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389Y1 -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 - Google Patents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389Y1
KR200259389Y1 KR2020010029089U KR20010029089U KR200259389Y1 KR 200259389 Y1 KR200259389 Y1 KR 200259389Y1 KR 2020010029089 U KR2020010029089 U KR 2020010029089U KR 20010029089 U KR20010029089 U KR 20010029089U KR 200259389 Y1 KR200259389 Y1 KR 200259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housing
post insulator
line post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주
Original Assignee
평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9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3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389Y1/ko

Link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과 실시에 따른 효과는 EPDM재의 하우징과 FRP재의 코아(Core)의 상부에 구성되는 가공선로 고정수단인 상부고정수단을 상기 하우징과 코아 수지물로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하고, 하우징의 하부에 구성되어 전주 상에 고정되는 베이스수단을 인서트 성형으로 결합 구성함으로서 단순구조에 의한 제조원가의 절감과 생산공정을 적게 하여 생산성의 극대화는 물론 절연성 향상에 의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인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상부고정수단(30)을 상기 하우징(10)내에 상기 FRP재의 코아(20)가 인서트 성형된 상태로 양방에 돌출부(33,34)를 성형하여 중앙에 가공선로 통과홈(31)이 요설되어 일체로 성형되되, 상기 양방의 돌출부(33,34) 각각에 너트봉(32a,32b)이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상태로 인서트 성형되어서 통상의 전선클램프(50)가 조절볼트(51a,51b)로 체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40)는 상기 FRP재의 코아(20)의 하단 내부에 인서트 성형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에 의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POLYMER LINE POST INSULATOR}
본 고안은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EPDM재의 하우징과 FRP재의 코아의 상부에 구성되는 가공선로 고정수단인 상부고정수단을 상기 하우징과 코아 수지물로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하고, 하우징의 하부에 구성되어 전주 상에 고정되는 베이스수단을 인서트 성형으로 결합 구성함으로서 단순구조에 의한 제조원가의 절감과 생산공정을 적게 하여 생산성의 극대화는 물론 절연성 향상에 의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인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가공선로에 통하는 전선을 라인 포스트 애자의 선홈에 고정할 경우 바인더 등의 체결구로 전선과 애자측부를 함께 체결하게 되므로 이 부위에 염분 등의 오염물질이 부착 시에는 전선으로부터 체결구를 통하여 애자측부에 전류가 누설되는 별도의 경로가 형성하게 되어 전선 및 체결구의 전열재가 아크손상을 입어 탄화하거나 핀 홀을 만들게 되고, 이의 현상이 점점 확대 진행되어 트랙(Track)을 더욱 확대시키게 되므로 이로 인한 방전이 더욱 촉진케 되어 선로의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라인 포스트 애자는 하우징 부분에 표면 에너지가 낮은 포셀린(Porcelain)재를 사용함으로써 약간의 오손에도 발수성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표면 누설전류가 증가하여 절연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종래의 라인 포스트애자의 단점을 극복 하고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폴리머 라인 포스트애자를 출원하여 실용등록 제167388호로 등록 받은 바 있다.
