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941Y1 - 관절 수술용 위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관절 수술용 위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941Y1
KR200262941Y1 KR2020010033333U KR20010033333U KR200262941Y1 KR 200262941 Y1 KR200262941 Y1 KR 200262941Y1 KR 2020010033333 U KR2020010033333 U KR 2020010033333U KR 20010033333 U KR20010033333 U KR 20010033333U KR 200262941 Y1 KR200262941 Y1 KR 200262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fixed
shaft
gea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건영
전병우
전병권
Original Assignee
전건영
전병우
전병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건영, 전병우, 전병권 filed Critical 전건영
Priority to KR2020010033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9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941Y1/ko

Links

Landscapes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팔과 다리와 같은 신체의 관절부위를 수술하는 경우에 원하는 위치에 안정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수술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 수술용 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정몸체(11)의 양측에서 스프링(18')이 지지되는 스크류축(18)이 연결축(17')에 연결된 걸림쇠(17)의 각도를 고정손잡이(16)로 조절하며 기둥(10)이 관통되어 하측의 스플라인축(12)이 결합되는 스플라인기어(15')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톱니(19')가 형성된 기어판(15)이 톱니(19')와 고정된 정지기어(19)의 내부에서 스프링(14')으로 지지되며 스넵링(11')으로 고정되고 하측의 나사부(12')가 고정구(13)로 고정되는 고정장치(1)와,
상기 기둥(10)이 관통되며 절개부(20')가 형성된 고정기어(20)와 방향조절축(23)으로 연결되어 안내봉(22)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회전기어(21)로 형성된 방향조절장치(2)와,
상기 기둥(10)에 연결된 연결대(30)에서 상측으로 각도조절스크류(32)가 형성된 각도조절축(31)이 경사바(5)에 설치된 유동구(33)를 관통하여 경사바(5)의 각도를 조절하며 기둥(10)의 상측 가이드대(37)에서 각도안내봉(35)에 경사바(5)가 지지되며 육각축(36)과 육각너트(36')로 설치되는 각도조절장치(3)와,
상기 경사바(5)의 선단에서 일정간격으로 고정홀(6')이 형성된 길이조절대(6)를 고정시키는 길이고정구(40)를 관통하며 스프링(43)에 지지되고핀(42)이 설치되어 고정홀(6')에 삽입되는 위치선정축(41)으로 형성된 길이조절장치(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관절 수술용 위치 고정장치{a}
본 고안은 팔과 다리와 같은 신체의 관절부위를 수술하는 경우에 원하는 위치에 안정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수술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 수술용 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꿈치와 손목부위 또한 팔이나 다리와 같은 관절이 위치하는 부위를 수술하기 위해서는 수술자가 수술하기에 가장 좋은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 제시된 수술용 고정장치는 팔이나 다리와 같은 신체의 일부 중 수술할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주변을 붕대나 여러 가지의 부재를 이용하여 감싸게 되며, 수술부위만 남겨놓고 수술자가 원하는 각도와 위치 및 높이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신체의 여러 곳에서 선(8, 8', 8')을 연결하고 선의 끝단에는 추를 연결하여 선을 일정한 힘으로 당기고 있도록 한다.
그러나 추의 힘으로 원하는 위치와 높이가 유지되지 않고 수술 중에 수술부위가 움직이게 되어 수술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수술을 돕는 간호원이 수술자가 지시하는 신체 부위를 유지하고 있기 위하여 선을 당기고 있어야 하므로 여러명의 보조원을 필요로 하고, 많은 불편이 뒤따랐다.
