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683Y1 - 음향기기용 음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음향기기용 음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683Y1
KR200262683Y1 KR2020010002165U KR20010002165U KR200262683Y1 KR 200262683 Y1 KR200262683 Y1 KR 200262683Y1 KR 2020010002165 U KR2020010002165 U KR 2020010002165U KR 20010002165 U KR20010002165 U KR 20010002165U KR 200262683 Y1 KR200262683 Y1 KR 200262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or
receiver body
speaker unit
sound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순환
Original Assignee
배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환 filed Critical 배순환
Priority to KR2020010002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6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68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음향기기에서 방출되는 음성신호를 개인이 들을수 있도록 설치되는 음향기기용 음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이는 특히, 스피커유니트가 설치되는 수신기몸체와 상기 수신기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토록 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수신장치인 헤드폰 및 이어폰을 각각 적용토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음향기기용 음 수신장치{A sound receiving unit for acoustic equipment}
본 고안은 음향기기에서 방출되는 음성신호를 개인이 들을수 있도록 설치되는 음향기기용 음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이는 특히, 스피커유니트가 설치되는 수신기몸체와 상기 수신기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결합 및 분리 가능토록 설치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수신장치인 헤드폰및 이어폰을 자유롭게 선택,사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음 수신장치는(통상 이어폰,혹은 헤드폰이라 칭함) 수신기몸체의 내측에 스피커유니트가 내재되고 외측 일부에 탄성커버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그 수신장치를 사용할 때 그 탄성커버가 귀에 밀착되어 음의 누설을 방지함은 물론 착용감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음 수신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기 몸체(20)의 내측에 스피커유니트(30)가 장착되고, 상기 수신기 몸체(20)의 외측에 탄성커버(40)가 장착되며, 상기 스피커유니트(30)에 전원을 공급토록 수신기 몸체(20)의 일측으로 케이블(50)이 삽입되어 스피커유니트(30)의 전원 입력 단자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음 수신장치는, 수신기 몸체(20)를 사용자의 양쪽 귀에 장착하면 수신기 몸체(20)가 사용자의 양쪽 귀에 밀착 지지케 되고, 이때 상기 수신기 본체(2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탄성커버(40)가 귀에 밀착되어 음의 누설을 방지하는 한편 착용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연속하여 상기 케이블(50)의 잭을 음향기기에 연결하여 이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신호가 스피커유니트(30)를 동작시켜 청취자가 음을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 수신장치는, 수신기몸체(20)와 케이블(50)이 고정되어 연결된 일체형이므로 "간편하게 휴대해야 하는 이어폰"이나 "일정 장소에 보관하여 사용하는 헤드폰"등의 수신기를 각각 사용하고자 할 때 그 호환 사용이 불가능 할 뿐만 아니라 수신기몸체(20)에 케이블(50)이 항시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한 보관상의 불편함, 그리고 수신기몸체(20)와 케이블(50) 고정부 사이의 잦은 기계적 부하로 인한 피로, 스피커유니트 내부의 미세한 보이스코일의 단선 등으로 인해 수신기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아울러 경제적인 손실 또한 간과할 수 없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수신기몸체와 케이블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케 하여 휴대와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별도로 준비하여야 하는 이어폰과 헤드폰을 케이블의 교체 연결만으로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케 하며, 또 케이블의 피로에 의한 단선과 스피커유니트 내부 보이스코일의 단선 또는 접속불량으로 인한 신호공급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 케이블과 수신기몸체 양쪽 가운데 하나만을 교환하여 불필요한 비용의 절감과 자원의 낭비를 줄이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음 수신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2a,b는 본 고안에 따라 완성된 음향기기용 음 수신장치를 도시한 외관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신기몸체와 케이블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부품결합도
도4a,b는 수신기몸체와 케이블의 접속상태를 본 고안과 청구2항을 예로서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수신기 본체
30:스피커유니커
40:탄성커버
50:케이블
150:케이블연결구
150a:밀착편
150b:호형상의 밀착홀
150c:전극판
150d:구형상의 컨넥터
150e:컨넥터의 전극 150f:스프링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내측에 스피커유니트가 장착되며, 외부에 탄성커버가 부착되고, 저부에 케이블 연결구가 장착되는 수신기 몸체와, 상기 케이블 연결구에 접속용컨넥터를 통하여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향기기용 음수신장치를 마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a,b는 본 고안에 의해 각각 이어폰과 헤드폰으로 사용되는 음향기기용 음 수신장치를 도시한 외관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신기몸체와 케이블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부품별 결합도이며,도4a,b는 수신기몸체와 케이블의 접속상태를 본 고안과 청구2항을 예로 단면 도시한 것으로써 본 고안은, 수신기몸체(100)와 이에 연결되는 케이블(200)로써 이루어 진다.