이러한 본 출원인의 상기 선 등록 기술은 특고압 전선인 가공선로에 체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아크방전에 의하여 전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우징의 스커트를 변경함으로써 전선의 표면절연거리를 증가시키며 생산 공정수를 적게 하기 위해 압착한 후 성형되어지도록 한 것에 그 목적을 갖고,
중앙부에 하우징(3)이 형성되고 이 하우징의 외측 면에는 표면절연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크기가 서로 다른 스커트(3a,3b)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스커트(3a,3b)는 내오존성, 발수성, 내후성 및 내트래킹성을 갖는 EPDM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3)의 내부 중심에는 FRP재의 코아(4)가 관통하여 형성되어지며, 상기 하우징(3)의 하부 면에는 전주(E.P)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2)가 형성되고 이 베이스는 상기 하우징(3)과 일체로 압착 성형되어져 생산 공정이 줄어들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3)의 상부 측에는 가공선로(O.W)를 고정시켜주기 위해 상부체(10)가 형성되고 이 상부체의 양측면 사이에 가공선로(O.W)를 통과시키고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5)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5)의 반원형 양측에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 홈이 형성되어져 상기 가공선로(O.W)의 원통지름에 상관없이 전선클램프(6)를 고정 및 조절할 수 있도록 볼트(8a,8b)를 체결하여 구성된 폴리머 라인 포스트애자(1)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상기 선 등록 기술은 FRP재의 코아(4)의 외주 면에 하우징(3)을 성형하여 구성하고, 상기 FRP재의 코아(4)와 하우징(3)의 상, 하부에 금속재의 상기 상부체(10)와 베이스(2)를 일체로 압착성형하며, 상기 상부체(10)에 가공선로(O.W)를 통과시킬 수 있고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5)를 나사 체결 식으로 조립하고, 이 지지체의 상부에 가공선로(O.W)를 고정 및 조절할 수 있도록 전선클램프(6)의 양단이 볼트(8a,8b)로 체결하여 구성됨으로서,
상기 상부체(10) 및 베이스(2)를 상기 하우징(3)과 FRP재의 코아(4)와 양단 사이에서 개재된 상태로 압착성형시 그 제조과정의 복잡하고, 특히 하우징(3)의 상부에 구성되는 가공선로(O.W)의 고정수단이 상부체(10) 및 지지체(5), 이 지지체의상부에 구성되는 전선클램프(6)로 이루어져 다수의 구성부재로 복잡하며, 전체적으로 부피가 비대해지고 무게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면서 본 출원인의 선 등록 기술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절연수지물의 하우징 상부에 구성되는 가공선로 고정수단인 상부고정수단을 하우징과 중앙의 코아 재질과 동일재질로서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부재의 단순화로 제조원가 및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징의 하부에 구성되는 베이스수단을 하우징의 중앙에 인서트 성형되는 비교적 경질재인 코아와 인서트 성형으로 결합하여 결합력이 견고하여 사용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는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를 제고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가공선로를 고정하는 상부고정수단를 하우징과 코아의 일체성형으로 형성하되 중앙에 가공선로 통과 홈을 형성하고 이의 양방에 너트봉을 인서트 성형하여 통상의 전선클램프가 양방의 조절볼트로서 상기 너트봉에 체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성되는 베이스수단을 인서트 성형으로 결합 구성한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의 구성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20 : 코아
30 : 상부고정수단 40 : 베이스
50 : 전선클램프 100 :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에 서로 다른 크기의 스커트(11a,11b)를 형성한 EPDM재의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인서트 성형되는 FRP재의 코아(20)와, 상기 하우징(10)과 FRP재의 코아(20)의 상, 하부에 구성되는 가공선로(0.W)의 상부고정수단(30)과 전주(E.P)에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40)가 압착성형으로 구성된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100)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수단(30)은 상기 하우징(10)내에 상기 FRP재의 코아(20)가 인서트 성형된 상태로 양방에 돌출부(33,34)를 성형하여 중앙에 가공선로 통과홈(31)이 요설되어 일체로 성형되되, 상기 양방의 돌출부(33,34) 각각에 너트봉(32a,32b)이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상태로 인서트 성형되어서 통상의 전선클램프(50)가 조절볼트(51a,51b)로 체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40)는 상기 FRP재의 코아(20)의 하단 내부에 인서트 성형으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40)는 상기 FRP재의 코아(20)에 인서트 성형에 따른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부 중앙에 계단상의 단차돌기봉(41)을 돌출하여 인서트 성형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코아(20)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FRP재로 성형하여 구성됨을 설명하고 있으나, 다르게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무기충진제, 섬유상 보강제(유리섬유), 경화제 및 기타 첨가제로 구성되어 내열성이 우수하며 절연성이 뛰어나 외부 힘에 의한 고강도, 성형에 따른 치수 안정성, 난연성 특성을 갖는 BMC(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벌크 몰딩 콤파운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E.P)에 설치되는 