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185Y1 - 저수조가 일체로 형성된 세면대 - Google Patents

저수조가 일체로 형성된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185Y1
KR200262185Y1 KR2020010029499U KR20010029499U KR200262185Y1 KR 200262185 Y1 KR200262185 Y1 KR 200262185Y1 KR 2020010029499 U KR2020010029499 U KR 2020010029499U KR 20010029499 U KR20010029499 U KR 20010029499U KR 200262185 Y1 KR200262185 Y1 KR 200262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e
sink
storage space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원
Original Assignee
장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원 filed Critical 장대원
Priority to KR2020010029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1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185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수조가 일체로 형성된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면에 배수공(12)이 형성된 요홈부(11) 및 비누안착홈(13), 수전의 결합을 위한 설치공(14)이 형성된 통상의 세면대 본체(1)에 있어서, 세면대 본체(1)의 저부에 형성되고 중앙에 결합공(25)이 형성된 격벽(26)에 의해 분리되어 각각의 저장공간부(21)(21')가 마련된 저수조(2)를 일체로 형성하는 한편, 저장공간부(2)의 일면 상측에 과도하게 공급된 용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공(23) 및 타측면 상,하측에 저장공간부(21)(21')에 저장된 물을 인출 사용하기 위한 인출공(22)(22')을 형성하여 주되, 배수공(12)의 저부에 안내관(24)을 결합하여 요홈부(11)의 물이 배수공(12)을 통해 저수조(2)의 저장공간부(2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격벽(27)의 결합공(25)에 부구(26)가 결합된 첵크밸브(V1)를 결합하여 저장공간부(21')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된 구조이다.
본 고안은 세면대의 기본적인 구조를 그대로 갖추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세면대의 저부에 세면대에서 기 사용된 물을 일시 저장하여 이를 양변기의 세정용 용수로 용이하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저수조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불편함이 없이 가정 및 영업소 등에서 소요되는 물소비를 자연스럽게 줄일 수 있도록 하여 물사용에 따르는 경제적인 비용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저수조가 일체로 형성된 세면대{A Washbowl attaching to water tank}
본 고안은 저수조가 일체로 형성된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세면후 세면대의 물을 즉시 하수구로 배출시키지 아니하고 이를 세면대의 저부에 이와 일체로 형성된 저수조의 저장공간부에 일시 저장하여 저장된 물을 양변기의 용수 또는 각종 재활용 용수로 용이하게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내에 양변기와 세면대가 가까운 위치에 동시에 설치되어 있는 가정이 많다.
물론, 이러한 경우 세면대에 공급되는 물과 양변기에 공급되는 물을 각각 달리 공급하게 되며 그밖에 화초에 물을 주거나 정원에 물을 주게 되는 경우 그에 따르는 물의 소모량이 많다.
특히, 세면대의 경우에는 사용 후 저부에 결합된 U트랩을 거처 하수구로 그대로 배출되어지게 되고 또 사용중 수전을 계속 틀어놓고 사용하게 되는 경우 세면에 필요한 량 이상으로 소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러한 불필요한 물사용은 결과적으로 사용료지불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고안은 특히, 세면후 세면대의 물을 즉시 하수구로 배출시키지 아니하고이를 세면대의 저부에 이와 일체로 형성된 저수조의 저장공간부에 일시 저장하여 저장된 물을 양변기의 용수 또는 각종 재활용 용수로 용이하게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상면에 배수공이 형성된 요홈부 및 비누안착홈, 수전의 결합을 위한 설치공이 형성된 통상의 세면대 본체에 있어서, 세면대 본체의 저부에 형성되고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된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각각의 저장공간부가 마련된 저수조를 일체로 형성하는 한편, 저장공간부의 일면 상측에 과도하게 공급된 용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공 및 타측면 상,하측에 저장공간부에 저장된 물을 인출 사용하기 위한 인출공을 형성하여 주되, 배수공의 저부에 안내관을 결합하여 요홈부의 물이 배수공을 통해 저수조의 저장공간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격벽의 결합공에 부구가 결합된 첵크밸브를 결합하여 저장공간부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1 : 요홈부
12 : 배수공 13 : 비누안착홈
14 : 설치공 2 : 저수조
21 : 저장공간부 22,22' : 인출공
23 : 배출공 24 : 안내관
25 : 결합공 26 : 부구
V1,V2,V3 : 첵크밸브
본 고안은 상면에 배수공(12)이 형성된 요홈부(11) 및 비누안착홈(13), 수전의 결합을 위한 설치공(14)이 형성된 통상의 세면대 본체(1)에 있어서, 세면대 본체(1)의 저부에 형성되고 중앙에 결합공(25)이 형성된 격벽(26)에 의해 분리되어 각각의 저장공간부(21)(21')가 마련된 저수조(2)를 일체로 형성하는 한편, 저장공간부(2)의 일면 상측에 과도하게 공급된 용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공(23) 및 타측면 상,하측에 저장공간부(21)(21')에 저장된 물을 인출 사용하기 위한인출공(22)(22')을 형성하여 주되, 배수공(12)의 저부에 안내관(24)을 결합하여 요홈부(11)의 물이 배수공(12)을 통해 저수조(2)의 저장공간부(2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격벽(27)의 결합공(25)에 부구(26)가 결합된 첵크밸브(V1)를 결합하여 저장공간부(21')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된 구조이다.
