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653Y1 - 해지방지용 수갑 - Google Patents

해지방지용 수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653Y1
KR200261653Y1 KR2020010018113U KR20010018113U KR200261653Y1 KR 200261653 Y1 KR200261653 Y1 KR 200261653Y1 KR 2020010018113 U KR2020010018113 U KR 2020010018113U KR 20010018113 U KR20010018113 U KR 20010018113U KR 200261653 Y1 KR200261653 Y1 KR 200261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oving
teeth
moving ring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수
Original Assignee
권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수 filed Critical 권정수
Priority to KR2020010018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6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653Y1/ko

Links

Landscapes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갑의 몸체내의 이동고리의 래치트부를 걸어 걸림작동시키는 걸음편이 탄성력있게 유지되는 기구틀의 전,후방의 위치에 하향구속턱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동고리의 래치트부를 슬라이드 안내이동하는 격판에 좌,우절결경사턱을 형성하여 이동고리가 이동되는 이동고리이동통로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1차 및 2차적으로 방지턱의 형성으로 얇은판이나 핀 등의 끼워넣음을 방지함으로써, 수갑의 무단해지를 방지할 수 있는 해지방지용 수갑에 관한 것으로,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한쪽에 톱니이빨(111)이 2중으로 다수 형성된 래치트부(110)를 가지는 이동고리(100)와; 또한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상기 이동고리(100)의 다른 한쪽에 회동축(210)으로 연결되며, 이 회동축(210)에 한쪽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한쪽에 장방형상의 몸체(220)가 일체로 형성된 1쌍의 고정고리(200)와; 이 1쌍의 고정고리(200)의 몸체(220)내에 상기 이동고리(10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700)를 구성하여 이동고리(100)의 걸림 및 해지를 행하게 하는 격판(300), 걸음편(400), 판스프링(500) 및 기구틀(600);로 이루어진 수갑에 있어서, 상기 기구틀(600)의 전,후방에 상기 이동통로(700)쪽으로 돌출된 하향 구속턱(650)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통로(700)에서 이동고리의 래치트부(110)의 이빨(111)과의 틈새를 다단으로 최소화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지방지용 수갑{The mittens a not release}
본 고안은 채워진 수갑의 해지에 있어서의 지정열쇠 이외에는 해지할 수 없도록 한 해지방지용 수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갑의 몸체내의 이동고리의 래치트부를 걸어 걸림작동시키는 걸음편이 탄성력있게 유지되는 기구틀의 전,후방의 위치에 하향구속턱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동고리의 래치트부를 슬라이드 안내이동하는 격판에 좌,우절결경사턱을 형성하여 이동고리가 이동되는 이동고리이동통로의 틈새를 최소화하면서 1차 및 2차적으로 방지턱의 형성으로 얇은판이나 핀 등의 끼워넣음을 방지함으로써, 수갑의 무단해지를 방지할 수 있는 해지방지용 수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종류의 수갑이 제안되어 왔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갑은 고정고리와 걸음편을 연결하기 위해서 외부로부터 다수개의 고정핀을 끼워넣는 방식으로 범법자가 외부 축의 중심을 향해서 강한 충격을 주면 고정고리로부터 고정핀이 이탈됨으로서 쉽게 해체되었고, 또 수갑의 걸음편을 외부에 끼워넣은 축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하였기 때문에, 범법자가 외부의 강한 충격을 주어 상기 축을 절단 또는 이탈시키어 수갑을 분리/해체하는 일이 빈번하였으며, 또한, 외부로부터 머리핀 등과 같은 미세한 핀을 밀어넣어 상기 걸음편의 해지를 조작함으로서 수갑을 무단으로 해지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국내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1993-204호, 제1993-2996호 및 제1996-3984호 등을 통하여 종래의 이러한 수갑구조를 꾸준히 개량하였으며, 특히 수갑을 사람의 손목에 사용할 때에 발생되는 문제점 및 핀에 의해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갑구조에 관하여 제안한 바 있다.
