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201Y1 - 선풍기로 교체 가능한 전기히터 - Google Patents

선풍기로 교체 가능한 전기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201Y1
KR200263201Y1 KR2020010031346U KR20010031346U KR200263201Y1 KR 200263201 Y1 KR200263201 Y1 KR 200263201Y1 KR 2020010031346 U KR2020010031346 U KR 2020010031346U KR 20010031346 U KR20010031346 U KR 20010031346U KR 200263201 Y1 KR200263201 Y1 KR 200263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electric heater
terminal
suppor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씨텍
최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씨텍, 최계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씨텍
Priority to KR2020010031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2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201Y1/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받침대와 분리된 전기히터와 선풍기의 뒷커버(21)가 측면으로 연장된 측면부(22)를 가지는 헤드부(20), 헤드부(20)의 측면부(22)에 형성되며 전원을 인가받도록 단자 접속구(24)를 내장하는 관체형 힌지안내구(23), 힌지봉(31) 선단에 형성한 단자체(32)를 힌지안내구(23)의 단자접속구(24)에 끼움 접속하여 전기히터 또는 선풍기의 헤드부(20)에 전원을 인가하며 지지대(12)의 일 측면지지대(11)상부 공간부(17)에 고정되는 끼움 힌지(30) 및, 상기 끼움힌지(30)의 힌지봉(31)이 측면지지대(11)의 내측벽(15)으로 노출되도록 고정시키며 끼움힌지(30)의 고정블럭(33)과 나사(14) 결합되는 지지대커버(13)로 구성하고, 상기 단자접속구(24)는 고정구(25)와 유착되며, 고정구(25)는 뒷커버(21)에 고정되며 전원 공급용 전선관(28)과 결합된 고정구(25)와 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로 교체 사용 가능한 전기히터이다.

Description

선풍기로 교체 가능한 전기히터{Electric heater with motor fan for replacement}
본 고안은 받침대와 분리된 전기히터와 선풍기의 뒷커버가 측면을 덮도록 구성한 헤드부와, 헤드부의 뒷커버 측면에 형성되며 전원을 인가받도록 단자 접속구를 내장하는 힌지안내구와, 힌지 안내구를 통하여 단자 접속구와 끼움 접속하며 구동 전원을 접속한 전기히터 또는 선풍기의 헤드부에 인가하는 끼움 힌지, 및 상기 끼움힌지를 힌지부가 노출되도록 고정시키며 끼움힌지의 몸체를 나사 결합하는 측면지지대로 구성한 선풍기로 교체 사용 가능한 전기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히터는 전열원을 이루는 코일히터를 세라믹 보빈에 감아 발열체로 사용하고, 이를 반사판의 중앙에 안치시켜 반사되는 열을 사용자가 사용하여 원적외선의 발열량을 증대시킨 구성이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전기히터와 선풍기의 구조가 비슷하여 외모만 보면 구분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지지하는 기본 구성을 동일하게 구성하여 반사판과 발열체를 일조로 하여 전기히터로 사용하고, 안전망과 선풍기 날개를 선풍기로 하여 지지대의 전면에서 이를 교체 가능토록 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0185529호와 같이 여름에는 선풍기로 사용하고 겨울에는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반구면체의 반사판과 외면에 전열선을 권취한 발열통체를 구비한 선풍기 겸용 전기히터에 있어서, 상기의 발열통체는 장구모양으로 제작하고 반사판 측으로 체결되는 체결지지부와, 그 체결지지부에 끼워 맞춤으로 체결되는 발열본체와, 그 발열본체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요홈과, 그 요홈의 내부로 권취 되는 전열코일과, 그 전열코일의 외곽으로 일정 간격 크램핑 되어 전열코일의 단락을 방지하도록 한 전열코일 홀더로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선풍기와 전기히터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를 교체 살 때에는 전면부를 전부 분해하고 다시 조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히터와 선풍기의 헤드부를 일체로 교체하여 받침대의 지지대와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는 선풍기로 교체 사용 가능한 전기히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히터와 선풍기의 뒷커버가 측면을 덮도록 구성한 헤드부, 헤드부의 뒷커버 측면에 형성되며 전원을 인가받도록 단자 접속구를 내장하는 힌지안내구, 힌지 안내구를 통하여 단자 접속구와 끼움 접속하며 구동 전원을 접속한 전기히터 또는 선풍기의 헤드부에 인가하는 끼움 힌지, 상기 끼움힌지를 힌지부가 노출되도록 고정시키며 끼움힌지의 몸체를 나사 결합하는 측면지지대로 구성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 선 분해 확대단면도