본 고안 세면대 본체(1)는 수전설치를 위한 설치공(14) 및 상기 수전으로부터 공급한 물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요홈부(11) 그리고 비누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한 비누안착홈(13) 등의 구성은 종래와 같이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다만 본 고안은 종래 물저장기능이 결여된 세면대 본체(1)에 세면 후 사용된 물을 양변기의 세정용 용수 또는 각종 재활용 용수로 용이하게 재사용하기 위한 저장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양변기에 공급되는 용수와 세면대 본체(1)에서 사용되는 물의 공급라인을 서로 달리하고 있는 것에서 비롯된 불필요한 물소비를 줄여주기 위해 세면대 본체(1)에서 1차로 사용된 물전체를 하수구로 배출시키지 아니하고 필요한 량을 저수조(2)의 저장공간부(21)에 일시 저장하여 양변기의 세정용 용수로 용이하게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저장공간부(21)의 저부에 격벽(27)으로 분리된 또 다른 저장공간부(21')에 물을 저장하여 이를 화초에 주는 물이나 정원의 뿌려주는 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평상시와 같이 세면대 본체(1)의 배수공(12)을 도시되지 않은 마개로 막은 뒤 요홈부(11)에 물을 채워 넣은 상태에서 세면하거나 수전을 통해 배출되는 물로 즉시 세면토록 하며 이때 사용된 물 즉, 허드레물은 마개의 개방 내지는 그 즉시 배수공(12)의 저부에 결합된 안내관(24)을 통해 저수조(2)의 저장공간부(21)내로 유입되게 된다.
물론 이와같이 유입된 물은 저수조(2) 일측에 형성된 인출공(22)을 통해 첵크밸브(V2)와 호스로 연결된 양변기의 급수조로 공급되며 급수가 어느정도 이루어지게 되면 급수조 내측에 설치된 부구에 작동에 의해 물의 유입이 자연스럽게 차단되어 양변기 세정에 필요로 하는 물이 보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양변기의 급수조에 물이 만충되어 양변기세정에 필요한 물공급을 완료되게 되면 안내관(24)을 통해 저수조(2)의 저장공간부(21)로 공급된 물의 수위가 점점상승 되는데 이때 한정된 내용적을 갖는 저수조(2)는 세면대 본체(1)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용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저수조(2)의 일측 배출공(23)을 통해 기준수위 이상으로 유입된 물을 자연스럽게 하수구로 방출시켜 주어 저장조(2)의 저장공간부(21) 내측에는 양변기 세정에 필요한 1회 사용할 만큼의 물만을 항시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양변기 사용 후 급수조의 물을 배출시키게 되면 다시 저장조(2)의 저장공간부(21) 내측에 일시 수용된 물이 양변기의 급수조로 신속히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저수조(2)는 격벽에 의해 분리된 또 다른 저장공간부(21')가 마련되어 상부에 마련된 저장공간부(21)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된 허드렛물을 각종 용도로 사용하게 되는 바, 격벽(27)의 결합공(25)에 결합된 첵크밸브(V1)를 통해 공급된 물이 저부 저장공간부(21')로 유입되어 그 물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게 되면 첵크밸브(V1)에 결합된 부구(26)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첵크밸브(V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유입을 자동적으로 차단시켜 주게 된다.