또한 고정장치는 수술대(50)의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51)에 고정몸체(11)의 한곳에서 나사축을 이용한 회전식으로 고정시키게 되므로 신체를 고정시키기위한 선(8, 8', 8')에 작용하는 힘을 견디지 못하고 회전되어 고정위치가 변경되거나 심한 경우 이탈되는 결점이 있어서 수술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수술대의 양측에서 안정되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한번 고정된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둥이 간편하게 회전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회전이 편리하며, 원하는 위치에서 스플라인기어를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경사바의 경사각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경사바 내부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대가 정확하게 고정되고 고정된 상태의 변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고정몸체의 양측에서 스프링이 지지되는 스크류축이 연결축에 연결된 걸림쇠의 각도를 고정손잡이로 조절하며 기둥이 관통되어 하측의 스플라인축이 결합되는 스플라인기어가 형성된 기어판이 받침봉에서 스프링으로 지지되며 스넵링으로 고정되고 하측의 나사부가 고정구로 고정되는 고정장치와,
상기 기둥이 관통되며 절개부가 형성된 고정기어와 방향조절축으로 연결되어 안내봉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회전기어로 형성된 방향조절장치와,
상기 기둥에 연결된 연결대에서 상측으로 각도조절스크류가 형성된 각도조절축이 경사바에 설치된 유동구를 관통하여 경사바의 각도를 조절하며 기둥의 상측 가이드대에서 각도안내봉에 경사바가 지지되며 육각축과 육각너트로 설치되는 각도조절장치와,
상기 경사바의 선단에서 일정간격으로 고정홀이 형성된 길이조절대를 고정시키는 길이고정구를 관통하며 스프링으로 지지되고 핀이 설치되어 고정홀에 삽입되는 위치선정축으로 형성된 길이조절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고정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의 고정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방향조절장치에 대한 고정기어의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방향조절장치에 대한 조립상태도
도 7 은 본 고안의 길이조절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각도조절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도
도 9 는 본 고안의 각도조절장치 중 경사바와 유동구의 설치상태도
도 10 은 본 고안의 각도조절장치 중 경사바와 가이드대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장치 2 : 방향조절장치
3 : 각도조절장치 4 : 길이조절장치
5 : 경사바 6 : 길이조절대
6' : 고정홀 7, 7', 7' : 로울러
8, 8', 8' : 선 9 : 팔
9' : 부재 10 : 기둥
11 : 고정몸체 11' : 스넵링
12 : 스플라인축 12' : 나사부
13 : 고정구 14 : 받침봉
14', 18', 21', 43 : 스프링 15 : 기어판
15' : 스플라인기어 16 : 고정손잡이
17 : 걸림쇠 17': 연결축
18 : 스크류축 19 : 정지기어
19' : 톱니 20 : 고정기어
20' : 절개부 21 : 회전기어
22 : 안내봉 23 : 방향조절축
24 : 손잡이 30 : 연결대
31 : 각도조절축 32 : 각도조절스크류
33 : 유동구 34 : 지지축
35 : 각도안내봉 35' : 고정너트
36 : 육각축 36' : 육각너트
37 : 가이드대 40 : 길이고정구
41 : 위치선정축 42 : 핀
50 : 수술대 51 : 돌출부
본 고안은 수술대(50)에 견고하게 양측에서 고정시키며, 상측으로 돌출된 기둥(10)의 회전을 제어하는 고정장치(1)와,
상기 고정장치(1)의 기둥(10)에 삽입되어 있으며 경사지게 안내봉(22)이 설치되어 선(8)의 경사각도를 제어하는 방향조절장치(2)와,
상기 기둥(10)에서 연결대(30)로 연결되며, 기둥(10)의 상측에 연결된 경사바(5)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장치(3)와,
상기 경사바(5)의 내부에 삽입된 길이조절대(6)의 돌출길이를 제어하며, 원하는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길이조절장치(4)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장치(1)는 수술대(50)에 설치된 돌출부(51)에 고정몸체(11)의 상측이 위치하도록 하며, 하측의 걸림쇠(17)가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쇠(17)는 연결축(17')에 의하여 고정몸체(11)의 양측에 설치되며 하측의 고정손잡이(16)로 회전되는 스크류축(18)이 걸림쇠(17)를 통과하여 고정몸체(11)에 연결되고 스크류축(18)에는 스프링(18')이 삽입되어 걸림쇠(17)를 하측으로 밀어내도록 설치한다.
