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246Y1 - a waterway pipe - Google Patents

a waterway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246Y1
KR200259246Y1 KR2020010027677U KR20010027677U KR200259246Y1 KR 200259246 Y1 KR200259246 Y1 KR 200259246Y1 KR 2020010027677 U KR2020010027677 U KR 2020010027677U KR 20010027677 U KR20010027677 U KR 20010027677U KR 200259246 Y1 KR200259246 Y1 KR 200259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waterway
pipe
wate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67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수열
Original Assignee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경성특수콘크리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경성특수콘크리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7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24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246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수로관 몸체의 상단에 배수구를 갖는 천장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수로관들이 설치되는 위치 중에서 농기계 등이 지나갈 수 있는 통로에 위치되는 곳에 설치하여 통로를 갖출 수 있도록 함으로서, 통로를 갖추기 위한 별도의 덮개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설치 작업의 편리성 및 안전성과 견고성 그리고 경제성을 갖게 한 수로관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으로, 상기 목적은 수로관들을 인접 배치하여 조립 설치하는 것에 의해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은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되도록 천장벽을 일체로 구비하며 어느 일측 단부에는 연결용 소켓부를 구비하고, 그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소켓부 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단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몸체; 및 상기 천장벽에 형성하여 물의 배수기능을 갖도록 다수의 구멍을 갖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ceiling integrally with a drain on the top of the waterway pipe body to be installed in a place that is located in the passage where agricultural machinery, etc. can pass through the waterway pipes are installed to provide a passage, to provide a passage In order to provide a water pipe which does not need to manufacture a separate cover, which makes the installation work convenient, safe, robust, and economical, the above object is to provide a waterway pipe to form a waterway by assembling and arranging waterway pipes adjacently, The water pipe includes a body having a ceiling wall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in shape and having a socket portion for connection at one end thereof, and a body integrally provided with an insertion end for inserting the socket portion at an opposite end thereof; And a drainage pipe formed on the ceiling wall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so as to have a drainage function of water.

Description

수로관{a waterway pipe}A waterway pipe

본 고안은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로관 몸체의 상단에 배수구를 갖는 천장을 일체로 형성하여 경운기 등의 농기계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a passage through which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a cultivator can pass by integrally forming a ceiling having a drain on the top of the water pipe.

일반적으로 도로나 혹은 농로에 물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수로관을 설치함은 주지된 사실인데, 이렇게 사용되는 수로관 중의 하나가 도 1에 나타낸 개거(開渠) 수로관(10')이다. 상기 수로관(10')은 콘크리트 설비 공장에서 대량으로 만들어지는 PC(Precast concrete)물품인데, 상기 수로관(10')은 철조 콘크리트로서 통상 U자형상의 단면을 이루게 형성된다.In general, it is well known to install a water pipe for smooth flow of water on a road or a farm road, and one of the water pipes used in this way is an open water pipe 10 'shown in FIG. The water pipe 10 'is a precast concrete (PC) article made in large quantities in a concrete plant, and the water pipe 10' is made of steel concrete, which is generally formed in a U-shaped cross section.

또한, 상기 수로관(10')을 형성하는 각 몸체의 어느 일단에는 소켓부(12)가 형성된 반면에, 그 반대측 단에는 상기 소켓부(12) 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단부(1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로관(10')의 소켓부(12)로는 인접 배치되는 수로관들을 필요한 길이 만큼 연속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ocket 12 is formed at one end of each body forming the water pipe 10 ', whereas the opposite end is inserted with an insertion end 14 for inserting into the socket 12. Formed. Therefore, the socket part 12 of the water pipe 10 'may continuously arrange adjacent water pipes by a required length.

