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218Y1 -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집게형 머리핀 - Google Patents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집게형 머리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218Y1
KR200260218Y1 KR2020010022032U KR20010022032U KR200260218Y1 KR 200260218 Y1 KR200260218 Y1 KR 200260218Y1 KR 2020010022032 U KR2020010022032 U KR 2020010022032U KR 20010022032 U KR20010022032 U KR 20010022032U KR 200260218 Y1 KR200260218 Y1 KR 200260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hairpin
handle
typ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수영
Original Assignee
신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수영 filed Critical 신수영
Priority to KR2020010022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218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게형 머리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속제 머리핀 프레임에 수지재의 장식판이 고정되어 다양한 장식의 집게형 머리핀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을 포함하는 집게형 머리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집게형 머리핀은 힌지핀(9)이 고정되는 힌지핀고정공(7)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지지편(6)이 절곡형성된 손잡이(1)와, 손잡이(1)와 일체로 형성되며 다수의 집게발(3)이 형성되고 이에 인접하여 통공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돌기(4)를 갖는 집게(2)로 이루어진 한쌍의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B1, B2)과, 손잡이(1)와 집게(2)에 형성된 고정공(5a, 5b, 5c)을 통해 손잡이(1)와 집게(2)의 외측면에 고정된 머리핀장식판으로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미감을 갖는 장식판을 이 몸체의 외측에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소비자의 유행에 신속히 대응하여 머리핀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집게형 머리핀{A FRAME FOR A HAIR-PIN IN A PINCERS TYPE AND A HAIRPIN USING THEREOF}
본 고안은 집게형 머리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속제 머리핀 프레임에 수지재의 장식판이 고정되어 다양한 장식의 집게형 머리핀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집게형 머리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게형 머리핀은 집게와 손잡이로 이루어진 몸체가 힌지결합되어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머리카락을 집어서 머리카락이 흩어지지 않고 단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도1에 분해 사시도로 예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집게형 머리핀은 집게(11)와 손잡이(12)로 구성된 각각의 몸체가 상호 힌지결합되고, 힌지(13)에 끼워지는 힌지핀(14)에 스프링(15)이 설치되며, 이 스프링에 의해 집게는 서로 엇갈리게 맞물려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집게형 머리핀의 손잡이를 내측으로 잡아 당기면 집게는 외측으로 상호 벌어지고, 이때 스프링이 압핀되어 탄발력이 증가된다. 따라서 벌어진 집게를 소정의 머리카락 묶음에 위치시킨 후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시키면 압핀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손잡이가 외측으로 벌어지므로 집게는 소정의 머리카락 묶음을 파지하여 머리카락이 흩어지지 않게 유지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되는 통상의 집게형 머리핀은 금속재나 함성수지재로 제조되는 경우 그 모양이 매우 단조로웠다.
또한, 단조로운 형태를 탈피하고자 하는 경우 그 종류에 따라서 금형의 가지수가 증가되고, 그에 따라서 제조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집게와 손잡이를 금속재로 일체로 형성하고, 손잡이 부분에 다양한 장식판을 부착시킬 수 있는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장식판만을 부착시킴으로써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기 않고 매우 다양한 집게형 머리핀의 제조가 가능하다.
도1은 종래의 집게형 머리핀의 예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머리핀 프레임에 장식판이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2 : 집게
3 : 집게발 4 : 보조돌기
5a, 5b, 5c : 고정공 6 : 지지편
7 : 힌지핀고정공 8 : 통공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분해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은 한쌍의 금속재 몸체(B1, B2)로 형성되고, 각각의 몸체는 힌지핀(9)이 고정되는 힌지핀고정공(7)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지지편(6)이 절곡형성된 손잡이(1)와, 손잡이(1)와 일체로 형성되며 다수의 집게발(3)이 형성되고 이에 인접하여 다수의 보조돌기(4)가 형성된 집게(2)로 구성된다. 또한, 손잡이(1)와 집게(2)에는 장식판(도시되지 않음)을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5a, 5b, 5c)이 각각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8은 보조돌기(4)를 형성하기 위한 통공이다. 미설명부호 10은 집게의 탄발력을 발생하기 위해 힌지핀(9)에 결합되는 스프링이다.
