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812Y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812Y1
KR200258812Y1 KR2019990007842U KR19990007842U KR200258812Y1 KR 200258812 Y1 KR200258812 Y1 KR 200258812Y1 KR 2019990007842 U KR2019990007842 U KR 2019990007842U KR 19990007842 U KR19990007842 U KR 19990007842U KR 200258812 Y1 KR200258812 Y1 KR 200258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op
inlet
heating plat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643U (ko
Inventor
백 희 원
Original Assignee
백 희 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 희 원 filed Critical 백 희 원
Priority to KR2019990007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812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6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6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812Y1/ko

Links

Landscapes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물이나 지하수를 유입시켜 마실 수 있는 음용수로 정화하기 위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유입관(130)을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가 점적되는 점적 노즐(131)이 상측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점적 노즐(131)에서 낙하되는 점적 유입수(10)를 증발시키는 가열판(150)이 하측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에 증기 흡입구(125)가 설치된 점적수 증발통(120)과; 상기 증기 흡입구(125)를 통해 흡입되는 증기를 냉각 응결시켜 순수물로 배출되도록 하는 냉각관(210)과;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면서 천연 미네랄 소재(320)를 적첩하여 상기 냉각관(210)으로 부터 유입되는 순수물을 활성화시켜 생수로 배출시키는 생수 처리부(30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물을 증발시켜 만든 순수물을 활성화시켜 생수로 만들므로써 필터를 교환해야 하는 종래의 정수기에 비해 유지 보수 및 사용이 간편하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고안은 수도물이나 지하수를 유입시켜 마실 수 있는 음용수로 정화하기 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수돗물이나 지하수를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수하는 종래의 정수기는 고탁도 필터를 사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침전 필터를 사용하여 녹찌꺼기등을 제거하고, 선키본 필터를 사용하여 염소 성분 및 기타 유기화학 성분을 제거하고,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하여 중금속과 발암 물질을 제거하고, 후카본 필터를 사용하여 냄새와 가스 성분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정수기는 다양한 필터를 사용하므로 필터를 교체하지 않는 경우 오히려 물의 오염이 더욱 심하게 되고 필터를 자주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고안은 가열판과 배양석을 사용하여 음용수로 정수하여 유지 보수가 간편하도록 하기 위한 정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점적수 증발통 110 : 전원 공급부
120 : 점적수 증발통 122 : 이물질 배출구
123 : 드레인관 124 : 드레인 밸브
125 : 증기 흡입구 130 : 유입관
131 : 점적 노즐 200 : 냉각 수단
210 : 냉각관 220 : 방열판
300 : 생수 처리부 310 : 생수 처리통
311 : 순수물 유입구 312 : 배출구
313 : 배출관 314 : 배출 밸브
315 : 산소 공급구 316 : 산소 공급관
400 : 제어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가 점적되는 점적 노즐이 상측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점적 노즐에서 낙하되는 점적 유입수를 증발시키는 가열판이 하측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에 증기 흡입구가 설치된 점적수 증발통과; 상기 증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증기를 냉각 응결시켜 순수물로 배출되도록 하는 냉각관과;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면서 천연 미네랄 소재를 적첩하여 상기 냉각관으로 부터 유입되는 순수물을 활성화시켜 생수로 배출시키는 생수 처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적수 증발통(120)을 포함하는 점적수 증발 수단(100), 냉각관(210)을 포함하는 냉각 수단(200), 및 생수 처리부(300)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된 통의 형태로 이루어져 유입관(130)을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가 점적되는 점적 노즐(131)이 상측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점적 노즐(131)에서 낙하되는 점적 유입수(10)를 증발시키는 가열판(150)이 하측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에 증기 흡입구(125)가 설치된 점적수 증발통(120)과; 상기 증기 흡입구(125)를 통해 흡입되는 증기를 냉각 응결시켜 순수물로 배출되도록 하는 냉각관(210)과;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면서 