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884Y1 -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 Google Patents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884Y1
KR200260884Y1 KR2020010033486U KR20010033486U KR200260884Y1 KR 200260884 Y1 KR200260884 Y1 KR 200260884Y1 KR 2020010033486 U KR2020010033486 U KR 2020010033486U KR 20010033486 U KR20010033486 U KR 20010033486U KR 200260884 Y1 KR200260884 Y1 KR 200260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arm
tongs
locking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장인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장인무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장인무역
Priority to KR2020010033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884Y1/ko

Link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물체를 집기 위한 집게에 있어서, 상기 집게는 각각 힌지단과 집게단을 구성하는 제1암 및 제2암, 상기 각각의 힌지단에서 상기 제1암 및 제2암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암이 접힌 위치와 펴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힌지 수단, 상기 암이 펴진 위치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제1암에 부착되는 핀부와 상기 제2암에 부착된 어파쳐부로 구성되는 중력을 이용한 잠금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부는 중력에 의해 이동하며 상기 제1암과 병렬로 정렬되는 핀 및 상기 핀의 이동을 제한하는 속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파쳐부는 상기 핀이 중력을 이용한 잠김 수단과 맞물리도록 맞물림영역이 구성되어, 상기 중력을 이용한 잠김 수단은 중력이 상기 수단이 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면 상기 수단은 풀어지고, 상기 수단이 맞물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면 상기 수단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Lockable Tongs using a Gravity}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물건을 쥐는 수단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음식을 다루는 집게 등과 같은 것으로, 중력에 의한 잠금 수단을 사용하여 보관을 하는 경우에는 접혀진 상태에서 고정되는 잠금 수단에 관한 고안이다.
고안의 배경
일반적으로 음식을 집거나 물건을 쥐어 일시적으로 운반하는 방법으로 스프링이 장착된 집게가 편리하게 제공된다. 스프링은 즉시 사용될 수 있는 상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집게가 펴진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이 장착된 집게는 방치된 상태에서 많은 부피의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는 상기 집게가 사용중인 경우에는 문제되지 않으나, 저장되는 경우에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한다. 만약 상기 집게가 접혀진 상태로 서랍에 보관된다면, 스프링은 상기 집게를 펴지게 하여 서랍을 여는데 불편함을 초래한다.
지금까지 스프링이 장착된 집게의 저장공간을 줄이기 위해 여러 가지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미합중국 특허 제5199756호는 손으로 잠금판을 움직여서 집게의 팔을 제한 위치까지 이동시켜 작동시키는, 움직일 수 있는 잠금 장치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잠금판은 상기 판에 힘을 가하여 맞물리거나 풀어지게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한 손으로는 집게를 잡아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손으로는 상기 잠금판을 맞물리거나 풀어야한다. 상기 집게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외부 수단으로 고무밴드 기타 접힌 상태를 확보할 다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방법들은 결코 안전하다 할 수 없고 집게 스프링이 밖으로 도출되거나 상기 외부 억제수단이 제거될 수도 있다. 상기 고무밴드도 또한 부적당한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효과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잠금 장치를 실시하기 위해 두손을 사용하거나 손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손의 기능이 감소되거나 제한되어 사용자들이 가까이 하기에는 불편함이 따른다.