본 고안은 앞에서 언급한 문제와 또한 본 출원인 기 제안한 기술들을 보다 개량한 것으로, 수갑의 이동고리가 이동하여 걸림유지되는 이동통로에 전,후방의 통로에 구속턱을 형성하고, 또한 이동고리의 래치트부를 슬라이드 안내이동하는 격판에 좌,우절결경사턱을 형성하여 이동고리의 래치트부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유지면서 그의 통로의 틈새를 다단으로 최소화하여 얇은 판이나 핀 등의 강제해지용 부재의 투입으로 인하여 이동고리의 래치트부와 걸음편의 이빨의 사이로 투입되어 이맞물림이 강제로 해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 2, 제 3 의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해지방지용 수갑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한쪽에 톱니이빨이 2중으로 다수 형성된 래치트부를 가지는 이동고리와; 또한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상기 이동고리의 다른 한쪽에 회동축으로 연결되며, 이 회동축에 한쪽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한쪽에 장방형상의 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1쌍의 고정고리와; 이 1쌍의 고정고리의 몸체내에 상기 이동고리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를 구성하여 이동고리의 걸림 및 해지를 행하게 하는 격판, 걸음편, 판스프링 및 기구틀;로 이루어진 수갑에 있어서, 상기 기구틀의 전,후방에 상기 이동통로쪽으로 돌출된 하향 구속턱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의 구회벽의 가름턱에 연이어서 좌,우로 절결한 좌,우절결경사턱이 성형되도록하여 상기 이동통로에서 이동고리의 래치트부의 이빨과의 틈새를 다단으로 최소화함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름턱과 좌,우로 절결한 좌,우절결경사턱은 상기 격판의 구획벽의 전,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해지방지용 수갑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해지방지용 수갑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해지방지용 수갑의 이동고리의 래치트부가 걸음편의 이빨과 이맞물림된 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의 해지방지용 수갑의 이동고리의 래치트부가 걸음편의 이빨을 넘는 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의 격판의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격판의 요부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고리 110 : 래치트부
111 : 이빨 120 : 간막이홈
200 : 고정고리 300 : 격판
320 : 구획벽 321 : 가름턱
322,323 : 절결경사턱 400 : 걸음편
410 : 톱니 420 : 걸림턱
430 : 힌지부 500 : 판스프링
600 : 기구틀 610 : 공간
640 : 힌지홈 650 : 구속턱
700 : 이동고리이동통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해지방지용 수갑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해지방지용 수갑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며, 또한 도 3 은 본 고안의 해지방지용 수갑의 이동고리의 래치트부가 걸음편의 이빨과 이맞물림된 상태도이며, 또한 도 4 는 본 고안의 해지방지용 수갑의 이동고리의 래치트부가 걸음편의 이빨을 넘는 상태도를 나타내며, 도 5 는 본 고안의 격판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고안의 격판의 요부확대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고리(100), 고정고리(200), 격판(300), 걸음편(400), 판스프링(500) 및 기구틀(600)의 등의 기본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동고리(100)는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한쪽에 바깥둘레에 톱니이빨(111)들이 2중으로 다수 형성된 래치트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트부(110)의 톱니이빨(111)들의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간막이홈(120)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격판(300)의 구획벽(320)에 안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고리(100)의 다른 한쪽에는 후술하는 고정고리(200)들과 회동축(210)으로 결합되어, 이동고리(100)가 고정고리(200)들에 대하여 회동축(210)을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고리(200)들은 상기 이동고리(100)와 마찬가지로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고리(100)에 회동축(210)으로 결합되어, 이 회동축(210)에 한쪽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한쪽은 장방형상의 몸체(220)가 일체로 형성되는 1쌍을 구성부품으로 이루고 있다.
이 몸체(220)들의 사이에는 상기 격판(300), 걸음편(400), 판스프링(500) 및 기구틀(600)들이 결합되면서 고정핀(240)들에 의하여 고정되어 도 3 및 도 4 와 같이 이동고리(10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70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기구틀(600)은 대략 장방형상으로 성형되어 중앙에 개구부(620)를 가지는 공간(6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간(610)의 한쪽에 힌지홈(6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힌지홈(640)에 후술하는 걸음편(400)이 유동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구틀(600)의 사방에는 고정핀구멍(630)들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고리(200)의 고정핀구멍(230)과 맞대어 고정핀(24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상기 기구틀(600)은 그의 전,후방에 상기 이동통로(700)쪽으로 돌출된 하향 구속턱(650)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통로(700)에서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이빨(111)과의 틈새를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걸음편(400)은 대략 망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쪽에 구형상의 힌지부(430)가 형성되어 상기 기구틀(600)의 힌지홈(640)에 결합되어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또한 다른 한쪽은 상기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이빨(111)과 결합가능한 톱니(410)가 다수개(도면에서는 3개)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톱니(410)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걸림턱(420)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판스프링(500)이 결합되어, 상기 걸음편(400)이 상기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이빨(111)쪽으로 탄성력있게 부세하는 힘이 가하여지도록 결합되게 된다.