도4의a에서 상기 수신기몸체(100)는, 일측에 유니트장착홀(120)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측에 스피커유니트(130)가 장착되며, 상기 스피커유니트(130)의 일측에 탄성커버(140)가 밀착되고, 상기 스피커유니트(130)와 접속용컨넥터를 연결하는 케이블연결구(150)가 연결구 고정홈(160)에 삽입되며, 상기 케이블 연결구(150)의 내측에 접속홀(220)과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도4의b에서 케이블연결구(150)내측에는, 양측에 대칭 형성되면서 연결구의 내측에 삽입되는 밀착편(150a)이 설치되고, 상기 밀착편(150a)의 내측에 호형상의 밀착홀(150b)이 형성되어 그 내외측에 전기적인 접속과 분리를 위한 전극판(150c)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밀착편(150a)의 전방부와 케이블 연결구 사이에는 스프링(150f)을 개재시켜 구형상의 컨넥터(150d)가 용이하게 삽입,혹은 탈착되게 함과 동시에 구형상의 컨넥터(150d)가 삽입 후 힌지 형태로 결합할 경우,외부의 힘에 의해 수신기몸체와 케이블이 분리되는 것을 일정 부분 방지케 된다.
도4의b와 같은 형태에서 수신기몸체에 연결되는 케이블(200)의 한쪽 끝은 음향기기(미도시)와 연결되고 다른 끝은 구형상의 콘넥터의(150d)형태를 갖추어 상기 밀착편(150a)과 전기적으로 연결,혹은 분리되는데
이때,도4의b(정면도)에서 보듯 밀착편의 입구에는 돌기를 형성해주어 삽입 후 임의로 회전시켜, 힌지 형태로 결합된 구형상의 컨넥터(150d)와 밀착편(150a)이 사용 중 분리되는 일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구형상의 컨넥터(150d) 양 측면에는 밀착편(150a)전극과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할 만큼 일정 부분 단자판(150e)을 형성시켜 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니트장착홀(120)의 내측에 스피커유니트(130)를 장착하여 고정한 후 상기 스피커유니트(130)의 일측에 탄성커버(140)를 장착한다.
상기 수신기 몸체(100)는, 일반적인 헤드폰이나 이어폰과 동일하며, 상기 헤드폰과 이어폰으로 구성되는 수신기몸체(100)와 케이블(200)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토록 하여 미사용시 케이블(200)의 엉킴등을 사전에 방지토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200)이 수신기몸체(100)에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해짐에 따라 종래 음수신장치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던 '보이스코일의 단선 및 접촉불량'과 '피로에 의한 케이블 단락' 처럼 무조건 제품을 폐기해야만 하던 문제가 부품교환, 즉 음수신장치나 케이블 가운데 하나만을 교환하여 재사용하는 형태로 바뀌게 되어 통상 3개월에서 6개월로 제한되던 제품수명이 몇배 연장,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음은 물론 석유화학 재료의 폐기를 대폭 줄여 환경보호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4의b에서 밀착편(150a)안에 위치한 케이블의 끝 부분인 구형상의 컨넥터(150d)는 힌지 형태로 자유로이 회전하여 전단에 의한 단락, 피로에 의한 케이블의 손상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케이블(200)이 용이하게 분리됨에 따라 수신기몸체(100)를 이어폰에서 헤드폰으로, 혹은 헤드폰에서 이어폰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특히 음악 애호가들의 기호에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있으며 국제적으로도 그 시장 가치가 높다 하겠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향기기용 음수신장치에 의하면, 수신기몸체와 케이블의 분리및 결합이 가능하여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고,별도로 준비된 이어폰과 헤드폰을 동일한 케이블로 교체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각각의 음질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으며,
케이블의 피로에 의해 신호의 공급이 불량한 경우에는 케이블만 교환하고, 스피커유니트 내부의 보이스코일의 단선 혹은 납땜 부분의 이상으로 음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음수신기 부분만을 교환하는 형태가 되어 음수신장치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연장시킬 수가 있다.