천연 미네랄 소재(320)를 적첩하여 상기 냉각관(210)으로 부터 유입되는 순수물을 활성화시켜 생수로 배출시키는 생수 처리부(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점적수 증발통(100)의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점적수 증발통(100)의 하단부에 드레인관(123) 및 드레인 밸브(124)를 설치하고, 상기 점적 노즐(131)에서 낙하되는 점적 유입수(10)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유입수 밸브(140)를 설치하고 상기 가열판(15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기(151)를 설치하고 상기 온도 감지기(151)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유입수밸브(140)와 가열판(15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기(400)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점적수 증발통(100)에는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하단부에 이물질 배출구(122)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배출구(122)에 드레인관(123)을 설치하고 상기 드레인관(123)에 드레인 밸브(124)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가열판(150)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각관(210)은 상기 증기 흡입구(125)를 통해 흡입되는 증기를 원활히 냉각 응결시키기 위해 사행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외부 표면에 방열판(2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생수 처리부(300)는 통(310)의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 공급구(315)가 형성되고 상기 산소 공급구(315)에 산소 공급관(316)을 설치하고, 상부에 상기 냉각관(210)으로 부터 배출되는 순수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순수물 유입구(311)가 형성되어 상기 냉각관(210)과 연결되고, 하부에는 활성화된 음용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31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312)에 배출관(313)을 설치하고 상기 배출관(313)에 배출 밸브(314)를 설치하여 음용수의 배출을 조절하도록 하며, 내부에 미네랄 소재(320)를 적첩한다.
여기서, 천연 미네랄 소재(320)는 맥반석 및 규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지하수 또는 수돗물과 같이 정수하여 음용수로 사용하려고 하는 유입수가 유입관(130)으로 부터 점적 노즐(131)로 유입된후 낙하하게 되고 낙하되는 점적 유입수(10)는 가열판(150)에 한방울씩 떨어져 바로 증발되어 증기로 변한다.
이때 상기 점적 유입수(10)는 유입수 밸브(140)의 조절에 의해 그 양이 적절히 조절되게 된다. 즉, 점적 노즐(131)에서 점적되어 가열판(150)으로 떨어지게 점적 유입수(100)에 의해 가열판(150)의 온도가 떨어져 점적 유입수(10)를 증발시키지 못하는 정도로 온도가 낮아지지 않는 정도로 점적 유입수(10)의 양을 조절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열판(150)에 열감지 센서(151)를 부착하고 상기 열감지기(151)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기(400)에서 상기 유입수 밸브(140)를 조절하도록 한다. 즉, 상기 가열판(150)의 온도가 설정치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가열판(150)으로 점적되는 점적 유입수(10)의 양을 줄이도록 상기 유입수 밸브(140)를 조절하며 상기 가열판(150)의 온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올라가면 상기 가열판(150)의 온도를 낮추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110)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가열판(150)에 점적된 유입수(10)가 가열판(150)의 열에 의해 증발되어 증기로 변하게 되면 상기 점적수 증발통(120)의 상부에 설치된 증기 흡입구(125)에서 이를 흡입하여 냉각관(210)으로 배출하게 된다.
증가 흡입구(125)에서 흡입되어 냉각관(210)으로 유입된 증기는 사행상의 구조로 이루어진 냉각관(210)을 통과하면서 냉각 응결되게 되어 순수물이 된다.
이때 상기 냉각관(210)의 작용을 원할히 하기 위해 냉각관(210)의 외부 표면에 방열판(220)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냉각관(210)에서 냉각 응결되어 배출되는 순수물은 생수 처리부(300)의 순수물 유입구(3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데, 내부에는 맥반석 및 규석으로 이루어진 천연 미네랄 소재(320)가 적첩되어 있고 산소 공급구(315)를 통해 공급되는 산소가 있으므로 용존 산소가 증가하며 각종 미네랄에 의해 순수물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순수물은 생수 처리부(300)에서 활성화되어 음용수로서 배출구(312)와 배출관(313)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때 필요시마다 음용수를 음용수 배출관(313)으로 부터 얻기 위해 배출 밸브(314)를 조절하면 된다.
한편, 점적수 증발통(100)의 가열판(150)에서 계속적으로 물이 증발하게 되면 상기 점적수 증발통(100)의 내부에 이물질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은 점적수 증발통(100)의 하단부에 설치된 드레인관(123)을 통해 물과 함께 배출되게 된다.
이때 필요시마다 드레인관(123)을 개폐하기 위해 드레인 밸브(124)를 별도로 설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는 물을 증발시켜 순수물을 만들고 이를 활성화시키므로써 필터를 교환해야 하는 종래의 정수기에 비해 유지 보수 및 사용이 간편하다.

