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388Y1 - 탈피수단을 갖는 칼 - Google Patents

탈피수단을 갖는 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388Y1
KR200261388Y1 KR2020010031407U KR20010031407U KR200261388Y1 KR 200261388 Y1 KR200261388 Y1 KR 200261388Y1 KR 2020010031407 U KR2020010031407 U KR 2020010031407U KR 20010031407 U KR20010031407 U KR 20010031407U KR 200261388 Y1 KR200261388 Y1 KR 200261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handle
stripping means
peeling
st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태
Original Assignee
안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태 filed Critical 안정태
Priority to KR2020010031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3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388Y1/ko

Links

Landscapes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피수단을 갖는 칼에 관한 것으로서, 탈피수단을 손잡이에 내장설치함으로써 칼로 사용함과 동시에 탈피수단으로 용이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탈피수단을 갖는 칼{A KNIFE WITH A PEELER}
본 고안은 식생활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식재료의 껍질을 벗기는 탈피수단을 손잡이 자체에 갖춤으로써 칼 자체의 고유한 절단기능은 물론 절단하기 전에 필요로 하는 탈피작업을 하나의 칼로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탈피수단을 갖는 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탈피수단이 부설된 칼은 본 고안의 출원인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193075호로 2000년 6월 8일 등록받았고, 이의 실시예가 도4에 예시되었다. 이와 같이 선등록받은 탈피수단이 부설된 칼은 칼집(10)의 상측부에 소정 넓이의 요홈부(11)에 탈피칼날(12)을 설치한 것으로서, 칼날을 보호하는 칼집(10)의 기능에 탈피수단을 부설하여 칼을 사용함은 물론 칼집을 칼날에 끼운 후 탈피수단을 이용하여 식품재료의 껍질을 벗겨내는 데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칼집에 탈피수단이 부설된 칼은 칼집과 칼을 결합시켜야만 칼집에 부설된 탈피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칼을 사용하다가 칼집을 결합시켜야만 탈피수단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탈피수단이 노출되어 있어서 칼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신체를 손상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시키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탈피수단을 칼과 일체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칼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탈피수단을 갖는 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탈피수단을 사용하지 않을 때, 탈피수단이 내장되게 함으로써 더욱 안전하게 칼을 사용할 수 있는 탈피수단을 갖는 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2는 탈피수단이 칼 손잡이에 수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전후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3은 도2의 종단면도.
도4는 종래의 탈피수단이 부설된 칼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2 : 탈피수단
3 : 칼날 5 : 공간부
6 : 작동버튼 7 : 안내장공
본 고안의 탈피수단을 갖는 칼은 손잡이의 부분에 슬라이드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탈피수단이 내장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탈피수단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탈피수단(2)은 손잡이(1)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내장설치된다. 여기에서, 손잡이(1) 부분에 내장된 탈피수단(2)은 슬라이드 이동되어 탈피작업이 실행될 수 있도록 손잡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돌출된 상태이고, 손잡이(1) 하측의 칼날(3)은 힌지(4)로 회전되어 손잡이 부분으로 접혀져서 손잡이(1) 하측부분에 보관된 상태이다.
손잡이(1) 하측부분에 수용되는 칼날(3)은 손잡이 선단 하측부분의 힌지(4)로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 상부 내측부분은 탈피수단(2)이 수용되도록 공간부(5)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탈피수단(2)을 슬라이드이동시키도록 작동버튼(6)이 안내되는 안내장공(7)이 형성된다. 이 안내장공(7)부분에서 탈피수단(2)과 작동버튼(6)이 직접 연결 결합된다.
도2에 측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장공(7)에 결합된 작동버튼(6)의 전·후방 이동에 의해 탈피수단(2)은 손잡이(1) 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손잡이의 공간부(5)내에 수용되어 보관된다.
도3에 단면도로 도시된 손잡이(1)의 하측부분에는 칼날(3)이 수납되고, 상측부분에는 탈피수단(2)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내장설치되며, 안내장공(7)부분에 탈피수단(2)의 슬라이드이동을 실행하는 작동버튼(6)이 위치된다.
도면에서는 일측부분에만 안내장공(7)이 형성되어 있고, 그에 따라서 작동버튼(6)도 일측의 안내장공(7)부분에만 설치되어 있으나, 손잡이의 양측에 안내장공이 형성되고, 작동버튼도 손잡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탈피수단을 갖는 칼은 손잡이(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5)에 탈피수단(2)을 밀어넣은 후 안내장공(7)을 통해서 작동버튼(6)과 탈피수단(2)을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탈피수단과 작동버튼의 결합이 완료되면 작동버튼(6)이 안내장공(7)을 통해서 전·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탈피수단(2)이 손잡이(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탈피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거나 후방으로 수용되어 탈피수단이 보관상태가 된다.
예컨대, 칼을 사용하다가 탈피수단(2)을 이용하는 경우 칼날(3)을 보관상태로 한 후 작동버튼(6)을 안내장공(7)의 전방으로 밀어서 탈피수단(2)을 손잡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하여 탈피수단(2)을 이용하여 감자, 고구마, 무 등의 껍질을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탈피수단을 갖는 칼은 접이식이 아닌 칼의 경우에 적용되어 손잡이의 상부에 설치되어 칼로 사용하다가 탈피작업을 행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탈피수단을 갖는 칼은 칼의 절단작업 전·후에 칼의 손잡이에 내장설치된 탈피수단을 돌출시켜서 음식재료의 탈피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음은 물론 탈피작업의 완료 후 탈피수단을 사용한 후 다시 손잡이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칼날(3)과 손잡이(1)로 이루어진 칼에 있어서,
    손잡이(1)의 부분에 탈피수단(2)이 내장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피수단을 갖는 칼.
  2. 제1항에 있어서, 탈피수단(2)은 공간부(5)에 내장되고, 손잡이(1)의 측면에 형성된 안내장공(7)에 설치되는 작동버튼(6)에 의해 손잡이(1)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피수단을 갖는 칼.
KR2020010031407U 2001-10-15 2001-10-15 탈피수단을 갖는 칼 KR200261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407U KR200261388Y1 (ko) 2001-10-15 2001-10-15 탈피수단을 갖는 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407U KR200261388Y1 (ko) 2001-10-15 2001-10-15 탈피수단을 갖는 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388Y1 true KR200261388Y1 (ko) 2002-01-24