상기한바와 같이 제품의 수명이 획기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가 줄고 아울러 그에 따른 각종 산업폐기물(고무,화학접착제,사출물,플라스틱,동선,도금처리된 금속)에 의한 환경문제에도 큰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5)

  1. 유니트장착홀(120)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측에 스피커유니트(130)가 장착되며, 상기 스피커유니트의 일측에 탄성커버(140)가 밀착되며, 상기 스피커유니트와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 수신장치에 있어서,
    수신기몸체(100),혹은 케이블연결구(150)에 o-ring이 내재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홈을 형성하고 케이블(200)의 한쪽 끝인 접속용컨넥트(230)에 그 홈에 맞는 o-ring을 끼워 결합시키거나 반대로 케이블(200)의 한쪽 끝인 접속용컨넥트(230)에 O-ring이 내재 될 수 있는 일정 크기의 홈을 형성하고 수신기몸체(100),혹은 케이블 연결구(150)에 o-ring을 끼워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용 음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연결구(150)내측에 호형상의 밀착홀(150b)을 갖는 밀착편(150a)이 설치되고, 상기 밀착편(150a)의 내측면에는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한 전극판(150c)을, 바깥쪽에는 구형상을 가진 컨넥트(150d)와의 힌지결합을 효과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스프링(150f)이 내재된 형태를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용 음수신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010002165U 2001-01-30 2001-01-30 음향기기용 음 수신장치 KR200262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165U KR200262683Y1 (ko) 2001-01-30 2001-01-30 음향기기용 음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165U KR200262683Y1 (ko) 2001-01-30 2001-01-30 음향기기용 음 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683Y1 true KR200262683Y1 (ko) 2002-03-18

Family

ID=7306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165U KR200262683Y1 (ko) 2001-01-30 2001-01-30 음향기기용 음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6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8808B2 (en) Earphone capable of adapting to different audio output sockets
US9723394B2 (en) Headphone clasping device and method
US20210368253A1 (en) Neck-strap type earphone
KR101113592B1 (ko) 이어폰 잭
JP5895403B2 (ja) 被充電機器及び電子機器セット
JP2005063869A (ja) スイッチ付入出力プラグ
PL1810548T3 (pl) Zespół złącza do połączenia muszli słuchawkowej aparatu słuchawkowego z zausznikiem okularów
US20230111906A1 (en) Earphone Housing and Earphone
US11630332B2 (en) Magnetic bluetooth eyeglasses
CN210629797U (zh) 蓝牙耳机套件
KR200262683Y1 (ko) 음향기기용 음 수신장치
JP3909051B2 (ja) 接続ブッシュを備えるワイヤレスヘッドホン
CN209948729U (zh) 无线耳机的充电配合定位装置
CN112019965A (zh) 一种转接系统及方法
CN213485139U (zh) 一种通过磁铁吸附实现主机可分离式结构的独立智能耳机
CN115119093A (zh) 具可拆卸式外接式配件的耳机
JP2013009062A (ja) ヘッドホンの電池ケースおよびそれを備えたヘッドホン
CN205610873U (zh) 一种多功能蓝牙耳机
CN218499245U (zh) 耳机组件
KR20010098100A (ko) 삽입형 이어-마이크로폰
KR20160033490A (ko)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 방식 액세서리 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CN210093457U (zh) 一种头戴耳机
CN216599996U (zh) 一种双模式中控蓝牙耳机
CN218920590U (zh) 一种便于更换电池的蓝牙耳机
CN215529303U (zh) 一种佩戴舒适的助听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