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928Y1 - 혈액 검사용 혈액병 - Google Patents

혈액 검사용 혈액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928Y1
KR200262928Y1 KR2020010031839U KR20010031839U KR200262928Y1 KR 200262928 Y1 KR200262928 Y1 KR 200262928Y1 KR 2020010031839 U KR2020010031839 U KR 2020010031839U KR 20010031839 U KR20010031839 U KR 20010031839U KR 200262928 Y1 KR200262928 Y1 KR 200262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wall
container body
bottle
blood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진
Priority to KR2020010031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9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928Y1/ko

Links

Landscapes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목적 : 본 고안은 혈액학적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채혈 및 분석 완료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 중에 채혈용 주사기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혈액 분석 시 혈액이 검사자의 손에 묻지 않게 하는 혈액 검사용 혈액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성 : 이 혈액 검사용 혈액병은, 채혈된 혈액의 분주 공간을 형성하며 걸림 돌기(9)를 구비한 용기체(1), 이 용기체가 결합되는 삽입부(7)를 서로 연결되는 내측벽(17)과 외측벽(19)의 2중 구조로 형성하고, 이 내측벽과 외측벽의 연결부로부터 용기체 측으로 함입된 위치의 내측벽에 판부(21)를 형성하고, 주사바늘의 삽입과 용기체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절개부(25)를 판부에 형성하며, 걸림 돌기가 걸리는 걸림홈(27)을 외측벽의 내주면에 형성하고, 내측벽의 외주에 탄성 돌기(29)를 형성한 고무재의 밀폐뚜껑(3)으로 구성되어 있다.
효과 : 이 혈액 검사용 혈액병은 판부와 절개부를 밀폐뚜껑의 상단에서 함몰진 위치에 형성하므로 채혈한 후 이 혈액병에 혈액을 담을 때 주사바늘의 삽입 저항을 줄여서 주사기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혈액이 담긴 이 혈액병을 분석기기의 검체 채취 바늘에 삽입할 때에도 삽입 저항을 줄여 혈액 검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며, 혈액 검사를 위한 채혈 및 검사과정에 있어 용기체 내의 압력을 배출시켜 압력 상승에 따른 혈액의 누설을 방지하고, 검사자가 혈액병의 밀폐뚜껑을 열거나 밀폐뚜껑에 손을 대어야 하는 불편함이 완전히 제거되어 검사자의 손에 혈액이 묻지 않게 하여 혈액에 의한 검사자의 오염 및 감염의 위험을 완전히 차단하여 위생적이고 안전한 혈액 검사 업무를 수행케 한다.