미합중국 특허 제4609132호는 옷가지를 거는데 사용하기 위한 중력에 기반을 둔 잠금 장치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옷걸이는 축으로 지탱되어 회전하는 두 개의 굽은 표면 사이에 위치한 원기둥을 사용한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조는 집게가 적당한 동작을 하기 위하여 하나의 암(arm)과 다른 암의 사이에 다양한 두께의 옷들을 집을 수 있다. 상기 특허는 중력에 기반을 두고 다양한 두께의 옷들을 집을 수 있는, 중력에 기반을 잠금 구조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나, 상기 집게는 완전히 접힌 위치에서만 잠기기 때문에 집게로 알맞은 구조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집게 또는 집게 수단 세트는 한 손으로도 쉽게 동작시킬 수 있는 개선된 것이며, 상기 잠김 구조를 실시하기 위해 중력을 사용한 잠김과 풀림의 단순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중력에 의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쉽게 집게를 잠그거나 푸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집게를 저장하는 경우 기존의 집게에비해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집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는 집게를 동작시킬 수 있어 다른 손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집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집게를 접기 위하여 고무밴드 기타 외부 수단의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잠금 수단이 장착되는 집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집게를 접기 위해 완전히 닫혀진 위치까지 상기 집게를 위치시킬 필요가 없는 집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 집게가 잠금 수단이 풀리는 방향에서 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 집게가 잠금 수단이 풀리는 방향에서 접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 구조의 핀부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핀부에 구성된 핀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어파쳐부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잠금 수단이 풀려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 집게가 잠금 수단이 맞물리는 방향에서 펴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 집게가 잠금 수단이 맞물리는 방향에서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9도는 제7도의 상태에서 잠금 수단이 풀려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제10도는 제8도의 상태에서 잠김 수단이 맞물려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제1암 12: 힌지(hinge)단
14: 집게단 20: 제2암
22: 힌지단 24: 집게단
30: 힌지핀 40: 스프링
42: 와인딩(winding) 50: 핀부
52: 속박부 54: 제1브래킷(bracket)
56: 베이스(base) 58: 제2브래킷
60,62: 구멍 70: 핀(pin)
72,76: 핀단 74: 중간부
80: 어파쳐부(aperture) 82: 접합부
84: 직선부 86: 곡선부
100: 엣지(edge) 110: 갭(gap)
고안의 요약
본 고안에 따른 집게는 각각 힌지(hinge)단과 집게단을 포함하는 제1암 및 제2암로 구성된다. 힌지 수단은 상기 힌지단에서 제1암 및 제2암이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암이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간에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암이 열린 상태에 있도록 스프링이 포함된다.
중력을 이용한 잠김 수단은 제1암에 부착된 핀(pin)부와 제2암에 부착된 어파쳐(aperture)부로 구성된다. 상기 핀부는 제한된 범위만을 움직이게 하는 속박부 내에서 중력의 영향하에 움직이는 핀을 포함한다. 상기 제2암의 어파쳐부는 미끄럼면 상에 위치한 맞물림영역을 갖고 있다. 잠김 수단이 맞물리는 방향에서, 중력이 상기 핀부에 영향을 미치고, 상기 집게의 암이 각각 서로를 향해 눌려졌을 때, 상기 핀부는 상기 집게가 잠가지도록 상기 어파쳐부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힘으로 상기 암이 외부 방향을 향하려고 하나, 상기 핀은 상기 집게가 펴지는 것을 막는다. 만약 잠김 수단이 풀리는 방향에서, 상기 집게는 상기 핀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움직이도록 향한다면, 상기 잠김은 풀리게 된다.
상기 어파쳐부는 상기 핀이 상기 맞물림영역과 접촉하는 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늘려진 구멍이 형성된다. 집게가 펴진 상태에서 상기 잠김 수단이 맞물리는 방향으로 위치한다면, 상기 제1암 및 제2암이 서로 눌렸을 때, 상기 핀은 중력에 의해 상기 구멍을 통과하여 삽입된다. 상기 암이 잠김으로부터 풀어졌을 때, 상기 스프링은 상기 암들이 벌어지도록 힘을 가하고, 그 때문에 상기 핀은 상기 어파쳐부의 끝단에 접촉한 상태로 위치한다.