완철(200)에 통상의 방법과 동일하게 상기 베이스(40)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고정수단(30)에 결합된 전선클램프(50)를 조절 및 고정하는 양방의 조절볼트(51a,51b)를 풀고 상기 상부고정수단(30)의 가공선로 통과홈(31)을 통하여 가공선로(O.W)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전선클램프(50)를 조절볼트(51a,51b)로 나사조임하여 견고하게 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제품의 부피 축소는 물론 경량화에 의한 취급이 편리하고 가공선로(O.W)의 고정하는 상부고정수단(30)의 구조단순화로 설치의 용이성이 확보되며, 하우징(30)의 재질의 EPDM재로 되어서 상기 전선클램프(50)의 하강 결속 시에 완충성으로 안정성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복잡한 구성을 갖는 가공선로 상부고정수단이 단순구조로서 하우징과 중앙코아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성형되어 제품의 부피가 대단히 축소되고,
또한, 하우징의 하부에 구성되는 베이스가 중앙의 코아에 인서트로 일체로 성형되어 견고한 결속으로 사용 수명이 연장되며, 전체적으로 제조에 따른 작업공정수가 적어지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외측면에 서로 다른 크기의 스커트(11a,11b)를 형성한 EPDM재의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인서트 성형되는 FRP재의 코아(20)와, 상기 하우징(10)과 FRP재의 코아(20)의 상, 하부에 구성되는 가공선로(0.W)의 상부고정수단(30)과 전주(E.P)에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40)가 압착성형으로 구성된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100)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수단(30)은 상기 하우징(10)내에 상기 FRP재의 코아(20)가 인서트 성형된 상태로 양방에 돌출부(33,34)를 성형하여 중앙에 가공선로 통과홈(31)이 요설되어 일체로 성형되되, 상기 양방의 돌출부(33,34) 각각에 너트봉(32a,32b)이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상태로 인서트 성형되어서 통상의 전선클램프(50)가 조절볼트(51a,51b)로 체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40)는 상기 FRP재의 코아(20)의 하단 내부에 인서트 성형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40)는 상부 중앙에 돌출된 계단상의 단차돌기봉(41)이 상기 FRP재의 코아(4)의 하단 내부에 인서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FRP재의 코아(40)는 BMC 재질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
KR2020010029089U 2001-09-20 2001-09-20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 KR200259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089U KR200259389Y1 (ko) 2001-09-20 2001-09-20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089U KR200259389Y1 (ko) 2001-09-20 2001-09-20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389Y1 true KR200259389Y1 (ko) 2002-01-05

Family

ID=7310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089U KR200259389Y1 (ko) 2001-09-20 2001-09-20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3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613A (ko) * 2014-09-05 2016-03-15 송홍준 라인포스트 애자
KR101648311B1 (ko) * 2015-08-03 2016-08-12 송홍준 라인포스트 애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613A (ko) * 2014-09-05 2016-03-15 송홍준 라인포스트 애자
KR101693399B1 (ko) 2014-09-05 2017-01-06 송홍준 라인포스트 애자
KR101648311B1 (ko) * 2015-08-03 2016-08-12 송홍준 라인포스트 애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06871B (zh) 架空配电线路
US3898372A (en) Insulator with resin-bonded fiber rod and elastomeric weathershed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051796A (en) Electric insulator made from silicone rubber for high-voltage applications
KR20120085281A (ko) 통합된 클램프 절연체
KR200259389Y1 (ko)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
CA1252605A (en) Cross-arms for utility poles
KR200445173Y1 (ko) 가공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KR200410928Y1 (ko) 폴리머 라인포스트 애자
KR200167388Y1 (ko)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
CN1120927C (zh) 可转换的电业横担绝缘体装置
KR100431252B1 (ko) 가공 개폐기 및 변압기용 폴리머 부싱
KR100677925B1 (ko) 전력선 이탈방지용 라인포스트애자 고정구조
KR101924115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
CN105952235A (zh) 一种异型横担及输电杆
RU2343578C1 (ru) Опорный изолятор
KR200313571Y1 (ko) 폴리머 라인 포스트 애자
KR100350393B1 (ko) 전동차용전기케이블고정장치
CN206649949U (zh) 一种绝缘子
CN220954930U (zh) 复合横担及终端杆
CN220928908U (zh) 中间金具、复合横担及输电杆
KR200270670Y1 (ko) 라인포스트애자의 점퍼선 보호 장치
CN214035016U (zh) 一种配电网低压复合横担
CN220522170U (zh) 一种输电杆
CN218991092U (zh) 一种复合横担及输电杆
CN216649184U (zh) 一种高强度防风线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