Description

혈액 검사용 혈액병 {complete blood count bottle}
본 고안은 혈액 검사용 혈액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로부터 채혈한 혈액의 분주(分駐)를 위한 주사기의 취급을 편리하게 하고, 혈액분석을 위하여 혈액병의 밀폐뚜껑을 열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며, 혈액병 내부에 담겨진 혈액의 누설을 차단하여 안전하고 위생적인 혈액 검사 업무를 수행케 하는 혈액 검사용 혈액병에 관한 것이다.
의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혈액 검사로 각종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많이 소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혈액 검사가 빈번히 요구되고 있다.
혈액 검사는 검사하려는 대상 질병에 따라 여러 가지 검사가 있으나 크게 생화학 검사, 면역 혈청검사, 혈액학 검사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 중에서 혈액학 검사는 빈번히 분석되고 있는 검사이다.
이러한 혈액 검사를 위하여 인체로부터 채혈된 혈액은 통상적으로 혈액 검사용 혈액병에 보관된다.
이 혈액 검사용 혈액병은 채혈된 혈액이 분주되는 용기체와 이 용기체의 상측 개구부에 밀폐 결합되어 용기체 내에 분주된 혈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혈액 검사용 혈액병은 밀폐뚜껑이 프라스틱재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주사기로 채혈한 혈액을 용기체에 분주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밀폐뚜껑을 열어야 하고, 만일 밀폐뚜껑을 열지 않고 주사 바늘로 밀폐뚜껑을 찌르게 되면 밀폐뚜껑의 특성 및 저항으로 인하여 주사바늘이 휘거나 부러지는 등 주사기의 취급을 어렵게 하며, 용기체 내의 압력 상승 시 분주된 혈액이 용기체와 밀폐뚜껑 사이를 통하여 외벽으로 누설되게 하고, 혈액 분석 시에도 밀폐뚜껑을 열고 혈액병에 분주된 혈액을 이용하여 분석케 하므로 외벽에 묻은 혈액과 밀폐뚜껑을 열 때 분주된 혈액이 검사자의 손에 묻게 하고, 밀폐뚜껑이 열린 상태에서 검사대 및 검사자를 오염시키며, 혈액학 검사는 혈액의 응고를 철저히 방지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항응고로서 EDTA염(ethylenediaminetertraaceticacid)을 사용하게 되는데 밀폐뚜껑을 열어야 하기 때문에 혈액병에 담겨 있던 EDTA염이 유출되는 경우가 있어 분주된 혈액이 응고되어 혈액학 검사를 불가능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들을 감안한 것으로서, 채혈한 혈액의 분주 및 혈액 검사를 위한 분석 시, 혈액병의 밀폐뚜껑을 열고 닫는 과정을 제거하여 채혈자 및 검사자의 손에 혈액이 묻지 않게 하고, 혈액병이 쓰러지거나 열인 밀폐뚜껑에 묻어있던 혈액이 검사대 또는 검사자를 오염시키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며, 항응고제(EDTA염)가 용기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혈액 응고에 의한 재채혈의 소지를 방지하고, 용기체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여 분주된 혈액의 누설이 방지되게 하는 혈액 검사용 혈액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혈액 검사용 혈액병은, 채혈된 혈액이 분주되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며 그 개구부의 외측에 걸림 돌기가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용기체,
이 용기체의 개구부가 결합되는 삽입부를 그 일측이 서로 연결되는 내측벽과 외측벽의 2중 구조로 형성하고, 이 내측벽과 외측벽의 연결부로부터 용기체 측으로 함입된 위치의 내측벽에 판부가 형성되며, 주사바늘의 삽입과 용기체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판부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용기체의 걸림 돌기가 걸리도록 외측벽의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며, 용기체의 개구부와 내측벽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내측벽의 외주에 탄성 돌기가 형성된 고무재의 밀폐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용기체의 개구부에 형성된 걸림 돌기는 밀폐뚜껑의 걸림홈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과 하면이 용기체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고, 그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그 외측이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판부에 형성된 절개부는 채혈된 혈액을 내장하고 있는 주사바늘의 삽입 및 분석기기의 검체 채취 바늘 삽입과 수작업에 의한 분석을 위한 모세관 등을 이용할 경우 모세관의 삽입 시, 삽입 저항을 저감시키며, 용기체 내에서 상승된 압력이 배출되게 한다. 이 절개부는 판부의 직경 방향 중심에서 서로 교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판부는 내측벽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내측벽은 그 하단이 외측벽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밀폐뚜껑을 바닥에 놓았을 때 판부나 내측벽의 하단에 묻은 혈액이 바닥에 묻지 않게 된다.