또한, 이렇게 연결 배치되는 수로관(10')들 중에서 경운기 등의 농기계가 통과하는 위치에는 통상 덮개(미도시)를 설치하여 길(통로)을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농기계가 통과하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수로관의 상부에 별도의 덮개를 설치해야만 통로를 형성할 수 있음으로서 그에 따른 작업 공정의 추가로 매우 불편하였음은 물론 경제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즉, 상기 덮개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함으로서 그에 따른 재료의 낭비가 있으며, 상기 덮개를 별도로 설치해야 함에 따른 설치 작업의 공정이 추가되는 등의 단점이 있음은 물론, 상기 덮개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서 안전성과 견고성이 저하되며 경제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In addition, a cover (not shown) is usually installed at a position through which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a cultivator passes among the water pipes 10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road (path). 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passage can be formed only by installing a separate cover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pipe disposed at the position through which the agricultural machine passes. In other words, the cover has to be manufactured separately, resulting in waste of materials, and the process of installation work is additionally required due to the cover being separately installed, as well as safety and robustness by separately installing the cover. There are disadvantages such as lowering and falling economics.

본 고안의 목적은 수로관 몸체의 상단에 배수구를 갖는 천장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수로관들이 설치되는 위치 중에서 농기계 등이 지나갈 수 있는 통로에 위치되는 곳에 설치하여 통로를 갖출 수 있도록 함으로서, 통로를 갖추기 위한 별도의 덮개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설치 작업의 편리성 및 안전성과 견고성 그리고 경제성을 갖게 한 수로관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ceiling integrally with a drain on the top of the waterway pipe body to be installed in a place that is located in the passage where agricultural machinery, etc. can pass through the waterway pipes are installed to provide a passage, to provide a passage There is no need to manufacture a separate cover to provide a water pipe which makes the installation work convenient, safe, robust and economica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at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t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0' - 수로관 12 - 소켓부10,10 '-Channel 12-Socket

14 - 삽입단부 16 - 천장벽14-Insertion End 16-Ceiling Wall

20 - 배수구 30 - 배수용덮개20-Drainer 30-Drain Cover

상기 목적은 수로관들을 인접 배치하여 조립 설치하는 것에 의해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은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되도록 천장벽을 일체로 구비하며 어느 일측 단부에는 연결용 소켓부를 구비하고, 그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소켓부 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단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몸체; 및 상기 천장벽에 형성하여 물의 배수기능을 갖도록 다수의 구멍을 갖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The purpose of the waterway pipe to form a waterway by arranging the waterway pipes adjacent to each other, the water pipe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ceiling wall so that the cross-section is approximately square shape, and one end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socket portion, An opposite end portion having a body integrally provided with an insertion end for inserting into the socket side; And a drainage pipe formed on the ceiling wall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so as to have a drainage function of water.

위 배수구는 양측단에 단턱을 갖는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에 삽입되어 단턱에 안착되도록 착탈되는 배수용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drain may form a hole having a stepped at both ends, and may include a drain cover that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detached to be seated on the stepp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 embodiment of the wat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wat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로관(10')에 대해서는 앞에서 이미 설명을 하였기 때문에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이 설치되는 위치 중에서 농기계 등이 지나갈 수 있는 통로가 되는 수로관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water pipe 10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so it is omitted in order to avoid overlapping description, and hereinafter, only the water pipe which becomes a passage through which agricultural machinery, etc., can be passed among the water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demonstrates concretely.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로관(10)은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으로되도록 천장벽(16)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고, 그 천장벽(16)에는 물의 배수기능을 갖도록 다수의 구멍(22)을 갖는 배수구(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로관(10)은 상부가 개방된 수로관(10')과 인접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어느 일측 단부에는 연결용 소켓부(12)를 구비하고, 그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소켓부(12) 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단부(14)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water pip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ceiling wall 16 so that the cross section becomes substantially rectangular in shape, and the ceiling wall 16 has a plurality of holes 22 to have a drainage function of water. The drain hole 20 which has is formed. The water pipe 10 has a socket portion 12 for connection at one end thereof so that the water pipe 10 can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water pipe 10 'which is open at the top, and inserted into the socket 12 at the opposite end thereof. The insertion end 14 for this is integrally provided.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배수구에 배수용덮개를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wat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the drain cover is installed in the drain.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배수구(20)에는 양측단에 단턱(26)을 형성한 비교적 큰 구멍(24)을 형성하고, 그 구멍(24)에 삽입되어 단턱(26)에 안착되도록 착탈되는 배수용덮개(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수용덮개(30)에는 물의 배수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한 구멍(32)이 형성됨은 당연하다.As shown in FIG. 3,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relatively large hole 24 in which the step 26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drain 20, and is inserted into the hole 24 so as to be seated on the step 26. It may be provided with a drain cover 30 to be removed. Naturally, the drain cover 30 is formed with a hole 32 to have a drainage function of water.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지반 공사가 완료되면 수로관(10')들이 놓여지면서 연결 조립되는데, 상기 수로관(10')의 삽입단부(14)를 인접되는 수로관(10')의 소켓부(12)의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수로관(10')은 연속하여 조립되면서 수로를 형성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when the ground construction is completed and the water pipes 10 'are placed, the insertion end portion 14 of the water pipe 10' inside the socket portion 12 of the adjacent water pipe 10 ' When inserted into, the water pipe (10 ') is continuously assembled to form a water channel.

