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303Y1 - 다중 분할 랙설비 - Google Patents

다중 분할 랙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303Y1
KR200261303Y1 KR2020010033717U KR20010033717U KR200261303Y1 KR 200261303 Y1 KR200261303 Y1 KR 200261303Y1 KR 2020010033717 U KR2020010033717 U KR 2020010033717U KR 20010033717 U KR20010033717 U KR 20010033717U KR 200261303 Y1 KR200261303 Y1 KR 200261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skeleton structure
frame
present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라시스
Priority to KR2020010033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3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303Y1/ko

Link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다중 분할 랙설비는 종래 일체형의 랙을 필요에 따라 다중적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공간에 서로 구분되는 그룹의 통신장비를 보관 설치할 수 있는 랙(rack)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분할을 위한 복수의 프레임요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프레임구조체를 각각 결합 설치하여 랙의 전체 외형골격구조를 형성하고, 전체 외형골격구조를 분할하고자 하는 위치에 적어도 복수의 다이캐스팅을 설치하여 랙의 전체외형골격구조를 분할하여 구조화시키며, 복수의 외부 플레이트를 결합 설치함으로써 랙의 외형골격구조를 분할하여 형성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일체형 크기의 랙을 필요에 따라 다중적으로 분할하여 다수의 통신장비를 보관 설치함으로써 공간 사용의 효율성을 높여 랙 기술의 발전에 일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Description