상기 판스프링(500)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3 및 도 4 와 같이 상기 기구틀(600)의 공간(610)의 벽에 유지되면서, 그의 지지끝단(510)이 약간 경사져서 상기 걸음편(400)의 걸림턱(420)에 지지되어, 걸음편(400)의 톱니(410)가 상기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이빨(111)쪽으로 부세하는 힘이 가하여 지도록 결합되게 된다.
또한 격판(300)은 대략 장방형상의 박판의 철판으로써 중앙에 장방형상의 공간(3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사방에는 역시 상기 고정고리(200)의 몸체(220)와 기구틀(600)의 사방에 형성된 고정핀구멍(230),(630)들과 중첩되어 결합될 수 있는 고정핀구멍(3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격판(300)은 상기 1쌍의 고정고리(200)의 몸체(220)를 구획하면서 상기 격판(300)을 중심으로 다른 1쌍의 기구틀(600)과 걸음편(400)들이 결합되어 구획하게 된다.
또한, 격판(300)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격판(300)의 구획벽(320)의 전,후방에 가름턱(321)에 연이어서 좌,우로 절결한 좌,우절결경사턱(322),(323)이 성형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통로(700)에서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이빨(111)과의 틈새를 다단으로 최소화하고 있다.
상기 격판(300)의 가름턱(321)에 연이어서 좌,우로 절결한 좌,우절결경사턱(322),(323)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고리(100)가 이동고리이동통로(700)에 삽입되었을 때, 도 3 및 도 4 와 같이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양쪽 이빨(111)들의 바로 위에 위치하면서 상호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고리(100)가 이동고리이동통로(700)에 삽입될 때, 격판(300)의 가름턱(321)에 의하여 이동고리(100)의 간막이홈(120)이 안내되어 이동고리이동통로(700)의 진입을 안내하게 되며, 이때 이동고리(100)가 이동고리이동통로(700)를 진입할 때 상기 격판(300)의 좌,우절결경사턱(322),(323)은 간섭을 하지 않을 정도의 틈새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상기 격판(300)을 중심으로 기구틀(600)과 걸음편(400)들이 결합되는 것은 앞서 설명한 기구틀(600)과 걸음편(400)들의 결합과 동일하므로, 그의 결합설명에 대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격판(300)을 중심으로 결합되는 기구틀(600)과 걸음편(400)들 중에서 한쪽의 걸음편(400)의 톱니(410)가 상기 이동고리(100)의 이빨(111)과 결합가능하게 되며, 또한 다른 쪽의 걸음편(400)의 톱니(410)는 상기 이동고리(100)의 대응되는 이빨(111)과 결합가능하게 된다.
이때, 격판(300)의 구획벽(320)은 상기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이빨(111)을 구획하는 간막이홈(120)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안내하게 되며, 초기에 가름턱(321)에 의하여 안내되어 이동고리이동통로(700)를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고리(100)는 고정고리(200)에 형성되는 이동고리이동통로(700)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도 3 의 상태는 이동고리(100)를 이동고리이동통로(700)로 밀어넣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이빨(111)이 상기 걸음편(400)의 톱니(410)와 이맞물림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이동고리(100)를 도면의 좌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으며, 이동고리(100)를 좌측으로 힘을 주어 밀어 넣으면, 도 4 와 같이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이빨(111)이 상기 걸음편(400)의 톱니(410)의 톱니산을 넘으면서 이동고리(100)는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이빨(111)이 상기 걸음편(400)의 톱니(410)의 선을 넘을 때, 상기 걸음편(400)이 판스프링(500)에 의하여 탄성력있게 유지되어 기구틀(600)의 힌지홈(640)을 중심으로 유동하여, 이 이동고리(100)는 판스프링(500)이 걸음편(400)에 부세하는 스프링력을 이겨서 이동고리이동통로(700)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고리이동통로(700)에는 기구틀(600)에 하향방향으로 뻗은 구속턱(650)들이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되어 이동고리이동통로(700)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얇은 철핀 등이 이동고리이동통로(700)방향으로 강제로 넣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구틀(600)의 구속턱(650)의 안쪽의 격판(300)의 가름턱(321)에 연이어서 절결경사턱(322),(323)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도 2 와 같이 앞쪽의 절결경사턱(322)이 전방으로 경사지면서 하향절결되어 외부에서 얇은 판 또는 폭이 좁은 판재가 이동고리이동통로(700)로 진입되어 상기 기구틀(600)의 구속턱(650)을 넘어 이동하더라도, 상기 절결경사턱(322)이 이동고리이동통로(700)의 틈새를 최소화하고 있어서 불법 해지물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상기 