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039Y1 - 변기카바 좌판 타임열림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카바 좌판 타임열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039Y1
KR200261039Y1 KR2020010016995U KR20010016995U KR200261039Y1 KR 200261039 Y1 KR200261039 Y1 KR 200261039Y1 KR 2020010016995 U KR2020010016995 U KR 2020010016995U KR 20010016995 U KR20010016995 U KR 20010016995U KR 200261039 Y1 KR200261039 Y1 KR 200261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at
adsorption
torsion spring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김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훈 filed Critical 김상훈
Priority to KR2020010016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0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039Y1/ko

Links

Landscapes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의 좌판(5) 사용후 좌판(5)이 자동으로 일정시간이 경과 후 들려 젖혀지는 것으로서 비틀림스프링(11)의 복원력이 좌판(5)에 하단에 위치한 끼움구멍(3)에 끼워진 흡착판(1)의 흡착력을 능가할 때 원위치로 좌판(5)이 회동하여 들려지게 된다.
이때 흡착판(1)에 미량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잇도록 공기유입구멍(2)을 천공하여주면 비틀림스프링(11)의 복원력이 흡착판(1)에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흡착판ㄹ(1)의 흡착력은 비틀림스프링(11)의 복원력을 능가하여 좌판(5)이 내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흡착판(1)에 천공된 공기유입구멍(2)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게되면 흡착판(1)의 흡착력이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비틀림스프링(11)의 복원력 보다 작아지면 좌판(5)은 회동하여 열려 세워지게 된다. 흡착판(1)의 공기유입구멍(2)의 지름의 크기에 따라 타임조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변기카바 좌판 타임열림장치{seat time up standing}
본 고안은 변기카바 좌판 타임 열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좌판의 하단부와 좌변기 본체가 맞닿는 일부분에 공기유입구멍이 천공된 흡착판이 설치되어 좌판이 복원력에 의해 바로 회동되지 않고 일정시간 흐른 뒤 자동으로 개방되며 이때 개방되는 시간을 공기유입구멍의 지름의 크기로 조절이 가능한 타임열림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좌변식 변기의 씨트에 있어서, 좌판과 덮개를 각각 수동으로 회동시키거나 혹은 좌판에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좌판만 회동가능하도록 설치 되어져 있다.그러나 좌판을 사용하고자 할때 사용자가 일일이 손으로 좌판을 내려 누른뒤 앉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사용후 일어설때 좌판이 동시에 들려짐으로 인해 뒷허벅지 부분을 스치는 불쾌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어떤 형태로든 비틀림스프링이나 여타장치에 의해 좌판이 개방되는 씨트 좌판에 있어서 사용자가 좌판을 내려 누르면 좌판이 내려진 상태로 일정시간 유지되고 또 사용자가 일어선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그때서야 좌판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는 변기카바 좌판 타임열림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카바 좌판 타임열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좌판과 덮개 및 체결구내에 설치된 비틀림스프링의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흡착판의 부착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흡착판의 흡착 부분을 위에서 내려다 본 도면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흡착판을 정면 위에서 본 도면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흡착판의 흡착부분을 밑에서 위로 올려다 본 도면〈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흡착판 2:공기유입구멍3:흡착판끼움구멍 5:좌판6:덮개 7:좌판받침대11:비틀림스프링 12:변기본체의평평한 면13:변기본체 14:체결구
본 고안에 따른 변기카바 좌판 타임열림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덮개(6)과 좌판(5)이 체결구(14)에 의해 고정설치된 좌변식 변기에 있어서 특히 상기 좌판(5) 하단부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멍(2)을 천공한 흡착판(1)을 흡착판끼움구멍(3)에 끼워 설치된 좌판(5)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구(14)에 비틀림스프링(11)이 안입되어 좌판(5)이 비틀림스프링(11)에 의해 회동되도록 하고 덮개(6)은 수동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흡착판(1)에 공기유입구멍(2)을 천공하는 이유는 흡착판(1)은 압착상태를 유지하여 좌판(5)와 체결구(14)에 안입설치된 비틀림스프링(11)이 사용자가 좌판(5)이 세워진 상태에서 아래로 내려누르면 흡착판(1)의 압착력이 비틀림스프링(11)의 탄성복원력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어 초기 압착력은 흡착판(1)에 천공된 공기유입구멍(2)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서서히 압착력이 감소하게되고 마침내 흡착판(1)의 압착력이 비틀림스프링(11)의 탄성복원력보다 작게되는 시점이 되면 비로소 비틀림스프링(11)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여 좌판(5)이 자동으로 들려지게 된다.흡착판(1)에 천공된 공기유입구멍(2)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속도는 비틀림스프링(11)의 탄성복원력을 제어시키는 시간과 비례하므로 공기유입구멍(2)의 구멍지름이 크면 공기유입량이 빠르고 많아져서 흡착판(1)의 흡착력이 그만큼 빨리 감소 하게되고 구멍지름이 작으면 작을수록 흡착력은 오래도록 지속된다.그리고 좌판(5)을 개방시키는 비틀림스프링(11)에 대해 설펴보면,체결구(14)에 안입설치되는 비틀림스프링(11)에 있어서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틀림스프링(11)의 한쪽부분(11a)이 체결구(14)의 (10)부분 좌측에 안입되어 지지되고 반대쪽 부분(11b)는 좌판(5)의 (5b)에 관통된 구멍에 안입되어 좌판(5)을 회동시키게 된다.덮개(6)의 (6a)는 관통되어 체결구(14)의 축에 의해 회동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한편 비틀림스프링(11)의 탄성복원력은 최소 좌판(5)의 자중을 능가하여야하며 최대 좌판(5)의 자중과 덮개(6)의 자중을 능가해서는 안된다.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덮개(6)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좌판(5)만 내려눌러 사용하게 되는데 좌판(5)과 덮개(6)를 함께 내릴 경우도 있으므로 비틀림스프링(11)의 탄성복원력이 좌판(5)과 덮개(6)를 합한 무게를 능가하면 덮개(6)를 내려도 항상 세워진 상태가 되기때문이다.도 3은 좌판(5)의 하단부 일측에 흡착판(1)을 끼움형식으로 부착하는 것을 예시한 것으로서 흡착판끼움구멍(3)을 일일이 뚫을 필요는 없으나 좌판(5)의 길이가 변기본체(13)보다 길거나 짧을 경우에 흡착판(1)을 상,하로 이동하여 끼울수 있도록 한 것이다.좌판(5) 하단부에 설치되는 흡착판끼움구멍(3)의 위치는 변기 본체의 윗평평한면(12) 어디든지 간에 흡착판(1)이 흡착될 수 이써는 위치이면 되지만 가능한 좌판(5)의 끝부분에 위치하여야 노약자들도 힘안들이고 좌판(5)을 내려누를 수 있다.도 4, 도 5, 도 6은 공기유입구멍(2)이 천공된 흡착판(1)을 도시한 것으로,반드시 좌판(5)에 끼우도록 된 흡착판이 아니라도 상관없지만 공기유입구멍(2)이 천공되지 않은 여하한 형태의 흡착판은 본 고안의 구성에 적합하지 않다.본 고안의 특징인 좌판(5)의 탄성복원력을 일정시간 제어할 수 없기 때문이다.도 3에 도시한 좌판 받침대(7)는 좌판(5)을 받쳐주는 역할도 하지만 흡착판(1)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완전히 납작하게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겸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일상생활에서 좌변기를 사용함으로 느낄수 있는 불편사항을 개선 함으로써 좌판을 사용전이나 사용후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흡착판(1)에 천공된 공기유입구멍(2)에 의해 좌판에 작용되는 탄성복원력을 일정시간 제어하는 것으로, 좌판에 묻은 물기나 이물질을 닦기 위해 휴지등을 낭비하는 것을 막는 등 매우 간단하면서도 유익하며 편리한 고안이다.