고안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고안은 음식을 집거나 물건을 쥐어 일시적으로 운반하는 방법으로 스프링이 장착된 집게에 관한 고안으로서, 제1도 및 제2도는 잠김 수단이 풀리는 방향에서, 집게가 접히고 펴진 상태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형상에 관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된 집게는 스테인레스(stainless)강으로 만들어지나, 예컨데,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목재, 또는 집게로서 물건을 쥐기에 가능한 힘을 제공하는 다른 재료도 가능하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에는 제1암(10)과 제2암(20)이 형성되어, 상기 제1암은 힌지단(12)과 집게단(14)을 구비하고, 상기 제2암은 힌지단(22)과 집게단(24)을 구비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단은 일반적인 형상으로 되어있으나, 다른 형태의 집게단도 또한 가능하다. 제1암(10)과 제2암(20)의 힌지단에는 상기 힌지단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힌지핀(30)이 구비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이 펴져 있는 상태가 되도록 스프링(40)이 사용된다. 상기 스프링은 스프링강으로 만들어진 감긴 형태이며, 보통의 상태에서 상기 암이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집게에 충분한 힘을 가한다. 힘을 발생시키는 기타의 재료 또는 형태도 동일한 결과를 갖는 경우에는 가능할 것이다. 상기 힌지핀(30)은 와인딩(42)을 통해 상기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중력을 이용한 잠김 구조는 집게를 쉽게 취급하고 보관하는 것과 같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이다. 상기 구조는 제1암(10)에 부착된 제1부재와 제2암(20)에 부착된 제2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부재는 단순히 한번의 동작으로 잠기거나 풀리도록 함께 작용한다. 상기 제1부재는 핀(70) 및 속박부(52)로 구성되는 핀부(50)로 구성된다. 상기 핀 및 속박부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속박부는 단순한 브래킷(bracket)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C'형태를 갖는다. 상기 C형태의 속박부(52)는 제1브래킷(54), 베이스(56), 및 제2브래킷(58)으로 구성된다. 상기 속박부의 베이스(56)는 제1암(10)에 부착되는데, 이는 용접, 접착제, 리벳 또는 기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다른 접합 수단으로도 접합이 가능하다. 상기 제1브래킷(54) 및 제2브래킷(58)은 상기 핀이 삽입되도록 직선의 축을 기준으로 구멍(60, 62)이 형성된다. 상기 핀(70)의 길이는 상기 속박부의개구부보다 더 길기 때문에 상기 핀의 핀단(72, 76)이 상기 제1브래킷(54) 및 제2브래킷(58)를 넘어서까지 위치한다. 상기 핀(70)의 중간부(74)는 상기 브래킷에 형성된 구멍(60, 62)보다 더 크기 때문에 상기 핀은 상기 구멍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1브래킷(54) 및 제2브래킷(58) 사이에서 제한된 거리만 움직인다.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핀(70)을 구멍(60, 62)을 통해서 넣기 위해 상기 속박부를 완전히 뒤집을 필요는 없으며, 단지 핀단(72, 76)과 구멍(60, 62) 사이에서 핀을 자유롭게 움직여 상기 핀이 상기 속박부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극복할 정도로 상기 핀의 무게 중심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력에 의한 잠금 수단인 제2부재는 미끄럼판(84, 86), 맞물림영역(90), 및 접합부(82)로 구성된 어파쳐부(80)이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파쳐부(80)는 상기 제2암(20)에 상기 접합부(82)가 부착되는 방법으로 상기 제2암에 부착되어 상기 핀부(50)와 정렬하여 위치한다. 상기 어파쳐부(80)의 미끄럼면은 직선부(84)와 곡선부(86)로 구성되어, 상기 곡선부는 힌지핀(30)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암(10, 20)이 펴지고 접혀질 때, 핀의 핀단(72)과 곡선부(86)사이의 격차는 일정하다. 상기 어파쳐부(80)의 맞물림영역(90)에는 집게가 접혀있을 때 상기 핀(70)과 일직선을 이루는 상기 미끄럼판(84) 상으로 구멍이 구성된다. 상기 맞물림영역(90)에 구비된 구멍의 지름은 핀의 지름보다 약간 크다.
본 고안에 따른 집게를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집게를 쥐고, 집게의 힌지단(12, 22) 아래로 상기 집게단(14, 24)을 향하게 하여 목적 재료로 향할 것이다. 사용자가 집게의 끝단을 누름에 따라, 상기 집게단은 목적 재료를 맞물게 된다. 상기 동작이 실시되는 동안,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는 아래를 향하기 때문에,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에 발생하는 중력은 최저점을 향하기 때문에 잠금 작용은 이뤄지지 않는다. 이때, 핀단(72)과 미끄럼판(84, 86) 사이에서 갭(110)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잠금 구조는 상기 잠금 집게의 방향을 변화시켜 잠그는데, 이는 핀(70)이 풀리는 위치로부터 맞물리는 위치로 상기 집게를 이동시키고, 집게팔을 눌러 상기 어파쳐부의 맞물림영역(90)과 상기 핀(70)을 일직선이 되도록 한다.