상기 고정몸체(11)의 중앙으로 삽입되는 기둥(10)은 스플라인기어(15')가 하측에 돌출되고 그 하측으로 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몸체(11)의 하측으로 설치된 받침봉(14)에는 스넵링(11')으로 더 이상의 하측이동이 제어되는 기어판(15)에 스플라인기어(15')가 설치되어 스플라인축(12)이 삽입되는 경우 기둥(10)의 회전을 방지하고, 고정몸체(14)에 고정된 고정기어(19)의 하측으로 톱니(19')가 설치되어 기어판(15)의 상측으로 돌출된 톱니(19')와 결합되어 있으며, 스프링(14')이 기어판(15)을 지지하고 있고 나사부(12')는 고정구(13)가 결합되어 기둥(10)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방향조절장치(2)는 기둥(10)이 관통되며 절개부(20')가 형성되어 기둥(10)에 설치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고정기어(20)와, 고정기어(20)와 맞물림되어 회전위치를 결정하며 안내봉(22)이 경사지게 관통하고 내부에 스프링(21')이 삽입되어 손잡이(24)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방향조절축(23)이 고정기어(20)에 결합되는 회전기어(21)로 구성된다.
각도조절장치(3)는 기둥(10)에 삽입되는 연결대(30)의 일측에서 각도조절손잡이(31')와 연결되어 상측으로 각도조절축(31)이 돌출되며 상측으로 각도조절스크류(32)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각도조절스크류(32)는 경사바(5)의 좌측 선단에서 지지축(34)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구(33)를 관통하여 경사바(5)의 각도를 조절한다.
상기 기둥(10)의 상측에 설치된 가이드대(37)의 양측으로 고정너트(35')로 고정되는 각도안내봉(35)이 돌출되어 경사바(5)를 지지하며, 각도안내봉(35)의 내부를 관통하는 육각축(36)과 육각너트(36')로 고정된다.
길이조절장치(4)는 경사바(5)의 선단에 안내대(5')가 설치되어 있으며, 경사바(5)의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홀(6')이 형성된 길이조절대(6)가 설치되고, 경사바(5)의 양측과 길이조절대(6)의 선단에는 하측으로 로울러(7, 7', 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울러(7')의 상측에는 하측으로 나사가 형성되어 길이조절대(6)를 고정시키는 길이고정구(40)가 설치되며, 길이고정구(40)를 관통하는 위치선정축(41)에는 핀(42)이 설치되어 고정홀(6')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고, 길이 고정구(40)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43)으로 하측방향에 힘이 작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고정몸체(11)의 일측에서 돌출부(51)의 상측에 걸리도록 하고, 하측에서 고정손잡이(16)를 회전시키면 스크류축(18)이 회전되면서 걸림쇠(17)가 상승하게 된다.
걸림쇠(17)가 상승하면서 도 4 와 같이 돌출부(51)의 하측에 걸리게 되며, 걸림쇠(17)가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고정몸체(11)를 돌출부(51)의 양측에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기둥(10)에 많은 힘이 작용되어도 회전되거나 고정상태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해제시키는 경우에는 고정손잡이(16)를 회전시켜 스크류축(18)이 고정몸체(11)에서 하강하면 스프링(18')의 탄성력으로 걸림쇠(17)가 연결축(17')을 축으로 하강하여 돌출부(51)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고정장치(1)를 수술대(50)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신체의 관절부위를 수술하기 위해서는 도 1 과 같이 안내봉(22)의 내부에 선(8)을 연결하고경사바(5)의 로울러(7')와 길이조절대(6)의 로울러(7')에 선(8, 8')을 각각 연결시킨다.
수술하는 부위가 팔(9)이나 다리인 경우에는 부재(9')를 이용하여 수술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붕대를 이용하여 감싼 후 각각의 선(8, 8', 8')을 연결시켜 수술자가 원하는 높이와 각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
기둥(10)을 회전시켜 경사바(5)의 위치를 결정한 후 도 3 과 같이 고정장치(1)의 고정구(13)를 회전시키면 나사부(12')와 결합되면서 기둥(1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스플라인축(12)이 스플라인기어(15')에 맞물려 고정되는 동시에 기어판(15)의 외측으로 형성된 톱니(19')가 고정기어(19)의 톱니(19)와 결합되므로 기둥(10)은 외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고정구(13)를 계속해서 회전시키게 되면 기어판(15)이 상승하게 되고, 고정구(13)를 역회전시키게 되면 기어판(15)이 스프링(14')의 탄성력으로 하강하게 되며 스넵링(11')에 걸려 더 이상은 하강할 수 없게 된다.
