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420Y1 - 피이관과 이종관 연결소켓 - Google Patents

피이관과 이종관 연결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420Y1
KR200261420Y1 KR2020010032127U KR20010032127U KR200261420Y1 KR 200261420 Y1 KR200261420 Y1 KR 200261420Y1 KR 2020010032127 U KR2020010032127 U KR 2020010032127U KR 20010032127 U KR20010032127 U KR 20010032127U KR 200261420 Y1 KR200261420 Y1 KR 200261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tapered
outer circumferential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택
Original Assignee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덕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2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420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이관(이하, PE관이라 함)과 이종관(異種管) 즉, 다른 재질(금속)로 이루어진 이종관을 압착·끼움 결합방식으로 연결함에 따라, 별도의 가공없이 공사 현장에서 신속하고도 간편·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PE관과 이종관 연결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이종 금속 재질의 PE관과 이종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PE관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외주면 선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일정한 기울로 테이퍼진 고무재질의 링과, 상기 PE관의 단부로부터 압착·삽입되고 사다리꼴 모양으로 테이퍼진 코아와, 일측단 내주면이 상기 링의 외주면 기울기와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글로브너트가 결합되며 타측단 내주면에는 일부위가 테이퍼진 고무패킹이 끼워져 밀착되고 외주면에는 너트가 결합되는 몸체부와,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볼이 드러나지도록 돌출되고 외주면이 일정한 기울기로 테이퍼진 볼 가이드로 이루어진 연결소켓에 의해 PE관과 이종관이 연결됨에 따라, 연결하고자 하는 관을 별도의 가공없이 공사 현장에서 신속하고도 간편·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작업능률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효율적이며, 또한, 견고하게 압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피이관과 이종관 연결소켓{CONNECTING SOCKET OF POLYETHYLENE PIPE AND METAL PIPE}
본 고안은 피이관(Polyethylene Pipe)과 이종관 연결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이관(이하, PE관이라 함)과 이종관(異種管) 즉, 다른 재질(금속)로 이루어진 이종관을 압착·끼움 결합방식으로 연결함에 따라, 별도의 가공없이 공사 현장에서 신속하고도 간편·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PE관과 이종관 연결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Pipe)이라 함은 각종 유체(액체, 기체 등)를 이송·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주로 상수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도관은 주철관, 아연도강관, PE관 및 동관 등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PE관과 이종관의 연결은 양측방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각각의 PE관과 이종관을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나사방식에 의한 연결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PE관과 이종관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연결하고자 하는 각각의 관이 서로 다른 이종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상호간에 강도 및 특성(PE관은 신축성이 있고 비교적 강도가 낮고 내화성이 떨어지고, 이종관은 강도가 높고 신축성이 전혀 없음)이 상이하므로 동일한 연결방식 즉, 연결소켓에 의한 나사방식으로 연결하게 되면, 강도가 낮은 PE관의 경우 나사방식에 의한 연결을 위해 성형된 나사부의 강도가 취약하여 쉽게 마모되거나 파손되므로 누수발생율이 높아 정상적인 유체의 이송을 위한 이종관과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못한 폐단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서로 다른 이종금속 재질 특히, PE관과 이종관을 연결함에 있어, PE관과 이종관 각각의 특성에 적합한 방식 즉, 강도가 낮은 PE관과 비교적 강도가 높은 이종관을 압착·끼움 결합방식에 의한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안정적이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견고한 연결은 물론, 누수방지를 위한 완벽한 밀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피이(PE)관과 이종관 연결소켓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이종 금속 재질의 PE관과 이종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PE관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외주면 선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일정한 기울로 테이퍼진 고무재질의 링과, 상기 PE관의 단부로부터 압착·삽입되고 사다리꼴 모양으로 테이퍼진 코아와, 일측단 내주면이 상기 링의 외주면 기울기와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글로브너트가 결합되며 타측단 내주면에는 일부위가 테이퍼진 고무패킹이 끼워져 밀착되고 외주면에는 너트가 결합되는 몸체부와,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볼이 드러나지도록 돌출되고 외주면이 일정한 기울기로 테이퍼진 볼 가이드로 이루어진 연결소켓에 의해 PE관과 이종관이 연결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부에 삽입된 고무패킹과 너트에 의해 압착되는 볼 가이드 사이에는 압착판이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PE관과 이종관 연결소켓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PE관과 이종관 연결소켓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PE관과 이종관 연결소켓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연결소켓 2:PE관