본 고안의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먼저 집게발(3), 보조돌기(4), 핀고정공(7), 고정공(5a, 5b, 5c) 등의 구성요소가 프레스공정에 의해 몸체의 외형과 같이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소정의 절곡공정에 의해 집게발(3), 보조돌기(4), 지지편(6) 등이 소정의 형태로 절곡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한 쌍의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의 몸체(B1, B2) 외측면에 다양한 장식을 갖춘 장식판(P)을 나사(S)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공(5a, 5b, 5c)을 통해서 고정시키면 집게형 머리핀이 완성된다. 나사(S)와 같은 고정수단을 고정시킬 때,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나사(S)를 조여주면 장식판(P)이 본 고안의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에 더욱 잘 고정된다. 한 쌍의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의 몸체(B1, B2)에 형성되는 집게발(3)은 각각 서로 엇갈리게 결합되게 형성된다. 또한, 집게발(3)과 이격되게 내측에 형성되는 보조돌기(4)는 집게발(3)과 집게발(3)의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에 소정의 장식미를 갖는 장식판(P)을 나사(S)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장식판의 고정이 완료되면, 한쌍의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의 손잡이 부분에 형성된 지지편(6)을 상호 정렬하여 힌지핀고정공(7)에 힌지핀(9)과 스프링(10)을 결합하여 조립함으로써 하나의 집게형 머리핀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집게형 머리핀은 내측의 금속재 프레임과 외측의 장식판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외측의 장식판은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서 다양하게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집게형 머리핀은 손잡이(1)를 잡아당겨서 집게(2)를 벌어지게 한 후 소정의 묶음으로 묶어질 머리카락 부분에 집게발(3)들이 위치되면, 잡아당긴 손잡이(1)에서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스프링(S)의 탄발력에 의해 집게(2)가 내측으로 복귀되어 머리카락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또한, 집게발(3)의 내측에 이격 형성된 다수의 보조돌기(4)에 의해 집게형 머리핀의 좌,우 회전이 더욱 방지된다.
본 고안의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내구성이 뛰어나고, 프레임의 외측면에 소정의 다양한 장식미를 갖는 장식판을 고정시킴으로써 다양한 집게형 머리핀의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장식미를 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장식판만을 제조하여 동일 프레임에 부착시킴으로써 소비자의 유행에 따라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한 형태의 동일 프레임을 이용하면서도 다양한 미감을 갖는 장식판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집게형 머리핀의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본 고안의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은 프레스공정으로 몸체를 형성하고 소정의 절곡공정을 통하여 집게형 머리핀 몸체를 완성한 후 다양한 미감을 갖는 장식판을 이 몸체의 외측에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장식을 갖는 집게형 머리핀의 제조가 가능함은 물론 하나의 동일 몸체를 이용함으로써 머리핀의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 및 소비자의 요구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힌지핀(9)이 고정되는 힌지핀고정공(7)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지지편(6)이 절곡형성된 손잡이(1)와,
    손잡이(1)와 일체로 형성되며 다수의 집게발(3)이 형성되고 이에 인접하여 통공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돌기(4)를 갖는 집게(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1)와 집게(2)는 머리핀장식판(P)을 외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5a, 5b, 5c)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
  3. 힌지핀이 고정되는 힌지핀고정공(7)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지지편(6)이 절곡형성된 손잡이(1)와, 손잡이(1)와 일체로 형성되며 다수의 집게발(3)이 형성되고 이에 인접하여 통공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돌기(4)를 갖는 집게(2)로 이루어진 한쌍의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B1, B2)과,
    손잡이(1)와 집게(2)에 형성된 고정공(5a, 5b, 5c)을 통해 손잡이(1)와 집게(2)의 외측면에 고정된 머리핀장식판(P)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머리핀.
KR2020010022032U 2001-07-20 2001-07-20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집게형 머리핀 KR200260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032U KR200260218Y1 (ko) 2001-07-20 2001-07-20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집게형 머리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032U KR200260218Y1 (ko) 2001-07-20 2001-07-20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집게형 머리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218Y1 true KR200260218Y1 (ko) 2002-01-10

Family

ID=7310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032U KR200260218Y1 (ko) 2001-07-20 2001-07-20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집게형 머리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2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2159A (en) Hair clasp
US5494060A (en) Hair clip with annular springs
US3279479A (en) One piece hair clip biased closed by a flexible spring finger
JPH0727849Y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の引手
WO2010096390A1 (en) Butterfly clip
US6305387B1 (en) Hair styling tool
CN102613800B (zh) 发夹
US6647991B2 (en) Multiple clip hair fastener
KR200260218Y1 (ko) 집게형 머리핀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집게형 머리핀
US10575615B2 (en) Hair accessory
US2664883A (en) Hair curl holding clip
GB2207047A (en) A hair clip
KR200224638Y1 (ko) 장식판 교체형 머리핀
KR200341802Y1 (ko) 집게형 머리핀
KR200267475Y1 (ko) 집게형 머리핀
US7258123B2 (en) Claw clip hair fastener
KR101157315B1 (ko) 머리핀
KR200355314Y1 (ko) 집게형 머리핀
KR200401751Y1 (ko) 헤어핀
KR200267497Y1 (ko) 머리핀
KR200260235Y1 (ko) 헤어집게핀
KR200316890Y1 (ko) 인공모발이 구비된 머리핀
KR200394961Y1 (ko) 대나무 헤어 핀
KR200262443Y1 (ko) 헤어클립
KR200345996Y1 (ko) 머리핀 및 집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