또, 밀폐뚜껑에서 내측벽의 탄성 돌기는 용기체의 개구부 내면을 향하여 반원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용기체와 결합 시, 용기체의 개구부 내주에 형성된 라운드의 안내를 받으며, 용기체의 개구부가 삽입되었을 때는 자체 탄성에 의하여 개구부의 내측면과 긴밀한 밀폐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밀폐뚜껑의 판부에 절개부를 구비하여 채혈한 혈액의분주를 위하여 그리고 혈액분석 시 분석기기의 검체 채취 바늘 삽입 및 모세관 등으로 밀폐뚜껑을 찌를 때 절개부가 주사바늘을 안내하면서 삽입 저항을 저감시켜 주어 주사기의 사용과 분석 검사자의 작업을 안전하게 하고, 이 절개부를 구비한 판부가 내, 외측벽의 연결부보다 용기체 측으로 함입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절개부에 묻은 혈액이 검사자의 손에 묻지 않게 되며, 용기체 내의 압력이 절개부로 배출됨에 따라 용기체 내의 압력 상승에 따른 혈액의 누설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위생적인 혈액 검사 업무를 수행케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혈액 검사용 혈액병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혈액 검사용 혈액병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혈액 검사용 혈액병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혈액 검사용 혈액병의 단면도.
도 6은 혈액 검사용 혈액병에 주사바늘을 꽂는 상태 단면도.
도 7은 혈액 검사용 혈액병에서 압력이 배출되는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체 3: 밀폐뚜껑
5 : 개구부 7 : 삽입부
17,19 : 내, 외측벽 21 : 판부
23 : 연결부 25 : 절개부
27 : 걸림홈 29 : 탄성 돌기
본 고안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혈액 검사용 혈액병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분해 단면도로서, 혈액 검사용 혈액병은 용기체(1)와 밀폐뚜껑(3)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용기체(1)는 채혈된 혈액이 분주되는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고, 혈액의 분주가 가능하도록 그 일측에 개구부(5)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개구부(5)는 밀폐뚜껑(3)의 삽입부(7)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그 외측에 걸림 돌기(9)를 형성하여 밀폐뚜껑(3)의 삽입부(7)와 견고하게 결합되게 한다. 이 걸림 돌기(9)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밀폐뚜껑(3)과 원주 방향이 선 접촉하여 용기체(1)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개구부(5)의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돌기(9)는 용기체(1)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면(11)과 하면(13)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상면(11)과 하면(13)은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5)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 돌기(9)의 대향 측 밀폐뚜껑(3)에는 걸림 돌기(9)에 대응할 수 있는 동일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돌기(9)에 대응하는 구조의 설명은 밀폐뚜껑(3)을 설명할 때 언급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용기체(1)의 개구부(5)에 결합되는 밀폐뚜껑(3)은 용기체 (1) 내에 분주되어 있는 혈액을 일시적으로 보관하여 혈액 검사 단계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이 밀폐뚜껑(3)은 상기 용기체(1)의 개구부(5)가 결합되는 삽입부(7)를 내측벽(17)과 외측벽(19)의 2중 구조의 고무재로 형성하고 있다. 이 내측벽(17)과 외측벽(19)은 용기체(1)의 반대측이 서로 연결되는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즉, 밀폐뚜껑(3)의 내측벽(17)과 외측벽(19)은 용기체(1)의 개구부(5)의 내면과 외면에 서로 밀착되어 2중으로 용기체(1) 내의 기밀 작용을 하게 된다.