다중 분할 랙설비 { A multiple partitive rack mechanism }
본 고안은 통신장비용 캐비닛형 랙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종래 일체형의 랙을 필요에 따라 다중적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공간에 서로 구분되는 그룹의 통신장비를 보관 설치함으로써 공간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다중 분할 랙설비를 제시한 것이다.
랙(Rack)은 통신장비나 계측기, 방송장비 등을 내부에 설비하여 운영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는 장비설치 프레임 구조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랙은 전자통신을 위한 전체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기기들을 하나로 모아 시스템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작업 및 운영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설비이다. 또한 각각의 기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자체 장비작동으로 발생되는 전자파로 인해 타 장비들에 영향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 랙(10)의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랙(10)은 전체적으로 사용하는 일체형태의 통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 통체형 랙(10)은 하나의 기업이나 또는 하나의 시스템을 위주로 그룹을 이루며 관련된 각각의 기기들을 모아 보관 설치한다. 따라서 랙(10)에는 랙 전체의 골격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프레임(101)들이 결합 설치되며, 측면에는 플레이트 패널(102 ; plate panel)이 결합된다.
또한 랙(10)에는 각각의 기기들을 위한 전원공급라인(103)이 가설되어 있고,그 외 각종 팬(104 ; Fan) 등의 보조설비들이 가설되어 있다. 아울러 랙(10)의 구조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가로대(105)가 필요한 곳에 가로질러 결합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전, 후면으로 도어(106)가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통신장비용 랙(10)은 일체형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됨으로써 공간이용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랙(10)을 사용하는 업체의 측면에서 볼 때는 설치해야 할 통신장비의 수나 양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체형의 랙(10)에 알맞은 것이 있는가 하면, 설치해야 할 통신장비의 수나 양이 보통 랙(10)의 일부만을 사용해도 좋을 정도로 적은 경우가 있다. 물론 도 1에 도시한 통체형 랙(10)을 일부만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간이용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높이가 낮은, 예를 들어 도 1의 종래 랙 중간정도의 높이를 갖는 소형 랙도 있으나, 이러한 소형의 랙도 랙 자체가 갖는 면적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므로 공간이용의 효율성 측면에서는 이점이 없다.
또한 종래 랙(10)은 도어의 개폐 상태도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 랙의 개폐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부 평면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랙은 전, 후면에 설치된 도어(106)가 완전히 개방(open)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약 130 ~ 140°정도밖에 열리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장비를 설치할 때 인출하는 데 어려움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일체형의 랙을 필요에 따라 다중적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공간에 서로 구분되는 그룹의 통신장비를 보관 설치함으로써 공간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다중 분할 랙설비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랙설비의 골격구조를 변경하고 효율적으로 분할하기 위한 설비들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랙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랙의 개폐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부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분할 랙설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 - 사시도, (B) - 정면도, (C) - 측면도, (D) - 배면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이캐스팅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분할 랙설비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프레임구조체 211 : 프레임요홈
22 : 다이캐스팅 221 : 박편
222 : 돌출부 223 : 결합요홈
23 : 분할플레이트 24 : 외부플레이트
25 : 전면도어 26 : 후면도어
27 : 바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중 분할 랙설비는 전자통신장비를 보관 설치하는 캐비닛 형태의 랙에 있어서, 분할을 위한 복수의 프레임요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프레임구조체를 각각 결합 설치하여 랙의 전체 외형골격구조를 형성하고, 전체 외형골격구조를 분할하고자 하는 위치에 적어도 복수의 다이캐스팅을 설치하여 랙의 전체외형골격구조를 분할하여 구조화시키며, 복수의 외부 플레이트를 결합 설치함으로써 랙의 외형골격구조를 분할하여 형성한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분할 랙설비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분할 랙설비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사시도를, (B)는 정면도를, (C)는 측면도를 그리고 (D)는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이캐스팅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분할 랙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중 분할 랙설비는 전체적으로는 캐비닛 형태의 육면구조체 형태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의 다중 분할 랙설비는 EN60529/IEC529 및 IEC297-1,2,3, DIN41494, VDE171, RAL7044 등 국제적인 규격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랙(rack)이 가져야 할 내진 및 진동을 고려하여 전체하중과 뒤틀림 방지를 위해 각각 분할된 사각모서리에 일체형 플레이트와 다이캐스팅을 사용하게 되며, 약 2 ~ 2.5mm 이상의 압출 두께를 유지하여 제작한다.
이러한 다중 분할 랙설비는 종래 랙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다중 분할 랙설비는 세로로 형성되는 4개의 각 프레임구조체(21)와, 랙의 최상부 및 최하부의 단면을 형성하기 위한 가로의 각 프레임구조체(21)를 결합 설치하여 랙의 전체 외형골격구조(외형틀)를 형성한다.
이러한 프레임구조체(21)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이캐스팅(22)을 랙의 분할하고자 하는 부위에 형성한다.
이러한 다이캐스팅(22)은 일단면이 터진 두께가 얇은 박편(221)의 외형틀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그 측단면에 상기 프레임구조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222)를 형성하고, 상기 분할할 면을 막는 분할 플레이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요홈(223)을 형성하고 있다.
결합 설치된 외형골격구조에 이러한 다이캐스팅(22)을 분할하고자 하는 위치, 즉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종래 캐비닛 통체형 랙을 2분하는 경우에 장차 분할될 프레임구조체(21)의 해당 위치(화살표 표시)에 다이캐스팅(22)을 설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다이캐스팅(22)의 돌출부(222)가 프레임구조체(21)에 형성된 다수의 프레임요홈(211)에 결합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네 모서리에 설치되는 다이캐스팅(22)은 단단하고 견고하게 된다.
이렇게 견고하게 설치되는 다이캐스팅(22)을 기반으로 하여 다이캐스팅(22)의 결합요홈(223)에 분할플레이트(23)를 결합 설치함으로써 분할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 후 분할플레이트(23)에 의해 분할된 본 실시에의 다중분할 랙장치의 둘레에는 복수의 외부플레이트(24)를 결합 설치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분할 랙설비를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플레이트(24)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보관되는 장비의 냉각(cooling)과 통풍을 위해 작은 구멍이 많이 뚫리도록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중분할 랙장치에는 도어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는 필요에 따라 설치하지만 도 3의 (B)나 (D)와 같이 전면도어(25)와 후면도어(26)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도어(25, 26)는 도어를 여닫는 결합부위에 스프링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스프링을 압축시키게 되면 도어를 탈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다중 분할 랙설비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프레임구조체(21)에 설치됨으로써, 종래 약 130 ~ 140°정도밖에 열리지 않는 것과는 달리 180°즉 완전 개방된다. 따라서 다중 분할 랙설비에 설치되는 각종 기기의 인출이 보다 편리하다. 아울러 이러한 도어는 분할된 각 층마다 설치됨으로써 분할된 공간별로 개폐(open & closed)가 가능하며, 따라서 분할의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다중 분할 랙설비 하단에는 바퀴(27)가 결합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바퀴(27)는 본 실시예의 랙장치를 상하 이동하여 수평조절이 가능하고 잠금 풀림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의 다중분할 랙설비는 종래 통체형 랙을 4분 분할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다수의 다이캐스팅(22)을 사용하여 분할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중 분할 랙설비는 인증시험기관인 한국산업기술시험원(Korea Testing Laboratory ; KTL)의 IEEE Std 344에 준하는 진동특성 및 내진성능시험결과 그 내진성과 안전성에는 이상 없음이 확인되었다.
[ 가. 진동특성시험 ]
주파수 0.5 ~ 50Hz, 가속도 0.02m/s2, 가진시간 80초, 상ㆍ하ㆍ좌ㆍ우의 가진방향을 갖는 가진신호를 디지털 보정가진의 가진테이블 제어방식으로 인가했을 때, 전후로는 9.1 ~ 10.9 Hz를 상하로는 8.6Hz의 공진주파수를 얻었다.
[ 나. 내진시험 ]
주파수 0.5 ~ 40 Hz, RRS 레벨을 단계별 가속도 변화, 1/6 옥타브 주파수 밴드(Octave Frequency Band), 댐핑(Damping) 2%, 가진시간 30sec, 상ㆍ하ㆍ좌ㆍ우의 가진방향을 갖는 가진신호를 디지털 보정가진의 가진테이블 제어방식으로 인가했을 때, 가진 테이블의 가속도가 9.0m/s2이하에서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분할에 있어서 분할공간을 균등하거나 비균등하도록 필요한 상태로 분할할 수 있는 등 전술한 본 고안의 기술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일체형 크기의 랙을 필요에 따라 다중적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공간에 서로 구분되는 그룹의 통신장비를 보관 설치함으로써 공간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인증기관의 측정결과와 같이 내진성과 안전성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고 방송장비나 계측기 등의 다양한 기기를 안전하게 보관 설치함으로써, 랙 기술의 발전에 일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3)