4:이종관 6:요홈
12:링 14:글로브너트
16:코아 18:고무패킹
22:너트 22', 24':경사면
24:몸체부 26:볼
28:볼 가이드 32:압착판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PE관과 이종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소켓(1)은 상기 PE관(2)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외주면 선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일정한 기울로 테이퍼진 고무재질의 링(12)과, 상기 PE관(2)의 단부로부터 압착·삽입되고 사다리꼴 모양으로 테이퍼진 코아(14)와, 일측단 내주면이 상기 링(12)의 외주면 기울기와 대응되는 경사면(24')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글로브너트(16)가 결합되며 타측단 내주면에는 일부위가 테이퍼진 고무패킹(18)이 끼워져 밀착되고 외주면에는 너트(22)가 결합되는 몸체부(24)와,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볼(26)이 드러나지도록 돌출되고 외주면이 일정한 기울기로 테이퍼진 볼 가이드(28)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24)에 삽입된 고무패킹(18)과 너트(22)에 의해 압착되는 볼 가이드(28) 사이에는 압착판(32)이 결합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PE관과 이종관 연결소켓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PE관과 이종관 연결소켓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로서, PE관(2) 일측단부에 글로브너트(16)와 선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외주면이 일정한 기울기로 테이퍼진 링(12)을 끼운 후, 테이퍼진 형태의 코아(14)를 내주면에 압착고정시켜 끝단부를 나팔관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단부 외주면에 끼워진 상기 글로브너트(16)와 링(12)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이종관(4)에는 너트(22), 볼 가이드(28), 압착판(22), 고무패킹(18)을 순차적으로 끼워 결합한 후, 이를 몸체부(24)에 삽입시키되, 상기 볼 가이드(28)의 볼(26)은 상기 이종관(4)에 형성된 환테형태의 요홈(6)에 삽입·지지되도록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PE관(2)에 끼워진 글로브너트(16)는 몸체부(24)에 나사결합되면서 테이퍼진 형태의 링(12)을 압입·밀착시키게 되고, 상기 몸체부(24)에 삽입된 고무패킹(18)은 나사결합되는 너트(22)에 의해 밀착되는 압착판(32)에 눌려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볼 가이드(28)는 볼(26)이 요홈(6)에 삽입되어 지지·고정되고 너트(22)에 형성된 경사면(22')에 압착되도록 결합되며, 또한, 압착판(32)에 의해 고무패킹(18)과 볼 가이드(28)가 압착·지지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관(2)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외주면 선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일정한 기울로 테이퍼진 고무재질의 링(12)과, 상기 PE관(2)의 단부로부터 압착·삽입되고 사다리꼴 모양으로 테이퍼진 코아(14)와, 일측단 내주면이 상기 링(12)의 외주면 기울기와 대응되는 경사면(24')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글로브너트(16)가 결합되며 타측단 내주면에는 일부위가 테이퍼진 고무패킹(18)이 끼워져 밀착되고 외주면에는 너트(22)가 결합되는 몸체부(24)와,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볼(26)이 드러나지도록 돌출되고 외주면이 일정한 기울기로 테이퍼진 볼 가이드(28)로 이루어진 연결소켓(1)을 이용하여 각각의 이종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PE관(2)과 이종관(4)을 연결하려면, 먼저, 상기 PE관(2)의 일단부에 글로브너트(16)와 링(12)을 끼워 결합한 후, 내주면에 코아(14)를 끼워 압착시킨다.
이때, 상기 코아(14)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테이퍼져 있으므로 압착시키게 되면, PE관(2)의 단부가 나팔관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외주면에 끼워진 글로브너트(16)와 링(12)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PE관(2)에 글로브너트(16)와 링(12) 및 코아(14)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이종관(4)에 너트(22), 볼 가이드(26), 압착판(32), 고무패킹(18)을 순차적으로 끼워 결합한 후, 이를 몸체부(24)에 삽입하면, 상기 PE관(2)과 이종관(4)의 연결을 위한 연결소켓(1)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볼 가이드(28)는 내주면에 드러나지도록 결합된 다수개의 볼(26)이 이종관(4)에 형성된 요홈(6)에 삽입·지지됨에 따라, 그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상태에서, 상기 PE관(2)에 결합된 글로브너트(16)를 몸체부(24)에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글로브너트(16)가 몸체부(24)에 나사결합되면서 링(12)을 압착시켜 몸체부(24)와 PE관(2)과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끼워져 밀착됨에 따라, 내주면에 삽입된 코아(14)와 함께 PE관(2)을 압착·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종관(4)은 선단 일부위가 몸체부(24)내에 위치되도록 끼워져 고무패킹(18)에 의해 밀폐되도록 한 후, 너트(22)를 몸체부(24)에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너트(22)가 조여짐에 따라, 경사면(22')에 의해 볼 가이드(28)가 압착되면서 요홈(6)에 삽입된 볼(26)이 이종관(4)을 눌러 압착시키게 되고, 또한, 너트(22)에 의해 압착판(32)이 눌려짐에 따라, 몸체부(24)에 삽입된 고무패킹(18)이 압착된다.
