부품의 발열 온도를 감지하여 규정 온도를 초과할 경우 고압 펄스 발생부(1)의 구동을 중지시키도록 부저항 서미스터(NTC) 및 전압 강하용 저항(R2)이 상기 콘덴서(C2)와 병렬로 연결된다.

Description

고휘도 방전 램프용 안정기 회로{Super impose ignitor circuit in stabilizer for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ballast}
본 고안은 고휘도 방전 램프용 안정기 이그나이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휘도 방전 램프를 점등시키기 위해서는 고휘도 방전 램프 고유의 부성 저항 특성으로 인하여 반드시 램프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안정기가 필요하다. 안정기는 크게 리액터(Choke Trans), 역률 개선 커패시터(P.F Capacitor), 이그나이터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안정기는 램프의 시동(Starting) 및 1차 역률을 고역률로 개선하여 안정된 점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이그나이터는 램프의 최초 시동 뿐 아니라 재점등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고전압(4∼5㎸) 펄스를 발생시켜 램프를 점등시키고, 램프의 점등 후에 내장된 회로에 의하여 펄스 발생을 중지시키는 등의 안정기의 구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점등 보조 기구이다.
고휘도 방전 램프중 고압 나트륨 및 메탈할라이드 램프중 일부는 발광관(Arc Tube) 내의 높은 증기압으로 인하여 안정기에서 공급되는 2차 전압만으로는 램프를 시동시킬 수 없으며, 최초 점등, 재점등시에 1∼5㎲의 매우 짧은 펄스폭의 고전압(4∼5㎸)을 인가하여야 램프를 원활하게 점등시킬 수 있으며, 반드시 점등 보조 장치(슈퍼임포즈형 이그나이터)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슈퍼임포즈형 이그나이터는 고휘도 방전 램프가 정상 점등할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지만, 램프 수명 종료 및 불량 등으로 램프가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고압 펄스가 전원을 차단할 때까지 계속 발생되어, 이그나이터에 내장된 펄스 트랜스의 절연 파괴 등으로 인한 발연, 발화에 의한 화재 등 점등 회로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그나이터를 사용한 안정기에 있어서, 고압 펄스로 인한 전자 부품의 발연, 발화시에 즉시 회로를 차단하여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여, 점등 회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휘도 방전램프용 안정기 이그나이터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정기의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안정기 회로에 의하여 발생된 펄스 전압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그나이터 2 : 리액터
3 : 고휘도 방전 램프 NTC : 부저항 서미스터
C1, C2 : 콘덴서 PT : 펄스 트랜스
R1, R2 : 저항 SD : 스위칭 소자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고휘도 방전 램프용 안정기의 리액터(2)에 고압 펄스 발생부(1)가 연결된 고휘도 방전램프용 안정기 이그나이터 회로에 있어서, 리액터가 펄스 트랜스(PT)와 부스터 코일(L) 및 스위칭 소자(SD)를 콘덴서(C1)와 저항(R1)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SD)의 트리거용 충방전 콘덴서(C2)가 상기 스위칭 소자(SD)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콘덴서(C2)의 충방전 전압에 의한 스위칭 소자(SD)의 스위칭 동작으로 펄스 트랜스(PT)의 2차 측에 유기된 고압펄스에 의하여 상기 램프가 점등되며, 상기 펄스 트랜스(PT) 및 부품의 발열 온도를 감지하여 규정 온도를 초과할 경우 고압 펄스 발생부(1)의 구동을 중지시키도록 부저항 서미스터(NTC) 및 전압 강하용 저항(R2)이 상기 콘덴서(C2)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정기 회로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정기의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휘도 방전램프용 안정기 회로에서, 리액터(2)는 고압 펄스 발생부(1, 이그나이터)에 연결된다. 고압 펄스 발생부(1)에 고압 펄스 트랜스(PT)와 그 1차선 측에 부스터 코일(L1)과 스위칭 소자(SD)가 콘덴서(C1), 저항(R1)과 직렬로 연결되고, 스위칭 소자(SD)의 트리거용 충방전 콘덴서(C2)가 이것들과 병렬로 연결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라서, 부저항 서미스터(NTC) 및 전압 강하용 저항(R2)이 펄스 트랜스(PT) 및 부품의 발열 온도를 감지하여 규정 온도를 초과할 경우 고압펄스 발생부(1)의 구동을 중지시키도록 고압 펄스 트랜스(PT)의 2차선 측에 콘덴서(C2)와 병렬로 연결된다.
펄스 트랜스(PT)의 1차 측은 전원의 일측 단자(N)와 램프회로의 단자(Lp)가 연결되고, 펄스 트랜스(PT)의 2차 측은 리액터(2)의 단자(T)와 램프회로의 단자(Lp)에 연결되고, 리액터(2)와 별도로 펄스 트랜스(PT)의 2차에서 유기된 고압펄스에 의하여 고압 방전 램프(3)가 시동되어 점등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고휘도 방전 램프(3)의 시동시 필요한 고압 펄스 발생을 내장된 펄스 트랜스(PT)를 이용하여 발생시키고,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전원은 저항(R1), 콘덴서(C1)의 시정수 회로를 통하여 충방전 콘덴서(C2)에 급속히 충전된다.
충방전 콘덴서(C2)에 충전된 전압이 스위칭 소자(SD)의 도통 전위(VBO, Break Over Voltage)에 도달하면, 충방전 콘덴서(C2)의 충전 전압은 부스터 코일(l), 펄스 트랜스(PT)의 2차 코일을 통하여 교류 사이클마다 충방전이 계속된다.
펄스 트랜스(PT)의 2차 측에 충방전 전압이 가해지면, 펄스 트랜스(PT)의 1차 측에는 고전압이 유기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현파상에 펄스 폭이 매우 짧은 펄스 전압이 발생되어 합성된다. 그 결과, 램프(3)는 즉시 점등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고휘도 방전 램프(3)는 안정된 점등 및 고유의 램프 전압(관전압)이 유지된다. 이 때, 펄스 트랜스(PT)의 2차 측(T-Lp)에서 발생된 고압 펄스는 리액터(2)와는 무관하여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그나이터(1, 고압 펄스 발생부)에 의하여 램프(3)가 점등되면, 리액터(2)의 2차 측(T-N 사이)의 전위는 램프 고유의 관전압 상태로 낮아지므로, 충방전 콘덴서(C2)의 충전된 전압은 스위칭 소자(SD)의 도통 전위 이하로 강하되어, 펄스 트랜스(PT)의 2차 측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고압 펄스 발생부(1)는 측시 차단되어, 고압 펄스의 발생이 중지된다.
그러나, 램프 불량 및 수명 종료 등과 같이 램프(3)가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인가되면, 이그나이터(1)가 동작을 즉시 개시하여, 이그나이터(1)에서 고전압이 발생된다.
이 때, 부저항 서미스터(NTC)는 펄스 트랜스(PT) 및 기타 전자 부품의 발열 온도를 감지하여, 펄스 트랜스(PT) 및 기타 전자 부품의 발열 온도가 규정 온도를 초과할 경우에, 고압 발생 회로를 즉시 차단시켜, 발열, 발화로 인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고휘도 방전램프용 안정기 이그나이터 회로에 의하면, 고압 펄스로 인한 전자 부품의 발연, 발화시에 즉시 회로를 차단하여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여, 점등 회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고휘도 방전 램프용 안정기의 리액터(2)에 고압 펄스 발생부(1)가 연결된 고휘도 방전램프용 안정기 이그나이터 회로에 있어서,
    상기 리액터(2)가 펄스 트랜스(PT)와 부스터 코일(L) 및 스위칭 소자(SD)를 콘덴서(C1)와 저항(R1)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SD)의 트리거용 충방전 콘덴서(C2)가 상기 스위칭 소자(SD)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콘덴서(C2)의 충방전 전압에 의한 스위칭 소자(SD)의 스위칭 동작으로 펄스 트랜스(PT)의 2차 측에 유기된 고압펄스에 의하여 상기 램프가 점등되며, 상기 펄스 트랜스(PT) 및 부품의 발열 온도를 감지하여 규정 온도를 초과할 경우 고압 펄스 발생부(1)의 구동을 중지시키도록 부저항 서미스터(NTC) 및 전압 강하용 저항(R2)이 상기 콘덴서(C2)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기 이그나이터 회로.
KR2020010033016U 2001-10-29 2001-10-29 고휘도 방전 램프용 안정기 회로 KR200263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016U KR200263731Y1 (ko) 2001-10-29 2001-10-29 고휘도 방전 램프용 안정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016U KR200263731Y1 (ko) 2001-10-29 2001-10-29 고휘도 방전 램프용 안정기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731Y1 true KR200263731Y1 (ko) 2002-02-09

