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691Y1 - 아령 - Google Patents

아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691Y1
KR200261691Y1 KR2020010025161U KR20010025161U KR200261691Y1 KR 200261691 Y1 KR200261691 Y1 KR 200261691Y1 KR 2020010025161 U KR2020010025161 U KR 2020010025161U KR 20010025161 U KR20010025161 U KR 20010025161U KR 200261691 Y1 KR200261691 Y1 KR 200261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bbell
fixing band
heel
foo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식
Original Assignee
조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식 filed Critical 조광식
Priority to KR2020010025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6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691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령에 발등고정용 밴드와 발뒤꿈치고정용 밴드를 구성하여 발등과 발뒤꿈치에 고정하여 하체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한 아령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의 양단에 웨이트링이 설치되어 있고, 그 웨이트링과 손잡이를 매달아 지지하는 발등고정용 밴드가 구비된 아령에 있어서, 발뒤꿈치고정용 밴드를 발등고정용 밴드의 반대편에 설치하여 구성하여 하체운동까지 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령{Dumbbell}
본 고안은 상체운동과 하체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한 아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령에 발등고정용 밴드와 발뒤꿈치고정용 밴드를 설치하여 발등과 발뒤꿈치에 고정하여 하체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한 아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령은 팔운동을 하기 위한 것으로,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봉형태의 손잡이(20) 양단에 원반형의 웨이트링(22)(24)이 설치된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아령은 손으로 밖에는 잡을 수 없었기 때문에 팔 또는 상체운동만 가능하였다. 그러므로, 하체운동을 위해서는 다른 운동기구를 이용해야하는 경제적인 부담과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아령을 발에 걸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체운동을 할 수 있고, 발뒤꿈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하체운동시 아령을 보다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아령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손잡이의 양단에 웨이트링이 설치되어 있고, 그 웨이트링과 손잡이를 매달아 지지하는 발등고정용 밴드가 구비된 아령에 있어서, 발뒤꿈치고정용 밴드를 발등고정용 밴드의 반대편에 구성하여 아령을 발에 끼우고 아령이 이탈이 되지 않도록 하는 아령을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가 있는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아령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령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아령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아령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아령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아령의 구조를 보인 도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아령의 구조를 보인 도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아령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아령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아령의 구조를 보인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0 : 손잡이 32,34 : 웨이트링
40 : 발등고정용 밴드 40a : 발등접촉면
42,44,52,54 : 고정링 50 : 발뒤꿈치고정용 밴드
56 : 탄성신축부 60 : 완충재
상기한 기술적과제는 아령의 웨이트링 또는 손잡이에 발등 고정용 밴드를 마련하여 아령에 발을 끼울 수 있도록 하여 아령으로서 하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부가하여 운동 시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는 발로부터 아령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등 고정용 밴드의 반대편에 발뒤꿈치 고정용 밴드를 아령의 웨이트링 또는 손잡이에 구성하므로써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아령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환봉형태의 손잡이(30) 양단에 원반형의 웨이트링(32)(34)이 구성되어 있고, 그 손잡이(30)의 양단으로 발등고정용 밴드(40)의 양단이 끼워져서 고정된다.
즉, 손잡이(30)의 양단에 턱(30a)(30b)을 형성하고, 발등고정용 밴드(40)의 양단에는 손잡이(30)의 양단으로 끼우기 위한 원판형의 고정링(42)(44)을 형성하여 발등고정용 밴드(40)를 활처럼 구부린 다음 그 양단의 고정링(42)(44)을 손잡이(30)의 양단에 끼우게 되면, 이 고정링(42)(44)의 측면이 손잡이(30)에 형성된 턱(30a)(30b)에 걸리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발등고정용 밴드(40)는 외력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볼록한 원호형태를 유지하도록 성형하여 발(80)을 보다 편리하게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성형 시 평판형으로 성형한 다음 조립 시 활처럼 구부려서 조립하게 되면, 볼록한 원호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등고정용 밴드(40)의 발등접촉면(40a)에는 예컨대, 스폰지와 같은 완충재(60)를 마련하여 발등(82)에 걸어서 운동할 때 발등고정용 밴드(40)가 발등(82)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부손상을 방지하였으며, 발등고정용 밴드(40)와 발등(82)의 밀착력을 높여 하중을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발뒤꿈치(84)에 걸기 위한 발뒤꿈치고정용 밴드(50)를 상기 발등고정용 밴드(40)의 반대편에 구성하여 착용 시 발등(82)과 발뒤꿈치(84) 두 곳의 지지점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발뒤꿈치고정용 밴드(50)는 상기 발등고정용 밴드(40)와 마찬가지로 그 양단에 상기 손잡이(30)의 양단으로 삽입하기 위한 원판형의 고정링(52)(54)을 형성하여 발등고정용 밴드(40)와 함께 삽입되어 손잡이(30)에 형성된 턱(30a)(30b)에 걸리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발뒤꿈치고정용 밴드(50)의 중간에는 탄력을 갖고 늘어나는 탄성신축부(56)를 두어 착용자의 발(80) 길이에 따라 늘어나도록 하여 발뒤꿈치고정용 밴드(50)와 착용자의 발뒤꿈치(8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유격 발생을 배제함으로써 발운동 시에 아령(90)의 조정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한편으로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사상은 상체운동용 아령에 발을 고정할 수 있는 두개의 밴드를 구성하여 아령이 발에 안정되게 고정되어 하체운동을 겸할 수 있는 아령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상기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가 발등 고정용 밴드및 발뒤꿈치 고정용 밴드에 고정링을 형성하여 아령의 손잡이의 양단에 끼우도록 하여 이루어진 것이기는 하지만 당업자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두 개의 밴드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한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분명한 것이며, 두 개의 밴드를 아령에 구성하여 하체 운동까지 겸할 수 있도록 하는 변형가능한 다른 실시예의 아령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고정용 밴드(40)의 안쪽으로 발(80)의 앞부분을 삽입한 상태에서 발뒤꿈치고정용 밴드(50)를 뒤로 당겨서 신장시킨 다음 발뒤꿈치(84)에 걸게 되면, 발뒤꿈치고정용 밴드(5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착용자의 발뒤꿈치(84)에 밀착된다.
이때 발등고정용 밴드(40)와 발뒤꿈치고정용 밴드(50)가 각각 착용자의 발등(82)과 발뒤꿈치(84)에 고정되어 아령(90)의 손잡이(30)가 발바닥(86)에 밀착된 상태로 된다.
즉, 발뒤꿈치고정용 밴드(50)를 뒤로 잡아당기게 되면, 그 중간에 형성된 탄성신축부(56)에 의해 발뒤꿈치고정용 밴드(50)가 신장되어 발(80)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이 생기는데, 이때 늘어난 발뒤꿈치고정용 밴드(50)의 안쪽으로 발뒤꿈치(84)를 끼운 다음 발뒤꿈치고정용 밴드(50)를 천천히 놓게 되면, 발뒤꿈치고정용 밴드(50)가 탄성신축부(56)의 탄성복원력으로 다시 원형으로 복원되면서발뒤꿈치(84)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의자에 앉아서 무릎을 굽혔다 펴는 운동을 하면 아령(90)이 착용자의 발(80)에 고정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하체 근육에 부하가 걸리게 되어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발등고정용 밴드(40)의 발등접촉면(40a)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재(60)는 운동 시 아령(90)의 무게에 의해 발등(82)에 작용되는 하중이나 약간의 미끄럼을 흡수하여 국부에 집중되는 압력에 의한 통증이나 충격 등을 완화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아령(90)의 무게중심은 발등고정용 밴드(40)와 발뒤꿈치고정용 밴드(50)의 중간 아래쪽에 위치한 손잡이(30)의 중심과 거의 동일한 위치로 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체운동용 아령에 발등고정용 밴드와 발뒤꿈치고정용 밴드를 구성하여 하체 운동 시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는 발의 움직임에 의하여 아령이 발에서 이탈이 되지 아니하도록 하여 적절한 하체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아령으로 상체 및 하체 운동을 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손잡이의 양단에 웨이트링이 구성되어 있고, 그 웨이트링과 손잡이를 매달아 지지하는 발등고정용 밴드가 구비된 아령에 있어서,
    발뒤꿈치고정용 밴드를 상기 발등고정용 밴드의 반대편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등고정용 밴드(40)는 그 양단에 상기 손잡이(30)의 양단이 삽입되는 원판형의 고정링(42)(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령.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등고정용 밴드(40)는 상측으로 볼록한 원호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령.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등고정용 밴드(40)의 발등접촉면(40a)에 완충재(60)를 추가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령.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뒤꿈치고정용 밴드(50)는 그 양단에 상기 손잡이(30)의 양단이 삽입되는 원판형의 고정링(52)(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령.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뒤꿈치고정용 밴드(50)는 그 중간에 탄력을 갖는 탄성신축부(5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령.
KR2020010025161U 2001-08-20 2001-08-20 아령 KR2002616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161U KR200261691Y1 (ko) 2001-08-20 2001-08-20 아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161U KR200261691Y1 (ko) 2001-08-20 2001-08-20 아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691Y1 true KR200261691Y1 (ko) 2002-01-23