제7도, 제8도, 제9도, 및 제10도는 적당히 맞물리기 위해 방향이 뒤집혀 있는 집게 및 잠금 구조를 도시한다. 집게를 잠그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집게암(10, 20)에 힘을 가하여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집게단(14, 24)을 누르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핀(70)과 속박부(52) 사이의 마찰 저항을 극복하도록 상기 중력을 이용한 잠금 수단에 대해 집게단(14, 24)이 위를 향하도록 이동시킨다.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집게암의 집게단을 위로 향하게 한 후, 상기 암에 힘을 가하여도 가능하다. 상기 집게암(10, 20)은 상기 핀(70)과 상기 어파쳐부(80)가 맞물리도록 충분히 가까워졌을 때, 상기 핀은 상기 어파쳐부 속으로 삽입된다. 상기 집게암에 더 이상 힘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상기 맞물린 핀은 그 위치를 유지하는데, 이는 집게암을 통한 스프링(40)이 가하는 좌우방향의 힘 때문이다. 상기 좌우 방향의 힘은 상기집게가 접혀있는 한 계속 가해진다. 일단, 상기 핀이 맞물리면, 상기 집게는 어떠한 형태로든 접혀있을 것이다.
상기 접혀진 집게를 펴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집게단(14, 24)을 상기 중력을 이용한 잠김 수단(50, 80)보다 아래로 향하여야 하고, 핀에 가해진 상기 좌우방향의 힘을 제거하여 상기 핀에 중력이 가해져 아래로 내려가도록 집게암을 살짝 눌러줌로써 상기 집게는 펴지게 된다.
상기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집게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조가 가능한데, 하나의 암은 힌지단에서 다른 암의 속으로 끼워 넣고 힌지핀(30)으로 서로를 결합하여 어떠한 충돌도 없이 상기 힌지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집게단(14, 24)은 물결모양의 끝단을 갖고 있다. 상기 집게의 표면은 매끈하나, 울퉁불퉁 하거나 거친 표면으로 변화가 가능하다. 상기 집게의 힌지단(22)에는 엣지(100)가 형성되어, 상기 집게가 일정한 폭 내에서 펴지도록 유지한다.
상기 집게를 잠그거나 풀기 위해서 어떠한 외적인 구조가 없기 때문에, 상기 집게는 쉽게 한손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집게단(14, 24), 암(10, 20), 그리고 스프링(40)은 본 고안에 따른 취지 내에서 단순한 형태의 변형은 가능하다.
부가하여, 상기 잠금 구조는 전술한 바와 똑같은 방법으로 기타 장치를 잠그는데 상기 잠김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파쳐부(80)의 위치를 변형시켜 핀(70)의 아래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구체예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암(10)의힌지단(12)은 집게암(10)의 끝에 위치하여 상기 집게가 걸개나 못과 같이 튀어나온 부분에 걸수 있도록 구멍(120)이 형성된다.