Claims (1)

  1. 좌판이 자동으로 회동가능하도록된 좌변기 씨트에 있어서, 그 자동개방장치를 일정시간동안 제어하는 수단으로 공기유입구멍(2)을 천공한 흡착판(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카바 좌판 타임열림장치.
KR2020010016995U 2001-05-31 2001-05-31 변기카바 좌판 타임열림장치 KR200261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995U KR200261039Y1 (ko) 2001-05-31 2001-05-31 변기카바 좌판 타임열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995U KR200261039Y1 (ko) 2001-05-31 2001-05-31 변기카바 좌판 타임열림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713A Division KR100702812B1 (ko) 2002-05-23 2002-05-23 변기카바 좌판 타임열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039Y1 true KR200261039Y1 (ko) 2002-01-19

Family

ID=73102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995U KR200261039Y1 (ko) 2001-05-31 2001-05-31 변기카바 좌판 타임열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0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5342A (en) Device actuated by toilet flushing for dispensing deodorant
US5566402A (en) Bidet apparatus for toilets
US5323496A (en) Toilet seat lifting apparatus
US4893359A (en) Vented toilet bowl
KR200261039Y1 (ko) 변기카바 좌판 타임열림장치
US5031259A (en) Toilet odor entrapping device
KR100702812B1 (ko) 변기카바 좌판 타임열림장치
US5708990A (en) Commode flush accessory
JP2001218703A (ja) 自動式便座下ろし装置
US6345806B1 (en) Foot-actuated faucet
KR102060382B1 (ko) 휴지버리는 시간을 대·소변에 따라 자동 제어하는 무전원 자동물내림 장치
US6848469B2 (en) Adjustable valve for a toilet
KR200336564Y1 (ko) 좌변기용 자동 열림 변기시트
GB2331111A (en) Toilet seat lifting mechanism
US11583148B1 (en) Toilet device configured to provide a self-rising toilet seat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20040999A (ko) 자동 양변기
KR200265600Y1 (ko) 자동 양변기
JP3490053B2 (ja) スイッチ式シャワー器
KR200297390Y1 (ko) 좌변기 시트의 자동 열림 장치
KR200306676Y1 (ko) 좌변기용 자동 열림 변기시트
KR200294080Y1 (ko) 양변기 자동배수장치
CN2407053Y (zh) 一种座便器
WO1999023927A1 (en) A lifting mechanism
JPH0111813Y2 (ko)
KR200210873Y1 (ko) 소변기의 밸브 조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8

Year of fee payment: 6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