이동고리이동통로(700)에 외부로부터 머리핀 등과 같은 미세한 핀 또는 철면이 밀어넣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상기 걸음편의 해지에 의하여 수갑을 무단으로 해지할 수 없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수갑의 이동고리가 이동하여 걸림유지되는 이동통로에 전,후방의 통로에 구속턱을 형성하여 이동고리의 래치트부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면서 그이 통로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얇은 판이나 핀 등의 강제해지용 부재의 투입으로 인하여 이동고리의 래치트부와 걸음편의 이빨의 사이로 투입되어 이맞물림이 강제로 해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 2, 제 3 의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한쪽에 톱니이빨(111)이 2중으로 다수 형성된 래치트부(110)를 가지는 이동고리와; 또한 반원호 상을 이루며 상기 이동고리(100)의 다른 한쪽에 회동축(210)으로 연결되며, 이 회동축(210)에 한쪽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한쪽에 장방형상의 몸체(220)가 일체로 형성된 1쌍의 고정고리(200)와; 이 1쌍의 고정고리(200)의 몸체내(220)에 상기 이동고리(10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700)를 구성하여 이동고리(100)의 걸림 및 해지를 행하게 하는 격판(300), 걸음편(400), 판스프링(500) 및 기구틀(600);로 이루어진 수갑에 있어서,
    상기 기구틀(600)의 전,후방에 상기 이동통로(700)쪽으로 돌출된 구속턱(650)들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고리(200)의 기구틀(600)의 이동통로(700)에 이동고리(100)가 삽입되어서, 상기 구속턱(650)과 상기 래치트부(110)의 이빨(111)과의 틈새를 최소화되도록 되고, 또한 상기 격판(300)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획벽(320)의 가름턱(321)에 연이어서 좌,우로 절결한 좌,우절결경사턱(322)(323)이 성형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통로(700)에서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이빨(111)과의 틈새를 최소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지방지용 수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름턱(321)과 좌,우로 절결한 좌,우절결경사턱(322)(323)은 상기 격판(300)의 구획벽(320)의 전,후방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지방지용 수갑.
KR2020010018113U 2001-06-18 2001-06-18 해지방지용 수갑 KR200261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113U KR200261653Y1 (ko) 2001-06-18 2001-06-18 해지방지용 수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113U KR200261653Y1 (ko) 2001-06-18 2001-06-18 해지방지용 수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121A Division KR100488579B1 (ko) 2003-01-02 2003-01-02 해지방지용 수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653Y1 true KR200261653Y1 (ko) 2002-01-24

Family

ID=73066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113U KR200261653Y1 (ko) 2001-06-18 2001-06-18 해지방지용 수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6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1652Y1 (ko) 해지방지용 수갑
US7162900B1 (en) Tubular lock and master key
US7415850B2 (en) Lock
US5516162A (en) Hook-bolt lock assembly
JP2010227567A (ja) 2つの部品とボールバーの接続およびロックのためのデバイスならびに方法
US6688660B2 (en) Door lock
JPH06272443A (ja) 車両用錠装置
KR100488579B1 (ko) 해지방지용 수갑
KR200261653Y1 (ko) 해지방지용 수갑
EP1365091B1 (en) Flexible shackle with a replaceable shackle
KR200263671Y1 (ko) 해지방지용 수갑
US11276995B2 (en) Cable management assembly
KR100488578B1 (ko) 해지방지용 수갑
KR200257618Y1 (ko) 해지방지용 수갑
KR100503750B1 (ko) 해지방지용 수갑
KR100488577B1 (ko) 해지방지용 수갑
KR200344023Y1 (ko) 무단해지방지용 수갑
US20050235708A1 (en) Lock apparatus
KR100539171B1 (ko) 수갑
KR200308788Y1 (ko)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
KR200216208Y1 (ko) 해지방지용수갑
KR200279056Y1 (ko) 수갑
KR200346981Y1 (ko) 수갑의 잠금해제스프링
KR200344024Y1 (ko) 무단해지방지 유도용 수갑
EP1522230A1 (en) Buckle for be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2

Year of fee payment: 4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