이 내측벽(17)에는 용기체(1) 내부를 외부와 격리시켜 주는 판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판부(21)는 내측벽(17)과 외측벽(19)이 연결되는 밀폐뚜껑(3)의 상측(도면에서) 연결부(23)로부터 용기체(1) 측으로 함입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판부(21)는 채혈된 혈액을 용기체(1)내에 분주하거나 분주된 혈액의 사용을 위하여 주사바늘(미도시)을 꽂는 부분으로서 이 부분에 묻은 혈액이 검사자의 손에 묻지 않도록 밀폐뚜껑(3)의 상단 연결부(23)보다 상당히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판부(21)에는 절개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부(25)는 혈액의 분주및 분주된 혈액의 사용을 위하여 주사바늘을 판부(21)에 꽂을 때, 주사바늘의 삽입 방향으로 젖혀지면서 주사바늘의 삽입을 용이하게 안내하여 주사 바늘이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용기체(1) 내의 압력이 상승할 때 용기체(1) 내의 공기를 배출시킨다.
이러한 절개부(25)는 주사바늘의 삽입 저항을 저감시키고 용기체(1)의 압력을 배출시키도록 판부(21)에 직경 방향 중심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개부(25)는 직각으로 교차하는 +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직각이 아닌 다른 각도로 교차하거나 판부(21)의 직경 방향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교차하여도 상기와 같은 절개부(25)의 작용 효과를 가진다면 무방하다.
이 절개부(25)를 구비한 판부(21)는 상기한 내측벽(17)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내측벽(17)의 하단은 외측벽(19)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밀폐뚜껑(3)을 용기체(1)로부터 분리시켜 작업대에 놓더라도 판부(21)의 하면과 내측벽(17)의 하단에 묻은 혈액은 작업대에 묻지 않게 된다.
한편, 밀폐뚜껑(3)의 외측벽(19) 내주면에는 걸림홈(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27)은 상기에서 설명을 미뤄둔 부분으로서, 용기체(1)의 개구부(5)에 형성된 걸림 돌기(9)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 돌기(9)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걸림홈(27)은 용기체(1)의 개구부(5)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 하면(11,13)과 경사면(15)으로 형성된 걸림 돌기(9)에 대응하여, 외측벽(19)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밀폐뚜껑(3)의 내측벽(17) 외주면에는 탄성 돌기(29)가 형성되어 있다.이 탄성 돌기(29)는 용기체(1)의 개구부(5)와 내측벽(17)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내구부(5)의 내면을 향하는 반원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혈액 검사용 혈액병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체(1)의 개구부(5)를 밀폐뚜껑(3)의 삽입부(7)에 삽입함으로서 용기체(1)에 혈액을 분주할 수 있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용기체(1)의 걸림 돌기(9)는 밀폐뚜껑(3)의 걸림홈(27)에 결합되어 용기체(1)와 밀폐뚜껑(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밀폐뚜껑(3)의 내측벽(17)에 형성될 탄성 돌기(29)는 용기체(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용기체(1)에 분주되어 있는 혈액이 용기체(1)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용기체(1)에 혈액을 분주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31)을 절개부(25)에 삽입하면, 절개부(25)에 의하여 절개된 판부(21)는 가상선 상태(a)에서 실선 상태(b)로 변형되면서 주사바늘(31)의 삽입 저항을 저감시켜 주고 주사바늘(31)의 삽입을 안내한다.
도 6은 용기체(1) 내의 압력이 상승했을 때, 용기체(1)로부터 압력이 화살표 방향으로 분출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압력의 분출로 용기체(1)는 외부와 동일한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체(1)와 밀폐뚜껑(3) 사이로는 혈액이 누설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밀폐뚜껑의 판부에 절개부를 구비하여 채혈한 혈액의분주를 위하여, 그리고 혈액분석 시 분석기기의 검체 채취 바늘 삽입 및 모세관 등으로 밀폐뚜껑을 찌를 때 절개부가 주사바늘을 안내하면서 삽입 저항을 저감시켜 주어, 상기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밀폐뚜껑을 열어야 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채혈 주사기의 사용과 분석시 검사자의 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하며, 이 절개부를 구비한 판부가 내, 외측벽의 연결부보다 용기체 측으로 함입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절개부에 묻은 혈액이 검사자의 손에 묻지 않게 되며, 용기체 내의 압력이 절개부로 배출됨에 따라 용기체 내의 압력 상승에 따른 혈액의 누설을 방지하므로, 판부가 밀폐뚜껑의 상단을 형성하고 용기체를 완전히 밀폐시키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보다 더 위생적인 혈액 검사 업무의 수행을 가능케 한다.