Family

ID=7307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407U KR200261388Y1 (ko) 2001-10-15 2001-10-15 탈피수단을 갖는 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3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64662S1 (en) Hourglass-shaped knife for electrosurgical forceps
USD450839S1 (en) Handle for introducer sheath
EP1125698A3 (en) Hand-held power tool
CN100398028C (zh) 一种指甲刀
USD429987S (en) Multi-purpose tool
US20020000044A1 (en) Force-saving pruner with a guiding roller arrangement
USD453896S1 (en) Cutter knife
US20010020331A1 (en) Collapsible barbecue tools
KR200261388Y1 (ko) 탈피수단을 갖는 칼
JPH08140830A (ja) 皮むき具
US61517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 cigarette
US5920991A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dough from baked goods
US6336271B1 (en) Retractible peeler
KR200335621Y1 (ko) 손톱깎이
USD484024S1 (en) Round flush latch
KR200361204Y1 (ko) 칼갈이를 갖는 도마
JPS596771Y2 (ja) 電気ナイフ
CN212445331U (zh) 一种削皮刀与小刀一体化结构
USD408218S (en) Knife handle
WO1999058302A8 (en) Folding knife
KR960001960Y1 (ko) 도마
CN220459240U (zh) 一种新型多功能手柄
CN210791071U (zh) 一种美工刀的刀匣定位固定装置
CN201150200Y (zh) 剪具刀刃闭合的锁扣结构
JPH10286053A (ja) スライド式針外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