Family

ID=73107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161U KR200261691Y1 (ko) 2001-08-20 2001-08-20 아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6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6529A1 (ko) * 2013-11-23 2015-05-28 육심국 다리운동 보조장치
KR101622082B1 (ko) * 2015-04-06 2016-05-17 이덕근 아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6529A1 (ko) * 2013-11-23 2015-05-28 육심국 다리운동 보조장치
KR101622082B1 (ko) * 2015-04-06 2016-05-17 이덕근 아령
KR101622077B1 (ko) * 2015-04-06 2016-05-17 이덕근 아령
WO2016163677A1 (ko) * 2015-04-06 2016-10-13 이덕근 아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87572A (en) Knee brace
CN101548806B (zh) 具有整体的旋后肌装置的运动鞋和类似物品
US4728103A (en) Leg and ankle exercising device
US5514056A (en) Exercise weight apparatus
ES2397161T3 (es) Calzado propioceptivo/cinestético
US5514054A (en) Stilts
KR200261691Y1 (ko) 아령
KR100715441B1 (ko) 와이어조임구를 구비한 신발
US6042520A (en) Device for stretching and increasing the flexibility of the foot
US5259834A (en) Drop foot brace with lateral support
US3838528A (en) Anti-skid device for boots and shoes
SE465202B (sv) Led, foeretraedesvis foer en ortos, samt anvaendning av leden
US2816541A (en) Surgical support
JP2010075628A (ja) 下肢装具用クッション部材
KR102238690B1 (ko) 보행보조 기구
US6013043A (en) Device for monopodic reeducation
KR200202448Y1 (ko) 저굴 내반족 보조기
KR960014889B1 (ko) 신발밑창
EP1539056A4 (en) WRIST FOR PREFORMED ANKLE
CN218164406U (zh) 一种用于足尖鞋套的脚垫片及足尖鞋套
KR102628685B1 (ko) 신발 깔창
KR102287377B1 (ko) 발목 보호대
JPH11318506A (ja) リズムシュ−ズ
KR200409798Y1 (ko) 다기능성 신발
KR102241553B1 (ko) 발 교정용 기능성 안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