도 3 은 도 1 의 B-B 선 확대 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고정구와 단자접속구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확대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전기히터용 헤드체 평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선풍기용 헤드체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받침대 11;측면지지대 12;지지대 13;지지대커버 14;나사 15;내측벽 16;힌지공 17;공간부 18;끼움공 20;헤드부 21;뒷커버 22;측면부 23;힌지안내구 24;단자접속구 24-1;단자홈 24-2;단자봉 24-3;접속구 본체 24-4;측면부 24-5;스프링 24-6;고정볼 25;고정구 25-1;전선 25-2;접속단자 25-3;스프링 25-4;고정블럭 25-5;끼움돌기 26;끼움돌기축 27;회전안내구 27-1;고정공 28;전선관 29;반사판 29-1;모터 29-2;선풍기날개 30;끼움힌지 31;힌지봉
즉, 본 고안은 받침대와 분리된 전기히터와 선풍기의 뒷커버가 측면을 덮도록 구성한 헤드부, 헤드부의 뒷커버 측면에 형성되며 전원을 인가받도록 단자 접속구를 내장하는 힌지안내구, 힌지 안내구를 통하여 단자 접속구와 끼움 접속하며 구동 전원을 접속한 전기히터 또는 선풍기의 헤드부에 인가하는 끼움 힌지, 상기 끼움힌지를 힌지부가 노출되도록 고정시키며 끼움힌지의 몸체를 나사 결합하는 측면지지대로 구성한 선풍기로 교체 사용 가능한 전기히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로, 받침대(10)위에 유착되며 좌우측으로 연장한 측면지지대(11)를 가지고 선풍기 또는 전기히터의 헤드부(20)를 양 측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대(12), 및 지지대(12)에 힌지 결합되는 헤드부(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20)는 받침대와 분리된 선풍기 또는 전기히터의 뒷커버(21) 측면부(22)의 적어도 일측에 이후에 설명하는 끼움힌지(30)를 사용하여 유착시킨다. (13)은 측면지지대(11)의 지지대커버로, 나사(14)를 사용하여 끼움힌지(30)를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도 2 는 도 1 의 A-A 선 요부 분해 확대 단면도로, 지지대(12)의 측면지지대(11)상부 일측에는 지지대커버(13)를 열고 내측벽(15)의 힌지공(16)에 힌지봉(31)을 삽입한 끼움힌지(30)를 결합나사(14)로 측면지지대(11)에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힌지(30)의 일 예로는 측면지지대(11)의 상부 내측벽(15)을 관통하는 힌지공(16)으로 외부 돌출한 힌지봉(31)과, 힌지공(16)보다 직경이 커서 측면지지대(11)내부 공간부(17)에 안치되는 고정블럭(33)과, 상기 힌지봉(31) 선단에 설치되는 단자체(32)와, 상기 단자체(32)에 힌지봉(31)을 통하여 전원을 인가하며 전원 인가용 전선로(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힌지(30)에 힌지 결합하는 헤드부(20)는 뒷커버(21)의 측면부(22)에 형성한 힌지안내구(23)에 의하여 힌지결합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힌지안내구(23)의 내측에는 상기 단자체(32)와 끼움 결합하는 단자 접속구(24)를설치한다. 상기 단자 접속구(24)는 측면부(22)에 일체로 고정된 고정구(25)에 유착된다.
도 3 은 도 1 의 B-B 선 확대 단면도로, 측면지지대(11)에 끼움공(18)을, 헤드부(20)에는 끼움공(18) 대응 부위에 끼움돌기축(26)을 돌출시켜, 측면지지대(11)에 헤드부(20)가 회전 가능토록 구성한다. 상기 끼움공(18)의 내벽에는 스프링(19-1)에 탄발되며 표면의 일부가 노출되는 고정볼(19)을 수장하고, 상기 고정볼(19)에 대응하는 끼움 돌기축(26)에는 외주연에 그루브 형상의 회전 안내구(27)를 형성하고, 회전 안내구(27)에는 고정볼(19)이 고정되는 고정공(27-1)을 형성한다. (19-2)는 측면지지대(11)에서 연장된 스페이서, (19-2)는 끼움돌기축(26)의 축중심을 제공하는 끼움 중심구이다.