Family

ID=7311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016U KR200263731Y1 (ko) 2001-10-29 2001-10-29 고휘도 방전 램프용 안정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7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3272B1 (ko) 방전 램프 점등, 고온 재점등 및 작동회로
US5650694A (en) Lamp controller with lamp status detection and safety circuitry
EP1286574B1 (en) Ballast with efficient filament preheating and lamp fault detection
US5801494A (en) Rapid restrike with integral cutout timer
US4962336A (en) Ignitor disabler
NO873991L (no) Ballastreaktans for hoeytrykks natriumdamplamper.
CA2363507C (en) Lamp ignitor for starting conventional hid lamps and for starting and restarting hid lamps with hot restrike capability
KR100281373B1 (ko) 고강도 방전 램프용 전자 밸러스트
US4996464A (en) Ignitor disabler
EP0565113B1 (en) High pressure vapor discharge lamp with a built-in igniter
CA23613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sodium ignitor upon failure of discharge lamp
KR200263731Y1 (ko) 고휘도 방전 램프용 안정기 회로
JPS59117094A (ja) 高圧気体放電灯始動兼点灯回路
US20070262734A1 (en) Filament Cutout Circuit
JP2001068279A (ja) 電子式全波スタータ
KR100313038B1 (ko) 고압방전 램프용 안정기의 타임머가 결합된 이그나이터
JP2010519715A (ja) 高圧放電ランプの電力適合化のための回路装置および方法
JP4752136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174574Y1 (ko) 방전램프용 전자안정기
KR200174568Y1 (ko) 고압방전 램프용 안정기의 타이머가 결합된 이그나이터
KR100301965B1 (ko) 고압방전등용전자식안정기의순시재점등보호회로
KR200179879Y1 (ko) 고압방전 램프용 안정기의 시리즈형 이그나이터
JP3262125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396943Y1 (ko) 이그나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안정기
US20050253535A1 (en) Sta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