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832Y1 - Division ware having a shape of tea flower - Google Patents

Division ware having a shape of tea fl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832Y1
KR200260832Y1 KR2020010031841U KR20010031841U KR200260832Y1 KR 200260832 Y1 KR200260832 Y1 KR 200260832Y1 KR 2020010031841 U KR2020010031841 U KR 2020010031841U KR 20010031841 U KR20010031841 U KR 20010031841U KR 200260832 Y1 KR200260832 Y1 KR 200260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sharing
shaped
peta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84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현철
Original Assignee
신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철 filed Critical 신현철
Priority to KR2020010031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83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832Y1/en

Link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부의 굽(11) 위에 차 꽃잎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차 꽃잎부(12)의 저부는 완만한 굴곡을 이루어 꽃심부 모양을 형성하고, 꽃잎부의 상부로 갈수록 꽃잎이 펼쳐지되 최상부는 중심 쪽으로 기울어져서 바닥부와 꽃잎부가 개화된 차꽃 모양의 그릇을 형성하며, 그릇 상부 테두리는 꽃잎 모양의 굴곡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꽃 모양의 차 나눔 다구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a petal portion 12 is formed on the heel 11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bottom of the tea petal portion 12 has a gentle bend to form a flower core shape, and the petals spread out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petal portion. The upper part is inclined toward the center to form a teapot-shaped bowl in which the bottom and petals are opened, and the upper border of the bowl is related to the teacup-shaped tea sharing tea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petal-shaped bends.

본 고안에 따른 차꽃 모양의 차 나눔 다구는 종래의 다관 보다 많은 양의 물을 담지할 수 있으므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차를 나누기 편리하며, 다구의 형상 자체가 차꽃 모양이어서 차를 즐길 때 감상할 수 있고, 차 나눔 다구를 이용하여 차를 우려낼 때에 차꽃을 띄우면 자연의 한가운데에서 차를 음용하는 듯한 환상적인 풍취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Tea-shape tea sharing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arry a larger amount of water than conventional tea pipes, so it is convenient for several people to share tea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if you float tea blossoms when tea is used for tea sharing, you can enjoy the fantastic taste of drinking tea in the middle of nature.

Description

차꽃 모양의 차 나눔 다구{DIVISION WARE HAVING A SHAPE OF TEA FLOWER}Tea-Shaping Tea Sharing {DIVISION WARE HAVING A SHAPE OF TEA FLOWER}

본 고안은 차꽃 모양의 차 나눔 다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를 음용하는데 있어서 차를 미각적으로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 후각적으로도 즐길 수 있도록 고안된 차꽃 모양의 차 나눔 다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ea-shaped tea sharing tea, and more particularly to tea tea-shaped tea sharing tea designed to enjoy not only aesthetic taste but also visual and olfactory in drinking tea. will be.

우리 나라의 차 문화의 유래는 신라시대 부터라고 알려져 있다. '다반사'라는 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는 오랫동안 우리 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는 우리의 생활문화이다. 옛사람들은 이렇게 차를 즐기는 이유를 첫째는 건강에 이롭기 때문이며 둘째는 사색 공간을 넓혀주고 마음의 눈을 뜨게 해주기 때문이며 셋째는 사람으로 하여금 예의롭게 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The origin of tea culture in our country is known from the Silla era. As can be seen from the word 'reflection', tea is our living culture that has been deeply embedded in our lives for a long time. The old people said that they enjoy tea because it is good for the health, the second is because it expands the thinking space and opens the eyes of the mind, and the third is because it makes people polite.

일반적으로 차를 내는 방법은 물을 끓이고, 찻잔을 덮히고, 다관에 끓인 물을 넣고 다관이 알맞게 덥혀지기를 기다려 물을 다 덜어내고, 다관에 차잎을 넣고적당히 식은 물을 넣어 우려낸다. 차가 다 우러나 차의 고유한 빛이 나타나면 찻잔에 부어 차를 내어 마시게 된다.In general, the method of making tea is to boil water, cover the cup, put the boiled water in the tube, wait for the tube to warm up, and drain off the water. When the tea is full and the unique light of the tea appears, it is poured into a tea cup and the tea is drunk.