Claims (4)

  1. 유입관(130)을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가 점적되는 점적 노즐(131)이 상측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점적 노즐(131)에서 낙하되는 점적 유입수(10)를 증발시키는 가열판(150)이 하측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에 증기 흡입구(125)가 설치된 점적수 증발통(120)과;
    상기 증기 흡입구(125)를 통해 흡입되는 증기를 냉각 응결시켜 순수물로 배출되도록 하는 냉각관(210)과;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면서 천연 미네랄 소재(320)를 적첩하여 상기 냉각관(210)으로 부터 유입되는 순수물을 활성화시켜 생수로 배출시키는 생수 처리부(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적수 증발통(100)의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점적수 증발통(100)의 하단부에 드레인관(123) 및 드레인 밸브(124)를 설치하고, 상기 점적 노즐(131)에서 낙하되는 점적 유입수(10)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유입수 밸브(140)를 설치하고 상기 가열판(15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기(151)를 설치하고 상기 온도 감지기(151)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유입수 밸브(140)와 가열판(15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기(40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210)은
    표면에 방열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미네랄 소재(320)는 맥반석 및 규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2019990007842U 1999-05-10 1999-05-10 정수기 KR200258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842U KR200258812Y1 (ko) 1999-05-10 1999-05-10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842U KR200258812Y1 (ko) 1999-05-10 1999-05-10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643U KR19990033643U (ko) 1999-08-16
KR200258812Y1 true KR200258812Y1 (ko) 2001-12-31

Family

ID=54756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842U KR200258812Y1 (ko) 1999-05-10 1999-05-10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8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803B1 (ko) 2005-06-27 2007-08-06 최용식 누출방지 기능을 갖는 생리대
KR102232678B1 (ko) * 2020-01-22 2021-03-25 강법식 사용이 편리한 산소수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416B1 (ko) * 2005-09-12 2008-04-23 조성원 제습기를 구비한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803B1 (ko) 2005-06-27 2007-08-06 최용식 누출방지 기능을 갖는 생리대
KR102232678B1 (ko) * 2020-01-22 2021-03-25 강법식 사용이 편리한 산소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643U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66398B (zh) 大规模水净化和脱盐
US10071918B2 (en) Water harvester and purification system
JP3328779B2 (ja) 乳化液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4536257A (en) Desalination system
EP0597716B1 (en) Device for collecting drinking water from the atmosphere
JP2009500164A (ja) 浄水システム
JP2009512549A5 (ko)
CA2187916A1 (en) Portabl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U2007249760A1 (en) Multipurpose adiabatic potable water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s
US10532935B2 (en) Water harvester and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0557239B1 (ko) 이중 식수생성장치
WO1999061125A1 (en) Hybrid distill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0258812Y1 (ko) 정수기
WO2000010922A1 (en) Treatment of aqueous wastes
KR20110034950A (ko) 물의 온도 검출에 따른 압축기 구동시스템 및 구동방법
KR20110039076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66434B1 (ko)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EP1181965B1 (en) Device for cleaning a fluid in the form of a vapor from a circuit
KR100428250B1 (ko) 필터없는 증류수기
KR20020085686A (ko) 열에너지 효율이 높은 수냉 증류식 정수장치.
KR101063982B1 (ko) 절전형 음수기
JP2007229555A (ja) 高速旋回式蒸発装置の運転方法
US3445344A (en)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200277005Y1 (ko) 증류식과 필터식 정수방법을 포함하는 정수기
CN219079143U (zh) 一种环氧树脂生产用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