기둥(10)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선(8)을 이용하여 높이와 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도 6 과 같이 손잡이(24)를 회전시켜 방향조절축(23)이 절개부(20')의 외측에서 분리되도록 하면 기둥(10)에서 방향조절장치(2)가 자유롭게 상,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킨다.
이때 기둥(1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고정구(13)을 회전시켜 톱니(19')가 분리되도록 하면 기둥(10)의 회전을 정지시킬 힘이 제거된다.
방향조절장치(2)가 원하는 높이로 이동된 후에는 회전기어(21)를 회전시켜안내봉(22)이 원하는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손잡이(24)를 회전시켜 방향조절축(23)이 고정기어(20)에 결합되어 절개부(20')를 견고하게 조이는 동시에 고정기어(20)와 회전기어(21)의 결합부분에서의 회전을 방지하여 설정된 위치와 높이가 변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경사바(5)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2 와 같이 각도조절 손잡이(31')를 회전시켜 각도조절축(31)을 회전시키면 상측의 각도조절스크류(32)가 회전되면서 유동구(33)에서 상,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우측으로 회전시켜 유동구(33)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경사바(5)는 각도안내봉(35)을 축으로 상측으로 이동하고, 좌측으로 회전시켜 유동구(33)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경사바(5)는 각도안내봉(35)을 축으로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원하는 경사각도를 유지한다.
이때 유동구(33)는 도 8 과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지지축(34)에 의하여 경사바(5)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유동구(33)가 경사바(5)의 경사각도에 따라서 회전되면서 각도조절스크류(32)가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여 경사바(5)의 각도조절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경사바(5)를 지지하는 가이드대(37)에서는 양측에서 각도안내봉(35)이 삽입되어 경사바(5)의 각도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육각축(36)과 육각너트(36')를 통하여 양측으로 벌어짐이 없이 안정된 고정위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각도조절장치(3)를 통하여 경사바(5)의 경사각도를 설정한 후에는 길이조절장치(4)를 통하여 길이조절대(6)의 돌출길이를 제어하는 것으로
도 7 과 같이 길이고정구(40)를 회전시켜 길이조절대(6)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위치선정축(41)을 들어올려서 90도정도 회전시켜 길이고정구(40)의 상측에 핀(42)이 위치하도록 하면 길이조절대(6)를 경사바(5)에서 자유롭게 입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길이조절대(6)를 원하는 길이로 돌출시킨 후에는 길이고정구(40)를 조여서 더 이상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길이고정구(40)만으로는 조절된 길이조절대(6)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없으므로 위치선정축(41)을 잡아당겨 핀(42)이 길이 고정구(40)의 상측에 올려지도록 한 후 길이조절대(6)를 경사바(5)에서 원하는 만큼 돌출시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홀(6')이 위치선정축(41)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하고 위치선정축(41)의 핀(42)이 길이고정구(40)의 홈에 위치하면서 스프링(43)의 탄성으로 하강하게 되며 길이조절대(6)를 이동시켜 고정홀(6')과 일치되도록 한다.