도 4 는 도 2 의 끼움힌지(30)와 결합하는 단자 접속구(24)의 확대 단면도로, 단자접속구(24)는 측면부(22)에 고정된 고정구(25)와 면접촉 상태로 회전 가능토록 구성한다. 단자 접속구(24)는 단자홈(24-1)에 돌출된 단자봉(24-2)과, 단자봉(24-2)을 고정하는 접속구본체(24-3)와, 접속구 본체(24-3)측면부(24-4) 표면에 일부가 노출되고 스프링(24-5)으로 탄발되어 고정구(25) 대향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고정볼(24-6)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고정구(25)는 상기 단자봉(24-2)의 내단과 선단에서 탄발 접속하고 내단은 헤드부(20) 구동용 전원을 인가하는 전선(25-1)과 접속된 접속단자(25-2)와, 접속단자(25-2)에 탄발력을 제공하도록 고정구(25)에 수장된 스프링(25-3)과, 내 측면부(22)에 일체로 고정된 고정블럭(25-4)에 결착하는 끼움돌기(25-5)로 이루어진다.
도 5 는 본 고안의 헤드부(20)가 전기히터로 사용되는 경우를 보인 평면도로, 측면부(22)의 일단에 설치한 단자 접속구(24)를 통하여 인가받은 전원을 발열수단에 공급하는 전선관(28)이 별도로 히터 반사판(29)뒤에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6 은 본 고안의 헤드부(20)가 선풍기로 사용되는 경우를 보인 평면도로, 측면부(22)의 일단에 설치한 단자 접속구(24)를 통하여 인가받은 전원을 선풍기용 모터(29-1)에 제공하는 전선관(28)에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물론 이 경우 선풍기 날개(29-2)는 모터(29-1)의 양측에 설치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배출 풍향을 가변시키는 풍향조절구등을 구동하도록 하는 다른 수단이 부가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도 5 또는 도 6 과 같이 별도로 구성한 헤드부(20)를 구비하고, 도 3 과 같이 일 측면지지대(11)의 끼움공(18)에 끼움돌기축(26)을 끼움 고정시킨다. 그리하면 자연스럽게 고정볼(19)이 탄발되어 고정공(27-1)에 끼움 결합한다.
그리고 다른측 측면지지대(11)의 지지대커버(13)를 열고 힌지봉(31)을 힌지안내구(23)에 설치한 단자접속구(24)에 끼움 결합한 다음, 지지대커버(13)를 닫고 결합나사(14)로 결합한다. 이 경우 단자접속구(24)는 도 4 와 같이 고정구(25)에 유착되며, 측면부(22)에 고정된 고정블럭(25-4)과 이에 고정된 고정구(25)에 설치한 접속단자(25-2)를 통하여 단자봉(24-2)과 단자 결합하는 구성을 이룬다. 따라서 조립자(사용자)가 원하는 히터 또는 선풍기를 헤드부(20)로 선택하여 결합하면 도2 에 보인 전선로(34)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플럭 형태의 단자체(32)에서 단자봉(24-2)으로 인가하며, 단자봉(24-2)은 역시 점점촉하는 접속단자(25-2)를 경유하여 전선으로 전달된다. 이 경우 전선(25-1)은 전선관(28)에 끼워져 도 5 및 도 6 과 같이 해당 헤드부(20)의 구동부(선풍기의 경우는 모터, 전기히터의 경우는 발열히터체)의 구동용 전원으로 인가된다. 그런데 헤드부(20)가 힌지봉(3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기울어지면) 지지대(12)와 함께 힌지봉(16)의 단자체(32)에 결합된 단자접속구(24)는 고정되므로, 헤드부(20)에 고정된 고정구(25)가 헤드부(2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회전하지만 단자봉(24-2)과 접속단자(25-2)는 항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하므로 전기적인 접속에는 이상이 없게 된다. 아울러 헤드부(20)의 다른 측은 도 3 과 같이 단순히 힌지 기능만 가능토록 결합함으로써 전기를 일 측면지지대(11)를 통하여 공급받고, 헤드부(20)가 구동 가능토록 기능한다. 본 고안의 힌지봉(31)과 힌지안내구(23)는 상호 초기 조립의 용이를 위하여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요철 수단이나 가이드 홈으로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함이 좋다.