이러한 종래의 차를 내는 방법은 차를 뚜껑이 있는 주전자 모양의 다관에 넣어서 우려내므로 차가 우러나면서 내는 차향을 음미하기 어렵고 다관에 첨가된 말린 차잎이 물에 불면서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되며 나타나는 신비한 자태를 감상하는데 매우 제한적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차를 즐기는 이유 중 차가 제공하는 사색 공간을 넓혀주는 등의 이점을 누리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왔으며, 대체로 적은 용량의 것들이어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음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The conventional method of making tea is to put the tea in a teapot shaped like a teapot with a lid, so it is difficult to savor the aroma of tea while the dried tea leaves added to the teapot ar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s it is blown into the water. The reason for enjoying the tea as described above is that it is very limited for viewing, and it has been disadvantaged that it does not enjoy the benefits such as widening the contemplation space provided by the car, and it is generally small and it is inconvenient for several people to drink at the same time. to be.

이에 본 고안에서는 차가 우러날 때의 향취를 음미할 수 있고 말린 차잎이 복원되는 신비한 자태를 직접 감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향에 따라 차꽃, 국화꽃, 매화꽃 등의 꽃을 차와 함께 띄워 향취와 시각적 아름다움을 즐기면서 많은 사람이 동시에 음용할 수 있는 양의 차를 우려낼 수 있는 차꽃 모양의 차 나눔 다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enjoy the scent of tea when it is full, you can directly appreciate the mysterious shape of dried tea leaves, and, depending on your taste, float the flowers of tea, chrysanthemum, and plum blossoms with tea to enhance the smell and visual beauty. The technical task is to provide a tea-sharing tea-sharing tea cup that can be used to enjoy the amount of tea that many people can drink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꽃 모양의 차 나눔 다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tea-shaped tea sharing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꽃 모양의 차 나눔 다구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참고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using the tea-shaped tea sharing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고안은 바닥부의 굽(11) 위에 차 꽃잎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차 꽃잎부(12)의 저부는 완만한 굴곡을 이루어 꽃심부 모양을 형성하고, 꽃잎부의 상부로 갈수록 꽃잎이 펼쳐지되 최상부는 중심 쪽으로 기울어져서 바닥부와 꽃잎부가개화된 차꽃 모양의 그릇을 형성하며, 그릇 상부 테두리는 꽃잎 모양의 굴곡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꽃 모양의 차 나눔 다구인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a petal portion 12 is formed on the heel 11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bottom of the tea petal portion 12 has a gentle bend to form a flower core shape, and the petals spread out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petal portion. The upper part is inclined toward the center to form a teapot-shaped bowl in which the bottom part and the petal part are opened, and the upper edge of the bowl is a teacup-shaped tea sharing tea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etal-shaped bend.

이하, 도면을 들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나, 본 고안이 도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꽃 모양의 차 나눔 다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인 것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꽃 모양의 차 나눔 그릇은 외관상 개화가 진행되어 만개되기 직전의 꽃잎이 안쪽으로 조금 모아진 상태의 차꽃 형상을 가진다.Figure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tea-shape tea sharing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ea-shaped tea sharing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ppearance is in progress before the petals bloom in full bloom It has the shape of the tea flower of the state a little gathered.

