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380Y1 - 건설시공공구 - Google Patents

건설시공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380Y1
KR200263380Y1 KR2020010030344U KR20010030344U KR200263380Y1 KR 200263380 Y1 KR200263380 Y1 KR 200263380Y1 KR 2020010030344 U KR2020010030344 U KR 2020010030344U KR 20010030344 U KR20010030344 U KR 20010030344U KR 200263380 Y1 KR200263380 Y1 KR 200263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striking
head
construction tool
hea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근
전재우
Original Assignee
김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근 filed Critical 김봉근
Priority to KR2020010030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380Y1/ko

Links

Landscapes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시공공구에 관한 것으로, 타격부(120 ; 130)을 갖춘 헤드부재(100)의 헤드본체(110)에 수납공간(112)이 형성되고, 2차타격부재(141 ; 142)가 수납공간(112)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되, 헤드본체(110)의 외주면에 공기의 유입·유출을 위한 벤트구멍(113)이 형성되어진 구조로 되어, 2차타격부재(141 ; 142)의 폭과 너비, 혹은 이의 지름을 최대한 확대하더라도 수납공간(112) 내에서의 2차타격부재(141 ; 142)의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설시공공구{Construction tool}
본 고안은 건설시공공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가정이나 건설현장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임의의 물체나 구조체에 타격을 가할 수 있도록 된 건설시공공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임의의 물체나 구조체에 타격을 가할 수 있도록 된 건설시공공구는 통상 금속재질의 헤드부재와, 이 헤드부재에 체결되는 손잡이부재로 구성되고, 헤드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타격부가 구비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건설시공공구는 통상 헤드부재의 양쪽 선단에 타격부가 각각 형성되어진 것(일반 해머)과, 한쪽 선단에는 타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 선단에는 박힌 못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이젝팅부가 형성되어진 것(장도리)으로 구별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헤드부재 전체가 금속을 재질로 하여 일체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어서, 타격부에 의한 타격이 1번만 이루어지므로, 필요한 만큼의 타격력을 얻기 위해서는 헤드부재의 자중을 크게 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건설시공공구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사용하기에는 너무 무겁고, 이로 인해서 작업자의 부상 위험이 증대되며, 자원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2차타격부재(145,146)를 갖춘 건설시공공구가 제안되었다.(실용신안출원 제1998-21244호 및 실용신안출원 제2000-11535호의 대표도 참조)
그러나, 도 1에 도시되어진 건설시공공구는, 2차타격부재(145)가 다수의 강구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손잡이(200)를 잡고 타격을 가하기 위해서 헤드부재(100)를 좌·우측으로 왕복이동시키면, 부피가 작은 2차타격부재(145)가 수납공간(112) 내에서 원활하게 좌·우측으로 이동되지만, 강구형태인 다수의 2차타격부재(145)들이 상호 간섭되므로, 2차 타격력이 만족스럽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한편, 도 2에 도시되어진 건설시공공구는, 2차타격부재(145)가 하나의 무게추 형태로 되어 있어서, 상호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지만, 수납공간(112) 내에서의 2차타격부재(145)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2차타격부재(145)의 부피를 작게 할 수 밖에 없으므로, 요구되는 만큼의 2차 타격력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해 보면, 2차타격부재(145)의 폭과 너비를 확대해서 헤드본체(110)와 2차타격부재(145) 사이의 간격을 줄이게 되면, 수납공간(112) 내의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타격시 헤드부재(1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2차타격부재(145)에 의한 충격이 완충되므로, 2차타격부재(145)의 폭과 너비를 작게 할 수 밖에 없다. 또한, 2차타격부재(145)의 높이를 증가시키면, 2차타격부재(145)의 이동거리가 짧아지게 되고, 이동거리가 짧아지면 타격력이 감소하게 되므로, 2차타격부재(145)의 높이 역시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즉, 도 2에 도시된 종래 건설시공공구의 경우에는,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서 2차타격부재(145)의 부피가 제한될 수 밖에 없고, 이와 같이 2차타격부재(145)의 부피가 제한되면 2차타격부재(145)의 자중이 작아질 수 밖에 없으므로, 충분한 2차타격력을 얻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자중이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타격력을 얻을 수 있어서, 작업자의 상해위험과 노동부하가 감소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건설시공공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0 ; 헤드부재, 110 ; 헤드본체,
111 ; 안착홈, 112 ; 수납공간,
113 ; 벤트구멍, 114,115 ; 고정부,
116 ; 체결부, 120,130 ; 타격부,
121,131 ; 체결홈, 141,142 ; 2차타격부재,
150 ; 고정부재, 150a,150b ; 체결부,
160 ; 이젝팅부, 200 ; 손잡이부재,