물론, 사용을 위해 일측 인출공(22')에 결합된 첵크밸브(V3)를 통해 물을 필요한 사용처로 인출하게 되면 저장공간부(21')수위가 점점 낮아지게 됨과 동시에 부구(26)도 자체적인 무게에 의해 동시에 하강하게 되어 밀폐상태의 첵크밸브(V1)가 자동적으로 개방됨으로서 저장공간부(21')에 재사용을 위한 허드렛물이 자연스럽게 보충되는 것이다.
따라서 재사용이 가능한 허드레물을 종래와 같이 하수구로 곧바로 배출시키지 아니하고 이를 양변기 세정용 용수 또는 각종 재활용 용수로 용이하게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세면대 본체(1)에 저장조(2)를 일체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양변기 세정에 사용되는 용수 또는 각종 재활용을 위한 용수로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세면대의 기본적인 구조를 그대로 갖추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세면대의 저부에 세면대에서 기 사용된 물을 일시 저장하여 이를 양변기의 세정용 용수로 용이하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저수조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불편함이 없이 가정 및 영업소 등에서 소요되는 물소비를 자연스럽게 줄일 수 있도록 하여 물사용에 따르는 경제적인 비용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본 고안은 상면에 배수공(12)이 형성된 요홈부(11) 및 비누안착홈(13), 수전의 결합을 위한 설치공(14)이 형성된 통상의 세면대 본체(1)에 있어서, 세면대 본체(1)의 저부에 형성되고 중앙에 결합공(25)이 형성된 격벽(26)에 의해 분리되어 각각의 저장공간부(21)(21')가 마련된 저수조(2)를 일체로 형성하는 한편, 저장공간부(2)의 일면 상측에 과도하게 공급된 용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공(23) 및 타측면 상,하측에 저장공간부(21)(21')에 저장된 물을 인출 사용하기 위한 인출공(22)(22')을 형성하여 주되, 배수공(12)의 저부에 안내관(24)을 결합하여 요홈부(11)의 물이 배수공(12)을 통해 저수조(2)의 저장공간부(2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격벽(27)의 결합공(25)에 부구(26)가 결합된 첵크밸브(V1)를 결합하여 저장공간부(21')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가 일체로 형성된 세면대.
KR2020010029499U 2001-09-25 2001-09-25 저수조가 일체로 형성된 세면대 KR200262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499U KR200262185Y1 (ko) 2001-09-25 2001-09-25 저수조가 일체로 형성된 세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499U KR200262185Y1 (ko) 2001-09-25 2001-09-25 저수조가 일체로 형성된 세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185Y1 true KR200262185Y1 (ko) 2002-03-18

Family

ID=7306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499U KR200262185Y1 (ko) 2001-09-25 2001-09-25 저수조가 일체로 형성된 세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1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487B1 (ko) 양변기용 세면 수 재활용 장치
KR200262185Y1 (ko) 저수조가 일체로 형성된 세면대
KR100225966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100778173B1 (ko) 건축물 화장실에서 수압을 이용한 수세식 변기 세정수공급 장치
WO2004061244A1 (en) Water saving system
JPH11140939A (ja) 再利用水を使用する便器の洗浄システム
CN201131684Y (zh) 节水型洗漱台
KR200281573Y1 (ko) 수세식 변기의 재활용 절수구조
KR20000027953A (ko) 세면대의 오수 재활용 장치
KR200286094Y1 (ko)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장치
KR200250199Y1 (ko) 세면수 재활용 변기
KR200247255Y1 (ko) 세면기의 허드렛물을 세척수로 사용하는 양변기
KR200150862Y1 (ko) 중수도를 이용하는 절수형 변기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487843Y1 (ko) 수전매립형 다목적 급수부 선반
KR960006897Y1 (ko) 변기와 일체로 된 세면기
KR100622050B1 (ko) 세면대
KR200179569Y1 (ko) 절수형 변기
KR200280007Y1 (ko) 중수 재활용 장치
KR19990086249A (ko) 수세식변기용 재활용수 저장탱크
RU1813854C (ru) Система водоснабжени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
KR200167237Y1 (ko) 절수용 변기
KR100218648B1 (ko) 수세식 변기
KR200246741Y1 (ko) 수세식 변기용 절수장치
UA142815U (uk) Бачок компакта для економії вод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