즉, 본 고안의 차꽃 모양의 차 나눔 다구는 차꽃을 그릇으로서 거의 완벽하게 재현한 것으로, 바닥부의 굽(11) 위에 차 꽃잎이 얹혀져 있는 형태를 가진다. 바닥부의 굽(11) 위에 놓인 꽃잎은 5장으로 서로 겹쳐져 있으면서 그 저부에서 상부까지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데 꽃잎의 저부는 꽃심부 모양을 만들어 물이 담겨졌을 때 물을 안정적으로 담지할 수 있고, 꽃잎들은 그릇의 중심축과 평행하되 그 상부에서는 그릇의 중심축을 향해 안쪽으로 조금 말려있다. 따라서, 각 장의 꽃잎들은 돌려난 듯이 굽위에 얹혀져서 한장씩 겹쳐져 우리 나라 전래의 항아리 처럼 물 등의 액체를 담지할 수 있도록 그릇 형태를 만든다. 이때, 각 장의 꽃잎은 서로 겹쳐지지만 겹쳐진 모양이 드러나도록 아래에 놓인 꽃잎 위로 위에 놓인 꽃잎의 모서리를 꽃잎이 가지는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양각하여 차 나눔 다구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에도 차꽃의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되었다.That is, the tea-shaped tea sharing tea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almost completely reproduces the tea flower as a bowl, and has a form in which tea petals are placed on the heel 11 of the bottom part. The petals placed on the bottom heel 11 are overlapped into five pieces and form a gentle curve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bottom of the petal forms a flower core shape so that water can be stably supported when water is contained. The petals are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vessel but slightly curled inward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vessel. Therefore, the petals of each sheet are placed on the heel as if they have been turned, and are stacked one by one to form a bowl so that liquids such as water can be supported like a jar of Korean tradition. At this time, the petals of each sheet we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but the edges of the petals placed on top of the underlying petals were embossed with natural curves of the petals so that the overlapped shapes were formed to have the shape of the tea blossoms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of the tea sharing tea.

본 고안에 따른 차꽃 모양의 차 나눔 다구를 사용하는 상태는 도 2에 참고사시도로서 나타내었다.The state using the tea-shaped tea sharing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ure 2 a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본 고안의 차꽃 모양의 차 나눔 그릇을 사용하는 방법에 따르면, 차꽃 모양의 차 나눔 그릇에 차를 우려내기 좋은 온도, 바람직하기로는 60 내지 80℃의 물을 다구의 중간 정도까지 또는 음용할 사람들의 인원을 고려하여 부은 후 적당한 양의 차를 첨가한다. 이때 사용되는 차는 잎차, 가루차, 티백 포장된 차 등 어떠한 형태의 차도 모두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using the tea-shaped tea sharing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a-shaped tea sharing bowl has a temperature that is good for soaking tea, preferably 60 to 80 ° C. After pouring, considering the number of people, add the appropriate amount of tea. In this case, any type of tea, such as leaf tea, powdered tea, or tea bag-packed tea, may be used.

상기한 바와 같이 차를 담은 차꽃 모양의 다구에서 차가 우러나는 동안 취향에 따라 꽃을 따서 띄울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꽃 모양의 차 나눔 다구에는 바람직하기로는 차꽃, 매화꽃, 국화꽃 등의 꽃을 띄워 감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a may be picked up according to taste while the tea is teated in the tea-like teapot containing the tea. Tea sharing tea-shaped tea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loated flowers such as tea flowers, plum flowers, chrysanthemum flowers can be appreciated.

본 고안에 따른 차꽃 모양의 차 나눔 다구에 차를 우려내면서 꽃을 띄우면 차를 마시는 이외에도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여 꽃과 차가 어우러지는 아름다움과 여유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 나눔 다구의 형상이 차꽃의 잎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부가 중심부를 향하여 약간 오므라져 있어서 꽃의 향기를 다구의 내부에 오랜 동안 머무르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차 향기와 더불어 꽃의 향도 즐길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Floating tea in tea-shaped tea sharing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loating the flowers while providing a visual effect in addition to drinking tea, you can enjoy the beauty and relaxation of the flowers and tea. 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tea sharing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art corresponding to the leaf edge of the tea flower is slightly closed toward the center, the fragrance of the flower stays inside the tea for a long time. You can also enjoy the scent of flowers.

차가 충분히 우러난 후에는 포자를 이용하여 음용하고자 하는 양 만큼씩 떠내어 각자의 찻잔에 담아낸다. 종래의 다관은 대부분 용량이 작아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음용할 때에는 번거로움이 따랐으나, 본 고안의 차 나눔 다구는 용량의 제한이 없어서 특히 여러 사람이 음용할 때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After the tea is high enough, use a spore to pour out the amount you want to drink and put it in each teacup. Conventional tea pipes are mostly small and have a lot of trouble when several people drink at the same time, but tea sharing t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n capacity can be used conveniently when drinking several people.