Claims (6)

  1. 채혈된 혈액이 분주되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그 개구부(5)의 외측에 걸림 돌기(9)가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용기체(1),
    상기 용기체(1)의 개구부(5)가 결합되는 삽입부(7)를 그 일측이 서로 연결되는 내측벽(17)과 외측벽(19)의 2중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내측벽(17)과 외측벽(19)의 연결부(23)로부터 상기 용기체(1) 측으로 함입된 위치의 상기 내측벽(17)에 판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주사바늘의 삽입과 용기체(1)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판부(21)에 절개부(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체(1)의 걸림 돌기(9)가 걸리도록 상기 외측벽(19)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걸림홈(2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체(1)의 개구부(5)와 상기 내측벽(17)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내측벽(17)의 외주에 탄성 돌기(29)가 형성되어 있는 고무재의 밀폐뚜껑(3)을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혈액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9)는 상기 밀폐뚜껑(3)의 걸림홈(27)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혈액병.
  3. 제 1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9)는 상면(11)과 하면(13)이 상기 용기체(1)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면(11)에서 상기 하면(13)으로 갈수록 그 외측이 넓어지는 경사면(15)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혈액 검사용 혈액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25)는 주사바늘의 삽입 저항을 저감시키고 상기 용기체(1) 내에서 상승된 압력을 배출시키도록 상기 판부(21)의 직경 방향 중심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혈액병.
  5. 제 1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21)는 상기 내측벽(17)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17)은 그 하단이 상기 외측벽(19)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혈액병.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기(29)는 상기 용기체(1)의 개구부(5) 내면을 향하여 반원형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혈액병.
KR2020010031839U 2001-10-18 2001-10-18 혈액 검사용 혈액병 KR200262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839U KR200262928Y1 (ko) 2001-10-18 2001-10-18 혈액 검사용 혈액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839U KR200262928Y1 (ko) 2001-10-18 2001-10-18 혈액 검사용 혈액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928Y1 true KR200262928Y1 (ko) 2002-03-18

Family

ID=7305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839U KR200262928Y1 (ko) 2001-10-18 2001-10-18 혈액 검사용 혈액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9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494Y1 (ko) 2009-09-21 2010-01-26 박정규 시료채취용 용기
KR20190133321A (ko) * 2018-05-23 2019-12-03 서정원 진단용 생리컵 키트
KR102574845B1 (ko) * 2023-03-03 2023-09-06 (주) 메이플엘에스 시료 보관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494Y1 (ko) 2009-09-21 2010-01-26 박정규 시료채취용 용기
KR20190133321A (ko) * 2018-05-23 2019-12-03 서정원 진단용 생리컵 키트
KR102093468B1 (ko) * 2018-05-23 2020-03-25 서정원 진단용 생리컵 키트
KR102574845B1 (ko) * 2023-03-03 2023-09-06 (주) 메이플엘에스 시료 보관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2704B2 (en) Specim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JP3077799U (ja) ボール・ソケット形クロージャ
JP5199398B2 (ja) 毛管作用採集装置および容器アセンブリ
US5202093A (en) Sealing cap with a one way valve having semi-cylindrical valve closure springs
US5169602A (en) Resealable conduit and method
US20060039833A1 (en) Biological specimen collection, transportation, and dispensing system
US8268634B2 (en) Fluid sample collecting and analyzing apparatus and method
US9089841B2 (en) Method of sampling specimen, test method and dropping pipette and specimen sampler to be used therein
US20070025886A1 (en) Biological specimen collection, transportation, and dispensing system
JPH02284652A (ja) 分析用試験管の封止栓
WO2020044722A1 (ja) 血液採取器具
WO20010018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blood samples
KR200262928Y1 (ko) 혈액 검사용 혈액병
CA2125811A1 (en) Perforable cap for a biological specimen container
US6221307B1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JP2001159630A (ja) 血液採取用容器
JPH06241962A (ja) 採血管
AU2014265050A1 (en) Specim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JPH07256122A (ja) ピペッター用チ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