210 ; 체결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타격부을 갖춘 헤드부재와, 헤드부재에 고정되는 손잡이부재로 이루어지되, 헤드부재의 헤드본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2차타격부재가 수납공간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어진 건설시공공구에 있어서, 상기 헤드본체의 외주면에 공기의 유입·유출을 위한 벤트구멍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양쪽 선단부분에 각각 타격부(120,130)가 구비되어진 헤드부재(100)와, 헤드부재(100)에 고정되는 손잡이부재(200)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재(100)는 헤드본체(110)와, 고정부재(150)를 매개로 헤드본체(110)의 양쪽 선단부분에 고정되는 한 쌍의 타격부(120,130) 및, 헤드본체(110)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2차타격부재(141)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본체(110)에는 헤드본체(11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수납공간(112)이 형성되고, 이의 외주면에는 손잡이부재(200)의 체결부(210)가 끼워져 고정되는 안착홈(111)과, 공기의 유입·유출을 위한 벤트구멍(113)이 각각 형성되며, 또한 이의 양쪽 선단에는 타격부(120,130)가 견고하게 맞물리도록 고정부(114,115)가 형성된다. 상기 타격부(120,130)에는 각각 체결홈(121,131)이 형성되어 있어서, 바아형태를 이루는 조립부재(150)의 양쪽 선단 체결부(150a,150b)와, 이들 체결홈(121,131) 각각 상호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2차타격부재(141)의 중심부분에는 조립부재(150)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서, 수납공간(112)에 내설된 2차타격부재(141)가 조립부재(150)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수납공간(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왕복이동된다.
도 3에 도시된 건설시공공구의 조립작업을 설명해 보면, 우선 어느 한쪽 타격부(120)의 체결홈(121)에 조립부재(150)의 한쪽 체결부(150a)를 체결시킨 상태에서, 조립부재(150)가 수납공간(112)을 관통하도록 헤드본체(110)의 한쪽고정부(115)를 타격부(120)에 맞물려 고정시킨다. 이후, 조립부재(150)의 자유단으로 2차타격부재(141)를 끼워넣어서 2차타격부재(141)가 조립부재(150)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수납공간(112)에 내장되도록 한 후, 조립부재(150)의 다른 한쪽 체결부(150b)에 다른 한쪽 타격부(130)의 체결홈(131)을 체결시켜서 헤드본체(110)의 다른 한쪽 고정부(114)에 이 타격부(130)가 상호 맞물리도록 한다. 이후, 헤드본체(110)의 안착홈(111)에 손잡이부재(200)의 체결부(210)를 끼워넣고 스크류 등의 별도의 체결부재(도시안됨)를 매개로 이들을 상호 체결한다.
작업자가 타격을 위해서 상기 건설시공공구의 손잡이부재(200)를 잡고 이를 휘두르게 되면, 헤드부재(100)가 조립부재(150)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수납공간(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 왕복이동하게 되는데, 도 3에 의하면, 벤트구멍(113)이 수납공간(112)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개구되어 있으므로, 2차타격부재(141)를 중심으로, 2차타격부재(141)가 이동되는 쪽의 수납공간(112)은, 이의 내부공기가 벤트구멍(113)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외부로 유출되고, 반대쪽의 수납공간(112)은 외부공기가 벤트구멍(113)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내부로 유입되므로, 2차타격부재(141)의 폭과 너비를 가능한 한 확대시키더라도, 2차타격부재(141)의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된다. 따라서, 2차타격부재(141)의 2차 타격력을 가능한 한 최대화할 수 있으므로, 건설시공공구를 소형화하더라도 만족할 만한 타격력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헤드부재(100)의 양쪽 선단부분에 타격부(120)와 이젝팅부(160)가 각각 구비되어진 건설시공공구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타입의 건설시공공구의 경우에는, 벤트구멍(113)을 타격부(120)쪽 수납공간(112)의 선단에서부터 수납공간(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되, 이젝팅부(160)쪽 선단으로부터 타격부(120)방향으로 소정 간격(H)만큼 이격되어진 위치까지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타격시 2차타격부재(142)가 상방향으로 빠르게 이동되더라도 간격(H)만큼 수납공간(112)에 채워진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므로, 마치 간격(H)만큼의 수납공간(112)의 공기가 쿠션작용을 하게 되어, 2차타격부재(142)가 이젝팅부(160)에 부딪히지 않게 되거나, 부딪히더라도 상당히 낮은 타격력으로 부딪히게 되므로,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불필요한 충격이 최대한으로 감소되는 잇점이 있다. 이러한 도 4의 경우에는, 헤드본체(110)에 타격부(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수납공간(112)가 개구되어진 헤드본체(110)의 선단에 체결부(116)가 형성되어서, 이젝팅부(160)가 이 체결부(116)에 나사산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타격부을 갖춘 헤드부재의 헤드본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2차타격부재가 수납공간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되, 헤드본체의 외주면에 공기의 유입·유출을 위한 벤트구멍이 형성되어진 구조로 되어, 2차타격부재의 폭과 너비 혹은 지름을 최대한 확대하더라도 수납공간 내에서의 2차타격부재의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되므로, 2차타격부재에 의한 타격력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설시공공구를 소형화하더라도 충분한 타격력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공구를 다루기가 상당히 편리하게 되고, 작업자의 상해위험과 노동부하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타격부(120 ; 130)을 갖춘 헤드부재(100)와, 헤드부재(100)에 고정되는 손잡이부재(200)로 이루어지되, 헤드부재(100)의 헤드본체(110)에 수납공간(112)이 형성되고, 2차타격부재(141 ; 142)가 수납공간(112)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어진 건설시공공구에 있어서,
    상기 헤드본체(110)의 외주면에 공기의 유입·유출을 위한 벤트구멍(113)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공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100)의 양쪽 선단부분에 타격부(120, 130)가 각각 구비되고, 벤트구멍(113)이 수납공간(112)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개구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공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100)의 양쪽 선단부분에 타격부(120)와 이젝팅부(160)가 각각 구비되고, 벤트구멍(113)이 타격부(120)쪽 수납공간(112)의 선단에서부터 수납공간(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되, 이젝팅부(160)쪽 선단으로부터 타격부(120)방향으로 소정 간격(H)만큼 이격되어진 위치까지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시공공구.
KR2020010030344U 2001-10-05 2001-10-05 건설시공공구 KR200263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44U KR200263380Y1 (ko) 2001-10-05 2001-10-05 건설시공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44U KR200263380Y1 (ko) 2001-10-05 2001-10-05 건설시공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380Y1 true KR200263380Y1 (ko) 2002-02-04