이렇게 조립되는 수로관(10')들 중에서 농기계 등이 지나갈 수 있는 통로가 되는 위치에는 본 고안의 수로관(10)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통로를 갖출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수로관(10)은 그 상부에 천장벽(16)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음으로서 별도의 덮개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즉, 본 고안의 천장벽(16)이 일체로 형성된 수로관(10)을 통로가 되는 위치에 조립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농기계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를 갖출 수 있어 설치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The passage can be easily provid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pip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position that is a passage through which agricultural machinery and the like can be passed among the water pipes 10 'assembled. In other words, the water pip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ceiling wall 16 integrally thereon, so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cover. In other words, by assembling and installing the water pipe 10 formed integrally with the ceiling wall 16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assage, it is possible to simply equip the passage through which agricultural machinery can pass, and the installation work is very convenient.

이와 같이 설치된 본 고안의 천정벽(16)이 일체로 구비된 수로관(10)은 그 천장벽(16)에 구비된 배수구(20)에 의해 물의 배수 기능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통상의 수로관(10')과 동일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수로관(1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장벽(16)에 구비된 배수구(20)에 비교적 큰 구멍(24)을 형성하고 그 구멍(24)에 배수용덮개(30)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배수용덮개(30)를 들어내고 상기 수로관(1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The water pipe 10 having the ceiling wall 16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water pipe 20 provided in the ceiling wall 16 to facilitate the drainage function of water, thereby opening the upper water pipe. Has the same function as 10 '. And, as shown in FIG. 3, the water pip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relatively large hole 24 in the drain 20 provided in the ceiling wall 16, and the drain cover 30 in the hole 24. When installed, it is possible to lift the drain cover 30 and clean the inside of the water pipe (10).

또한, 본 고안의 수로관(10)은 상부가 개방된 통상의 수로관(10')과 함께 인접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소켓부(12)와 삽입단부(14)를 구비하고 있어 그 설치 작업이 통상의 작업과 동일함으로서 별도의 공정 추가가 없다.In addition, the water pip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ocket portion 12 and the insertion end 14 to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normal water pipe (10 ') with an open top, the installation work is a normal work The same as, there is no separate process addition.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수로관들을 배열 조립하여 설치하는 것에 의해 수로를 형성할 때 그 수로 중에서 농기계가 지나가는 통로의 위치에는 천장벽이 일체로 형성된 수로관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간편하게 통로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덮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 작업이 간편하며 안전성과 견고성 및 경제성을 갖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덮개를 별도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서 기후나 지반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항시 수로관을 원래의 조립 상태로서 안정적으로 유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수로관 경계부의 몰타르 충진부위에 발생되는 균열을 방지할 수 있어서 항시 누수 발생이 없이 안정적으로 물이 유동할 수 있는 수로를 제공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way is formed by arranging and installing the waterway pipes, the aisle can be easily formed by installing a waterway pipe integrally formed with a ceiling wall at the position of the passageway through which agricultural machinery passes in the waterway. Of cours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cover, the installation work is eas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quipped with safety, robustness and economic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waterway pipe stably in its original state of assembly at all times despite the change of climate or ground by not installing a separate cover, and thus the cracks generated at the malt filling part of the waterway pipe boundary. Since it can be prevented to always have the effect of providing a water channel that can stably flow water without the occurrence of leakage.