그러면 위치선정축(41)이 고정홀(6')에 일치되면서 길이조절대(6)가 외력에 의하여 움직일 수 없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며, 길이고정구(40)로 다시 한번 회전시켜 길이조절대(6)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길이고정구(40)를 2단계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방향조절장치(2)와 각도조절장치(3) 및 길이조절장치(4)를 통하여 수술자가 원하는 높이와 위치를 조절하여 간편하게 수술할 수 있으며, 수술 중에도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수술대의 양측에서 고정몸체가 안정되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한번 고정된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둥이 간편하게 회전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회전이 편리하며, 원하는 위치에서 스플라인기어를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각도조절장치를 통하여 경사바의 경사각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경사바 내부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대가 길이조절장치를 통하여 정확하게 고정되고 고정된 상태의 변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1)

  1. 고정몸체(11)의 양측에서 스프링(18')이 지지되는 스크류축(18)이 연결축(17')에 연결된 걸림쇠(17)의 각도를 고정손잡이(16)로 조절하며 나사부(12')가 형성된 기둥(10)이 관통되어 하측의 스플라인축(12)이 결합되는 스플라인기어(15')와 고정기어(19)가 결합되는 톱니(19')가 형성된 기어판(15)이 고정기어(19)의 내부 스프링(14')으로 지지되며 스넵링(11')으로 고정되고 하측에서 고정구(13)로 고정되는 고정장치(1)와,
    상기 기둥(10)이 관통되며 절개부(20')가 형성된 고정기어(20)와 방향조절축(23)으로 연결되어 안내봉(22)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회전기어(21)로 형성된 방향조절장치(2)와,
    상기 기둥(10)에 연결된 연결대(30)에서 상측으로 각도조절스크류(32)가 형성된 각도조절축(31)이 경사바(5)에 설치된 유동구(33)를 관통하여 경사바(5)의 각도를 조절하며 기둥(10)의 상측 가이드대(37)에서 각도안내봉(35)에 경사바(5)가 지지되며 육각축(36)과 육각너트(36')로 설치되는 각도조절장치(3)와,
    상기 경사바(5)의 선단에서 일정간격으로 고정홀(6')이 형성된 길이조절대(6)를 고정시키는 길이고정구(40)를 관통하며 스프링(43)에 지지되고 핀(42)이 설치되어 고정홀(6')에 삽입되는 위치선정축(41)으로 형성된 길이조절장치(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수술용 위치고정장치.
KR2020010033333U 2001-10-31 2001-10-31 관절 수술용 위치 고정장치 KR200262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333U KR200262941Y1 (ko) 2001-10-31 2001-10-31 관절 수술용 위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333U KR200262941Y1 (ko) 2001-10-31 2001-10-31 관절 수술용 위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941Y1 true KR200262941Y1 (ko) 2002-03-18

Family

ID=7311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333U KR200262941Y1 (ko) 2001-10-31 2001-10-31 관절 수술용 위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94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448B1 (ko) 2016-11-29 2018-05-2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발목 관절경 수술용 발목관절 견인장치
KR101862797B1 (ko) * 2017-05-17 2018-05-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관절내시경용 중족지관절 견인장치
CN109730742A (zh) * 2019-03-07 2019-05-10 陈健 一种骨科手术专用骨科锯
KR20190001415U (ko) 2017-12-05 2019-06-13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하지거상기의 발고정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448B1 (ko) 2016-11-29 2018-05-2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발목 관절경 수술용 발목관절 견인장치
KR101862797B1 (ko) * 2017-05-17 2018-05-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관절내시경용 중족지관절 견인장치
KR20190001415U (ko) 2017-12-05 2019-06-13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하지거상기의 발고정구
CN109730742A (zh) * 2019-03-07 2019-05-10 陈健 一种骨科手术专用骨科锯
CN109730742B (zh) * 2019-03-07 2023-11-14 陈健 一种骨科手术专用骨科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0363A (en) Telescoping, sterile upright support assembly
US10660816B2 (en) Surgical support for providing knee torsion
US5174533A (en) Adjustable instrument mounting assembly
US7686267B2 (en) Operating table support clamp
US4971038A (en) Table mounted surgical retractor
US5582379A (en) Adjustable limb support system
US7753844B2 (en) Articulated retractor blade holder
US8696562B2 (en) Crank retractor handle
US5571072A (en) Dual-axis endoscope holder
CA2680422C (en) Accent light adjustable assembly
US4624245A (en) Hip displacement apparatus
US20120136215A1 (en) Adjustable Rail Clamp with Clamp Locking Device
US20020172549A1 (en) Cam-operated universal joint apparatus
US20030056293A1 (en) Ambulatory assist arm apparatus
JP2008506498A (ja) 骨伸延装置
JPH08509069A (ja) デモンストレーション及び/又はトレーニングに使用可能な機能要素
KR200262941Y1 (ko) 관절 수술용 위치 고정장치
EP3270861B1 (en) Device and method of stabilizing patient's limb
US4964748A (en) Positioning device
US20050272981A1 (en) Threaded fulcrum clamp
US20050059866A1 (en) Fulcrum wedge clamp
CN108720928A (zh) 一种用于医疗器械支架的转向调整连接结构
JP6906082B1 (ja) 内視鏡保持装置
US2371903A (en) Floodlight bracket
CN111729204A (zh) 一种烤灯支架及其烧伤科护理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