Family

ID=7306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344U KR200263380Y1 (ko) 2001-10-05 2001-10-05 건설시공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3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620B1 (ko) * 2013-10-15 2015-02-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망치 및 이를 수납하는 액자 겸용 연장 수납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620B1 (ko) * 2013-10-15 2015-02-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망치 및 이를 수납하는 액자 겸용 연장 수납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4346B2 (en) Striking tool with weight forward head
US6234048B1 (en) Nonrecoil hammer
US11590558B2 (en) End effector
CA2553353A1 (en) Shock-absorbing system for fastener driving tools
FI100420B (fi) Korroosionkestävä naula koviin aineisiin iskemistä varten
US4373565A (en) Mallet
US6477922B1 (en) Impact tool
KR200263380Y1 (ko) 건설시공공구
DE102005035099A1 (de) Schlagwerk und wenigstens schlagend antreibbare Handwerkzeugmaschine mit einem Schlagwerk
EP1033497A2 (en) Nailer and bumper provided therein for braking impact piston
US20030071105A1 (en) Abrasion-resistant bumper for a nail-driving tool
US5735630A (en) Striking tool head system and common elongated handle for multiple tool head assemblies
US20060016844A1 (en) Fastener driving tool
JP5135786B2 (ja) 留付け具
WO2011001988A1 (ja) 釘打機
US4767045A (en) Hand-held fastening element driving tool
US20020124371A1 (en) Anchor driver tool for power hammer apparatus
JPH028709Y2 (ko)
JP3219996U (ja) 芯棒打ち込みアンカーボルト用ハンドホルダー
US20210252684A1 (en) Multipurpose Tool
US20230364767A1 (en) Titanium Hammer
JP4332492B2 (ja) 打ち込み式ファスナー及び連結ファスナー並びに構造体
AU2021204328B2 (en) Dead blow hammer head
JPH0118302Y2 (ko)
CN214265446U (zh) 一种室内装修工具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