물론 헤드부(20)를 분해할 때는 측면지지대(11)를 이루는 지지대커버(13)를 결합나사(14)로 열고, 끼움힌지(30)의 힌지봉(31)을 지지대 커버(13) 방향으로 잡아당겨 단자체(32)와 단자접속구(24)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헤드부(20)를 자연스럽게 틀어 끼움돌기축(26)이 끼움공(18)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그리고 원하는 헤드부(20)를 역시 상기와 같이 조립하여 조립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받침대의 지지대를 양측으로 돌출시키고, 일측 지지대에는 헤드부를 유착시키고, 다른측 지지대에는 헤드부와 힌지봉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헤드부가 힌지 결합 가능토록 하고, 전원은 힌지 결합시 단자체와 단자 접속구가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로 신경을 쓰지 않아도 조립만 하면 자연스럽게 전원 공급이 되는 방식이어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Claims (2)

  1. 받침대와 분리된 전기히터와 선풍기의 뒷커버(21)가 측면으로 연장된 측면부(22)를 가지는 헤드부(20), 헤드부(20)의 측면부(22)에 형성되며 전원을 인가받도록 단자 접속구(24)를 내장하는 관체형 힌지안내구(23), 힌지봉(31) 선단에 형성한 단자체(32)를 힌지안내구(23)의 단자접속구(24)에 끼움 접속하여 전기히터 또는 선풍기의 헤드부(20)에 전원을 인가하며 지지대(12)의 일 측면지지대(11)상부 공간부(17)에 고정되는 끼움 힌지(30) 및, 상기 끼움힌지(30)의 힌지봉(31)이 측면지지대(11)의 내측벽(15)으로 노출되도록 고정시키며 끼움힌지(30)의 고정블럭(33)과 나사(14) 결합되는 지지대커버(13)로 구성하고, 상기 단자접속구(24)는 고정구(25)와 유착되며, 고정구(25)는 뒷커버(21)에 고정되며 전원 공급용 전선관(28)과 결합된 고정구(25)와 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로 교체 사용 가능한 전기히터.
  2. 제 1 항에 있어서, 헤드부(20)가 전기히터일 때 전선관(28)은 반사판(29)뒷 부분의 뒷커버(21)안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로 교체 사용 가능한 전기히터.
KR2020010031346U 2001-10-15 2001-10-15 선풍기로 교체 가능한 전기히터 KR200263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346U KR200263201Y1 (ko) 2001-10-15 2001-10-15 선풍기로 교체 가능한 전기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346U KR200263201Y1 (ko) 2001-10-15 2001-10-15 선풍기로 교체 가능한 전기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201Y1 true KR200263201Y1 (ko) 2002-02-04

Family

ID=7306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346U KR200263201Y1 (ko) 2001-10-15 2001-10-15 선풍기로 교체 가능한 전기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2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883Y1 (ko) 2009-10-13 2012-03-15 김기숙 히터로 이용 가능한 선풍기
KR101988837B1 (ko) * 2018-11-15 2019-06-12 김호정 안전망에 발열부가 구비된 복사형 전기히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883Y1 (ko) 2009-10-13 2012-03-15 김기숙 히터로 이용 가능한 선풍기
KR101988837B1 (ko) * 2018-11-15 2019-06-12 김호정 안전망에 발열부가 구비된 복사형 전기히터
WO2020101137A1 (ko) * 2018-11-15 2020-05-22 김호정 안전망에 발열부가 구비된 복사형 전기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880B1 (ko) 휴대용 선풍기
US20040047620A1 (en) Hair dryer assembly
CA1292614C (en) Hair dryer
CN211474489U (zh) 挂脖风扇
KR200263201Y1 (ko) 선풍기로 교체 가능한 전기히터
KR20080080470A (ko) 치과용 옵츄레이터
CN212117388U (zh) 一种用于吹风棒内元件的固定结构
KR101972965B1 (ko) 속눈썹 고데기 겸용 마스카라
CN214499509U (zh) 一种转向机构及风扇
CN215633918U (zh) 一种双电机360度可调控风扇灯
CN218096205U (zh) 一种折叠式取暖器
CN210043773U (zh) 一种液体加热器
KR200331243Y1 (ko) 헤어아이론의 전기코드장치
KR100458713B1 (ko) 히터 겸용 선풍기
CN213684593U (zh) 脖戴风扇
KR20090010493U (ko) 헤어 드라이어 및 헤어 드라이어의 노즐
CN219196165U (zh) 一种方便拆装的花洒墙座
CN219719995U (zh) 一种马达发热丝整合结构
CN215863696U (zh) 取暖器
CN209463498U (zh) 一种可更换卷发筒的自动卷发器
CN215307264U (zh) 一种术后复苏肩颈加热保暖保护套
ES2290869T3 (es) Caja de aparato electrodomestico de preparacion culinaria prevista para utilizar a mano.
CN216701890U (zh) 一种卷发件及卷发器
CN218204735U (zh) 一种花洒墙座
CN210345618U (zh) 一种暖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