Claims (2)

수로관들을 인접 배치하여 조립 설치하는 것에 의해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관에 있어서,In a waterway pipe forming a waterway by assembling and arranging waterway pipes adjacently, 상기 수로관은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되도록 천장벽을 일체로 구비하며 어느 일측 단부에는 연결용 소켓부를 구비하고, 그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소켓부 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단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몸체; 및The water pipe includes a body having a ceiling wall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in shape and having a socket portion for connection at one end thereof, and a body integrally provided with an insertion end for inserting the socket portion at an opposite end thereof; And 상기 천장벽에 형성하여 물의 배수기능을 갖도록 다수의 구멍을 갖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The water pipe is formed in the ceiling wall including a drain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o have a water drainage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양측단에 단턱을 갖는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에 삽입되어 단턱에 안착되도록 착탈되는 배수용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The water pipe of claim 1, wherein the drain hole includes a drain cover that forms a hole having stepped ends at both sides, and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detached to be seated on the stepped end.
KR2020010027677U 2001-09-10 2001-09-10 a waterway pipe KR20025924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677U KR200259246Y1 (en) 2001-09-10 2001-09-10 a waterway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677U KR200259246Y1 (en) 2001-09-10 2001-09-10 a waterway pi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246Y1 true KR200259246Y1 (en) 2002-01-05

Family

ID=7306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677U KR200259246Y1 (en) 2001-09-10 2001-09-10 a waterway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24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917B1 (en) 2008-06-04 2009-02-26 (주)시엠씨 Tailing stability method of river at mine distri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917B1 (en) 2008-06-04 2009-02-26 (주)시엠씨 Tailing stability method of river at mine distri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496B1 (en) Assembly water channel
KR200259246Y1 (en) a waterway pipe
US8348548B2 (en) Methods and systems to maintain accessibility and integrity of equipment contained in underground housings
KR101089099B1 (en) Cable Trough
JP2007162350A (en) Drainage lead-in implement and side-ditch block
KR200492266Y1 (en) A drain pipe for sewage
KR200233420Y1 (en) Water pipe cover
KR200259245Y1 (en) a waterway pipe
KR100912898B1 (en) Rainwater receiver
KR100284674B1 (en) Reinforced concrete water pipe
KR100730917B1 (en) A drainpipe support device
KR200340985Y1 (en) reinforce bracket for drainage canal unit
KR200248973Y1 (en) Inflow device a watercourse duct irrigation water
KR200389398Y1 (en) Piping for flowing water
KR102364315B1 (en) Waterway pipe for preventing overflowing
KR950006220Y1 (en) A fabracate culvert
KR200286137Y1 (en) Drain trap for flower bed
JP2011043228A (en) Branch valve
KR20010000681U (en) a watercourse system for farming
WO2017067718A1 (en) Floor drain comprising odour trap
KR200280028Y1 (en) a Drain for Prevention Backward Flow of Smell
KR200211526Y1 (en) Drain pipe for environment protection
JP2005344444A (en) Catch basin and grating frame for catch basin
KR200381471Y1 (en) A waterway duct unit
KR970001417Y1 (en) Drainage dith and protecting block structure for sl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