  1. 전자통신장비를 보관 설치하는 캐비닛 형태의 랙에 있어서,
    분할을 위한 복수의 프레임요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프레임구조체를 각각 결합 설치하여 상기 랙의 전체 외형골격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전체 외형골격구조를 분할하고자 하는 위치에 적어도 복수의 다이캐스팅을 설치하여 상기 랙의 전체외형골격구조를 분할하여 구조화시키며, 복수의 외부 플레이트를 결합 설치함으로써 상기 랙의 외형골격구조를 분할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분할 랙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캐스팅은 일단면이 터진 박편 외형틀 측단면에 상기 프레임구조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할할 면을 막는 분할 플레이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요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분할 랙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완전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랙설비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상기 프레임구조체에 도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분할 랙설비.
KR2020010033717U 2001-11-03 2001-11-03 다중 분할 랙설비 KR200261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717U KR200261303Y1 (ko) 2001-11-03 2001-11-03 다중 분할 랙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717U KR200261303Y1 (ko) 2001-11-03 2001-11-03 다중 분할 랙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303Y1 true KR200261303Y1 (ko) 2002-01-19

Family

ID=7308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717U KR200261303Y1 (ko) 2001-11-03 2001-11-03 다중 분할 랙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3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932B1 (ko) * 2014-06-10 2015-03-10 제일정보기술 주식회사 이동통신 기지국의 통신장비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932B1 (ko) * 2014-06-10 2015-03-10 제일정보기술 주식회사 이동통신 기지국의 통신장비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5026B2 (en) Integration cell for seismic electronic equipment rack and method of transporting electronic equipment units thereby
US9301408B2 (en) Equipment cabinet
US20080037228A1 (en) Electronic equipment cabinet expansion kit with offset brackets
US20180270968A1 (en) Rail seal for electronic equipment enclosure
AU2008254682B2 (en) Electronic equipment enclosure with exhaust air duct and adjustable filler panel assemblies
US6039414A (en) Modular electronic enclosure having rotational molded plastic interlocking components
US7086707B2 (en) Indoor-outdoor equipment enclosur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WO2010062469A1 (en) Rack with vertical mounting providing room for rack pdu
US10707664B2 (en) Enclosure and face plate support member for use with the enclosure
KR200261303Y1 (ko) 다중 분할 랙설비
WO2017223539A1 (en) Integration cell for seismic electronic equipment rack
CN102904426A (zh) 一体化滤波单元及四象限变频器
US6646203B1 (en) Cable rack
CN218416855U (zh) 一种具有可视功能的分区机柜
CN211629671U (zh) 一种适用于地震区的防尘配电柜
CN217934711U (zh) 一种可调模块化电容补偿柜
CN220570119U (zh) 一种无功补偿柜用电容器安装座
GB2401027A (en) A metal cabinet for electrical equipment
US63611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turndown pad
CN219164949U (zh) 可快速拼装的高承重服务器机柜
CN209844331U (zh) 一种新型动力配电箱
KR200365855Y1 (ko) 통신용 장비를 탑재하기 위한 인도어 랙
CN215733040U (zh) 一种防尘防潮的组合式配电箱
CN219478360U (zh) 九折型材机柜
CN209859074U (zh) 服务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