본 고안에 따른 차꽃 모양의 차 나눔 다구는 만개하기 직전의 차꽃 모양이므로 차를 담지하기가 용이하고, 상부가 안쪽으로 약간 오므라진 형태이므로 차의 향과 꽃향 또는 온기를 보호하는데 유리하다.Tea-shape tea sharing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arry the tea because the tea flower shape just before the full bloom, the upper portion is slightly concave inwards is advantageous to protect the aroma and floral aroma or warmth of the tea.

또한, 종래의 다관 보다 많은 양의 물을 담지할 수 있으므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차를 나누기 편리하며, 다구의 형상 자체가 차꽃 모양이어서 차를 즐길 때 감상할 수 있고, 차 나눔 다구를 이용하여 차를 우려낼 때에 차꽃을 띄우면 자연의 한가운데에서 차를 음용하는 듯한 환상적인 풍취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can carry a larger amount of water than conventional tea pipes, it is convenient for several people to share tea at the same time, and the shape of the tea bowl itself is tea-shaped, so you can enjoy it when you enjoy tea. Floating the tea blossoms when you make it so that you can enjoy the fantastic taste of drinking tea in the middle of nature.

Claims (1)

바닥부의 굽(11) 위에 차 꽃잎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차 꽃잎부(12)의 저부는 완만한 굴곡을 이루어 꽃심부 모양을 형성하고, 꽃잎부의 상부로 갈수록 꽃잎이 펼쳐지되 최상부는 중심 쪽으로 기울어져서 바닥부와 꽃잎부가 개화된 차꽃 모양의 그릇을 형성하며, 그릇 상부 테두리는 꽃잎 모양의 굴곡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꽃 모양의 차 나눔 다구.The tea petal portion 12 is formed on the bottom heel 11, and the bottom of the tea petal portion 12 forms a gentle bend to form a flower core shape. The tea-shaped tea sharing tea cu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ined toward the center to form a tea-shaped bowl in which the bottom part and the petal part are bloomed, and the upper edge of the bowl has a petal-shaped bend.
KR2020010031841U 2001-10-18 2001-10-18 Division ware having a shape of tea flower KR20026083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841U KR200260832Y1 (en) 2001-10-18 2001-10-18 Division ware having a shape of tea fl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841U KR200260832Y1 (en) 2001-10-18 2001-10-18 Division ware having a shape of tea flow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832Y1 true KR200260832Y1 (en) 2002-01-17

Family

ID=73110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841U KR200260832Y1 (en) 2001-10-18 2001-10-18 Division ware having a shape of tea fl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83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442B1 (en) 2019-07-30 2021-01-13 손광우 Petal flowering type tea l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442B1 (en) 2019-07-30 2021-01-13 손광우 Petal flowering type tea l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0832Y1 (en) Division ware having a shape of tea flower
TWM296653U (en) Improved structure of tea maker
KR200383573Y1 (en) Drinking cup
JP3164613U (en) Glass container
Moullou Shedding Light on the Kothon: Vases with Inward Downturned Rims Revisited
KR19980059445U (en) Disposable paper cups folded
JP3123356U (en) teacup
KR100293627B1 (en) Tea untensil and a tea producing method using it
JP2010017516A (en) Decorative artificial flower with dripping stopper
JP3152879U (en) Potable solution extractor
Campbell The tea book
JP3130281U (en) Stick tea bag
JP3016406U (en) Simple flower arrangement
KR200342877Y1 (en) A Teacup With The Filter To Remove The Tealeaves
JP3110230U (en) Tipak packaging package
CN215936995U (en) Disposable kungfu tea set
CN210540503U (en) Ceramic tea making cup with filter cover
CN207428872U (en) A kind of stainless steel time tea set and its teabowl with a cover, fair cup and teacup
KR200311779Y1 (en) A pack of the instant leaflet green tea
KR200225907Y1 (en) Plug of Tea Powder Stirrer
JP3016407U (en) Simple flower arrangement
CN2912414Y (en) Drinking glasses for small package tea
JP2006248610A (en) Drink container
JP2002209751A (en) Simple tea maker
JPH0310880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