본 고안은 물건을 쥐는 수단 즉, 음식을 다루는 집게 등과 같은 것으로, 중력에 의한 구조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집게를 잠그거나 푸는 것을 가능하며, 집게를 저장하는 경우 기존의 집게에 비해 적은 부피를 차지하고 저장한 집게를 서랍에서 꺼내기도 손쉬우며, 사용자는 한 손으로는 집게를 잡아 잡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손이 자유로워지며, 집게를 접기 위하여 고무밴드 기타 외부 수단의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잠금 수단이 제공되며, 집게를 접기 위해 완전히 닫혀진 위치까지 상기 집게를 위치시킬 필요가 없는 집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1)

  1. 물체를 집기 위한 집게에 있어서,
    힌지단(12, 22)과 집게단(14, 24)이 형성된 제1암(10) 및 제2암(20);
    상기 각각의 힌지단에서 상기 제1암과 제2암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암(10, 20)이 접힌 위치와 펴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힌지 수단;
    상기 암에 힘을 가하여 펴진 위치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스프링(40); 및
    상기 제1암에 부착되는 핀부(50)와 상기 제2암에 부착된 어파쳐부(80)로 구성되는 중력을 이용한 잠금 수단;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부는 중력에 의해 이동하며 상기 제1암과 병렬로 정렬되는 핀(70) 및 상기 핀의 이동을 제한하는 속박부(52)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파쳐부는 상기 핀이 중력을 이용한 잠김 수단과 맞물리도록 맞물림영역(90)이 형성되어, 상기 중력을 이용한 잠김 수단은 중력이 상기 수단이 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면 상기 집게는 펴지고, 상기 수단이 맞물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면 상기 집게는 접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단(14, 24)이 서로 근접하도록 상기 암(10, 20)에 힘을 가하고, 중력에 의해 상기 핀(70)이 상기 잠김 수단에 맞물리도록 상기 집게를 배향함으로 상기 잠김 수단이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단(14, 24)이 서로 근접하도록 상기 암(10, 20)에 힘을 가하고, 중력에 의해 상기 핀(70)이 상기 잠김 수단에서 풀리도록 상기 집게를 배향함으로 상기 잠김 수단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박부(52)는 제1브래킷(54), 베이스(56), 및 제2브래킷(58)으로 구성되는 C형태의 브래킷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형태의 제1브래킷(54) 및 제2브래킷(58)에는 상기 핀(70)이 삽입되는 구멍(60, 6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핀(70)은 두 개의 핀단(72, 76) 및 상기 핀단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핀단보다 증가된 직경을 갖는 중간부(7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핀(70)의 중간부(74)는 상기 제1브래킷(54)과 제2브래킷(58)의 사이에 내재하며, 상기 상기 핀단(72, 76)은 브래킷에 형성된 구멍(60, 62)을 넘어서까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70)이 풀린 상태에서 상기 집게는 전 범위를 통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핀(70)이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집게는 펴지는 위치에서 접히는 위치까지 제한된 범위 내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는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KR2020010033486U 2001-11-01 2001-11-01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KR200260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486U KR200260884Y1 (ko) 2001-11-01 2001-11-01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486U KR200260884Y1 (ko) 2001-11-01 2001-11-01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884Y1 true KR200260884Y1 (ko) 2002-01-17

Family

ID=73111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486U KR200260884Y1 (ko) 2001-11-01 2001-11-01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8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2847A (en) Gravity lockable tongs
US5199756A (en) Locking tongs
US5062631A (en) Barbell clamp
EP2673440B1 (en) Door assistant
JP6280589B2 (ja) 締め輪クラスプ
US6089631A (en) Tongs for handling food
US20070126248A1 (en) Door propping method and device
US6416028B1 (en) Device and method of hanging elevator pads
JP2000051544A (ja) プライヤを有する多機能ポケット工具
KR200260884Y1 (ko) 중력을 이용한 잠금 집게
US10258181B2 (en) Portable supporting device
EP1672112A2 (en) Support clip, in particular for hanging clothes
US9144715B2 (en) Golf ball retriever
KR200488864Y1 (ko)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
JP3759477B2 (ja) 綴じ具
FR3080008A1 (fr) Poignee et procede de deploiement d'une poignee
US20090057351A1 (en) Hanger with interlocking cam clip
EP4164456B1 (en) Foldable hanger
CN220655339U (zh) 双臂展开幅度可调式衣撑
US20210321597A1 (en) Aautomatic fishing rod lifter that prevents unintentional injury
US3482868A (en) Clamping device
US5503355A (en) Bag support
KR930004845Y1 (ko) 절첩식 사다리의 절첩각도 조절장치
JP3749895B2 (ja) 綴じ具
KR200228857Y1 (ko) 바인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