따라서, 상기 이종관(4)은 너트(22)에 의해 압착되는 볼 가이드(28)의 볼(26)에 의해 1차 압착된 상태를 취하게 되고 압착판(32)에 의해 눌려지는 고무패킹(18)에 의해 2차 압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PE관(2)과 서로 다른 이종금속 재질의 이종관(4)을 별도의 가공[나사결합을 위해 PE관(2) 및 이종관(4)의 나사가공]없이도 현장(공사장)에서 간편하고도 완벽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PE관과 이종금속 재질의 이종관을 압착·끼움 결합방식으로 연결함에 따라, 연결하고자 하는 관을 별도의 가공없이 공사 현장에서 신속하고도 간편·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작업능률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효율적이며, 또한, 견고하게 압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어 누수에 따른 자원낭비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이종 금속 재질의 PE관(2)과 이종관(4)을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PE관(2)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외주면 선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일정한 기울로 테이퍼진 고무재질의 링(12)과;
    상기 PE관(2)의 단부로부터 압착·삽입되고 사다리꼴 모양으로 테이퍼진 코아(14)와;
    일측단 내주면이 상기 링(12)의 외주면 기울기와 대응되는 경사면(24')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글로브너트(16)가 결합되며 타측단 내주면에는 일부위가 테이퍼진 고무패킹(18)이 끼워져 밀착되고 외주면에는 너트(22)가 결합되는 몸체부(24)와;
    내주면에 다수개의 볼(26)이 드러나지도록 돌출되고 외주면이 일정한 기울기로 테이퍼진 볼 가이드(28)로 이루어진 연결소켓(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관과 이종관 연결소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4)에 삽입된 고무패킹(18)과 볼 가이드(28) 사이에는 압착판(32)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관과 이종관 연결소켓.
KR2020010032127U 2001-10-20 2001-10-20 피이관과 이종관 연결소켓 KR200261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127U KR200261420Y1 (ko) 2001-10-20 2001-10-20 피이관과 이종관 연결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127U KR200261420Y1 (ko) 2001-10-20 2001-10-20 피이관과 이종관 연결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420Y1 true KR200261420Y1 (ko) 2002-01-23

Family

ID=73070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127U KR200261420Y1 (ko) 2001-10-20 2001-10-20 피이관과 이종관 연결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4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6819A3 (en) Hydraulic hose assembly for bicycle
US20030057701A1 (en) Pipe connection structure
EP1486715A4 (en) PIPE CONNECTION
KR200261420Y1 (ko) 피이관과 이종관 연결소켓
AU2002216580A1 (en) Pipe connecting device
KR200451357Y1 (ko) 관 연결구
KR100308564B1 (ko) 관 연결구
KR200165067Y1 (ko) 관연결구
KR200310314Y1 (ko) 스테인레스 강관과 이종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소켓의구조
KR101617128B1 (ko) 배관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KR200339779Y1 (ko) 배관연결구조
JPH017908Y2 (ko)
KR200187003Y1 (ko) 관(管) 연결장치
JPH0564592U (ja) 管継手構造
KR0120330Y1 (ko)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RU36719U1 (ru)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KR200434295Y1 (ko) 관 연결구
KR200269762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387796Y1 (ko) 합성수지관 이음쇠
KR200439569Y1 (ko) 복합관 이음구조
KR200346939Y1 (ko) 관 연결구
KR200238545Y1 (ko) 파이프 연결구
JP2008215364A (ja) 配管用継手
KR200274844Y1 (ko) 스테인레스 강관용 글러브너트 소켓
KR20200144307A (ko) 배관 연결용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